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의회

덤프버전 : (♥ 0)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회
釜山廣域市議會 | Busan Metroplitan Council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소재지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 (연산동)
구성단원제, 다당제
개회1952년 4월 25일[1]
1991년 7월 8일[2]
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안성민 (영도구 제1선거구)
부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중묵 (동래구 제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대석 (부산진구 제2선거구)
사무처장김경덕
시의원파일:제9회 부산광역시의회 의석수(240316).svg
정원 47석 중 재적 47인 (제9대 의회)

시장 소속 정당
국민의힘(43석)
그 외 원내정당
더불어민주당(3석)
무소속(1석)

(2024년 6월 9일 기준)
최근 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차기 선거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6년)
홈페이지부산광역시의회 홈페이지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
2.1. 의석변동
2.1.1. 제 9대 부산광역시의회
3. 상세
4. 사건 사고
4.1. 부산광역시 간부의 무성의한 답변 태도
4.2. 이동호 의원 환경미화원 비난
4.3. 선거법 위반
5. 의석 수
6. 의장
7. 부의장
8. 역대 의장단
10. 역대 부산광역시의회
11.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지방의회다.

의사당 본관은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 (연산동)에 위치해 있다.

현 부산광역시의회(제9대 부산광역시의회)는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때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2.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편집]



2.1. 의석변동[편집]



2.1.1. 제 9대 부산광역시의회[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22년 6월 1일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무소속47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45석2석0석
2023년 9월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무소속47석
강달수
국민의힘 탈당
44석2석1석
2023년 10월 17일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공석46석
무소속 강달수
의원직 사직
44석2석1석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24년 3월 23일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무소속공석46석
박철중
국민의힘 탈당
43석2석1석1석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24년 4월 10일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무소속47석
2024년 4월 재보궐선거43석3석1석

3. 상세[편집]


부산이 지방의회를 처음 구성한 것은 1952년으로, 그해 지방선거 때 선출한 제1대 경상남도 부산시의회이다.[3]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전국의 지방의회가 강제 해산되면서 부산시의회도 함께 사라졌다. 그러다 민주화 이후 1991년 지방선거가 되어서야 부산시민의 직접선거로 시의회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3당합당으로 인한 보수 우위의 정치 구도와 소선거구제가 20년 이상 지속되어 부산시의회는 선거 때마다 보수정당이 의석 정원의 대부분을 가져간다. 2014년 치러진 6회 지선에서도 보수45 진보2의 극단적 보수 우위의 구도가 바뀌지 않았다.[4]

그러나, 2018년 6월 13일 치러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총 47석 중 41석을 가져가며 완승을 거뒀다. 자유한국당은 고작 6석을 가져가며 참패했으며 바른미래당정의당 등 소수정당은 단 한 석도 건지지 못했다. 참고로 그 후 자유한국당의 김종한 시의원이 자유한국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면서 자유한국당은 5석으로 의석이 더 줄었다.

지방자치제를 재실시한 23년 동안 민주당계 정당이 부산광역시의회 선거에서 압승을 거둔 것은 처음이다. 그러나, 2021년 부산시장 재보선에서 부산의 205개 행정동 중 205개동 모두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승리하면서 8회 지선에서는 국민의힘이 다시 단독과반을 얻으면서, 원내1당 지위를 되찾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민주당은 교섭단체 지위를 걱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2022년 6월 1일 치러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총 47석 중 45석을 가져가며 완승하였다. 이로 인해 부산시의회는 2018년 이전의 보수정당 독식 구도로 되돌아가게 되었다.

한편 2019년 12월 16일, 자유한국당 소속 오은택 시의원이 제21대 총선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하면서 자유한국당이 부산광역시의회의 원내 교섭단체 지위를 상실했다. 부산시의회에서는 교섭단체 기준이 5석인데, 오 의원의 사퇴로 인해 자유한국당의 의석이 5석에서 4석으로 감소한 바람에, 그야말로 부산 지역 정치 사상 초유의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한 지역 정가 관계자는 "부산시의회 의석을 독식해왔던 자유한국당이 교섭단체 지위 상실을 걱정할 줄은 몰랐다"며 "민심의 무서움과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고. #

이후 2020년 재보궐선거 부산광역시 남구 제2선거구 시의원 선거에서 미래통합당 김광명 후보가 승리하면서 미래통합당의 의석이 5석으로 다시 늘어났다.


4. 사건 사고[편집]



4.1. 부산광역시 간부의 무성의한 답변 태도[편집]


  • 더불어민주당(당시 시정야당)의 정명희 시의원이 한 질의에 대해 김병기 문화관광국장이 보인 무성의한 답변 태도가 논란이 됐다. 보다못한 여당출신(새누리당) 김수용 예결특위원장조차 국장의 태도를 지적할 정도였다.기사 영상

4.2. 이동호 의원 환경미화원 비난[편집]



4.3. 선거법 위반[편집]


  • 부산시의회가 정책연구용역을 하면서 선거 여론조사를 했는데, 시민들의 정책 만족도를 파악하겠다면서 정당지지도와 대통령 지지도를 물었는데, 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법 위반'이라고 결론냈다. #

5. 의석 수[편집]


부산광역시의회 의석
(총 재적 47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43석3석1석

부산광역시의회에서는 인구에 따라서 한 기초자치단체당 최소 1석에서 최대 4석의 의석을 배정하고 있으며, 이외 비례대표도 5석이 존재한다.

8회 지선에서는 지역구 전 의석을 시정여당인 국민의힘 이 획득했으며, 비례대표 2석만을 더불어민주당 이 획득했다. 그러나 강달수 의원의 궐위로 열린 2024년 4월 재보궐선거 에서 더불어민주당 전원석 후보가 당선되어 지역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 1석을 확보하게 되었다.

6. 의장[편집]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1대 의회
전,후
제2대 의회
제2대 의회
제3대 의회
전,후
우병택도종이도종이이종만권영적
제4대 의회
제4대 의회
제5대 의회
제5대 의회
이영조길우조길우조길우제종모
제6대 의회
제6대 의회
제7대 의회
제7대 의회
제종모김석조이해동백종헌
제8대 의회
제8대 의회
제9대 의회
박인영신상해안성민
파일:제9대부산광역시의회슬로건.jpg[각주]



의회대수이름임기선출 당시 정당
1우병택1991년 7월 8일 ~ 1993년 7월 7일
ta-hash-start=w-4dcf435435894a4d0972046fc566af76[[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3년 7월 8일 ~ 1995년 6월 30일
2도종이1995년 7월 10일 ~ 1997년 1월 7일
1997년 1월 8일 ~ 1997년 4월 7일[5]
이종만1997년 4월 8일 ~ 1998년 6월 30일
3권영적1998년 7월 9일 ~ 2000년 7월 8일
2000년 7월 9일 ~ 2002년 6월 30일
4이영2002년 7월 9일 ~ 2004년 2월 14일[6]
조길우2004년 2월 20일 ~ 2004년 7월 8일
2004년 7월 8일 ~ 2006년 6월 30일
52006년 7월 5일 ~ 2008년 7월 4일
제종모2008년 7월 5일 ~ 2010년 6월 30일
62010년 7월 6일 ~ 2012년 6월 30일
김석조2012년 7월 3일 ~ 2014년 6월 30일
7이해동2014년 7월 8일 ~ 2016년 7월 7일
백종헌2016년 7월 8일 ~ 2018년 6월 30일
8박인영2018년 7월 10일 ~ 2020년 6월 30일
신상해2020년 7월 1일 ~ 2022년 4월 25일[7]
9안성민2022년 7월 5일 ~ 현재

7. 부의장[편집]




8. 역대 의장단[편집]


















9. 선거구[편집]




10. 역대 부산광역시의회[편집]


1952년 지방선거(제1대 경상남도 부산시의회[기초]) 결과
(총 재적 35석)
5석4석2석24석

1956년 지방선거(제2대 경상남도 부산시의회[기초]) 결과
(총 재적 29석)
3석1석1석24석

1960년 지방선거(제3대 경상남도 부산시의회[기초]) 결과
(총 재적 29석)
9석3석17석

1991년 지방선거(제1대 부산직할시의회) 결과
(총 재적 51석)
50석1석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2대 부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61석)
54석2석5석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3대 부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49석)
46석2석1석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대 부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44석)
42석1석1석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5대 부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47석)
45석1석1석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6대 부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53석)
교육의원
40석2석5석6석
부산에서 교육의원 직선제가 시행된 유일한 선거다. 교육의원은 각 지역 광역의회에 소속되며 정당 가입이 금지된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대 부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47석)
45석2석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대 부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47석)
41석6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9대 부산광역시의회) 결과
(총 재적 47석)
45석2석

11. 관련 문서[편집]




[1] 초대 경상남도 부산시의회 의원선거[2] 제1대 부산직할시의회 개원.[3] 당시에는 부산이 경남도 산하 시군이라서 기초의회였다.[4] 민선 3기 부산시의회때 일부 한나라당 의원들이 열린우리당으로 이적하여 교섭단체를 구성한 적이 있었으나 선거로 이루어진 것이 아닌 인위적인 정계개편으로 이루어진 과정이다.[5] 임기 중 사퇴.[6] 17대 총선 출마를 위한 사퇴.[7] 8회 지선 사상구청장 출마를 위한 사퇴.[기초] A B C 지금의 기초자치단체의회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