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멘 사르키샨

덤프버전 :






파일:Armen_Sarkissian.jpg
아르메니아어 성명
Արմեն Վարդանի Սարգսյան
영문 성명
Armen Vardani Sargsyan
한글 성명
아르멘 바르다니 사르키샨
출생
1953년 6월 23일 (70세)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예레반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예레반
국적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53년 6월 23일- 1991년 12월 26일)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1991년 12월 26일 - 현재)
학력
예레반 주립대학교
가족
아내:Nouneh Sarkissian
슬하: 2명
종교
오리엔트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1]
정당

[[무소속|
무소속
]]

서명
파일:아르멘 사르키샨 서명.svg
약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제5대 아르메니아 총리(1996년 11월 4일 - 1997년 3월 20일)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주 영국 아르메니아 공화국 대사(1998년 - 2018년 4월 8일)
파일:아르메니아 대통령 문장.png 제4대 아르메니아 대통령(2018년 4월 9일 - 2022년 1월 23일)

신체
176cm
1. 개요
2. 생애
2.1. 아르메니아 대통령
3. 기타



1. 개요[편집]


아르멘 사르키샨은 아르메니아의 4대 대통령이다.


2. 생애[편집]


부모님은 터키 출신 이민자이다. 예레반 주립대학교에서 이론물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학자로 활동하였다. 모교 교수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객원연구원, 교수를 역임하였다. 1991년부터 1996년까지 외교관으로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활동했고 1996년, 총리로 재임하다가 건강 문제를 이유로[2] 4개월만에 사임했다. 1998년부터 2년간 유럽부흥개발은행 총재를 맡았고, 2018년까지 많은 학교 , 학회, 연구 기관의 명예직을 맡았다. 그리고 2018년 대선에 출마하였다.


2.1. 아르메니아 대통령[편집]


단독 후보로 대선에 출마하였고 국회의 인준을 받아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아르메니아는 의원내각제이므로 사르키샨 대통령은 실권이 없는 명예직에 가깝다.

터키의 에르도안 대통령과 아르메니아인 대학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한편 , 외교를 통해 러시아와 EU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며 아르메니아를 중앙아시아의 금융중심지로 만드려고 시도했다.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이 터지자, 사르키샨 대통령은 유럽연합 국가들에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러시아한테 지원을 요청하고 러시아와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니콜 파시냔 총리와의 역할 분담 차원인 것으로 보인다.

2021년 2월 28일 샤르키샨 대통령이 총리 니콜 파시냔의 총참모장 오닉 가스파랸 해임 제청을 거절했다. 사실상 대통령이 총리에게 반기를 든 행위로 정부의 내부 갈등이 심화되었다.#

그러나 이후 니콜 파시냔의 뜻에 따라 오닉 가스파랸 해임을 승인하고 이후 파시냔이 총선에서 다시 승리하자 그를 총리에 재임명하였다.

2022년 1월 23일. 국가적 위기 국면에서 중요한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현실에 대해 답답함을 토로하며 조기 사임을 발표했다.

3. 기타[편집]


테트리스 파생작 워드트리스(Wordtris)를 세르게이 우트킨, 뱌체슬라프 초이와 공동 개발하였다.

2020년 11월 10일부로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이 아르메니아의 패배로 끝나면서 니콜 파시냔 총리와 함께 향후 퇴진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높았지만 파시냔이 다시 총선에서 승리하여 정치적 재기에 성공하므로서 그도 압박에서 벗어났다.

영국에 다녀온 후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러자 니콜 파시냔 아르메니아 총리도 자가격리 통보를 받고 수상관저에 격리됐다.

3월 13일 완치돼 업무에 복귀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6:17:13에 나무위키 아르멘 사르키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 링크 마지막에 우리의 교회(our church)라고 말하는데, 아르메니아인으로서 우리의 교회는 즉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를 말하므로 사도 교회 신자로 추정.[2] 사실은 당시 국방장관(세르지 사르키샨)과의 알력 싸움 때문이라는 의견이 신빙성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