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다새 (r1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넓은 의미에서의 사다새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좁은 의미에서의 사다새(달마시안사다새)에 대한 내용은 사다새(종) 문서
사다새(종)번 문단을
사다새(종)#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펠리칸/펠리컨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펠리칸(동음이의어) 문서
펠리칸(동음이의어)번 문단을
펠리칸(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ff 사다새속[* 아래 사진은 분홍펠리컨, 또는 큰사다새라고 불리는 종이다(pelecanus onocrotalus).](펠리컨)
Pelican



학명
Pelecanu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사다새목(Pelecaniformes)

사다새과(Pelecanidae)

사다새속(Pelecanus)

본문 참조

【언어별 명칭】
한국어
사다새, 펠리컨
영어
Pelican
스페인어
Pelícanos
중국어
鹈鹕
일본어
ペリカン



파일:호주사다새.jpg

호주사다새, 검은허리사다새(Australian pelican, Pelecanus conspicillatus)

1. 개요
2. 상세
3. 종류
4. 국내 보유 현황
5. 기타



1. 개요[편집]


통칭 펠리컨.[1] 사다새목 사다새과에 속하는 조류 집단. 옛날에는 가마우지와 친척으로 분류된 적이 있었다.

2. 상세[편집]


주머니처럼 생긴 커다란 부리가 특징. 부리 아래쪽이 피부로 되어 있으며 부풀릴 수 있어서 물고기, 갑각류, 미꾸라지개구리 등을 잡아서 이 안에 넣고 나서 먹는다. 대신 는 퇴화하고 없다. 혀가 없다보니 하품이나 기지개를 할 때 아랫턱의 목주머니를 목에 걸치면서 한다. 관련 동영상

굉장히 큰 새 중 하나로 몸길이 1.4~1.8m에 몸무게 5~10kg까지 나가며, 일반 사다새의 경우 최대 15kg까지 나가기도 한다.

철새이기도 하며, 한반도에서도 1914년에 한번 인천에서 잡혔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볼 때 아주 못 보는 건 아니다. 조선왕조실록 중에는 사다새를 공납으로 내던 지역에서 더 이상 사다새가 나지 않아 다른 지방에서 사온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에서도 서식했던 것으로 보이며, 국사 과목에서 방납의 폐해를 다루는 지문으로 가끔씩 보인다. 1978년에는 한국 미기록종이자 현재는 대부분의 동물원에서 전시하는 종인 분홍펠리컨/큰사다새(Great white pelican) 1마리가 제주 서귀포시 가화도에서 포착된 적도 있으며, 해당 큰사다새는 제주 민속자연사박물관에 박제되어 전시중이다.

주로 턱주머니를 그물처럼 이용해 스스로 물고기를 사냥하거나, 자신보다 체구가 작은 다른 새가 잡은 어류를 약탈하여 먹고 산다. 턱주머니는 평소에는 턱밑에 접혀 있지만 큰 먹이를 잠시 담을 수 있게 팽창되며, 성체의 경우 최대 12~13리터의 물을 담을 수 있을 용적으로 약 4kg의 물고기 더미가 한번에 들어갈 정도이다. 하지만 대개 잡은 물고기는 턱주머니가 아니라 삼켜서 역시 4~6리터의 크기나 되는 위장에 저장한다.

한편, 물고기가 부족할 경우 다른 식사감으로써 가마우지, 가넷 등 조류의 알이나 새끼, 심지어 소중형의 조류를 먹기도 하는데, 2005년 8월 7일 영국 런던에서 식사 시간에 물고기 제공이 늦어지자 배가 고파진 큰사다새들이 살아있는 비둘기를 잡아먹는 모습이 찍혀 사람들에게 충격과 공포선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사람만의 잣대로 충격과 공포일뿐, 어차피 사다새 같은 큰 새는 보통 잡식성이 허다하다. 특히 큰 새들은 먹이를 뜯어먹지 않고 그냥 삼키는 경우가 많은데, 새 중에서도 특히 부리가 큰 사다새는 이런 일이 많다. 비둘기 외에도 어린 바닷새나 소형 포유류들을 심키기도 한다. 큰 덩치에 걸맞게 힘이 센 새이지만 인간을 대상으로는 최소한의 방어만 할 뿐 특별히 위험하지 않으며 펠리컨이 인간 아이를 잡아먹는다는 것도 과장에 불과하다.

3. 종류[편집]


  • 현생종

파일:americanwhitepelican.jpg
  • 아메리카흰사다새(미국흰사다새, 아메리카흰펠리컨, 마국흰펠리컨)(American White Pelican,P. erythrorhynchos)
짝짓기 시기엔 암수 구별이 쉬운데, 수컷의 부리 위에 돌기가 하나 생긴다.

파일:brownpelican.jpg
  • 갈색사다새(갈색펠리컨)(Brown Pelican,P. occidentalis)
갈색사다새는 다이빙을 하여 물고기를 잡기도 한다.

파일:perupelican.jpg
  • 페루사다새(P. thagus)(Peruvian Pelican)
갈색사다새와 꽤 비슷하다.

파일:분홍펠리컨.png
파일:ewd.jpg파일:gp.jpg
  • 큰사다새(분홍사다새, 유럽흰사다새, 분홍펠리컨)(P. onocrotalus)(Great White Pelican/Eastern White pelican/African White pelican)
짝을 찾는 시기엔 수컷은 눈 주위 피부가 분홍색이고 암컷은 붉은 주황색이다. 꽤 인기가 많으며 대부분의 동물원에서 키우는 종이다. 아프리카를 포함한 구대륙에서 사는 종으로, 노랑부리황새 무리나 아프리카대머리황새와 섞이는 사례도 있다.
파일:australiapelican.jpg
  • 호주사다새(P. conspicillatus)(Austrailian Pelican)

파일:pinkbackpelican.jpg
  • 분홍등사다새(P. rufescens)(Pink Backed-Pelican)
마다가스카르에선 멸종되었다.

파일:dalmatianpelican.jpg(Dalmatian Pelican)
여담으로 이 새는 우리나라에선 길 잃은 새로 목격된다.

파일:spotbilledpelican.jpg
  • 회색사다새(P. philippensis)(Spot-billed Pelican)

  • 멸종(†)
    • P. cadimurka
    • P. cautleyi
    • P. fraasi
    • P. halieus
    • P. intermedius
    • P. odessanus
    • P. schreiberi
    • P. sivalensis
    • P. tirarensis

각자 사는 곳이 다양하다. 중국[2], 아메리카[3], 아프리카[4], 인도[5], 유럽[6], 호주에 사는 종들도 있다.

4. 국내 보유 현황[편집]


국내에선 동물원의 물새장에서 큰사다새를 주로 수용하고 있다. 예외지만 전주동물원 한정으로는 분홍등사다새를 수용하고 있다.[7]

5. 기타[편집]


새끼를 낳고 난 뒤 먹이가 너무 없을 때에는 자신의 가슴을 쪼아 그 피를 굶주린 새끼에게 먹인다거나 굶주린 새끼에게 자신의 심장을 먹인다고 하거나, 심지어 죽은 새끼가 어미 사다새가 흘리는 피를 받아 되살아난다는 설화가 있다. 대체로 이러한 희생과 부활을 예수 그리스도와 결부 짓는 기독교 쪽의 이야기이다. 당연히 설화일 뿐이며 애초에 펠리컨의 부리부터가 너무 길어 자기 몸쪽으로 가져가기도 힘들다. 사실 이 이야기는 사다새가 부리의 주머니를 비우기 위해 부리를 몸에다 대고 누르는 행동을 오인한 것이거나 부리를 가슴에 얹고 쉬는 행동을 오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반 사다새의 경우, 번식기에 주머니가 붉어지는데, 이를 보고 피로 오인한 것에서 유래한 이야기일 수도 있다. 루이지애나 주의 주기의 디자인과 문구회사 Pelikan의 이름과 로고가 이 설화에서 모티브를 딴 것이다.

사람이 먹을 걸 주면 비둘기처럼 사람 곁에 남는다. 문제는 철새인데 이러면 안되기에 캐나다나 미국에서 사다새에게 먹이를 주면 벌금을 두둑하게 때려버린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그리스 미코노스 섬에서 사다새 1마리가 텃새가 되어 섬에 남은 희귀한 경우가 있다. 사람들이 페트로스라고 이름을 지어준 이 수컷 사다새는 1958년 몸을 다친 채로 한 어부에게 발견되어 사람들이 보살펴서 섬에서 머물면서 아주 애완동물이 되어버렸다. 사람이 오면 온갖 재롱을 떨고 날개를 뒤척이며 사람에게 얼굴을 쓰다듬는다. 결국 사람들이 물고기를 주는데 30년 가까이 계속 섬에서 살아가다 보니 섬의 마스코트가 되어서 수의사들이 무상으로 치료도 해주고 돌봐줬다. 그러나 1985년 교통사고로 그만 죽고 말았다.

그러다가 3마리 사다새가 이 섬에서 머물면서 각각 이리니, 니콜라스, 그리고 페트로스라는 이름을 물려받아 섬에서 지금도 살고 있다. 이 섬을 가보면 이 녀석들이 사람 집에 아무렇게나 들락날락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섬 사람들도 뭐라 안 한다.

고기는 특별히 맛있는 건 아니지만 먹을 만하다고 한다. 이전에 도전! 지구탐험대에서 파키스탄에서 사다새를 잡아먹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고기보다는 기름을 얻었는데, 향신료나 피부병 치료약으로 쓰였다고 한다.

아라시오노 사토시가 '천재! 시무라동물원'에서 사육에 도전한 일이 있었는데 직접 부리를 만지는 것으로 친근함을 느끼도록 했다. 처음에는 거부하다 엉겹결에 성공해 어루만졌는데 포장육의 스티로폼 용기를 만지는 것과 비슷하다고. 이후 배가 고프다고 오노의 다리를 물고 헤드뱅잉을 하는 개그까지 보여줬다.

페리카나의 마스코트, NBA뉴올리언스 펠리컨스가 있다.

큰사다새는 루마니아의 비공식 국조로 지정되어 있다.

포켓몬스터패리퍼의 모티브이다.

Goose Goose Duck 게임에서 플레이어를 통째로 삼켜먹는 중립 직업으로 나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08 19:25:22에 나무위키 사다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부분의 사람들이 펠리컨이라 부르고 동물원에서도 펠리컨이라 부르고 있지만 나무위키 문서 규정상 정식 명칭인 사다새로 표기해야 하기 때문에 문서명이 펠리컨이 아니라 사다새이다. 사다새라는 명칭은 도감에나 가야 볼 수 있을 정도.[2] 참고로 중국 일부 지에선 사다새(Pelecanus crispus)가 멸종했다고 한다.[3] 아메리카흰사다새, 갈색사다새, 페루사다새가 산다. 간혹 큰사다새가 미조로 찾아오기도 한다.[4] 큰사다새, 사다새, 회색사다새, 분홍등사다새가 산다.[5] 사다새, 큰사다새, 회색사다새가 산다.[6] 큰사다새, 사다새가 산다.[7] 해당 분홍등사다새는 국내 유일인데, 2013년에 우리나라에 와서 아쿠아플라넷 63에 수용되다 일산 아쿠아리움, 아쿠아플라넷 제주로 이사갔다가, 그곳 사다새 조사가 물범사가 되며 전주동물원에 기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