모즈 메이메이

덤프버전 :

파일:Mozu_meimei.jpg
이름モズメイメイ
Mozu Meimei
출생2020년 2월 18일 (4세)
성별암컷
털색갈색 (鹿毛, 카게)
아비리얼 임팩트
어미인 럭셔리(インラグジュアリー)
외조부프랑켈(Frankel)
생산자샤다이 팜
마주(주) 캐피탈 시스템
조교사오토나시 히데타카 (릿토)
성적9전 4승 (4-0-1-4)
8전 4승[중앙]
1전 0승[지방]
총상금1억 1436만 1000엔[1]
주요
우승
G2튤립상(2023)
G3아오이 스테이크스(2023)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4. 여담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일본의 경주마. 마명은 관명 + 인명의 애칭을 더한 것이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리얼 임팩트
リアルインパクト
2008
딥 임팩트
ディープインパクト
2002
선데이 사일런스
Sunday Silence
윈드 인 허 헤어
Wind in Her Hair
토키오 리얼리티
トキオリアリティー
1994
파일:미국 국기.svg
메도우레이크
Meadowlake
웟 어 리얼리티
What a Reality
인 럭셔리
インラグジュアリー
2014
프랑켈
Frankel
2008
파일:영국 국기.svg
갈릴레오
Galileo
카인드
Kind
인 란제리
In Lingerie
2009
파일:미국 국기.svg
엠파이어 메이커
Empire Maker
캣 챗
Cat Chat
* 헤일로 4×5 9.375%
* 노던 댄서 5×4 9.375%
* 헤일 투 리즌 5×5 6.25%

3. 커리어[편집]


오카상의 트라이얼 전초전인 튤립상을 우승해 오카상에 출전했으나 거리 적성 부족 등으로 13착 참패했었는데...

이후 출주한 아오이 스테이크스에서 게이트가 열림과 동시에 다른 말들과 1마신 반 이상을 벌리는 로켓 스타트를 보여줬고 그 스타트를 이용해 도주, 기존 기록을 0.3초 단축한 1분 7초 1 레코드로 우승하였다. 이 무지막지한 로켓 스타트 때문에 같은 관명의 도주마였던 모즈 슈퍼플레어의 로켓 스타트가 재조명되기도 했다.[2]

이후 여름 동안 휴식을 취한 후, 키타큐슈 기념을 거쳐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에 나갈 예정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다만 마츠와카 기수와 합을 이뤄 출전한 키타큐슈 기념에서는 최외각 억까에 빠른 출발 실패 등으로 인해 10착으로 부진했고,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에서는 아오이S에 이어 다시 타케 유타카와 합을 이뤘다. 스프린터즈S에서는 좋은 스타트를 보였으나 이후 선두 경쟁에서 밀려남에 따라 최하위 16착으로 패했다.
이후 더트 경주인 JBC 스프린트에 출주했지만 여기서도 11착으로 패했다.

4. 여담[편집]




5.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배당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2022년 (2세)
11.19도쿄2세 신마잔디 1600m2.111착크리스토프 르메르(니시노 트렌디)
12.10주쿄츠와부키상1승잔디 1400m8.543착코쿠분 쿄스케루미노 메테오르
2023년 (3세)
2.12한신코부시상1승잔디 1600m2.411착타케 유타카(오션 트라이브)
3.4한신튤립상GII잔디 1600m16.271착(코나 코스트)
4.9한신오카상GI잔디 1600m27.8713착와다 류지리버티 아일랜드
5.27교토아오이 스테이크스GIII잔디 1200m8.741착타케 유타카(루갈)
8.20코쿠라키타큐슈 기념GII잔디 1200m5.3210착마츠와카 후마재스퍼 크로네
10.1나카야마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GI잔디 1200m44.71216착타케 유타카마마 코차
11.3오이JBC 스프린트JpnI더트 1200m21.9611착마츠야마 코헤이이그나이터
[중앙] [지방] [1] 2023년 5월 27일 기준.[2] 이 로켓 스타트가 경마팬들에게 인상깊었는지 2023년 타카라즈카 기념 팬투표 최종 결과발표에서 95위에 새로 랭크 인하기도 했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튤립상|{{{#fff 튤립상

(G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중앙 오픈 경주로 창설
1983
우라카와 미유키
1984
아이노 사치 >

1985
레이호 솔론

1986
맥스 뷰티

1987
시요노 로망

1989
영게스트 시티
1990
아그네스 플로라
1991
시스터 토쇼 >

1992
아도라블

1993
베가
중앙 GIII 승격 후
1994
아그네스 퍼레이드
1995
유키 비바체 >

1996
에어 그루브

1997
오렌지 필

1998
단츠 시리우스

1999
에이신 루덴스
2000
조 디 시라오키
2001
티엠 오션 >

2002
헬스 월

2003
오스미 하루카

2004
스윕 토쇼

2005
에이신 텐더

2006
어드마이어 키스

2007
보드카

2008
에어 파스칼

2009
부에나 비스타
국제 G3 지정 후
2010
쇼류 문
2011
레브 디소르 >

2012
하나즈 골

2013
쿠로후네 서프라이즈

2014
하프 스타

2015
코코로노 아이

2016
신할라이트

2017
소울 스터링
국제 G2 승격 후
2018
럭키 라일락
2019
다논 판타지
2020
말타즈 디오사
2021
메이케이 옐 · 엘리자베스 타워동착 >

2022
나뮈르

2023
모즈 메이메이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아오이 스테이크스|{{{#fff 아오이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아오이상
오픈 승격 후
1985
롱 퀵
1986
리드 트리플 >

1987
마루부츠 론리

1988
그레이트 몬테
아오이 스테이
크스
1989
오사이치 조지
1990
다이타쿠 헬리오스
1991
텐잔 하고로모 >

1992
엘리자베스 로즈

1993
후지 원 맨 크로스

1994
마루카 오칸

1995
이사미 사쿠라

1996
더 골드

1997
스타 프로그래머

1998
메이쇼 아야메

1999
쿨 네주
2000
브레이크타임
2001
칼스톤 라이트 오 >

2002
단츠 저지

2003
몽파르나스

2004
마이네르 제스트

2005
심볼리 그랑

2006
윈 레전드

2007
카노야 자쿠라

2008
밀리언 웨이브

2009
에이신 타이거
2010
케이아이 데이지
2011
로드 카날로아 >

2012
마코토 나와라타나

2013
티하프

2014
리얼 비너스

2015
저스트 두잉

2016
낙 비너스

2017
아린나
중상 승격 후
2018
골드 퀸
2019
디언들 >

2020
비앙페

2021
레이 할리아
국제 G3 지정 후
2022
윈 마블
2023
모즈 메이메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20:51:50에 나무위키 모즈 메이메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