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서교통 (r2판)

편집일시 :

파일:송파구 CI.svg 서울특별시 송파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남성버스동성교통[a]대성운수서울버스
송파상운진화운수한국brt[b]한서교통
공항리무진서울공항리무진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동부운수승원여객[a]신흥기업영동교통
[a] 송파구 이외 지역에 면허를 둔 업체 / [b] 주간선버스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韓瑞交通

1. 개요
2. 운행 중인 노선
3. 폐선 혹은 철수된 노선
4. 면허 체계
5. 보유차량
6. 지배구조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업체로, 본사인 송파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노선과 과거 종점이었던 거여동에서 출발하는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1970년서울승합에서 분리되어 창립되었으며, 당시에는 성동구 성수동에서 시작했으나 이후 1986년에 가락지구, 1990년대에 송파구 거여동, 현재는 송파공영차고지에 본사를 두고 있다.

과거 한서교통 차고지는 아파트로 재개발되었으며 현재는 간이 차고지가 송파상운 차고지 근처에 있다. 거여동 소속도 송파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한다. 장기적으로는 거여동차고지를 폐쇄하고 소속 노선차량관리 및 충전, 주박을 송파공영차고지로 일원화할 계획이다. 실제로 3313번이 대성운수와 공동배차 겸 증차를 실시하면서, 이전했고 3217번만이 남은 상황이다.

창립 초기부터 대우 차량을 선호했으나 2003년에 선대 사장의 뒤를 이어 아들이 사장을 물려받은 후 하나 둘 대우차량이 교체되었다. 2008년에 현대 F/L 저상버스를 일찍 구매했으나 남성교통에 밀려 잘 알려지지 않았다. 2010년에는 3418번(現 3322번)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5대가 교체되어 사내 모든 차량이 현대자동차 차량이 되었다. 서울시 시내버스 회사 중에서 대우 BF101과 BS105 차량을 늦게까지 굴렸던 회사였다.[1]

2017년부터 저상버스만을 구매중이며 2019년 12월 이후로 출고되는 차량들은 현대자동차 버스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노선번호 표지판(속칭 BLU라고 많이 부르는 장치)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웃하고 있는 송파상운과는 무관한 사이이지만, 같은 동네에 있던 회사이다보니 3416번(구 821번)과 3313번(구 815번)을 공동 배차했던 적이 있다. 그리고 가끔 단합축구대회나 족구대회도 여는 듯.

현재는 도시형버스만 운용하고 있으나 15년 전에는 좌석버스도 운행하였고,[2] 뉴스에도 여럿 출연한 적 있다.안 좋은 의미로 출현했지만.

그리고 여전히 거여/마천동에서 잠실로 가기 위해서는 3217번이나 3313번을 타야 한다. 하지만 3217번의 경우 문정로데오거리와 송파대로를 경유하기 때문에 오금로를 따라 잠실까지 직진하는 3313번에 비해 돌아가는 편이다.

송파구 관내에서는 버스 기사님들의 자원봉사활동으로 유명하다. 가끔 종합운동장 버스정류장에서 파란 띠를 메고, 정류장 질서유지를 하고 계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회사는 경성여객, 상진운수[3], 서울교통네트웍[4] 등과 더불어서 타 업체 출신 면허가 없고, 1973년 개편 당시 받았던 시내버스 면허들과 1990년 좌석버스 개통 때 받은 면허만 있는 회사이다.[5] 한서교통에 있는 모든 차량에는 8이라는 숫자가 한개씩은 다 들어있다.[6]


2. 운행 중인 노선[편집]








3. 폐선 혹은 철수된 노선[편집]


  • 구 68 : 거여동 - 문정동 - 가락시장 - 일신여상 - 배명고 - 잠실1~3단지 - 종합운동장 - 휘문고 - 강남세브란스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고속터미널, 개편 후 진화운수에 이관되어 3422번으로 운행중.
  • 구 768(좌석) : 거여동 - 문정동 - 가락시장 - 송파 - 배명중.고교 - 잠실주공A - 종합운동장 - 삼성역 - 휘문고 - 대치동 - 역삼시장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영동4거리 - 고속터미널 - 신/구반포 - 국립묘지 - 흑석동 - 노량진 - 대방역 - 여의도. 1996년 폐선
  • 363 : 노들역으로 단축되면서 350번으로 변경.
  • 3218 : 삼성역으로 단축되면서 3418번으로 변경.
  • 3416 : 송파상운과 공동 배차하다가 2013년 3012번 증차를 위해 철수.
  • 3418 : 종합운동장역으로 단축 및 삼전삼밭나루공원 - 잠실새내역 구간을 석촌호수로(새마을시장)를 경유하게 되면서 3322번으로 변경.


4. 면허 체계[편집]


  • 서울 748601호 ~ 8700[8]
  • 서울 748860호 ~ 8900[9]
  • 서울 752822호 ~ 2827[10]


5. 보유차량[편집]



5.1. 현재 보유차량[편집]



5.1.1. 현대자동차[편집]




5.2. 과거 보유차량[편집]



5.2.1. 자일상용차[편집]




5.2.2. 현대자동차[편집]




5.2.3. 기아자동차[편집]




6. 지배구조[편집]


2021년 12월 기준
주주명지분율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념35.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광용32.6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석준15.76%대표이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자사주10.8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미희2.7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희서1.0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희랑1.05%


7.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강남구도선여객정평운수
강동구서울승합
강북구동아운수선일교통삼양교통
영신여객한성운수
강서구공항버스김포교통영인운수
정평운수다모아자동차
관악구관악교통보성운수한남여객운수
광진구신흥운수
구로구군포교통보성운수서울매일버스
태진운수
금천구범일운수보영운수신인운수
노원구삼화상운진아교통태릉교통
한성여객흥안운수
도봉구서울교통네트웍아진교통
마포구다모아자동차유성운수
서대문구서부운수신촌교통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대흥교통삼성여객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태진운수대원교통대원여객
성북구대진여객도원교통동성교통
상진운수성원여객
송파구남성버스동성교통대성운수
서울버스송파상운진화운수
한국brt한서교통
양천구관악교통도원교통세풍운수
신길교통양천운수중부운수
은평구보광교통신수교통선진운수
원버스유성운수제일여객
종로구동해운수
중랑구경성여객대원교통메트로버스
보광운수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동작구영등포구용산구
서울특별시 관외에 영업소를 둔 시내버스 회사
광명시범일운수보영운수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동해운수서울매일버스선진운수
신촌교통제일여객신수교통
부천시신길교통
안양시서울매일버스
군포시·의왕시군포교통대원여객우신버스
성남시남성버스동성교통
의정부시·양주시대원여객제일여객
파주시신수교통제일여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4:48:35에 나무위키 한서교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BF101은 1985년까지 도입하여 1993년까지 운행했는데, 서울에서는 드물었던 전중문 폴딩형에 자동문 인쇄물과 크롬도금 하차벨이 달리고 후륜과 뒷 범퍼 사이의 경사가 완만해진 형태였다. BS105는 1993년까지 도입하여 2001년까지 운행했는데, 1993년~1996년형과 같은 입석의자가 설치되어 있었고, 전륜 뒷쪽에 사이드램프가 달려 있고, 지붕 모서리의 경광등이 없고, 차량 후부에 세로로 긴 직사각형 엔진룸 그릴이 뚫려 있었다.[2] 구 768번. 구 68번과 동일하게 거여동 - 여의도 구간을 오가는 좌석버스였으나 1996년에 폐선.[3] 예전에는 구.상원여객의 면허를 보유하기는 하였으나, 노선 매각으로 인하여 사라졌다.[4] 예전에는 타 회사들의 면허들을 보유하기는 했으나, 기존 면허들을 전부 말소시키고 도봉구 증차면허로 전환하였기 때문이다.[5] 이 중 일부 면허는 동부운수, 승원여객, 태진운수 등에 매각되었다. 동부운수 폐업 이후 일부 면허는 우신버스, 군포교통 등에서 매입하여 운행중이다.[6] 예를 들면 350번 2823호, 한서교통에 있는 86##, 88## 차량들[7] 2010년 8월에 3318번 신설로 인해 철수[8] 본 회사 주 면허.[9] 본 회사 증차 면허.[10] 본 회사 추가 증차 면허.[11] 67번을 동부운수로 넘기기 전에 슬라이딩도어 차량, 68번에 폴딩도어차량을 운행하였다.[12] 3217번에서 운행했으며, 2013년에 350번, 3012번, 3322번 저상으로 대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