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버스 (r1판)

편집일시 :

파일:은평구 CI.svg 서울특별시 은평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대문구 CI.svg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서부운수신촌교통[a][b]원버스[a]현대교통
마을버스부일교통삼하운수서북운수연일교통
연희교통태화운수충정운수홍제교통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삼화교통안성여객
마을버스가좌교통
[a] 서대문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경기도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주식회사 원버스
株式會社 元버스
Won Bus Corp.
설립일1995년 11월 2일
업종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이진용, 이대수
기업구분중소기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보유대수40대(2021년 12월 기준)
직원 수115명(2021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1억 1,250만원(2017년 기준)
매출액73억 7,700만원(2017년 기준)
영업이익-2,695만원(2017년 기준)
순이익-1,671만원(2017년 기준)
자산총액16억 8,597만원(2017년 기준)
부채총액26억 8,793만원(2017년 기준)
부채비율-268.27%(2017년 기준)
소재지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로24길 19 (수색동, 은평공영차고지)

1. 개요
2. 특징
3. 운행 노선
4. 면허 체계
5. 폐선된 노선
6. 보유 차량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버스 회사며, 본사는 은평공영차고지에 있다.


2. 특징[편집]


시초는 서대문구 마을버스 업체인 봉원교통[1]이며, 2004년 대개편과 함께 서대문구 마을버스 업체인 가좌교통과 은평구 마을버스 업체인 영운운수와 합병해 마을버스 업체에서 시내버스 업체로 전환됐다. 다만 영운운수는 몇 달 지나지 않아 다시 분리됐다.

이후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대운교통 6655번이 강서지점으로 운영되다가, 다시 분리돼 강서05번 마을버스로 운행한다.

2005년 12월 경기도 부천시 소재의 청우운수에 인수되었다.

한때 운행 노선들에 꼭 하나씩 경사 구간이 있어서 저상버스를 투입하지 않았다.[2] 특히 7738번의 홍제삼거리 → 모래내로 진입부 구간이 심해서 한동안 저상버스가 투입되지 않았다. 북가좌사거리 → 명지대사거리 간의 오르막길도 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투입은 어려울 것 같지만, 이쪽에는 7019번저상버스가 다니고 있다. 7024번 역시 저상버스 투입은 물론이고 대형버스 운행조차 어려운 노선이라서 아예 중형버스로만 운행중이다.

서울 시내버스 업체들 중 유일하게 자동변속기가 달린 고상차량을 운행한다. 댓수는 적지만 나름 앨리슨 차량만 뽑던 앨리슨 선호업체였으나 2017년에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가 달린 현대 NSAC F/L 차량을 7738번에 투입했다. 2018년 4월에는 숏 기어 레버가 달린 현대 NSAC F/L 차량을 7737번7738번에 투입했다.

대형 일반에는 로우백 시트, 그린시티에는 스펀지 시트를 적용한다.[3]

2019년부터는 서울시 방침에 따라 대형차량의 대폐차는 무조건 저상버스로 진행해야 하나, 전술했듯이 7738번이 홍제동 회차구간 급경사로 저상버스 투입 불가 노선이었기에 저상 의무화 정책 시행 이후에도 뉴 슈퍼 에어로시티 고상 신차 1대를 출고했다. 하지만 불과 얼마 후 동일 경로를 운행하는 7713번을 통해 저상버스 투입에 문제가 없음이 입증됐고, 7738번 역시 해당 차량을 마지막으로 저상버스만 도입하고 있다. 한편 7024번은 저상버스 예외 노선으로 지정되었으며, 7739번은 원버스 전 노선 중 운행환경이 저상버스 투입에 가장 적합한 노선임에도 어떤 이유에서인지 1대도 투입되지 않고 있다.

지금은 모두 대차됐지만, 한국brt 출신의 슈퍼 에어로시티를 굴렸었다. 그래서 한때 신성 계열의 상징인 검빨색 인조가죽 시트가 달린 차량들을 볼 수 있었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를 통틀어 가장 차량 대수가 적다. 정확히는 시내버스 업체 보유 하한선인 40대로, 2번째는 이 회사보다 고작 1대 더 있는 보광운수.

자일대우버스, 현대차를 혼용했으나 2013년 NEW BS090, NEW BS106을 마지막으로 현대차만 출고했다가 2021년에 에디슨모터스를 출고했다. 그러다가, 전기버스로 일렉시티, 하이퍼스1611N으로 출고했다.

덤으로 회사명 글자수가 서울에서는 유일하게 3자리로 가장 짧다.[4]


3. 운행 노선[편집]


밑줄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한다.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7024봉원사봉원동사거리서대문역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서대문경찰서 → 봉원동사거리 → 봉원사 → 봉원동사거리 → 이대부고 → 연세대학교신촌기차역 → 신촌로터리 → 연세로 → 이대부고 → 봉원동사거리봉원사13~22
7737은평공영차고지월드컵파크9~12단지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 - 경성중고 - 홍대입구역 - (→ 연희동대우아파트 →/← 신촌로터리 ←) - 연세대학교 - 이대부고 - 독립문역독립문파크빌8~16
7738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북가좌초교 - 북가좌사거리 - 명지대사거리 - 홍남교 - 연희초교 - 서대문구청 → 정원여중 → 홍제역 → 신연중학교 → 서대문구청홍제역7~10
7739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북가좌초교 - 남가좌현대아파트 - 홍남교 - 연희교차로 - 홍대입구역 → 서교동주민센터 → 동교로사거리 → 홍대입구역홍대입구역12~15
8777[공동배차]난지한강공원노을공원입구 - (← 서부면허시험장 ←) - 난지천공원 - 월드컵파크3단지월드컵경기장주말 25~30


4. 면허 체계[편집]


  • 서울 7072##호, 73##호, 81##
  • 서울 7535##호, 50##호, 51##호, 52##호, 81##


5. 폐선된 노선[편집]


  • 6655(발산역 - 수협) : 2007년 4월 마을버스 강서05번으로 형간전환 후 대운교통에 양도.
  • 7736(봉원사 - 신촌로터리) : 구 8. 2005년 8월 10일부로 7024번과 통합.
  • 7739(서대문종합복지관 - 홍제역) : 2009년에 7738번과 통합.
  • 7740(응암현대A - 녹번역) : 2005년 마을버스 은평05번으로 형간전환 후 영운운수에 양도.


6. 보유 차량[편집]



6.1. 현재 보유차량[편집]



6.1.1. 현대자동차[편집]



6.1.2. 자일대우버스[편집]



6.1.3. KGM커머셜[편집]



6.1.4. 하이거[편집]




6.2. 과거 보유차량[편집]



6.2.1. 현대자동차[편집]



6.2.2. 자일대우버스[편집]



6.2.3. 기아[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강남구도선여객정평운수
강동구서울승합
강북구동아운수선일교통삼양교통
영신여객한성운수
강서구공항버스김포교통영인운수
정평운수다모아자동차
관악구관악교통보성운수한남여객운수
광진구신흥운수
구로구군포교통보성운수서울매일버스
태진운수
금천구범일운수보영운수신인운수
노원구삼화상운진아교통태릉교통
한성여객흥안운수
도봉구서울교통네트웍아진교통
마포구다모아자동차유성운수
서대문구서부운수신촌교통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대흥교통삼성여객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태진운수대원교통대원여객
성북구대진여객도원교통동성교통
상진운수성원여객
송파구남성버스동성교통대성운수
서울버스송파상운진화운수
한국brt한서교통
양천구관악교통도원교통세풍운수
신길교통양천운수중부운수
은평구보광교통신수교통선진운수
원버스유성운수제일여객
종로구동해운수
중랑구경성여객대원교통메트로버스
보광운수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동작구영등포구용산구
서울특별시 관외에 영업소를 둔 시내버스 회사
광명시범일운수보영운수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동해운수서울매일버스선진운수
신촌교통제일여객신수교통
부천시신길교통
안양시서울매일버스
군포시·의왕시군포교통대원여객우신버스
성남시남성버스동성교통
의정부시·양주시대원여객제일여객
파주시신수교통제일여객





[1] 現 7737번, 7024번의 모체가 되는 마을버스 업체이다.[2] 그래도 전환시내버스 회사 중에서는 전환시내버스 회사에서 정규시내버스 회사로 승격한 양천운수를 제외하면 최초로 대형차량을 도입한 회사이다. 원버스 다음으로 보광운수, 정평운수 순서로 도입했으며, 성원여객까지 전환시내버스 회사들 모두 다 대형차량을 도입한 상태이다.[3] 태릉교통, 진아교통도 원버스랑 동일하게 기본사양 그대로 주문하여 대형은 로우백 플라스틱 시트이나, 그린시티만 스펀지 시트로 출고한다.[4] 반대로 가장 글자수가 긴 회사는 7자리의 서울교통네트웍.[공동배차] 보광교통과 공동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