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우운수

덤프버전 :





이름
(주)청우운수
주소
경기도 부천시 봉오대로556번길(고강본동)
설립일
1999년 12월 2일
대표이사
박종윤
업종
시내버스
인가대수
114대

1. 개요
2. 본사
3. 역사
4. 차량 운용
5. 면허 체계
6. 운행 노선
7. 운행했던 노선
8. 특징
9. 현재 보유차량
10. 과거 보유차량
11. 사건사고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청우운수는 경기도 부천시버스 회사이다.


2. 본사[편집]


본래 고강동철탑의 트럭이 주차하는 장소 한 켠에 조그맣게 마련된 차고지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고강공영차고지 완공 이후에는 고강공영차고지에 본사를 두고 있다.


3. 역사[편집]


초창기에는 마을버스 회사로 시작했으며 2007년 10월 1일부로 016번 계열 마을버스 노선들이 시내버스로 전환돼 시내버스 회사로 바뀌었다.

2013년 3월 소신여객 70-1번 폐선으로 23번, 7-3번이 화곡역으로 연장하게 됐는데, 이때 청우운수 측에서 불합리하다고 번호판을 부천시청에 갖다 던져놓은 적이 있었다. #


4. 차량 운용[편집]


58번, 58-A번, 58-B번58-1번, 58-2번을 제외하면, 도원교통과 마찬가지로 현대는 저상, 대우는 고상으로 주로 출고했다. 도원교통에 비하면 고상의 비율이 낮아, 현대 차량 비중이 생각보다 높다. 하지만 현대차 출고지연으로 인해 2022년에 경기고속 취소분 NEW BS110을 출고해 그 법칙이 깨졌다.

소형 차량은 카운티로 도입하다 2013년에 경기도 일반시내 최초로 레스타를 출고했다. 계속 레스타를 출고하나 싶더니 2015년엔 다시 카운티를 출고하고 2016년에는 레스타를 출고했지만, 2018년 이후에는 아예 카운티만 출고한다.

2017년 12월에 경기도 일반시내 최초로 화이버드를 5대 출고했고 2018년 3월에 경기도 맞춤형버스 최초로 레스타를 투입했다.

2019년 10월 60번의 2009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이 저상으로 대차되면서 이 회사의 현대 고상버스는 전멸했다.

2020년 12월에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출고했는데, 전기버스를 제외하면 경기도 시내버스 최초 신도색 저상버스다.

2023년 4월에 전기버스를 첫 도입했으며 일렉시티를 출고해 60번에 투입했다. 또 2023년 연말에 카운티 뉴 브리즈 전기버스도 도입했다.


5. 면허 체계[편집]


  • 경기 7180##, 85##[1]
  • 경기 7184##, 86##[2]


6. 운행 노선[편집]


현재 운행중인 노선은 다음과 같다.

- 58번(상시 운행) 및 58-A번(낮 시간대 운행)
은행단지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6624번 종점 - 미도아파트 - 가구전시장 - 고강시장 - 고강수영장 - 고강아파트 - [→ 동원아파트 / 삼거리 ← 고강동철탑(서울시계) ← 민속가든 ←] - 수주중, 고등학교 - 수주어린이공원 - 서림아파트 - 원종사거리 - 해주아파트 - 동문아파트 - 영화아파트 - 오정동행정복지센터, 오정어울마당 - 덕산초등학교, 덕산중학교, 덕산고등학교
- 58-B번(출퇴근 시간대 운행)
대장공영차고지 - 오정물류단지1단지 - 오정산업단지 - 오정샛말주택단지 - 덕산고, 봉오대로사거리 - 세종아파트 - 덕산중학교, 오정대공원 - 오정동행정복지센터 - 월산장미아파트 - 성곡동행정복지센터, 홈플러스여월점 - 여월휴먼시아1단지 - 부천종합운동장역 4번출구 - 종합운동장

  • 58-1번: 은행단지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6624번 종점 - 미도아파트 - 가구전시장 - 청실빌라 - 고강선사유적공원 - 상구빌딩 - 신작동사거리 - 성곡중학교 - 까치울초등학교 - 까치울전원마을 - 까치울역

  • 58-2번: 오정동행정복지센터 - 원종2주민지원센터 - 도당교 - 내동고개 - 신흥주민지원센터 - 신흥시장 - 약대주민지원센터.약대초등학교 - 중흥고등학교 - 신중동역

  • 59번: 부천터미널 소풍 - 상동역 - 홈플러스 부천상동점 -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손가면옥 - KEB하나은행 도당동지점 - 도당사거리 - 도당소공원 - 도당교 - 대한노인회 - 원종2동주민센터 - 오정동행정복지센터, 오정어울마당 - 영화아파트 - 동문아파트 - 욱일아파트 - 성진그린타운 - 대성연립 - 수주어린이공원 - 수주중고등학교 - 삼거리 - 고강동철탑(서울시계) - [국민은행신월동지점 → 가로공원공영주차장,신영시장 → 가로공원, 나누리병원 → [[화곡역]] → 신화중학교 → 신월5동주민센터, 신월중학교 → 서울금융고등학교](구 016-1번)


  • 60번: 부천테크노파크 4단지 401동앞 - [← 부천테크노파크 4단지 403동앞 ← 부천체육관 ←] - 부천초등학교 - 부천아이파크 - 신흥시장 - 종로약국 - 삼정사거리 - 내동사거리 - 내동고개 - 도당사거리 - 복지아파트 - 도당동장미원입구 - KT북부천지사, 365안전교육장 - 베르네천 - 성곡사거리 - 홈플러스 부천여월점 - 까치울중학교 - 여월농업공원 - 부천종합운동장역 - 부천종합운동장 - 시립도서관, 중앙레포츠공원 - 산림욕장삼거리 - 석왕사 -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후문 - 소사역 - 소사어울마당 - 역곡역 남부 - 범박휴먼시아 - 범박힐스테이트 - 양지마을 - 범박고등학교 - [산들초등학교 → 브리즈힐, 옥길S1블록 → 헤일라움 → 센트럴힐](구 016-2번)

  • 60-1번: 고강공영차고지 - 신월사거리 - 가로공원, 나누리병원 - 화곡역 - 신화중학교 - 신월5동주민센터, 신월중학교 - 양원초등학교, 광영여자고등학교 - 봉오대로 - 봉오대로사거리 - OBS경인방송국 - 부천우편집중국, 부천실업고등학교 - 부천IC - 부천테크노파크 쌍용3차 - [→ 부천테크노파크 1단지 100동앞→ 부천테크노파크 4단지 401동앞 / ← 부천테크노파크 3단지 300동앞 ← 부천테크노파크 3단지 301동앞 ←]- 삼정종합사회복지관 - 한국화장품연수원 - 종로약국 - 신흥시장 - 약대사거리 - 손가면옥 - 신중동역 - 부천원미경찰서, 롯데백화점 중동점 - 부천대학교 - 자유시장 - 부천역 남부소사역 → 소사어울마당 → 소사사거리]

  • 77번: 고강공영차고지 - 신월사거리 - 가로공원, 나누리병원 - 화곡역 - 신화중학교 - 신월중학교 - 양원초등학교, 광영여자고등학교 - 서울농원 - 수주초등학교, 수주중학교, 수주고등학교 - 고강선사유적공원 - 상구빌딩 - 신작동사거리 - 성곡중학교 - 까치울초등학교 - 까치울전원마을 - 까치울역 - 여월휴먼시아(구 33번)


7. 운행했던 노선[편집]




8. 특징[편집]


  • 한동안 대체로 청우운수에 전면 행선판이 LED가 아닌 스티커 방식으로 달았으나 2017년에 신형 LED가 확산되면서 2018년 12월 기준 소형차량까지 전부 LED를 설치했다.

  • 전 노선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 소신여객과 신경전이 대단하다. 화곡역으로 가면 영등포에서 오고 있는 소신여객 노선들의 위치를 파악한 다음 해당 노선이 화곡역에 도착하기 직전에 당사 노선을 출발시킨다. 이를 위해 기사들끼리 무전을 주고받고자 버스 내에 아예 무전기를 설치했다.[3]


9. 현재 보유차량[편집]



9.1. 현대자동차[편집]



9.2. 자일대우버스[편집]



9.3. KGM커머셜[편집]




10. 과거 보유차량[편집]



10.1. 현대자동차[편집]



10.2. 자일대우버스[편집]



10.3. 기아[편집]



10.4. KGM커머셜[편집]




11. 사건사고[편집]


  • 왕복 2차선 도로에서 양측에 불법 주차들이 있는 상황에서 주행을 막고 멈춘 사례가 있다. 링크, 2번 영상


12. 둘러보기[편집]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의 버스 회사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KD 운송그룹 계열사
선진그룹 계열사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경원여객 계열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1:21:08에 나무위키 청우운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반버스 한정.[2] 맞춤형버스 한정.[3] 마을버스 출신이기 때문에 무전기 사용이 아직도 이뤄지고 있는 면도 있다. 부천시 관내에서도 시내/마을 막론하고 소신여객, 부천버스, 성광운수를 제외한 업체가 모두 무전기를 사용한다. 마을버스 출신이면서 무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성광운수가 오히려 특이 케이스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