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즈 슈퍼플레어

덤프버전 :

파일:모즈 슈퍼플레어.jpg
이름モズスーパーフレア
Mozu Superflare
출생2015년 4월 1일 (9세) 파일:미국 국기.svg
성별암컷
털색밤색 (栗毛, 쿠리게)
아비스페이츠타운(Speightstown)
어미크리스티즈 트레져(Christies Treasure)
외조부비롱 투 미(Belong to Me)
생산자알파 델타 스테이블 LLC.
(Alpha Delta Stables LLC.)
마주(주) 캐피탈 시스템
조교사오토나시 히데타카 (릿토)
성적29전 7승 [7-3-3-16]
27전 7승[중앙]
2전 0승[지방]
총상금4억 429만 9000엔
3억 8629만 9000엔[중앙]
1800만 엔[지방]
주요
우승
G1타카마츠노미야 기념(2020)
G3오션 스테이크스(2019)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4. 번식마 생활
5. 여담
6.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일본의 경주마. 상단 사진에서 가장 오른쪽의 말이다.[1]


2. 혈통[편집]


1대2대3대
Speightstown
1998 파일:미국 국기.svg
Gone West
1984 파일:미국 국기.svg
Mr. Prospector
Secrettame
Silken Cat
1993 파일:캐나다 국기.svg
Storm Cat
Silken Doll
Christies Treasure
2004 파일:캐나다 국기.svg
Belong to Me
1989 파일:미국 국기.svg
Danzig
Belonging
Roses at Sunset
1996 파일:미국 국기.svg
Valid Appeal
Bid Gal
* Raise a Native 4×5 9.375%
* Secretariat 4×5 9.375%
* Northern Dancer 5×4 9.375%
* Bold Ruler 5×5×5 9.375%


3. 커리어[편집]






4. 번식마 생활[편집]




5. 여담[편집]



  • 출발 직후 남들보다 앞서나가는 로켓 스타트로 유명했다. 경주 결과에 상관없이 게이트가 열리고 난 후의 레이스 초반에는 모즈 슈퍼플레어가 항상 앞서나갔다.[2]

6. 경주 성적[편집]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타카마츠노미야 기념|{{{#fff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G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3세 이상, 2000m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1971
슌사쿠 오
1972
조세츠 >

1973
타케덴 버드

1974
하이세이코

1975
잇토

1976
후지노 파시아

1977
토쇼 보이

1978
야마닌 고로

1979
네하이 제트
1980
린도 플레번
1981
하기노 탑 레이디 >

1982
카즈시게

1983
하기노 카무이 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쿄에이 레어
1985
메지로 몽 스니 >

1986
럭비 볼

1987
랜드 히류

1988
오구리 캡

1989
메지로 아르당
1990
뱀부 메모리
1991
다이타쿠 헬리오스 >

1992
미스터 스페인

1993
롱샹 보이

1994
나이스 네이처

1995
마치카네 탄호이저
중앙 GI 승격 후, 1200m
1996
플라워 파크
1997
신코 킹








1998
신코 포레스트
1999
마사 럭키
4세 이상
2000
킹 헤일로
2001
트로트 스타 >

2002
쇼난 캄프

2003
빌리브

2004
서닝데일

2005
어드마이어 맥스

2006
오레와 맛테루제
국제 GI 지정 후
2007
스즈카 피닉스
2008
파인 그레인 >

2009
로렐 게레이로
2010 · 2011
킨샤사노 키세키
2012 카렌짱

2013
로드 카날로아

2014
코파노 리처드

2015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에어로벨로시티

2016
빅 아서

2017
세이운 코세이

2018
파인 니들

2019
미스터 멜로디
2020
모즈 슈퍼플레어
2021
다논 스매시 >

2022
나란 훌레그

2023
퍼스트 포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오션 스테이크스|{{{#fff 오션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오픈 특별 경주로 창설
1996
마이네르 가베
1997
치어즈 사일런스 >

1998
신코 포레스트

1999
이즈미 석세스
2000
타이키 브라이들
2001
키 골드 >

2002
쇼난 캄프

2003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네이티브 하트

2004 · 2005
실키 라군
중앙 GIII 승격 후
2006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네이티브 하트
2007
아일 러브 어게인 >

2008
프리미엄 박스
국제 G3 지정 후
2009
어버니티
2010
킨샤사노 키세키
2011
대셔 고 고 >

2012
원 캐럿

2013
사쿠라 가스펠

2014
스마트 오리온

2015
사쿠라 가스펠

2016
에이신 불스아이

2017
멜라그라나

2018
킹 하트

2019
모즈 슈퍼플레어
2020
다논 스매시
2021
콘트라 체크 >

2022
장다름

2023
벤토 보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5:24:45에 나무위키 모즈 슈퍼플레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중앙] A B [지방] A B [1] 맨 왼쪽의 말은 이 날 경기에서 1착으로 들어왔지만, 진로 방해 문제로 4착으로 강착(...)된 쿠리노 가우디, 가운데의 말은 3착을 기록한 다이어토닉.[2] 이후 2023년에, 아오이 스테이크스에서 같은 관명의 모즈 메이메이가 역대급 로켓 스타트를 선보이며 간간히 다시 회자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