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두기 (r1판)

편집일시 :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세대별 개 포켓몬
[ 펼치기 · 접기 ]
1세대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59MS.png윈디
2세대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29MS.png헬가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10MS.png그랑블루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35MS.png루브도
3세대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62MS.png그라에나
4세대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48MS.png루카리오
5세대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08MS.png바랜드
6세대파일:external/www.serebii.net/676.png 트리미앙
7세대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745MS.png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745MnMS.png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745DMS.png 루가루암
8세대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836MS.png 펄스멍
최종 진화형 기준 서술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파일:970MS.png 970 킬라플로르파일:971MS.png971 망망이
파일:972MS.png972 묘두기
파일:973MS.png 973 꼬이밍고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펼치기 · 접기 ]
팔데아도감
파일:479MS.png 310 로토무파일:971MS.png 311 망망이
파일:972MS.png 312 묘두기
파일:765MS.png 313 하랑우탄

1. 정보
2. 소개
3. 포획
4. 대전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6. 여담
7. 삽화
8. 국가별 명칭



1. 정보[편집]



파일:971 망망이.png파일:972 묘두기 dex.png
망망이묘두기

기본 정보
이름도감 번호타입
파일:971MS.png
망망이
ボチ(보치)
Greavard
전국: 971
팔데아: 311

파일:972MS.png
묘두기
ハカドッグ(하카돗구)
Houndstone
전국: 972
팔데아: 312

특성
(숨겨진 특성은 *)
망망이픽업도구를 주워올 때가 있다.
묘두기모래헤치기모래바람이 불 때 스피드가 2배가 된다.
(공통)*복슬복슬접촉기의 데미지를 반감하지만 불꽃 타입 데미지를 2배로 입는다.

세부 정보
포켓몬분류신장체중포획률
971 망망이유령개 포켓몬0.6m35.0kg120
972 묘두기2.0m15.0kg60

유전 정보
성비알 그룹부화 걸음수최대 경험치량
수컷: 50%
암컷: 50%
육상5,120걸음1,059,860

진화
진화파일:971.png
971 망망이
밤에 레벨 30
파일:972.png
972 묘두기


종족치
포켓몬HP공격방어특수공격특수방어스피드합계
파일:971MS.png
망망이
506160305534290
파일:972MS.png
묘두기
72101100509768488

울음소리
파일:971MS.png
망망이
파일:972MS.png
묘두기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파일:971MS.png
971 망망이
스칼렛사람과의 접점 없이 숨을 거둔 들개포켓몬이 환생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바이올렛사람을 잘 따르며 외로움을 잘 탄다. 조금만 관심을 줘도 끝없이 뒤를 따라다닌다.
파일:972MS.png
972 묘두기
스칼렛평소에는 묘지에서 자고 있다. 수많은 개포켓몬 중에서도 가장 주인에게 충직하다.
바이올렛정성스럽게 추모를 받은 포켓몬이 환생한 모습. 머리의 돌기를 만지는 것을 싫어한다.

전용기
성묘

2. 소개[편집]


땅속에 숨어 있다가 섬뜩한 울음소리를 내며 튀어나온다
평소에는 땅속에서 조용히 자고 있으며, 거의 움직이지 않습니다.
지표면에서 머리를 내밀고, 정수리에 섬뜩한 촛불을 밝혀 둔 채, 사람이 다가오기를 기다립니다.
가까이 가면 섬뜩한 울음소리를 내며 땅속에서 튀어나와 많은 사람들이 놀라지만, 망망이에게 악의는 없는 듯합니다.
사람을 잘 따르며 외로움을 잘 탄다. 그렇다고 너무 많이 놀아 주면 안 된다
사람에게 조금만 관심을 받아도 기뻐하며, 끝없이 뒤를 따라다닐 정도로 온화하고 사람을 잘 따릅니다.
팔데아지방에 서식하는 포켓몬 중에서도 가장 파트너로 만들기 쉽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단,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사람의 생기를 조금씩 빨아들이고 있어서 너무 많이 놀아 주면 안 됩니다.

포켓몬스터스칼렛・바이올렛 공식 사이트의 망망이 소개 페이지에서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처음 등장한 고스트 타입 포켓몬. 모티브는 스페인의 견종인 카탈란 쉽독(Catalan Sheepdog)으로 보인다. 유령 강아지라는 모습은 중미 지역의 카데호[1]에서 모티브를 따왔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3. 포획[편집]




4. 대전[편집]


타입은 단일 고스트. 공격은 기본은 되고 스피드는 애매한 편이지만 내구는 체력 72에 방어 100, 특방 97로 괜찮은 편이다. 무보정 기준 물리내구는 42919, 특수내구는 41846이다.

특성은 둘 다 좋다. 모래헤치기는 애매한 스피드를 보충해주고, 모래바람 데미지에서 보호하니 모래팟에서 사용 가능하다. 특히 모래팟 선봉장 중 하나인 마기라스가 껄끄러워하는 격투를 무효로 받아내기에 마기라스와의 궁합이 좋다. 다만 모래팟에서 딜러로 쓰기엔 자체적인 종족값의 한계가 명확해서 힘들고, 고스트 타입인 만큼 여러 변화기를 배울테니 깔짝이나 기점 마련 형태로 사용될 것이다.

복슬복슬은 물리내구를 크게 증가시켜준다. 무보정 기준으로도 85839, 풀보정하면 무려 145464까지 올라간다. 그야말로 금강불괴. 단 특성의 효과로 불꽃 타입에게 약점을 찔리게 되기에 이 점은 주의해야 한다. 복슬복슬을 채용했다면 같은 세대에 나온 준전설 포켓몬 위유이는 그야말로 천적이나 다름없으니 반드시 피해야 한다. 또한 접촉기에 한하여 데미지를 경감해주므로 비접촉 물리기를 상대로는 불꽃 타입 약점만 생기는 페널티 특성이 된다. 약점을 찔리는 주요 물리 기술 중 비접촉기로는 폴터가이스트가 있으며, 숨겨진 특성으로 원격[2]을 지니는 모크나이퍼는 일방적으로 묘두기를 두들길 수 있다.

배우는 기술로는 자력기로는 구멍파기, 깨물어부수기, 치근거리기, 고스트다이브, 묘두기로 진화 후 배우는 전용기인 성묘 등이 있고 기술머신으로는 삼색엄니, 도깨비불, 사이코팽, 분함의발구르기, 바디프레스 등을 배운다. 교배기로는 사슬묶기, 길동무, 추억의선물, 하품, 멀리짖음, 야습, 사이드체인지가 있다.

63대전은 몰라도 66대전에서는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는데, 5번째 포켓몬으로 모래바람을 깐 뒤 마지막 포켓몬으로 묘두기가 나와 자속 300 성묘를 연타하면[3] 노말 타입이 없는 파티는 순식간에 전멸한다.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편집]




6. 여담[편집]



  • 첫 등장시 머리의 장식이 불켜미와 거의 유사한 모습으로 등장한지라 불켜미의 팔데아 리전폼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었다.

  • 첫 공개 후 현실에서 볼 수 있을법한 강아지 디자인으로 인해 귀엽다는 반응이 많이 나왔으며, 고스트타입답게 트레이너가 오래 놀아주면 조금씩 생기를 빨아들인다는 무서운 설정을 가졌음에도, 망망이가 악의가 있어서 그런 것도 아닌 데다[4] 묘하게 산책하면 에너지가 넘쳐서 주인을 지치게 하는 현실의 강아지랑 비슷한 점이 있다 보니 그다지 무섭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5] 반면 진화형인 묘두기는 말 그대로 뼈만 남은 언데드가 되어 충격적이라는 반응이 많지만 도감 설명의 사람에게 충직하다는 설정이 유지되어 고스트 타입 포켓몬 중에선 가장 온순한 성질을 지녔다는 것에 매력을 느끼는 사람도 많은 편.

  • 전작의 강아지 포켓몬 멍파치의 울음소리 이누누왕(イヌヌワン)이 인기를 끈 탓인지 일본에서는 이름 공개 전부터 죽다라는 뜻의 시누(死ぬ)와 합쳐 시누누왕(シヌヌワン)이란 별명이 붙어 트렌드에 오르기도 했다.

  • 진화 전 모습인 망망이의 일본어 명칭이 ボチ로, 빠모처럼 삐(ピィ) 이후 오랜만에 2글자이다.

  • 머리위의 촛불과 하얀털이 묘하게 생크림케이크를 연상시켜서인지 생일날 포켓몬센터에 들르면 폭죽이 터지며 전광판에 망망이가 나온다.

  • 프리지체육관 관장 라임과의 체육관 전 중에 묘두기 다수가 관객들 사이에 나타나고 앰프 스피커 위에 망망이[6] 하나가 나타나 리듬을 타는 진풍경이 일어난다. 묘두기는 라임의 맴버 중 하나이기도 하다. 여담으로 라임이 10대 시절 키우던 개 포켓몬이 죽자 이에 대한 슬픔을 담은 랩을 했는데, 그러자 그 포켓몬이 고스트 포켓몬으로 부활했다고 한다. 도감설정을 생각해보면 라임의 묘두기가 바로 그 포켓몬인듯.

7. 삽화[편집]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파일:971 망망이 dex.png파일:972 묘두기 dex.png
망망이묘두기

8. 국가별 명칭[편집]


언어이름유래
한국어망망이령 + 멍멍
일본어ボチぼち(묘지) + ポ(일본의 개 이름)[7]
영어GreavardGraveyard(묘지)의 변형

언어이름유래
한국어묘두기비 + 바둑이
일본어ハカドックはかいし(묘석) + dog
영어HoundstoneHound(사냥개) + tombstone(묘비)


[1] 붉은 눈을 가진 개의 모습의 초자연적인 크립티드.[2] 사용하는 모든 기술이 비접촉이 된다.[3] 공격 풀보정 머리띠 기준 결정력이 112725로 이는 반감인 악 타입으로 받아도 내구가 55000을 넘지 못하면 확정 1타가 나온다. 물론 노말 타입에게는 얄짤없다.[4] 세부 정보 공개 전에도 굉장히 우호적인 태도와 쓰러진 학생을 공격하기는커녕 얼굴을 핥아주는 것 때문에 의도적으로 생기를 뺏는 건 아니지 않을까 하는 말도 나왔고, 심지어는 뒤에 있던 팬텀이 그런건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나왔었다.[5] 망망이의 첫 공개 영상에서 오렌지 아카데미 고스트클럽 학생이 망망이와 놀아주다 마지막에 지쳐서 기절해버리고, 망망이는 그게 자기 때문인지도 모른 채 얼굴을 핥아준다.[6] 라임은 이 망망이를 DJ MANGMANG-E라 부른다.[7] 한국으로 치면 해피, 바둑이, 초코, 뽀삐? 정도로 일본에서 널리 쓰이는 개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