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1/2013시즌/6R~10R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3시즌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3시즌/1R~5R


1. 개요
2. 6R: 포뮬러 1 그랑프리 드 모나코 2013 (모나코 GP)
2.1. 퀄리파잉
2.2. 레이스
3. 7R: 포뮬러 1 그랑프리 드 캐나다 2013 (캐나다 GP)
3.1. 퀄리파잉
3.2. 레이스
4. 8R: 2013 포뮬러 1 산탄데르 영국 그랑프리 (영국 GP)
4.1. 퀄리파잉
4.2. 레이스
5. 9R: 포뮬러 1 그로서 프라이스 산탄데르도이칠란트 2013 (독일 GP)
5.1. 퀄리파잉
5.2. 레이스
6. 10R: 포뮬러 1 마쟈르 나그디 2013 (헝가리 GP)
6.1. 퀄리파잉
6.2. 레이스
7. 요약


1. 개요[편집]


포뮬러 12013 시즌 중 6R부터 10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6R: 포뮬러 1 그랑프리 드 모나코 2013 (모나코 GP)[편집]



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9.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13.8761번째
P210.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0.091s2번째
P3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0.104s3번째
P4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0.305s4번째
P5
파일:Lotus_F1_Team_logo.png
7.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 0.946s5번째
P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 0.948s6번째
P7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6.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맥라렌)
+ 1.262s7번째
P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1.507s8번째
P9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5.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1.771s9번째
P10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1.827s10번째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기에도 반데가르데 (케이터햄)
1:26.095Q2 진출
P17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0.227s17번째
P18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케이터햄)
+ 0.538s18번째
P1912.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자우버)
+ 0.822s19번째
P20
파일:Marussia_F1-logo.png
23.
파일:영국 국기.svg

맥스 칠튼 (마러시아)
+ 1.208s22번째[-5][Gearbox]
P21
파일:Marussia_F1-logo.png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쥘 비앙키 (마러시아)
No time20번째[107%][Q]
P2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No time21번째[107%][Q]
[-5] 5 그리드 페널티[Gearbox] 기어박스 교체[107%] A B Q1 1위 기록의 107%를 넘는 기록[Q] A B 스튜어드들에 의해 레이스 출전 허가를 받음

Q1부터 흥미로운 세션이 되었다. 랩타임을 기록하려던 페라리의 펠리페 마싸가 오버스피드로 1번 코너를 진입하여 벽을 들이받아 최하위로 마감했으며, 말도나도와 베르뉴가 1-2위를 찍는 재밌는 장면도 연출되었다. 여기에 케이터햄의 반데가르데가 Q2에 진출하는 이변도 연출하였다.

Q2와 Q3를 거쳐 폴 포지션은 니코 로즈버그가 차지하며 2연속 폴 포지션을 달성하였다. 여기에 해밀턴도 2위를 기록하며 메르세데스가 2연속으로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게 되었다. 숏런만큼은 최강팀 레드불에 뒤지지 않는 기록으로 시즌 초반까지는 지난 해보다 숏런에서 큰 발전을 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레드불 듀오가 그 뒤를 이었고, 챔피언십 경쟁자인 키미와 알론소가 그 뒤를 이었다.

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9.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2:17:52.50625
2위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3.889s18
3위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6.314s15
4위10.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13.895s12
5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21.478s10
6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5.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23.104s8
7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 26.734s6
8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1:19.5064
9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1:21.7382
10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7.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36.582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11.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자우버)
+ 42.572s
12위17.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리 보타스 (윌리엄스)
+ 42.691s
13위12.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자우버)
+ 43.212s
14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3.
파일:영국 국기.svg

맥스 칠튼 (마러시아)
+ 49.886s
15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기에도 반데가르데 (케이터햄)
+ 1:02.591
16위[90%]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6.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맥라렌)
[Collision_damage]
DNF
파일:Lotus_F1_Team_logo.png
8.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Collision]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Collision]
DNF
파일:Marussia_F1-logo.png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쥘 비앙키 (마러시아)
[Accident]
DNF16.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Collision]
DNF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Accident]
DNF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케이터햄)
[Engine]
[90%] 레이스 전체 거리의 90% 이상을 돌았기에 순위 인정[Collision_damage] 충돌로 인한 차량 대미지로 리타이어[Collision] A B C 충돌로 인해 리타이어[Accident] A B 사고 여파[Engine] 엔진 문제


2013 모나코 GP 하이라이트

메르세데스 드라이버들의 좋은 스타트로 1-2위로 앞서나갔으나, 그 뒤를 레드불 드라이버들이 호시탐탐 노리고 있었다. 페텔과 웨버는 2위였던 해밀턴 자리를 노리며 앞서나가고자 했다. 그 사이 맥라렌은 또 다시 내전이 발생하며 버튼과 페레스 사이에 컨택이 일어날 뻔하며 페레스가 시케인을 커팅하고 말았고, 자리를 이후에 버튼에게 내어주며 일단락되었다.

7랩 째에는 샤를 픽이 엔진 블로우로 리타이어한 가운데, 얼마 뒤 28랩 째에 마싸가 벽을 들이받고 1번 코너에서 리타이어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곧바로 세이프티카가 투입되었고, 페텔이 타이밍 좋게 피트인하며 뒤늦게 피트인한 2위였던 해밀턴을 손쉽게 제칠 수 있었다. SC 상황이 끝나고는 또 다시 큰 사고가 발생했다. 레이스 중반부인 44랩 째에 12번 코너에서 칠튼과 말도나도가 충돌하며 적색기가 발령되어 경기는 중단되기도 하였다. 이 사고로 뒤따르던 비앙키 역시 리타이어를 맞이하였다.

이후 시간이 지나 다시 레이스는 재개되었고, 중위권에 있던 페레스가 터널을 지나 시케인에서 무리하게 집어넣으며 키미와 컨택이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키미의 타이어가 펑쳐났고, 페레스는 충돌 여파로 리타이어를 하였다. 키미는 가까스로 10위로 완주하며 포인트를 얻었다. 최상위권에선 로즈버그가 그대로 선두를 지켜내며 폴투윈을 달성, 레드불은 해밀턴을 제치고 더블 포디움을 완성하였다.

이번 경기 결과로 챔피언십 경쟁자인 알론소와 키미는 각각 7,10위로 포인트 수확을 얼마 못한 반면, 페텔은 18점이나 획득하며 큰 격차로 선두 자리를 유지하게 되었다.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은 벌써부터 레드불이 우승 확률을 크게 높였으며, 올해도 페텔과 레드불의 시즌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3. 7R: 포뮬러 1 그랑프리 드 캐나다 2013 (캐나다 GP)[편집]



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1:25.4251번째
P210.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0.087s2번째
P317. 발테리 보타스 (윌리엄스)+ 0.472s3번째
P49.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0.583s4번째
P52. 마크 웨버 (레드불)+ 0.783s5번째
P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079s6번째
P7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1.118s7번째
P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1.923s8번째
P9
파일:Lotus_F1_Team_logo.png
7.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2.007s10번째[-2][Failing_to_queue]
P10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2.521s11번째[-2][Failing_to_queue]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16.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1:24.776Q2 진출
P17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0.132s17번째
P18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케이터햄)
+ 0.850s18번째
P19
파일:Lotus_F1_Team_logo.png
8.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 0.940s22번째[-10][1]
P20
파일:Marussia_F1-logo.png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쥘 비앙키 (마러시아)
+ 1.732s19번째
P21
파일:Marussia_F1-logo.png
23.
파일:영국 국기.svg

맥스 칠튼 (마러시아)
+ 2.286s20번째
P22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기에도 반데가르데 (케이터햄)
+ 2.334s21번째
[-10] 10그리드 페널티[1] 직전 경기에서 사고를 일으켜 페널티 적용.

페텔이 5경기 만에 폴 포지션을 가져왔다. 캐나다에서 항상 강한 모습을 보인 해밀턴을 상대로 0.087초 차이로 신승을 거두며 우승에 매우 유리한 위치를 차지했고, 해밀턴 역시 최근 퀄리파잉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프런트 로우에 서고 있다. 무엇보다 가장 놀라운 퍼포먼스를 보여준 선수는 신인 드라이버인 발테리 보타스였다. Q2에 올라와서는 펠리페 마싸가 벽을 들이받아 레드플랙을 유발한 덕분에 데뷔 첫 Q3 진출까지 성공시켰다. 그런데 Q3에 올라와서는 이번 시즌 처음으로 3위라는 생소한 위치에서 레이스 스타트를 맞이하게 된 것이었다. 말 그대로 루키의 반란을 보여준 퀄리파잉. 이번 시즌 아직까지도 포인트가 없는 윌리엄스 팀은 시즌 첫 포인트 피니쉬를 노릴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1:32:09.14325
2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4.408s18
3위10.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5.942s15
4위2. 마크 웨버 (레드불)+ 25.731s12
5위9.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09.72510
6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1 Lap8
7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1 Lap6
8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펠리페 마싸 (페라리)+ 1 Lap4
9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7.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1 Lap2
10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1 Lap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6.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맥라렌)
+ 1 Lap
12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5.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1 Lap
13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8.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 1 Lap
14위17.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리 보타스 (윌리엄스)
+ 1 Lap
15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2 Laps
16위16.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2 Laps
17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쥘 비앙키 (마러시아)
+ 2 Laps
18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케이터햄)
+ 3 Laps
19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3.
파일:영국 국기.svg

맥스 칠튼 (마러시아)
+ 3 Laps
20위[90%]12.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자우버)
[Accident]
DNF11.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자우버)
[Collision_damage]
DNF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기에도 반데가르데 (케이터햄)
[Collision]
[90%] [Accident] [Collision_damage] [Collision] 충돌로 인해 리타이어


2013 캐나다 GP 하이라이트

페텔이 좋은 스타트로 일찌감치 달아나기 시작했고, 그대로 크루징에 성공하며 간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2위였던 해밀턴은 여전히 메르세데스의 타이어 문제로 인해 마지막까지 고생하였으나, 레이스 후반에 알론소에게만 자리를 빼앗기고 3위는 지켜내며 포디움 사수에 성공했다. 특히, 알론소가 해밀턴을 추월하기 직전에 DRS 디텍션 존에서의 눈치 싸움은 이 경기의 백미. 그만큼 마지막까지 2위 자리를 놓고 치열한 접전이 펼쳐졌었다.

웨버와 로즈버그가 차례로 4-5위를 수성한 가운데, 6위부터는 모조리 페텔의 백마커가 될 정도였다. 그 중 6위인 베르뉴는 지난 경기에 이어 또 다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포스 인디아의 폴 디 레스타 역시 2경기 연속으로 저조한 퀄리파잉 성적을 만회하는 모습이었다. 마싸가 8위까지 올라오며 포인트를 얻었으며, 키미는 이번에도 9위라는 아쉬운 성적으로 챔피언십 경쟁에서 밀려나고 있는 모습이다.

맥라렌은 이번 경기에서 2대 모두 포인트 획득에 실패하며 최악에 가까운 주말을 보냈다. 일단 레이스카 퍼포먼스 자체가 최상위 팀들과 경쟁이 불가능할 정도로 느려졌고, 그에 따라 드라이버들이 적응에 애를 먹는 상황이다. 윌리엄스 팀은 보타스가 퀄리파잉 3위를 하며 포인트 획득을 기대하였으나, 처참한 레이스 페이스로 인해 보타스는 14위까지 떨어지며 이번 경기도 노 포인트로 마감했다.



4. 8R: 2013 포뮬러 1 산탄데르 영국 그랑프리 (영국 GP)[편집]



4.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10.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1:29.6071번째
P29.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0.452s2번째
P3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0.604s3번째
P42. 마크 웨버 (레드불)+ 0.613s4번째
P5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1.150s5번째
P6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1.301s6번째
P7
파일:Lotus_F1_Team_logo.png
8. 로맹 그로장 (로터스)+ 1.348s7번째
P8
파일:Lotus_F1_Team_logo.png
7.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1.355s8번째
P9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372s9번째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16.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1:32.512Q2 진출
P1617.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리 보타스 (윌리엄스)
+ 0.152s16번째
P1712.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자우버)
+ 0.154s17번째
P18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케이터햄)
+ 1.354s18번째
P19
파일:Marussia_F1-logo.png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쥘 비앙키 (마러시아)
+ 1.596s19번째
P20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기에도 반데가르데 (케이터햄)
+ 2.969s22번째[-10][1][Gearbox]
P21
파일:Marussia_F1-logo.png
23.
파일:영국 국기.svg

맥스 칠튼 (마러시아)
+ 3.346s20번째
[-10] [1] 직전 경기에서 휠켄베르크와의 사고로 5 그리드 페널티 적용.[Gearbox]
EX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1:30.736 (Q3)21번째[1]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해밀턴이 완벽한 폴 랩을 돌며 홈 팬들을 열광케 하였다. Q1부터 P1을 찍으며 좋은 숏런을 보여주었고, 이어 Q3에서도 완벽하게 랩을 돌며 메르세데스 데뷔 첫 폴 포지션마저 기록하였다. 팀메이트인 로즈버그도 2위를 기록하며 메르세데스의 토요일은 완벽하게 마무리되었다. 물론 레드불도 만만치 않은 랩을 보여주며 세컨드 로우를 점령하였다.

토로 로쏘의 다니엘 리카도는 시즌 최고 퀄리파잉 기록으로 좋은 그리드를 배정받았고, 그 뒤를 수틸이 이었다. 사실 폴 디 레스타가 5위를 기록하며 간만에 좋은 숏런을 보여주었으나, 최소 중량인 640 kg 미만임이 확인되어 퀄리파잉 기록을 박탈당하고 말았다. 이에 리카도가 5위에서 출발하게 된 것.

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9.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1:32:59.45625
2위2. 마크 웨버 (레드불)+ 0.765s18
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7.124s15
4위10.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7.756s12
5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7.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11.257s10
6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펠리페 마싸 (페라리)+ 14.573s8
7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16.335s6
8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16.543s4
9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17.943s2
10위11. 니코 휠켄베르크 (자우버)+ 19.709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16.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21.135s
12위17.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리 보타스 (윌리엄스)
+ 25.094s
13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5.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25.969s
14위12.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자우버)
+ 26.285s
15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케이터햄)
+ 31.613s
16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쥘 비앙키 (마러시아)
+ 36.097s
17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3.
파일:영국 국기.svg

맥스 칠튼 (마러시아)
+ 1:07.660
18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기에도 반데가르데 (케이터햄)
+ 1:07.759
19위[90%]
파일:Lotus_F1_Team_logo.png
8.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Handling]
20위[90%]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6.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맥라렌)
[Puncutre_damage]
DNF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Gearbox_issue]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Puncutre_damage]
[90%] A B [Handling] [Puncutre_damage] A B [Gearbox_issue]


2013 영국 GP 하이라이트

폴시터 해밀턴은 스타트부터 쭉 치고 나갔다. 3위였던 페텔은 좋은 스타트로 2위였던 로즈버그를 추월하였고, 그 뒤에선 웨버와 그로장 사이에 컨택이 발생함으로써 웨버는 프런트윙에 대미지를 입고 14위까지 떨어지고 말았다. 중위권의 수틸은 이 틈에 4위까지 올라올 수 있었고, 마싸 역시 트래픽을 빠르게 통과하며 5위까지 오르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알론소는 좋지 못한 스타트로 순위를 잃었으나, 버튼과 그로장, 리카도를 추월하며 7위로 올라선 상황이었다. 그리고 7랩 째만에 14위까지 떨어졌던 웨버는 11위로 올라서며 계속해서 추월쇼를 선보여 나갔다.

문제는 8랩 째부터였다. 선두였던 해밀턴이 5번 코너를 지나자마자 리어 타이어 펑쳐가 발생하며 순위를 크게 잃어나갔고, 그대로 영국 관중들은 탄식을 내뿜기 시작했다. 해밀턴은 피트로 들어와 타이어를 잘 교체하고 나올 수 있었지만, 이미 순위는 22위로 꼴찌까지 떨어지고 말았다. 또 다시 피렐리 타이어는 터지고 마는데, 이번엔 페르난도 알론소의 차례였다. 해밀턴의 펑쳐 이후 단 1랩만에 알론소 역시 리어 타이어 펑쳐가 발생하며 알론소 역시 11위로 순위가 떨어진 상황이었다. 또 다시 그 다음 랩에는 알론소의 팀메이트인 마싸에게 리어 타이어 펑쳐가 발생하며 마싸는 급기야 런오프 지역으로 스핀하고 말았다. 다행히 피트로 들어가서 타이어 교체를 하였으나 22위 꼴찌로 추락하고 말았다.

타이어 펑쳐로 순위를 떨군 알론소는 13랩 째만에 6위로 다시 올라섰고, 그 사이 선두인 페텔은 피트인하여 순위를 잃지 않은 채 피트를 빠져나온다. 로터스의 그로장은 상대적으로 더 빨랐던 키미에게 6위 자리를 내주었다. 그와 동시에 이번엔 베르뉴마저 리어 타이어 펑쳐가 발생하며 문제가 커지고 있었다. 다행히 베르뉴는 피트를 얼마 안 남기고 타이어가 터진지라 순위 손실은 생각만큼 크지 않았다. 벌써 4명의 드라이버가 타이어 펑쳐를 겪고, 트랙은 데브리로 가득차 결국 SC 상황이 발령되었다.

이후 21랩 째에 레이스가 재개되었으나, 이번엔 5번째 타이어 펑쳐가 발생하였다. 바로 자우버의 구티에레즈였다. 프런트 타이어 펑쳐로 구티에레즈의 프런트 윙마저 손상되어 순위를 잃었던 것이었다. 이후 타이어 펑쳐로 인한 대미지에 의해 토로 로쏘는 베르뉴를 리타이어시켰다. 레이스 중후반인 41랩 째에는 선두였던 페텔이 메인스트레이트에서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하였다.

이로 인해 레이스를 10랩 만을 남기고 SC가 다시 발령되었고, 대부분의 드라이버들이 타이어를 교체하여 정렬에 나섰다. 로즈버그가 선두, 웨버가 어느새 2위까지 올라온 상황에서 레이스가 재개되었고, 이후 로즈버그마저 타이어 이슈가 발생하기 시작했지만, 다행히 52랩을 마무리지으며 우승을 차지하였다. 뒤따르던 웨버는 0.7초 차로 아깝게 준우승을, 그리고 좋은 레이스를 펼친 알론소가 3위, 미친 추월쇼를 보여준 해밀턴이 4위를 기록했다.

레이스 종료 후, 피렐리를 향한 비난이 폭주하였다. 무려 5명의 드라이버에게 펑쳐가 발생한 이 문제에 GPDA(드라이버 협회)는 당시 FIA 회장인 장 토드에게 편지를 보내며 타이어에 대한 불만의 메시지를 담기도 하였다. 이는 방송으로도 보도될 정도였고, 장 토드는 이 사안에 대해 피렐리와도 대화를 나눴으며, 급기야 피렐리는 타이어 조합을 수정하게 되었다.



5. 9R: 포뮬러 1 그로서 프라이스 산탄데르도이칠란트 2013 (독일 GP)[편집]



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10.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1:29.3981번째
P2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0.103s2번째
P32. 마크 웨버 (레드불)+ 0.210s3번째
P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7.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0.494s4번째
P5
파일:Lotus_F1_Team_logo.png
8. 로맹 그로장 (로터스)+ 0.561s5번째
P6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1.130s6번째
P7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펠리페 마싸 (페라리)+ 1.728s7번째
P8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811s8번째
P9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5. 젠슨 버튼 (맥라렌)No time9번째
P1011. 니코 휠켄베르크 (자우버)No time10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5.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1:30.269Q3 진출
P119.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0.057s11번째
P12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0.428s12번째
P1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6.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맥라렌)
+ 0.664s13번째
P1412.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자우버)
+ 0.741s[同]14번째
P15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0.741s[同]15번째
P16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0.835s16번째
[同] A B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12.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자우버)
1:31.681Q2 진출
P1717.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리 보타스 (윌리엄스)
+ 0.012s17번째
P1816.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0.026s18번째
P19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케이터햄)
+ 1.256s22번째[-5][Gearbox]
P20
파일:Marussia_F1-logo.png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쥘 비앙키 (마러시아)
+ 1.382s19번째
P21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기에도 반데가르데 (케이터햄)
+ 2.053s20번째
P22
파일:Marussia_F1-logo.png
23.
파일:영국 국기.svg

맥스 칠튼 (마러시아)
+ 2.417s21번째

메르세데스의 루이스 해밀턴이 이번 레이스도 완벽한 숏런으로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서킷 특성 상 레드불에게 매우 유리한 서킷이었기에 레드불의 약진이 예상되었지만, 폴 포지션만큼은 해밀턴이 저지하며 레드불의 강세를 조금이나마 꺾어주었다. 그럼에도 레이스 우승 후보는 여전히 레드불의 페텔이 가장 유력한데, 퀄리파잉에서 격차는 0.1초에 불과할 정도로 페텔도 선전했다고 볼 수 있다. 웨버 역시 근소한 격차로 3위를 기록하였다.

로터스 듀오도 선전한 퀄리파잉이었다. 간만에 두 드라이버가 차를 잘 컨트롤하며 선두권에 근접한 기록을 내며 기록을 당길 수 있었다. 리카도가 2경기 연이어 좋은 퀄리파잉을 보여주었고, 페라리 듀오가 그 뒤를 따랐다.

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1:41:14.71125
2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7.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1.008s18
3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8. 로맹 그로장 (로터스)+ 5.830s15
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7.721s12
5위10.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26.927s10
6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5. 젠슨 버튼 (맥라렌)+ 27.996s8
7위2. 마크 웨버 (레드불)+ 37.562s6
8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6. 세르히오 페레스 (맥라렌)+ 38.306s4
9위9.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46.821s2
10위11. 니코 휠켄베르크 (자우버)+ 49.892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53.771s
12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56.975s
13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 57.738s
14위12.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자우버)
+ 1:00.160
15위16.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1:01.929
16위17.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리 보타스 (윌리엄스)
+ 1 Lap
17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케이터햄)
+ 1 Lap
18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기에도 반데가르데 (케이터햄)
+ 1 Lap
19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3.
파일:영국 국기.svg

맥스 칠튼 (마러시아)
+ 1 Lap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Hydraulics]
DNF
파일:Marussia_F1-logo.png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쥘 비앙키 (마러시아)
[Engine]
DNF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Gearbox_issue]
[Hydraulics] 유압 계통 문제[Engine]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Gearbox_issue]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

패스티스트 랩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1:33.468 (Lap 51)

2013 독일 GP 하이라이트

일찌감치 레드불 듀오는 좋은 스타트로 폴을 따낸 해밀턴을 추월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3랩 째에는 마싸의 기어박스에 문제가 발생하며 엔진 쪽에 불이 나고 말았고, 그대로 리타이어를 맞이하였다. 5랩째부터 타이어의 디그라데이션이 빠르게 진행되어 많은 드라이버들이 타이어를 교체하러 들어갔다. 로터스 듀오는 롱 스틴트 전략을 선택하며 그대로 트랙에 머물렀고, 대부분의 타 팀들은 피트로 들어갔다. 14랩 째에 큰 사고가 발생하였는데, 웨버가 피트스톱을 한 직후 피트 크루가 타이어를 제대로 체결하지 않다가 웨버가 그대로 출발하였고, 이때 타이어가 빠지며 카메라맨을 직격하고 말았다. 이 사고로 카메라맨이 뼈가 부러지는 중상을 입고 말았다. 레드불은 이후 다시 웨버의 타이어를 체결하였으나 이미 선두였던 페텔의 백마커가 된 직후였다.

23랩 째에는 비앙키가 엔진 블로우로 리타이어하였으며, 비앙키가 레이스카를 트랙 밖으로 이동시키려 했으나 좀처럼 처리되지 않아 세이프티카가 발령되었다. 2랩 뒤엔 베르뉴가 유압 계통 문제로 리타이어하는 등의 리타이어 잔치가 열리기도 하였다. 세이프티카 상황 종료 후, 언랩에 성공한 웨버는 추월쇼를 펼쳤다. 그 사이 중위권에선 윌리엄스 듀오가 포인트권까지 진입했으나, 얼마 버티지 못하고 순위를 잃어갔으며, 오래된 타이어로 더 빠른 드라이버들을 막아내고 있던 구티에레즈 역시 윌리엄스 듀오와 함께 내려가기 시작했다.

로터스의 키미 래이쾨넨은 41랩 째에 피트인하여 일찍 피트인 한 페텔을 추월하고자 하였다. 그 덕에 레이스 후반부엔 페텔보다 페이스가 월등히 빨라 격차를 성큼성큼 좁혀나갔다. 하지만 키미에겐 2랩이 부족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이미 레이스의 총 거리를 소화하였으며, 결과는 페텔의 홈 그랑프리 1초 차 승리였다. 그래도 로터스의 훌륭한 타이어 교체 전략 덕에 두 드라이버 모두 포디움에 올랐고, 조용히 뒤에서 열심히 쫓아오던 페르난도 알론소도 4위로 괜찮은 결과를 맞이하였다. 백마커가 되었던 웨버도 추월쇼로 7위까지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6. 10R: 포뮬러 1 마쟈르 나그디 2013 (헝가리 GP)[편집]



6.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10.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1:19.3881번째
P2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0.038s2번째
P3
파일:Lotus_F1_Team_logo.png
8. 로맹 그로장 (로터스)+ 0.207s3번째
P49.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0.332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403s5번째
P6
파일:Lotus_F1_Team_logo.png
7.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0.463s6번째
P7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펠리페 마싸 (페라리)+ 0.541s7번째
P8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1.253s8번째
P9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6. 세르히오 페레스 (맥라렌)+ 3.010s9번째
P102. 마크 웨버 (레드불)No time10번째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6.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맥라렌)
1:21.612Q2 진출
P1712.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자우버)
+ 0.112s17번째
P1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0.431s18번째
P19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케이터햄)
+ 1.395s19번째
P20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기에도 반데가르데 (케이터햄)
+ 1.721s20번째
P21
파일:Marussia_F1-logo.png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쥘 비앙키 (마러시아)
+ 2.175s21번째
P22
파일:Marussia_F1-logo.png
23.
파일:영국 국기.svg

맥스 칠튼 (마러시아)
+ 2.385s22번째

원채 헝가로링에서 강세를 보여온 해밀턴이 이번에도 완벽한 폴랩을 선보이며 연속 폴 포지션 획득에 성공하였다. 2위를 기록한 페텔과는 0.04초 이내의 근소한 차이였지만, 이번 레이스만큼은 해밀턴이 강세를 보이는 서킷인 만큼 좋은 페이스를 보인다면 폴투윈 역시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메르세데스가 이번 전반기 동안은 숏런에서 거의 최강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6.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10.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1:42:29.44525
2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7.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10.938s18
3위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12.459s15
4위2. 마크 웨버 (레드불)+ 18.044s12
5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3.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31.411s10
6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8. 로맹 그로장 (로터스)+ 52.295s[+20s][2]8
7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5. 젠슨 버튼 (맥라렌)+ 53.819s6
8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4. 펠리페 마싸 (페라리)+ 56.447s4
9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6. 세르히오 페레스 (맥라렌)+ 1 Lap2
10위16.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1 Lap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11.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자우버)
+ 1 Lap
12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1 Lap
13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1 Lap
14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기에도 반데가르데 (케이터햄)
+ 2 Laps
15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케이터햄)
+ 2 Laps
16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쥘 비앙키 (마러시아)
+ 2 Laps
17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3.
파일:영국 국기.svg

맥스 칠튼 (마러시아)
+ 2 Laps
18위[9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4.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Hydraulics]
19위[90%]9.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Engine]
DNF17.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리 보타스 (윌리엄스)
[Hydraulics]
DNF12.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자우버)
[Transmission]
DNF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5.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안 수틸 (포스 인디아)
[Hydraulics]
[90%] A B [Hydraulics] A B C [Engine] [Transmission] 트랜스미션 고장


2013 헝가리 GP 하이라이트

폴시터인 해밀턴이 좋은 스타트로 1위 자리를 이번엔 뺏기지 않고 나아갔다. 뒤에선 로즈버그와 마싸가 오프닝 랩에 충돌하여 마싸의 차량엔 대미지가 발생하였고, 로즈버그는 이 사고의 여파로 순위를 크게 잃어갔다.

그 이후 초반엔 별다른 일이 없다가 10랩 째에 해밀턴이 페텔보다 먼저 피트스톱을 진행하였다. 피트에서 나온 직후엔 버튼의 바로 뒤로 들어왔지만 금방 추월하며 시간 손해를 많이 보지 않았다. 하지만 해밀턴의 피트인으로 선두로 올라섰던 페텔이 피트스톱 이후 버튼에게 수 랩동안 꽁꽁 묶이면서 엄청난 시간 손해를 보고 말았다. 선두권에선 하드 타이어로 레이스를 시작한 웨버가 최대한 오랫동안 버티고 해밀턴을 괴롭히며 페텔을 도우려 했으나, 하드 타이어의 상태가 생각보다 빨리 나빠졌다.

그 사이 페텔이 무리하게 버튼을 추월하는 과정에서 프런트윙의 손상을 입고 말았으나 다행히 큰 영향은 없었다. 오히려 그 뒤에 있던 그로장이 버튼을 추월하려다가 그와 컨택하고 말았다. 이 사고로 레이스 종료 후 그로장에게 20초 페널티가 부여되었다. 그로장은 버튼 추월 후 마싸도 추월하였으나, 이번엔 트랙을 벗어나 이점을 얻어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가 부과되었다.

하위권에선 100번째 레이스를 맞이한 수틸이 유압 문제로 리타이어하게 되었고, 구티에레즈는 트랜스미션 문제로 피트로 들어와 레이스를 조기 마감하였다. 자우버의 휠켄베르크는 포인트 획득의 기회가 있었으나 피트레인에서 과속하여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를 받고 순위를 대거 잃었다. 보타스는 45랩 째에 유압 계통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레이스를 조기 마감한다.

다시 선두로 올라선 해밀턴은 이후 페이스를 잃지 않고 자리를 지켜내며 우승을 차지하였다. 해밀턴은 이 경기 우승으로 헝가리에서만 4번을 우승한 드라이버가 되었고, 이 덕분에 미하엘 슈마허와 함께 헝가리 GP 공동 최다승을 기록할 수 있었다. 아울러, 스털링 모스 이후 처음으로 메르세데스 소속으로 우승한 영국인 드라이버 타이틀도 획득하였다. 조용히 잘 달리던 키미는 페텔도 제치며 2위로 완주했고, 페텔은 무난하게 3위로 들어서며 챔피언십 선두 자리를 잘 지켜냈다. 한편, 레이스 막판에 로즈버그가 엔진 블로우로 리타이어하였고, 그 사이 11위로 달리던 말도나도가 10위로 올라서며 이번 시즌 처음으로 윌리엄스가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었다.



7. 요약[편집]


해당 기간동안 메르세데스의 숏런은 레드불과 비등비등하거나 오히려 앞서기도 하는 등의 양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레이스에서는 이전부터 이어지는 고질적인 타이어 관리 문제에 직면하여 레이스에서는 레드불과 제바스티안 페텔에게 우승을 내어주는 양상이 드러나기도 하였다. 그래도 모나코에서는 니코 로즈버그가, 영국, 헝가리에서는 루이스 해밀턴이 우승을 가져오며 제대로 반격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챔피언십에서는 레드불이 착실히 포인트를 모으는 데에 성공하며 컨스트럭터 챔피언 타이틀 획득에 크게 다가갔고,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는 기존의 2위였던 페르난도 알론소를 비롯해 경쟁자인 키미 래이쾨넨도 포인트를 많인 쌓지 못하며 페텔이 포인트를 벌려나갔다.


[-2] A B 2그리드 페널티[Failing_to_queue] A B 피트 아웃 대기 시에 열에 정렬하지 않고 잘못된 곳에서 대기함.[1] 최소 중량인 640 kg 미만임이 확인되어 퀄리파잉 실격[+20s] 20초 페널티[2] 젠슨 버튼을 추월하는 과정에서 충돌하여 페널티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