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제프 하이든/작품 목록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요제프 하이든

2. 관현악곡
3. 협주곡
5. 피아노 3중주
6. 피아노 소나타
7. 피아노곡
8. 미사



1. 교향곡[편집]


총 106곡. 82~87번 6곡은 '파리 교향곡집', 93~104번 12곡은 '런던 교향곡집'으로 칭하기도 한다.

  • 교향곡 1번 D장조 (1759)
  • 교향곡 2번 C장조 (1757~61 사이로 추정)
  • 교향곡 3번 G장조 (1760~62 사이로 추정)
  • 교향곡 4번 D장조 (1757~61 사이로 추정)
  • 교향곡 5번 A장조 (1760~62 사이로 추정)
  • 교향곡 6번 D장조 '아침(Le matin)' (1761)
  • 교향곡 7번 C장조 '낮(Le midi)' (1761)
  • 교향곡 8번 G장조 '밤(Le soir)' (1761)
  • 교향곡 9번 C장조 (1762)
  • 교향곡 10번 D장조 (1757~61 사이로 추정)
  • 교향곡 11번 Eb장조 (1760~62 사이로 추정)
  • 교향곡 12번 E장조 (1763)
  • 교향곡 13번 D장조 (1763)
  • 교향곡 14번 A장조 (1761~63 사이로 추정)
  • 교향곡 15번 D장조 (1760~63 사이로 추정)
  • 교향곡 16번 Bb장조 (1757~61 사이로 추정)
  • 교향곡 17번 F장조 (1757~63 사이로 추정)
  • 교향곡 18번 G장조 (1757~64 사이로 추정)
  • 교향곡 19번 D장조 (1757~61 사이로 추정)
  • 교향곡 20번 C장조 (1762경)
  • 교향곡 21번 A장조 (1764)
  • 교향곡 22번 Eb장조 '철학자(Der Philosoph)' (1764) - 두 종류의 판본이 존재하며, 제2판은 제1판과 달리 3악장제를 택하고 있다. 또한 오보에 대신 잉글리시 호른 2대가 편성되었다.
  • 교향곡 23번 G장조 (1764)
  • 교향곡 24번 D장조 (1764)
  • 교향곡 25번 C장조 (1761~63 사이로 추정)
  • 교향곡 26번 D단조 '탄식(Lamentatione)' (1768 또는 1769)
  • 교향곡 27번 G장조 (1760 이전으로 추정)
  • 교향곡 28번 A장조 (1765)
  • 교향곡 29번 E장조 (1765)
  • 교향곡 30번 C장조 '할렐루야(Alleluia)' (1765)
  • 교향곡 31번 D장조 '호른 신호(Mit dem Hornsignal)' (1765)
  • 교향곡 32번 C장조 (1757~63 사이로 추정)
  • 교향곡 33번 C장조 (1760~61 또는 1763~65)
  • 교향곡 34번 D단조 (1765)
  • 교향곡 35번 Bb장조 (1767)
  • 교향곡 36번 Eb장조 (1760년대 상반기)
  • 교향곡 37번 C장조 (1758경)
  • 교향곡 38번 C장조 '메아리(Echo)' (1765~69 사이로 추정)
  • 교향곡 39번 G단조 (1767~68)
  • 교향곡 40번 F장조 (1763경)
  • 교향곡 41번 C장조 (1769경)
  • 교향곡 42번 D장조 (1771경)
  • 교향곡 43번 Eb장조 '메르쿠리우스(Merkur)' (1771경)
  • 교향곡 44번 E단조 '슬픔(Trauer)' (1772)
  • 교향곡 45번 F#단조[1] '고별(Abschied)' (1772)
  • 교향곡 46번 B장조 (1772)
  • 교향곡 47번 G장조 (1772)
  • 교향곡 48번 C장조 '마리아 테레지아(Maria Theresia)' (1768~69) - 이 곡은 에스테르하지 궁을 방문한 마리아 테레지아에게 헌정한 곡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고 이런 별명이 붙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작곡 시기나 그 구성으로 봤을 때 마리아 테레지아에게 실제로 헌정된 곡은 교향곡 제50번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하이든의 합스부르크 헌정곡 No.1
  • 교향곡 49번 F단조 '수난(La passione)' (1768)
  • 교향곡 50번 C장조 (1773~74)
  • 교향곡 51번 Bb장조 (1773~74)
  • 교향곡 52번 C단조 (1771~72)
  • 교향곡 53번 D장조 '제국(L'Impériale)' (1778~79) - 적어도 세 종류의 4악장 대체본이 존재하고 있다.
  • 교향곡 54번 G장조 (1774)
  • 교향곡 55번 E플랫장조 '교장(Der Schulmeister)' (1774경)
  • 교향곡 56번 C장조 (1774경)
  • 교향곡 57번 D장조 (1774)
  • 교향곡 58번 F장조 (1774)
  • 교향곡 59번 A장조 '(Feuer)' (1769경)
  • https://ko.wikipedia.org/wiki/교향곡_60번_(하이든) '정신나간 사람(Il distratto)' (1774 또는 1775)
  • 교향곡 61번 D장조 (1776)
  • 교향곡 62번 D장조 (1780~81)
  • 교향곡 63번 C장조 '록슬란(La Roxelane)' (1779~81 사이로 추정) - 두 종류의 판본이 존재하고 있다.
  • 교향곡 64번 A장조 '시간의 변화(Tempora mutantur)' (1773~75 사이로 추정)
  • 교향곡 65번 A장조 (1778경)
  • 교향곡 66번 Bb장조 (1775~76?)
  • 교향곡 67번 F장조 (1779경)
  • 교향곡 68번 Bb장조 (1779경)
  • 교향곡 69번 C장조 '라우돈(Laudon)' (1779경)
  • 교향곡 70번 D장조 (1779경)
  • 교향곡 71번 Bb장조 (1780경)
  • 교향곡 72번 D장조 (1763~65 사이로 추정)
  • 교향곡 73번 D장조 '사냥(La chasse)' (1782)
  • 교향곡 74번 Eb장조 (1780~81)
  • 교향곡 75번 D장조 (1779~81 사이로 추정)
  • 교향곡 76번 Eb장조 (1782)
  • 교향곡 77번 Bb장조 (1782)
  • 교향곡 78번 C단조 (1782)
  • 교향곡 79번 F장조 (1784)
  • 교향곡 80번 D단조 (1784)
  • 교향곡 81번 G장조 (1784)
  • 교향곡 82번 C장조 '(L'Ours)' (1786)
  • 교향곡 83번 G단조 '암탉(La Poule)' (1785)
  • 교향곡 84번 Eb장조 (1786)
  • 교향곡 85번 Bb장조 '왕비(La Reine)' (1785~86) - 하이든의 파리 체류 기간 중 작곡된 파리 교향곡집 중 하나로, 마리 앙투아네트가 이 음악을 특히 좋아하여 이런 부제가 붙었다고 전해진다. 하이든의 합스부르크 헌정곡 No.2
  • 교향곡 86번 D장조 (1786)
  • 교향곡 87번 A장조 (1786)
  • https://ko.wikipedia.org/wiki/교향곡_88번_(하이든) (1787)
  • 교향곡 89번 F장조 (1787)
  • 교향곡 90번 C장조 (1788)
  • 교향곡 91번 Eb장조 (1788)
  • https://ko.wikipedia.org/wiki/교향곡_92번_(하이든) '옥스포드(Oxford)' (1789)
  • 교향곡 93번 D장조 (1791)
  • 교향곡 제94번 G장조 '놀람(Surprise)' (1791) - 독일어권에서는 '팀파니 치기(Mit dem Paukenschlag)'라고도 불린다.
  • 교향곡 95번 C단조 (1791)
  • 교향곡 96번 D장조 (1791)
  • 교향곡 97번 C장조 (1792)
  • 교향곡 98번 Bb장조 [2] (1792)
  • 교향곡 99번 Eb장조 [3] (1793)
  • https://ko.wikipedia.org/wiki/교향곡_100번_(하이든) '군대(Militär)' (1793~94)
  • 교향곡 101번 D장조 '시계(Die Uhr)' (1793~94)[4]
  • 교향곡 102번 Bb장조 (1794)
  • 교향곡 103번 Eb장조 '팀파니 연타(Mit dem Paukenwirbel)' [5] (1795) - 4악장을 약간 늘린 대체본이 존재한다.
  • 교향곡 104번 D장조 '런던(London)' (1795)
  • 오보에, 바순, 바이올린첼로를 위한 협주 교향곡(신포니아 콘체르탄테) B플랫장조 (1792) - 엄밀히 따지면 교향곡은 아니지만, 종종 105번이라는 번호를 부여받고 교향곡 목록에 편입되기도 한다.
  • 오페라 '어부(La Pescatrici)' 中 신포니아 - 호보켄 번호로는 106번이다.
  • 교향곡 'A' Bb장조 (1757~60 사이로 추정) - 104곡의 교향곡 목록이 나온 뒤에 발견된 곡. 호보켄 번호로는 107번이다.
  • 교향곡 'B' Bb장조 (1757~60 사이로 추정) - 역시 교향곡 목록이 나온 뒤에 발견된 곡. 호보켄 번호로는 108번이다.

2. 관현악곡[편집]


  • 가상칠언(Die sieben letzten Worte unseres Erlösers am Kreuze) - 예수십자가형을 당하며 남긴 7가지의 유언을 주제로 한 작품. 유언의 앞과 뒤에 서곡과 지진 묘사 음악이 붙어있기 때문에 실제 곡 수는 9곡이다. 이후 오라토리오현악 4중주용으로도 편곡되었고, 오라토리오판의 경우 4번째 유언과 5번째 유언 사이에 추가로 관현악 간주곡이 들어가 10곡이 되었다.


3. 협주곡[편집]


  • 오르간 협주곡 - 간혹 쳄발로피아노로 연주하기도 한다.
    • 1번 C장조 (1756)
    • 2번 D장조 (위작. 1767년에 발다사레 갈루피가 작곡)
    • 3번 F장조 (1771)
    • 4번 G장조 (1770)
    • 5번 C장조 (1763)
    • 6번 F장조 (1766) - 바이올린이 독주부에 더해진 2중 협주곡
    • 7번 F장조 (1766)
    • 8번 G장조 (1766)
    • 9번 G장조 (1767)
    • 10번 C장조 (1771)
    • 11번 D장조 (1779~80)

3,4,11번만이 하이든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 바이올린 협주곡
    • 1번 C장조 (1765경)
    • 2번 D장조 (유실됨)
    • 3번 A장조 (1770경)
    • 4번 G장조 (1769)

  • 첼로 협주곡
    • 1번 C장조 (1761~65 사이로 추정)
    • 2번 D장조 (1783)
    • 3번 C장조 (유실)
    • 4번 D장조 (위작. 1772(추정)년 조반니 바티스타 코스탄치가 작곡)
    • 5번 C장조 (위작. 1899년 다비드 포퍼가 작곡)

  • 오보에 협주곡 C장조 (1790) - 하이든의 유일한 오보에 협주곡이다. 하지만 동생인 미하엘 하이든의 작품으로 의심되는 작품이다.

  • 호른 협주곡
    • 1번 D장조 (1762)
    • 2번 D장조 (1781경) (동생인 미하엘 하이든의 작품으로 의심됨)


  • 2대의 리라 오르가니차타를 위한 협주곡 (1786) - 악기가 사실상 사멸한 현대에는 플루트오보에 혹은 플루트 2대가 독주 악기로 대체되고 있다.
    • 1번 C장조
    • 2번 G장조
    • 3번 G장조
    • 4번 F장조
    • 5번 F장조


4. 현악 4중주[편집]



총 68곡. 구식 집계로는 83곡이지만, 위작으로 판명되거나 의심되는 작품들을 제외하고 새로 추린 숫자다.

  • 현악 4중주 Op.1 (1762~64)
    • 1번 Bb장조
    • 2번 Eb장조
    • 3번 D장조
    • 4번 G장조
    • 5번 Eb장조
    • 6번 C장조

  • 현악 4중주 Op.2 (1763~65)
    • 7번 A장조
    • 8번 E장조
    • 9번 F장조
    • 10번 Bb장조

  • 현악 4중주 Op.9 (1769)
    • 11번 D단조
    • 12번 C장조
    • 13번 G장조
    • 14번 Eb장조
    • 15번 Bb장조
    • 16번 A장조

  • 현악 4중주 Op.17 (1771)
    • 17번 F장조
    • 18번 E장조
    • 19번 C단조
    • 20번 D장조
    • 21번 Eb장조
    • 22번 G장조

  • 현악 4중주 Op.20 (1772) - 통칭 '태양 4중주곡집'
    • 23번 F단조
    • 24번 A장조
    • 25번 C장조
    • 26번 G단조
    • 27번 D장조
    • 28번 Eb장조

  • 현악 4중주 Op.33 (1781) - 통칭 '러시아 4중주곡집'
    • 29번 G장조
    • 30번 Eb장조 '농담(Der Scherz)'
    • 31번 B단조
    • 32번 C장조 '(Vogel)'
    • 33번 D장조
    • 34번 Bb장조

  • 현악 4중주 35번 D단조 Op.42 (1784)

  • 현악 4중주 Op.50 (1787) - 통칭 '프로이센 4중주곡집'
    • 36번 Bb장조
    • 37번 C장조
    • 38번 Eb장조
    • 39번 F#단조
    • 40번 F장조
    • 41번 D장조 '개구리(Frosch)'

  • 현악 4중주 Op.54 (1788) - 통칭 '토스트 4중주곡 제1집'. 에스테르하지 대공의 전속 관현악단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요한 토스트(Johann Tost)에게 헌정되어 붙은 이름이다.
    • 42번 C장조
    • 43번 G장조
    • 44번 E장조

  • 현악 4중주 Op.55 (1788) - 통칭 '토스트 4중주곡 제2집'
    • 45번 A장조
    • 46번 F단조 '면도칼(Rasiermesser)'
    • 47번 Bb장조

  • 현악 4중주 Op.64 (1790) - 통칭 '토스트 4중주곡 제3집'
    • 48번 C장조
    • 49번 B단조
    • 50번 Bb장조
    • 51번 G장조
    • 52번 Eb장조
    • 53번 D장조 '종달새(Lerche)'

  • 현악 4중주 Op.71 (1793) - 통칭 '아포니 4중주곡 제1집'. 하이든의 후원자였던 안톤 게오르크 아포니 백작에게 헌정되어 붙은 이름이다.
    • 54번 Bb장조
    • 55번 D장조
    • 56번 Eb장조

  • 현악 4중주 Op.74 (1793) - 통칭 '아포니 4중주곡 제2집'
    • 57번 C장조
    • 58번 F장조
    • 59번 G단조 '기수(Reiter)'

  • 현악 4중주 Op.76 (1796~97) - 통칭 '에르되디 4중주곡집'. 헝가리 백작이었던 요제프 에르되디에게 헌정되어 붙은 이름이다.
    • 60번 G장조
    • 61번 D단조 '5도(Quinte)'
    • 62번 C장조 '황제(Kaiser)' - 유럽 유랑을 끝내고 비엔나로 돌아온 하이든이 신성로마황제 프란츠 2세에게 헌정한 곡이다. 프란츠 2세는 음악군주로 불릴만큼 음악에 관심이 많았다. 2악장에서 훗날 독일 국가독일인의 노래가 되는 황제 찬가의 선율이 나온다. 이 선율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국가로 쓰이다가,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독일에서도 국가로 지정되었다. 이후 찬송가에도 "시온성과 같은 교회"(245)[6]의 곡조로 쓰였기 때문에 개신교인들에게 매우 친숙하다. 아무튼 자세한 설명은 독일인의 노래 항목 참조.하이든의 합스부르크 헌정곡 No.3
    • 63번 Bb장조 '일출(Sonnenaufgang)'
    • 64번 D장조
    • 65번 Eb장조

  • 현악 4중주 Op.77 (1799) - 통칭 '로브코비츠 4중주곡집' 보헤미아 출신 공작이었던 요제프 프란츠 막시밀리안 로브코비츠에게 헌정되어 붙은 이름이다.
    • 66번 G장조
    • 67번 F장조

  • 현악 4중주 68번 D단조 Op.103 (1803) -2악장과 3악장만 완성된 미완성 작품이다.


5. 피아노 3중주[편집]



현존작 기준 총 43곡. 호보켄의 초기 조사에서는 47곡이었지만, 그 중 2곡이 이그나츠 플레옐의 작품으로 밝혀져 제외되었다. 아래의 곡 번호는 이후 H.C. 로빈스 랜던이 새로 정리한 것이다.

  • 피아노 3중주 제1번 F장조 (1760~66 사이로 추정)
  • 피아노 3중주 제2번 C장조 (1760~66 사이로 추정)
  • 피아노 3중주 제3번 G장조 (1767)
  • 피아노 3중주 제4번 F장조 (1767)
  • 피아노 3중주 제5번 G단조 (1760~66 사이로 추정)
  • 피아노 3중주 제6번 F장조 (1760~66 사이로 추정) - 2악장의 대체본이 존재한다.
  • 피아노 3중주 제7번 G장조 (1760~67 사이로 추정)
  • 피아노 3중주 제8번 D장조 (1760~71 사이로 추정. 악보 소실 혹은 행방불명)
  • 피아노 3중주 제9번 D장조 (1771. 악보 소실 혹은 행방불명)
  • 피아노 3중주 제10번 A장조 (1764~71 사이로 추정)
  • 피아노 3중주 제11번 E장조 (1760~71 사이로 추정)
  • 피아노 3중주 제12번 Eb장조 (1760~74 사이로 추정)
  • 피아노 3중주 제13번 Bb장조 (1760~69 사이로 추정)
  • 피아노 3중주 제14번 F단조 (1760)
  • 피아노 3중주 제15번 D장조 (1755~60 사이로 추정)
  • 피아노 3중주 제16번 C장조 (1760~66 사이로 추정)
  • 피아노 3중주 제17번 F장조 (1767~71 사이로 추정)
  • 피아노 3중주 제18번 G장조 (1784)
  • 피아노 3중주 제19번 F장조 (1784)
  • 피아노 3중주 제20번 D장조 (1784)
  • 피아노 3중주 제21번 Bb장조 (1784)
  • 피아노 3중주 제22번 A장조 (1785)
  • 피아노 3중주 제23번 Eb장조 (1785)
  • 피아노 3중주 제24번 Eb장조 (1788)
  • 피아노 3중주 제25번 E단조 (1788)
  • 피아노 3중주 제26번 C단조 (1789)
  • 피아노 3중주 제27번 Ab장조 (1790)
  • 피아노 3중주 제28번 D장조 (1790)
  • 피아노 3중주 제29번 G장조 (1790)
  • 피아노 3중주 제30번 F장조 (1790)
  • 피아노 3중주 제31번 G장조 (1792)
  • 피아노 3중주 제32번 A장조 (1793)
  • 피아노 3중주 제33번 G단조 (1793)
  • 피아노 3중주 제34번 Bb장조 (1794)
  • 피아노 3중주 제35번 C장조 (1794)
  • 피아노 3중주 제36번 Eb장조 (1794)
  • 피아노 3중주 제37번 D단조 (1794)
  • 피아노 3중주 제38번 D장조 (1795)
  • 피아노 3중주 제39번 G장조 '집시' (1795)
  • 피아노 3중주 제40번 F#단조 (1795)
  • 피아노 3중주 제41번 Eb단조 (1797)[7]
  • 피아노 3중주 제42번 Eb장조 (1797)
  • 피아노 3중주 제43번 C장조 (1797)
  • 피아노 3중주 제44번 E장조 (1797)
  • 피아노 3중주 제45번 Eb장조 (1797)


6. 피아노 소나타[편집]



현존작 기준 총 55곡. 다만 이 중에도 몇 곡은 위작 의혹이 있다. 아래의 곡 번호는 피아노 3중주와 마찬가지로 H.C. 로빈스 랜던이 새로 정리한 것이다. (Hob:XVI 번호 기준)

  • 피아노 소나타 제1번 C장조 (의심됨)
  • 피아노 소나타 제2번 Bb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3번 C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4번 D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5번 A장조 (의심됨)
  • 피아노 소나타 제6번 G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7번 C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8번 G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9번 F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10번 C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11번 G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12번 A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13번 E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14번 D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15번 C장조 (의심됨)
  • 피아노 소나타 제16번 Eb장조 (의심됨)
  • 피아노 소나타 제17번 Bb장조 (요한 고트프리트 슈반베르거의 작품으로 의심됨)
  • 피아노 소나타 제18번 Bb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19번 D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20번 C단조
  • 피아노 소나타 제21번 C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22번 E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23번 F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24번 D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25번 Eb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26번 A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27번 G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28번 Eb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29번 F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30번 A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31번 E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32번 B단조
  • 피아노 소나타 제33번 D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34번 E단조
  • 피아노 소나타 제35번 C장조 [8]
  • 피아노 소나타 제36번 C#단조
  • 피아노 소나타 제37번 D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38번 Eb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39번 G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40번 G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41번 Bb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42번 D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43번 Ab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44번 G단조
  • 피아노 소나타 제45번 Eb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46번 Ab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47번 F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48번 C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49번 Eb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50번 C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51번 D장조
  • 피아노 소나타 제52번 Eb장조


7. 피아노곡[편집]



  • 독일 민요 "여덟 명의 돼지 도축꾼은 있어야지"에 의한 카프리치오 G장조
  • 환상곡 C장조
  • 변주곡 C장조
  • 변주곡 F단조


8. 미사[편집]



총 14곡. 9~14번 6곡은 에스테르하지 가문을 위해 쓴 탓에 '에스테르하지 미사곡집' 이라고도 부른다.

  • 미사 제2번 '미사 브레비스(Missa brevis)' (1750)
  • 미사 제3번 '성 체칠리아 미사(Missa Cellensis in honorem Beatissimae Virginis Mariae')' (1766~73)
  • 미사 제9번 '오피다의 성 베르나르도 미사(Missa sancti Bernardi von Offida)' (1796) - 빈민 구호에 힘써 사후 101년 뒤인 1795년에 성인으로 시성수도자인 오피다의 성 베르나르도를 기념한 미사곡.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거룩한 미사(Heiligmesse)' 라고도 부른다.
  • 미사 제10번 '전시(戰時) 미사(Missa in tempore belli)' (1796) -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팀파니 미사(Paukenmesse)' 라고도 부른다.
  • 미사 제11번 '위기의 시대 미사(Missa in Angustiis)' (1798) - 영어권 국가에서는 '넬슨 미사(Nelson Mass)' 라고도 부른다.
  • 미사 제12번 '테레지아 미사(Theresienmesse)' (1799) - 제목의 테레지아는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Maria Theresia von Neapel-Sizilien)를 뜻함.
  • 미사 제13번 '천지창조 미사(Schöpfungsmesse)' (1801)
  • 미사 제14번 '하르모니 미사(Harmoniemesse)' (1802) - 관악기의 취급이 당대에 유행한 하르모니무지크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었다.


9. 오라토리오[편집]



오라토리오 천지창조

그 외 현악 3중주, 피아노 독주곡, 서곡, 가곡, 칸타타, 오페라, 극음악 등 다수. 총계 약 750곡.

[1] 교향곡 중에 이 조성으로 된 작품이 드물다.[2] 4악장에 쳄발로 독주가 들어있다.[3] 클라리넷 2대가 처음으로 편성되었다.[4] 2악장이 초기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종착역 안내방송에 사용되었다.[5] 첫 악장이 팀파니 독주로 시작하기 때문이다.[6] 새찬송가의 경우 210.[7] 초판에 "야곱의 꿈"이라는 부제가 있었으나 이후 없앴다. 2악장에서 바이올린 파트의 갑작스런 높은 음 연주가 성경에 나오는 '야곱의 사다리'처럼 하늘로 이어지듯 하다는 재치있는 부제였었다.[8] '소나티네'중 한 곡으로 잘 알려져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4 03:18:55에 나무위키 요제프 하이든/작품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