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닝맨/출연진/능력치

덤프버전 : r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런닝맨

파일:런닝맨 로고.svg

>

[ 출연진 ]
현재 멤버
지석진
[[지석진/런닝맨|

/런닝맨
]]
유재석
[[유재석/런닝맨|

/런닝맨
]]
김종국
[[김종국/런닝맨|

/런닝맨
]]
하하
[[하하(가수)/런닝맨|

/런닝맨
]]
송지효
[[송지효/런닝맨|

/런닝맨
]]
전소민
[[전소민/런닝맨|

/런닝맨
]]
양세찬
[[양세찬/런닝맨|

/런닝맨
]]
파일:런닝맨 로고.svg
하차 멤버
리지
[[런닝맨/출연진#s-3.1|

/런닝맨
]]
송중기
[[런닝맨/출연진#s-3.2|

/런닝맨
]]
개리
[[개리(래퍼)/런닝맨|

/런닝맨
]]
이광수
[[이광수/런닝맨|

/런닝맨
]]
메인 PD
조효진
2010년 7월 ~ 2014년 4월
임형택
2014년 5월 ~ 2016년 3월 13일
정철민
2016년 3월 20일 ~ 2018년 7월 29일
2019년 5월 19일 ~ 2020년 3월 8일
이환진
2016년 3월 20일 ~ 2017년 4월 9일
2018년 8월 5일 ~ 2019년 5월 12일
최보필
2020년 3월 15일 ~ 현재

[ 방영 목록 ]





1. 개요
2. 힘
3. 스피드
4. 지식
5. 잔머리
6. 심리전
7. 추리
8. 운
9. 담력
10. 이름표 떼기
11. 종합


1. 개요[편집]


SBS 예능 런닝맨의 출연진들의 능력치를 정리한 문서.


2. 힘[편집]


김종국 > 유재석 = 이광수 > 개리 > 양세찬 > 하하 > 지석진 > 송지효 > 전소민[1]


3. 스피드[편집]


개리 > 김종국 > 유재석 > 하하 > 이광수 > 양세찬 > 지석진 > 송지효 > 전소민[2][3]


4. 지식[편집]


유재석 > 지석진 = 김종국 > 개리 > 이광수 > 하하 > 송지효 > 양세찬 > 전소민[4]


5. 잔머리[편집]


하하 > 이광수 > 지석진 > 유재석 > 김종국 > 송지효 > 양세찬 > 전소민 > 개리[5]


6. 심리전[편집]


유재석 > 하하 > 송지효 > 김종국 > 이광수 > 지석진 > 전소민 > 개리 > 양세찬[6][7]


7. 추리[편집]


김종국 > 송지효 > 유재석 > 개리 > 지석진 > 하하 > 이광수 > 양세찬 > 전소민[8]


8. 운[편집]


송지효 > 김종국 > 개리 > 하하 > 유재석 > 지석진 > 양세찬 > 전소민 > 이광수[9]


9. 담력[편집]


김종국 > 개리 > 송지효 > 이광수 > 지석진 > 양세찬 > 전소민 > 하하 > 유재석[10]


10. 이름표 떼기[편집]


김종국 > 이광수 > 유재석 = 개리 > 양세찬 > 하하 > 지석진 > 송지효 > 전소민[11]


11. 종합[편집]


유재석 = 김종국 > 하하 > 개리 = 이광수 > 송지효 > 지석진 > 양세찬 > 전소민[1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31 04:12:15에 나무위키 런닝맨/출연진/능력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로 유재석, 개리, 이광수의 순위를 두고 갑론을박이 펼쳐진다. 10여 년동안 꾸준한 관리를 해오고 이를 무한도전에서 보여온 유재석, 복싱 경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무술을 배워 운동 신경이 뛰어난 개리, 신체 조건이 가장 뛰어나고 젊어 본격적으로 운동을 한 후 2인자가 된 이광수 중 그 우열을 가리기가 쉽지는 않다. 이광수가 운동을 하기 전인 2013년까지는 각자의 장단점이 확실히 두드러지게 차이가 났다. 순수 힘은 셋 중 유재석이 가장 뛰어났는데, 이를 보여준 것이 늑대와 양 편에서 김종국과 유재석의 1대1 이름표 떼기였다. 개리가 환생 특집에서 김종국을 1대1로 제거한 적은 있으나 서로 힘을 겨룬 것이 아니라 스피드로 재빨리 이름표를 뗀 것이었기에 여태껏 김종국과의 1대1에서 힘으로 호각을 겨뤘던 상대는 추성훈 정도였다. 그런 김종국과의 1대1에서 유재석이 밀리지 않고 이름표를 마크한 채로 호각을 겨룬 것뿐만 아니라, 아이돌 보석 특집에서는 하하, 박소진, 차학연이 달라 붙어서 이름표를 떼려했으나 무려 4분 넘게 버티며 한 명을 뜯었으며, 초능력 특집에서는 움직일 수 없었음에도 양세찬을 힘으로 아예 압도하였다. 신사고 특집 때는 2대1 상황에서 개리를 뜯었으며, 수중 고싸움에서 김종국을 탈락시켰다. 이를 통해 순수 힘은 2013년 기준 유재석이 가장 좋았음을 알 수 있다. 스피드는 셋 중 개리가 가장 뛰어나다. 반사 신경이 뛰어나고 빨라서 2대1 상황에서 쉽게 밀리지 않는다는 것이 장점이다. 김종국, 유재석, 이광수는 스피드보다는 순수 힘이 부각된다면 개리는 무술 경력이 있어 운동 신경과 반사 신경이 매우 부각된다. 신화(아이돌)가 게스트로 나왔을 때, 앤디(신화)는 개리에게 기습을 시도했으나, 오히려 역습당하여 아웃되었다. 위의 3명에 비해 힘은 떨어지지만 김병만정진운이 2대1로 덤볐을 때에도 밀리지 않을 정도로 강하며, 위의 3명이 가지지 못한 운동 신경과 반사 신경은 큰 장점으로 손꼽힌다. 신체 조건은 이광수가 가장 좋았다. 190cm가 넘는 장신과 긴 팔은 이름표를 떼는 데 있어 엄청난 이점이며, 벌크업을 하고 난 2017년 이후에는 김종국과도 비슷해졌을 정도로 강해졌다. 운동을 시작한 2014년부터는 순수 힘도 개리보다 강해졌으며, 2017년 즈음부터는 유재석과 비슷해졌고, 유재석이 50대가 넘은 2020년대에는 완전한 2인자가 되었다.[2] 개리의 스피드가 단연 압도적이다. 물론 체력이나 지구력은 김종국과 유재석에게 밀리긴 하지만, 순간 스피드나 반사 신경은 개리가 단연 압도적이다.[3] 힘과 신체 조건은 최하위인 하하의 경우에 스피드는 우수한데, 유재석보다 근소하게 앞서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유재석이 신체 능력을 키운 후에는 비슷해졌다. 이를 보여준 것이 무한도전 별주부전. 개리 하차 특집 때 스피드 3인방으로 개리, 김종국, 유재석을 꼽은 것을 보아 유재석이 하하보다 근소하게 스피드로 앞서는 듯하다.[4] 퀴즈 미션에서 단연 압도적인 면모를 보이는 유재석과, 상위권 성적을 거두는 지석진과 김종국을 제외하면 사실상 의미없는 순위라 봐도 무방하다.[5] 잔머리와 반칙 부분에서는 하하와 이광수가 넘사벽으로 뛰어나고, 피지컬이 뛰어난 개리가 잔머리나 융통성이 부족해 최종 레이스에서 빨리 아웃되는 경우도 잦았다.[6] 무한도전 경험치로 유재석과 하하가 가장 뛰어나다. 또한 꼬꼬런 특집과 같은 도심 추격전 포맷에서 시민들의 정보를 수집해 추리하는 방식을 사용해 높은 성적을 거둔다. 스파이 미션을 가장 잘 수행하는 멤버들이기도 하다.[7] 김종국은 초창기 때부터 유난히 하하를 믿다가 마지막에 배신당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광수는 항상 배신을 하는 탓에 초기에 아웃을 당해 심리전에서는 유독 약세를 보인 반면에, 송지효는 연기력과 남자 멤버들이 봐주는 기믹을 적극 활용에 견제를 가장 덜 받아서 초창기에 단독 우승을 많이 거머쥐었다.[8] 김종국과 송지효의 추리력은 스파이 게임에서 가장 빛을 발한다. 힌트를 수집해 스파이를 찾는 게임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지석진과 하하는 스파이를 추리해 내는 부분에서는 약한 모습을 보이는데, 주로 헛다리를 짚다가 아웃당한다. 유재석과 김종국은 한 팀이 되었을 때 매우 버프를 받는데, 대표적으로 괴도 특집에서 두 사람이 함께 추리하여 하하와 전소민을 잡아냈다.[9] 금손 기믹을 가진 멤버들(송지효, 김종국, 개리, 하하)와 꽝손 기믹을 가진 멤버들(유재석, 지석진, 양세찬, 전소민, 이광수) 사이의 차이가 꽤나 크다. 그 중 이광수가 압도적으로 운이 안좋으며, 주로 벌칙은 꽝손들 사이에서 나온다.[10] 하하와 유재석은 무한도전 때부터 겁쟁이로 유명했으며, 다른 멤버들에 비해 고소 공포증이 유독 심한 멤버이다.[11] 순수 힘에서는 유재석에게 밀렸던 개리가 스피드를 통해 그 차이를 상쇄한다. 신사고 특집 때 송지효와 개리가 2대1로 유재석과 맞붙었을 때 힘에서 밀려서 개리가 뜯기는 모습을 보였으나, 이후 아시아 레이스에서는 유재석이 자신의 팔을 잡고 있는 틈을 타서 유재석을 재빨리 뜯었다. 첫 번째 런닝 럼블에서는 유재석이 세 번째로, 개리가 네 번째로 출전했으나 두 번째 런닝 럼블에서는 바뀐 것을 보아 이름표 떼기에서 두 사람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순수 힘은 비슷한 유재석과 이광수지만, 신체 조건이 뛰어나 이름표 떼기에서는 우위를 점한다.[12] 신체 능력이 아쉬운 하하와 두뇌와 심리전이 아쉬운 이광수가 대비된다. 송지효는 부족한 신체 능력을 다른 능력을 통해 커버하여 나쁘지 않은 능력치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