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슨 척 / 에반 베이츠

덤프버전 : r20210301 (♥ 0)




전미선수권 아이스 댄스 챔피언
파일:미국 피겨 선수권.pn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2014)
메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015)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2016)
메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2019)
메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020)
메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2021)

파일:척베네3.jpg
이름메디슨 라케아 테란 홀 척
Madison La'akea
Te-Lan Hall Chock
에반 베이츠
Evan Bates
출생1992년 7월 2일(31세)
캘리포니아 주 리돈도비치
1989년 2월 23일(35세)
미시간 주 앤 아버
신체157cm188cm
이전 파트너그레그 주에를린아리엘 추드노프스키,
에밀리 새뮤얼슨
링크(개별)파일:트위터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트위터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링크(공통)파일:홈페이지 아이콘.pn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국적미국파일:미국 국기.svg
종목피겨 스케이팅
코치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
랭킹5위
1. 소개
1.1. 메디슨 척
1.2. 에반 베이츠
2. 선수 경력
2.1. 2011-12 시즌
2.2. 2012-13 시즌
2.3. 2013-14 시즌
2.4. 2014-15 시즌
2.5. 2015-16 시즌
2.6. 2016-17 시즌
2.7. 2017-18 시즌
2.8. 2018-19 시즌
2.9. 2019-20 시즌
2.10. 2020-21 시즌
3. ISU 공인 최고점수
4. 프로그램
5. 커리어
5.1. 대회 별 상세 점수
6. 관련 문서


1. 소개[편집]


미국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선수이다.

1.1. 메디슨 척[편집]


메디슨 척은 기존 파트너였던 그레그 주에를린과 함께 2008-09 주니어 시즌 스윕을 달성했고, 2010 스케이트 캐나다2010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2. 에반 베이츠[편집]


에반 베이츠는 기존 파트너였던 에밀리 새뮤얼슨과 함께 2008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우승을 하고, 2006-07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2007-08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모두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또한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였고 2009 사대륙선수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 선수 경력[편집]



2.1. 2011-12 시즌[편집]


팀을 결성한 첫 시즌에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2011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4위를 하였고, 2011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5위를 하였으며, 2012 전미선수권에 출전하여 5위를 하며 시즌을 마쳤다.

2.2. 2012-13 시즌[편집]


U.S. 클래식에서 4위, 네벨혼 트로피에서 우승을 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2012 컵 오브 차이나에서 4위를 하였다.
2013 전미선수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사대륙선수권과 세계선수권, 그리고 월드 팀 트로피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2013 사대륙선수권에선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세계선수권에선 7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2013 월드 팀 트로피에선 개인 1위로 미국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2.3. 2013-14 시즌[편집]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이 개최되는 시즌을 시작했다. 2013 컵 오브 차이나2013 로스텔레콤 컵에서 모두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 전미선수권에서 2위를 하며 올림픽 출전을 확정지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선 쇼트에서 65.46점으로 8위, 프리에서 99.18점으로 8위를 하며 총점 164.44점으로 8위를 하며 대회를 마쳤다. 이후 3월에 개최된 2014 세계선수권에서는 5위로 대회를 마쳤다.

2.4. 2014-15 시즌[편집]


이번 시즌부터 챌린저 시리즈가 도입되면서 챌린저 시리즈가 된 네벨혼 트로피에 참가하여 프리에서 국제대회 처음으로 100점을 넘기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4 스케이트 아메리카2014 로스텔레콤 컵에서 모두 금메달을 따내며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을 확정지었다. 2014-15 그랑프리 파이널에선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조에 뒤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5 전미선수권에서는 처음으로 우승하며 내셔널 타이틀을 얻었다. 2015 사대륙선수권에선 국제대회 처음으로 쇼트에서 70점을 넘기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5 세계선수권에서도 쇼트와 프리에서 모두 개인 최고점을 세우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5 월드 팀 트로피에선 개인 3위로 미국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2.5. 2015-16 시즌[편집]


네벨혼 트로피에서 우승을 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2015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선 2연패를 하였고, 2015 컵 오브 차이나에선 은메달을 따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2015-16 그랑프리 파이널에선 작년에 이어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조에 뒤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6 전미선수권에서는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조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6 사대륙선수권에서도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조에 뒤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리고 미국에서 개최된 2016 세계선수권에선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4월에 개최된 팀 챌린지 컵에서 프리 2위로 북미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2.6. 2016-17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인 네벨혼 트로피와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서 모두 은메달을 따면서 시즌을 시작하였다. 2016 스케이트 캐나다에선 쇼트와 총점에서 개인 최고점을 세우며 2년 만에 복귀한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조에 뒤이어 2위를 하였고, 2016 로스텔레콤 컵에서도 2위를 하며 그랑프리 파이널에도 진출하여 6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2017 전미선수권에선 또 한번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조에 뒤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7 사대륙선수권에선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17 세계선수권에선 7위로 대회를 마무리하였고, 2017 월드 팀 트로피에선 개인 2위로 미국 팀이 동메달을 따는데 기여하였다.

2.7. 2017-18 시즌[편집]


2017 컵 오브 차이나2017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 참가하여 모두 은메달을 획득하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에선 5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올림픽 출전 선수를 결정하는 2018 전미선수권에선 메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조와 0.52점,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조와 0.33점 차이로 3위를 하며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선 쇼트에서 75.45점으로 7위를 하였지만, 프리 연기 도중 스핀 도입에서 두 선수 모두 넘어지며 100.13점으로 12위를 하여 총점 175.58점으로 9위를 하였다. 3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2018 세계선수권에선 5위를 하며 올림픽 시즌을 마무리했다.

시즌이 끝나고 코치를 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으로 변경하였다.

2.8. 2018-19 시즌[편집]


척의 발목 부상으로 인해 2018 그랑프리 오브 헬싱키2018 로스텔레콤 컵을 기권하고 MNNT 컵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하며 복귀를 알렸다. 2019 전미선수권에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함에 따라 사대륙선수권과 세계선수권에 출전하게 되었다. 2019 사대륙선수권에선 리듬에서 국제대회 처음으로 80점을 넘기며 81.17점으로 메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조와 0.78점 차이로 2위를 했지만, 프리에선 126.25점으로 개인 최고점으로 첫 사대륙선수권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일본 사이타마에서 개최된 2019 세계선수권에선 쇼트에서 82.32점으로 6위를 하였고 프리에서 122.60점으로 6위를 함에 따라 총점 204.92점으로 최종 6위로 대회를 마쳤다.

2.9. 2019-20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U.S. 인터내셔널 클래식과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우승했다.
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서는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조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 2019 컵 오브 차이나에서는 빅토리아 시니치나 / 니키타 카찰라포프 조에 이어 은메달을 따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2019-20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프리 댄스와 총점에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은메달을 땄다.

2020 전미선수권에서는 5년 만에 내셔널 우승을 차지하고 2020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작년에 이어 2연패를 달성했다.

2.10. 2020-21 시즌[편집]


2020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배정받았으나 척의 부상으로 기권했다. 시즌 첫 대회로 2020 전미선수권에 참가하고 메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조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

3.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ISU 공인 최고점수
리듬85.76(2020 사대륙선수권)
프리129.01(2019-20 그랑프리 파이널)
총점213.18(2020 사대륙선수권)

4. 프로그램[편집]


시즌리듬(RD)프리(FD)갈라(EX)
2020-2021 Blues: Too Darn Hot,
Quickstep: Too Darn Hot,
Swing: Too Darn Hot
by Cole Porter
Yearning
by Raul Ferrando,
Sahara Nights
by DJ Quincy,
Layali Al-Sharq
by Al-Ahram Orchestra
These Boots Are Made For Walking
by 제시카 심슨
2019-2020
2018-2019 Flamenco: Dinner,
Tango: Assassin's Tango
by John Powell
Fever
by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부블레,
Burning Love
by 엘비스 프레슬리
Santa María(del Buen Ayre)
by Gotan Project
쇼트(SD)프리(FD)갈라(EX)
2017-2018 Salsa: Aguanile,
Rhumba: Qué Lío,
Samba: Vivir Mi Vida
by Marc Anthony
Imagine (mix)
by 존 레논
Santa María
by Gotan Project
2016-2017 Blues: Bad to the Bone
by George Thorogood,
Hip Hop: Uptown Funk!
by 마크 론슨, 브루노 마스
Under Pressure
by 데이비드 보위,
Under Pressure
by 데이비드 보위,
Tango (Santa María)
by Gotan Project
Everybody's Free (to Wear Sunscreen)
by Baz Luhrmann
Haunted
by 비욘세
2015-2016 Foxtrot: More
by 안드레아 보첼리,
Waltz: Unchained Melody
by Il Divo
Piano Concerto No. 2
by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
Adagio
Allegro
Everybody's Free (to Wear Sunscreen)
by Baz Luhrmann
Waltz and Polka: Dark Eyes
by André Rieu, Johann Strauss Orchestra
Haunted
by 비욘세
2014-2015 돈키호테
by 루드비히 밍쿠스
An American in Paris
by 조지 거슈윈
Interrupted Flight
by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2013-2014 Hollywood
by The Puppini Sisters,
There's No Business Like Show Business
by Irving Berlin
레 미제라블
by 클로드 미셸 쇤베르그
Young and Beautiful
by 라나 델 레이
2012-2013 Quidam
by 태양의 서커스
닥터 지바고 OST
by 모리스 자르
2011-2012 Chica Chica Boom Chick,
Unknown,
Boom Diggy Diggy
Prelude in E minor
by 프레데리크 쇼팽

5. 커리어 [편집]


세계선수권
은메달2015 상하이아이스 댄스
동메달2016 보스턴아이스 댄스
사대륙선수권
금메달2019 애너하임아이스 댄스
금메달2020 서울아이스 댄스
은메달2015 서울아이스 댄스
은메달2016 타이베이아이스 댄스
동메달2013 오사카아이스 댄스
동메달2017 강릉아이스 댄스
그랑프리 파이널
은메달2014-15 바르셀로나아이스 댄스
은메달2015-16 바르셀로나아이스 댄스
은메달2019-20 토리노아이스 댄스
월드 팀 트로피
금메달2013 도쿄단체전
금메달2015 도쿄단체전
동메달2017 도쿄단체전

국제대회
대회11–1212–1313–1414–1515–1616–1717–1818–1919–2020–21
올림픽8th9th
세계선수권7th5th2nd3rd7th5th6thC
사대륙선수권3rd2nd2nd3rd1st1st
GP 파이널2nd2nd6th5th2nd
GP 헬싱키WD
GP 스케이트 아메리카1st1stWD
GP 로스텔레콤 컵3rd1st2ndWD
GP 컵 오브 차이나4th3rd2nd2nd2nd
GP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5th2nd2nd
GP 스케이트 캐나다4th2nd
CS 핀란디아 트로피1st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1st
CS 네펠라 트로피2nd
CS 네벨혼 트로피2nd1st2nd
MNNT 컵1st
네벨혼 트로피1st
U.S. 인터내셔널 클래식4th
핀란디아 트로피3rd2nd
국내대회
전미선수권5th2nd2nd1st2nd2nd3rd2nd1st2nd
단체전
월드 팀 트로피1st T
1st P
1st T
3rd P
3rd T
2nd P
팀 챌린지 컵1st T
2nd P
GP=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C=취소,
T=팀 결과, P=개인 결과

5.1. 대회 별 상세 점수[편집]


2020–21 시즌
날짜대회리듬프리합계
2021.01.11-212021 전미선수권1
90.10
2
132.83
2
222.93
2019–20 시즌
날짜대회리듬프리합계
2020.02.04-092020 사대륙선수권2
85.76
1
127.42
1
213.18
2020.01.20-262020 전미선수권1
87.63
1
134.23
1
221.86
2019.12.05-082019-20 그랑프리 파이널3
81.67
2
129.01
2
210.68
2019.11.08-102019 컵 오브 차이나2
80.34
1
128.21
2
208.55
2019.11.01-03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2
80.69
2
124.15
2
204.84
2019.10.11-132019 CS 핀란디아 트로피1
78.80
1
119.46
1
198.26
2019.09.17-222019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1
80.18
1
122.22
1
202.40
2018–19 시즌
날짜대회리듬프리합계
2019.03.18-242019 세계선수권6
82.32
6
122.60
6
204.92
2019.02.07-102019 사대륙선수권2
81.17
1
126.25
1
207.42
2019.01.19-272019 전미선수권2
82.33
2
129.19
2
211.52
2019.01.08-132019 MNNT컵1
75.30
1
122.12
1
197.42
2017–18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8.03.21-242018 세계선수권5
75.66
5
111.62
5
187.28
2018.02.19-202018 평창 동계올림픽7
75.45
12
100.13
9
175.58
2018.01.05-072018 전미선수권3
77.61
1
118.99
3
196.60
2017.12.07-102017-18 그랑프리 파이널5
74.36
3
112.79
5
187.15
2017.11.17-192017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2
73.55
2
108.30
2
181.85
2017.11.03-052017 컵 오브 차이나2
72.66
2
111.84
2
184.50
2016–17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7.04.20-232017 월드 팀 트로피1
79.05
2
109.96
3T/2P
189.01
2017.03.29-04.022017 세계선수권4
76.25
8
105.79
7
182.04
2017.02.15-192017 사대륙선수권3
74.67
3
110.91
3
185.58
2017.01.14-222017 전미선수권2
79.96
1
119.08
2
199.04
2016.12.09-102016-17 그랑프리 파이널6
70.87
4
108.45
6
179.32
2016.11.04-062016 로스텔레콤 컵1
75.04
3
107.09
2
182.13
2016.10.28-302016 스케이트 캐나다2
76.21
1
112.03
2
188.24
2016.09.30-10.022016 CS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1
72.72
2
98.20
2
170.92
2016.09.22-242016 CS 네벨혼 트로피2
70.78
2
108.40
2
179.18
2015–16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6.04.22-242016 팀 챌린지 컵-2
111.30
1T/2P
2016.03.28-04.032016 세계선수권3
72.46
3
113.31
3
185.77
2016.02.16-212016 사대륙선수권4
67.05
2
107.59
2
174.64
2016.01.15-242016 전미선수권1
75.14
2
111.79
2
186.93
2015.12.10-132015-16 그랑프리 파이널2
71.64
3
105.91
2
177.55
2015.11.05-082015 컵 오브 차이나2
65.36
2
103.80
2
169.16
2015.10.23-252015 스케이트 아메리카1
70.56
1
102.66
1
173.22
2015.09.24-262015 CS 네벨혼 트로피1
67.74
1
101.76
1
169.50
2014–15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5.04.16-192015 월드 팀 트로피2
72.17
3
102.24
1T/3P
174.41
2015.03.23-292015 세계선수권1
74.47
2
106.87
2
181.34
2015.02.09-152015 사대륙선수권1
70.38
2
105.80
2
176.18
2015.01.18-252015 전미선수권1
73.95
1
111.11
1
185.06
2014.12.11-142014-15 그랑프리 파이널2
65.06
2
102.03
2
167.09
2014.11.14-162014 로스텔레콤 컵1
68.86
1
105.42
1
174.28
2014.10.24-262014 스케이트 아메리카1
68.96
1
102.07
1
171.03
2014.09.24-272014 CS 네벨혼 트로피2
62.80
1
100.93
2
163.73
2013–14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4.03.24-302014 세계선수권5
67.71
4
99.88
5
167.59
2014.02.16-172014 소치 동계올림픽8
65.46
8
99.18
8
164.44
2014.01.05-122014 전미선수권2
73.41
2
108.03
2
181.44
2013.11.22-242013 로스텔레콤 컵4
57.80
3
95.57
3
153.37
2013.11.01-032013 컵 오브 차이나3
56.77
3
93.76
3
150.53
2013.10.04-062013 핀란디아 트로피2
53.34
2
89.72
2
143.06
2012–13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3.04.11-142013 월드 팀 트로피1
66.54
1
98.37
1T/1P
164.91
2013.03.11-172013 세계선수권7
66.74
6
97.19
7
163.93
2013.02.08-112013 사대륙선수권3
65.44
5
94.98
3
160.42
2013.01.05-122013 전미선수권2
70.80
2
105.11
2
175.91
2012.11.02-042012 컵 오브 차이나4
59.26
4
90.28
4
149.54
2012.09.27-292012 네벨혼 트로피2
56.97
1
90.82
1
147.79
2012.09.13-152012 U.S. 클래식1
62.89
5
76.95
4
139.84
2011–12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2.01.22-292012 전미선수권5
55.49
5
89.59
5
145.08
2011.11.17-202011 트로피 에릭 봉파르5
52.01
5
78.93
5
130.94
2011.10.27-302011 스케이트 캐나다6
51.24
4
84.67
4
135.10
2011.10.06-092011 핀란디아 트로피3
53.91
3
82.97
3
136.88

6. 관련 문서[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