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9년 경주 지진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진
[ 펼치기 · 접기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국외지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발생 시각 (UTC+10:00)규모진원최대 진도
2024년 02월 14일
21시 40분 21초
M 6.0미크로네시아 콜로니아 북북동쪽 172km 해역
쓰나미 여부}}} 쓰나미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
[ 국외지진 ]
[ 역사지진 ]
역사지진 (1904년 이전, 규모와 최대진도는 추정값)
명칭규모(추정)최대 진도
27년 서울 지진M 6.3
89년 서울 지진M 6.8
100년 경주 지진M 6.7
304년 경주 지진M 6.3
M 6.8
458년 경주 지진M 6.3
502년 평양 지진M 6.8
510년 경주 지진M 6.8
664년 경주 지진M 6.3
768년 경주 지진M 6.3
779년 경주 지진M 6.3~7.0
1036년 경주 지진M 6.3
1260년 개성 지진M 6.3
1385년 개성 지진M 6.3
1455년 순천 지진M 6.8
1518년 서울 지진M 6.8
1546년 평산 지진M 6.2
1594년 홍성 지진M 6.3
1597년 백두산 지진M 7.7~8.0
1613년 서울 지진M 5.7
1632년 개성 지진M 6.3
1643년 부산 지진M 6.3
1643년 합천 지진M 6.8
1643년 울산 대지진M 6.5~7.4
1670년 순창 지진M 6.3
1681년 양양 대지진M 6.1~6.7
M 7.5
1700년 사천 지진M 6.3
1702년 전주 지진M 6.3
1714년 개성 지진M 6.8
1727년 함흥 지진M 6.8
1810년 부령 지진M 6.8
1899년 대한제국 지진M 6.3

[ 초기 계기지진 ]

[ 기상청 계기지진 ]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명칭규모최대 진도
1978년 속리산 지진ML5.2
Mw4.6
1978년 홍성 지진ML5.0
1980년 의주 지진ML5.3
Mw5.1
1981년 포항 해역 지진ML4.8
Mw5.2
1982년 사리원 지진ML4.5
Mw5.3
1982년 울진 해역 지진ML4.7
1994년 울산 해역 지진ML4.6
ML4.5
1994년 홍도 해역 지진ML4.9
Mw5.6
1995년 백령도 해역 지진ML4.2
1996년 동해 해역 지진ML4.2
1996년 영월 지진ML4.5
Mw5.2
1997년 경주 지진ML4.2
Mw4.8
2003년 홍도 해역 지진ML4.9
Mw4.8
2003년 백령도 해역 지진ML5.0
Mw4.6
2004년 울진 해역 지진ML5.2
Mw5.3
2007년 평창 지진ML4.8
Mw4.7
2013년 흑산도 해역 지진ML4.9
Mw4.7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ML4.9
Mw4.8
2014년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ML5.1
Mw4.8
2016년 울산 해역 지진ML5.0
Mw4.7
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ML5.1
Mw5.1
ML5.8
Mw5.5
2017년 포항 지진ML5.4
Mw5.5
2018년 포항 지진ML4.6
Mw4.7
2019년 동해 해역 지진ML4.3
Mw4.0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ML4.9
Mw4.8
2022년 괴산 지진ML4.1
Mw4.0
2023년 강화 지진ML3.7
Mw3.5
2023년 동해 해역 지진ML4.5
Mw3.8
2023년 장수 지진ML3.5
Mw3.5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심발지진)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음
Mw 4.7
2023년 경주 지진ML4.0
Mw3.6
2024년 부안 지진ML4.8
Mw4.2
ML은 기상청 발표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리히터 규모이며, Mw는 단층의 크기와 변위를 분석하여 실제 지진이 방출한 에너지와 연관성이 높으며 기상청에서 상세분석 결과를 통해 추가 발표하고 있는 모멘트 규모이다.


779년 경주 지진
파일:2016-12-01 16.10.05.png
발생일시
(UTC)
779년 3월경 (혜공왕 15년)
진앙북위 35.8도, 동경 129.2도
경상북도 경주시 율동 선두1길[1]
진원의 깊이불명
규모
(추정)
Mw 6.3 / ML 6.7~7.3
최대 진도
(메르칼리, 추정)
[NOAA]
[KMA]
피해상황
(추정)
사망자100명 이상
부상자불명
재산피해많은 가옥이 무너짐
1. 개요
2. 기록
3. 여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779년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에서 일어난 수도직하지진으로 한국의 역사지진(서기 2~1904년) 중에서, 세번째로 강력했던 지진이자 내륙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의 지진, 추정규모는 Mw 6.3~ML 6.7~7.0 급이다.

진앙지로 추정되는 위치는 북위 35.8도, 동경 129.2도인데, 2016년 경주 지진의 진앙지와 매우 가깝다. 전진이 북위 35.76도, 동경 129.19도였고 본진 북위 35.77, 동경 129.18도였다.

2. 기록[편집]


때는 신라 중기로 《삼국사기》 신라본기 혜공왕 당시에 발생했다. 8세라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귀족들과 왕족들에게 휘둘려 다니던 혜공왕은 덩달아 터지던 각종 반란과 자연재해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그 중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재해가 바로 지진이었다.

혜공왕 3년(767) 여름 6월, 지진이 났다.

4년(768) 여름 6월, 지진이 났는데 그 소리가 벼락 소리 같았고 우물과 샘이 모두 말랐다.

6년(770) 겨울 11월, 서울에 지진이 났다.

13년(777) 봄 3월, 서울에 지진이 났다.

여름 4월, 지진이 다시 발생하였다.

《삼국사기》제9 권 신라본기 제9 혜공왕

혜공왕의 선대인 경덕왕이 사망하던 765년 4월에도 지진이 발생했으므로, 765년부터 약 12년간 지진이 6번 발생하였다. 그 밖에 호랑이가 궁에 들어온다든지, 황룡사로 큰 별이 떨어졌다든지 하는 각종 기이한 일들과 함께 지진이 굉장히 자주 일어났다. 정치적으로도 무척 혼란스러운 시기였는데, 777년 3월과 4월에 연이어 지진이 발생하자 상대등이었던 양상(良相)이 왕에게 "정치를 올바로 하십시오!"라는 내용으로 상소를 올렸다는 기록으로 알 수 있다.

그러다 혜공왕 15년(779)에 수도 경주에 큰 지진이 일어났다.

十五年 春三月 京都地震 壞民屋 死者百餘人

15년 봄 3월, 경도(京都)[2]

에 지진이 있어 민옥(民屋)이 무너지고 죽은 자가 100여 명이었다.

《삼국사기》 제9권 신라본기 제9 혜공왕

100여 명이 죽었다는 피해자 수까지 명시될 정도로 큰 지진이 일어난 것이다. 참고로 이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지진기록 중, 몇 안되는 지진 피해 사상자 기록이다.[3] 이 정도면 경주시에서만 진도 6강에 해당하는 진동이었음을 대략 짐작할 수 있다.

한편 혜공왕은 지진이 벌어진 달에 백좌법회[4]를 열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혼란에 빠진 시민들을 위해서였는지는 모른다.

3. 여담[편집]


이 지진이 수도직하지진임을 고려하면 피해가 꽤 적은 편에 속한다.

규모가 동일한 다른 수도직하지진들과 비교해보면 근대 오스만 제국 수도에서 발생한 1897년 이스탄불 지진은 사상자만 1,349명에 달했고 2010년 아이티 지진한 나라폐허로 만들고 30만 명에 달하는 인명까지 앗아갔다. 779년 경주 지진은 중세 신라시대에 발생한 수도직하지진임에도 불구하고 사망자를 100여 명 정도로 억제한 건 명백한 혜공왕의 업적이고, 당대 신라는 이러한 재해에 대처하는 능력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4. 관련 문서[편집]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304년 경주 지진779년 경주 지진1036년 경주 지진

문서가 존재하는 기원 후 ~ 18세기 지진
[[틀:지진/기원전|

기원전
]]
>
~ 18세기
[[틀:지진/19세기|
>
19세기
]]
발생일규모지진명
62. 2. 5.
M6.162년 폼페이 지진
89. 6.
M7.089년 서울 지진
100. 10.
M6.7100년 경주 지진
304. 8.
M6.1304년 경주 지진
304. 9.
M6.7
779. 3.
M7.3779년 경주 지진
1036. 7. 17.
M7.01036년 경주 지진
1455. 1. 15.
M6.71455년 순천 지진
1518. 6. 22.
M7.51518년 한성 지진
1556. 1. 23.
M8.0산시 대지진
1597. 10. 6.
M8.01597년 백두산 지진
1643. 6. 9.
M6.41643년 합천 지진
1643. 7. 25.
M7.41643년 울산 대지진
1681. 6. 12.
M6.71681년 양양 대지진
1681. 6. 26.
M7.5
1703. 12. 31.
M8.5겐로쿠 대지진
1707. 10. 28.
M9.3호에이 대지진
1755. 11. 1.
M9.0리스본 대지진
1797.
M8.71797년 남아시아 대지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9 02:34:48에 나무위키 779년 경주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舊. 경상북도 경주시 율동 1931-173 부근[NOAA] 미국 지질조사국 추정진도[KMA] 대한민국 기상청 추정진도[2] 수도 경주시를 말한다.[3]삼국사기》, 《고려사》 등을 뒤져봐도 몇 개 되지 않으며, 이 지진 말고도 사상자 기록이 있는 지진으로는 1643년 6월 9일 터진 진주 지진을 들 수 있는데 확실히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따지면, 사망자 2명이 발생했다.[4] 고승이 앉는 자리인 사자좌 100개를 준비하고, 이에 맞추어 고승 100명을 초대해 설법하는 대규모 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