現
(♥ 0)
1. 개요[편집]
現은 '나타날 현'이라는 한자로, '나타나다', '지금(只今)'을 뜻한다.
2. 상세[편집]
이 글자는 見(볼 견) 자에서 분화된 글자다. 원래 見 자는 다음자로, '보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見모로, '보이게 하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匣모로 읽었다. 이 가운데 匣모로 읽을 때 見 자 옆에 玉(구슬 옥) 자를 더한 것이 지금의 現 자다. 이 잔재로, 알현(謁見)이라는 단어에서 見은 '현'으로 읽는다.
'나타난다'라는 글 자체로 보면 顯과 한국에서 훈음이 같으며, 둘 다 '나타나다', '드러내 보이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그러나 現에는 추가적으로 '지금', '현재'라는 뜻이 있고, 顯에는 '두드러지다', '뚜렷하다', '분명하다'라는 뜻이 있다. 또한 중국에서 現은 거성으로, 顯은 상성으로 읽는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구현(具現)
- 발현(發現)
- 실현(實現)
- 재현(再現)
- 출현(出現)
- 표현(表現)
- 현가(現價)
- 현금(現金)
- 현대(現代)
- 현물(現物)
- 현상(現象/現狀)
- 현생(現生)
- 현세(現世)
- 현시(現時)
- 현신(現身)
- 현실(現實)
- 현역(現役)
- 현장(現場)
- 현재(現在)
- 현존(現存)
- 현주소(現住所)
- 현지(現地)
- 현직(現職)
- 현찰(現札)
- 현태(現態)
- 현행(現行)
- 현황(現況)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기타[편집]
- 삼청태현(三靑太現)
- 현강(現講): '현장 강의'의 준말
- 현남친(現男親), 현여친(現女親)
- 현부심(現不審)
- 현차(現車)
- 大島優子卒業コンサート in 味の素スタジアム~6月8日の降水確率56%(5月16日現在)、てるてる坊主は本当に効果があるのか?~: 오오시마 유코의 졸업 콘서트명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粯(쌀가루 간)
- 覡(박수 격)
- 涀(강이름 견)
- 挸(닦을 견)
- 䅐(작게묶은단 견)
- 梘(홈통 견)
- 覯(만나볼 구)
- 覲(뵐 근)
- 䚒(어두울 당)
- 覒(가릴 모)
- 視(볼 시)
- 覾(살필 심)
- 硯(벼루 연)
- 䚍(볼 적)
- 靦(부끄러울 전)
- 靚(단장할 정)
- 麲(보릿가루 한)
- 峴(고개 현)
- 睍(눈불거질 현)
- 蜆(도롱이벌레 현)
- 誢(말다툼할 현)
- 䏹(배 현)
- 俔(엿볼 현)
- 鋧(작은끌 현)
- 垷(진흙 현)
- 𧠒(큰널빤지 현)
- 哯(토할 현)
- 䧋(한정할 현)
- 晛(햇살 현)
- 娊(허리가늘 현)
- 䩤(쇠다리묶을 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