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문화의집

덤프버전 :

분류

- / Youth Center


1. 개요[편집]


간단한 청소년수련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정보·문화·예술 중심의 수련시설(청소년활동 진흥법 제10조 제1항 다목).

한국법에서는, 기초자치단체가 읍·면·동에 청소년문화의 집을 1개소 이상 설치·운영하도록 하고 있다(같은 법 제11조 제1항 제3호).
이에 따라, 기초단치단체마다 '○○시 청소년문화의 집 설치 및 운영 조례' 식의 조례를 제정하였다.

2. 이용[편집]


청소년은 물론 지역 주민들도 이용 가능하다. 즉 성인도 가능하다는 뜻이니 머쓱해하지 말고 맘 편히 이용하자. 친구들끼리, 혹은 가족 단위로 찾는 이용객들이 대부분이다. 대부분의 시설은 이용기록부(또는 방명록) 작성 후 무료로 이용가능하다. 지역에 따라 사전예약이 필요한 곳도 있다. 동아리활동, 문화활동 이외에도 청소년문화의집이 운영하는 동아리, 청소년문화의집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등이 진행된다. 운영시간은 각 청소년문화의집마다 차이가 있을수 있으나 대부분 9시~20시까지 이용 가능하고 주말은 9시~18시까지 이용 가능하다. 모든 곳이 공통적으로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임시공휴일을 포함)에는 휴관한다.[1]

3. 시설[편집]


각 청소년문화의 집마다 갖춰진 시설이 다르고 명칭도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동아리활동을 위한 밴드연습실, 댄스연습실, 동아리방 등과 문화활동을 위한 북카페, 인터넷카페, 노래연습실 등을 갖추고 있다. 당구장이나 탁구장이 있는 곳도 있고, 닌텐도, 플레이스테이션, VR, 보드게임 등 오락을 즐길 수 있는 곳도 있다.

4. 현황[편집]


전체를 총괄하는 중앙재단 없이 각 시군구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따로 정리되어 있지 않다.
지역별로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였다.

4.1. 서울특별시[편집]



4.1.1. 구립[편집]


  • 가재울청소년센터(서대문구립)
  • 갈현청소년센터(은평구립)
  • 강서청소년회관(강서구립)
  • 궁동청소년문화의집(구로구립)
  • 금천청소년문화의집(금천구립)[2]
  • 대방청소년문화의집(동작구립)[3]
  • 도화청소년문화의집(마포구립)
  • 둔촌청소년문화의집(강동구립)
  • 마포청소년문화의집(마포구립)[4]
  • 도봉동청소년문화의집(도봉구립)
  • 독산청소년문화의집(금천구립)
  • 동작청소년문화의집(동작구립)
  • 망원청소년문화센터(마포구립)
  • 사당청소년문화의집(동작구립)
  • 상계청소년문화의집(노원구립)
  • 성동청소년문화의집(성동구립)[5]
  • 성북청소년문화의집(성북구립)[6]
  • 쌍문동청소년문화의집(도봉구립)
  • 신월청소년문화센터(양천구립)
  • 영등포청소년문화의집(영등포구립)
  • 용산청소년문화의집(용산구립)
  • 은평구청소년문화의집 신나는애프터센터(은평구립)
  • 잠실청소년센터(송파구립)
  • 창동청소년문화의집(도봉구립)[7]
  • 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구로구립)
  • 천호청소년문화의집(강동구립)
  • 홍은청소년문화의집(서대문구립)

4.2. 부산광역시[편집]


  • 부산북구청소년문화의집
  • 부산중구청소년문화의집
  • 부산진구청소년문화의집
  • 사하구청소년문화의집
  • 서구청소년문화의집

4.3. 인천광역시[편집]


  • 연희청소년문화의집
  • 검단청소년문화의집
  • 가좌청소년문화의집
  • 남동청소년문화의집
  • 강화군청소년문화의집
  • 연수청소년문화의집
  • 백령청소년문화의집

4.4. 대전광역시[편집]


  • 갈마청소년문화의집
  • 대흥청소년문화의집
  • 도솔청소년문화의집
  • 도안청소년문화의집
  • 도화청소년문화의집
  • 법동청소년문화의집
  • 장대청소년문화의집
  • 탄방청소년문화의집
  • 구즉청소년문화의집

4.5. 대구광역시[편집]


  • 대구광역시청소년문화의집
  • 대구광역시청소년문화의집 꼼지락발전소
  • 중구청소년문화의집
  • 수성구청소년문화의집
  • 북구청소년문화의집 별하누리
  • 동구청소년문화의집 아름드리
  • 동구청소년문화의집
  • 달성군청소년문화의집
  • 달서구청소년문화의집

4.6. 광주광역시[편집]


  • 광주광역시 화정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원당산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각화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용봉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봉선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일곡청소년문화의집
  • 서구 청소년문화의집 시소센터
  • 광산구 월곡청소년문화의집 야호센터
  • 빛고을청소년문화의집
  • 광천청소년문화의집
  • 청소년삶디자인센터


4.7. 울산광역시[편집]


  • 공업탑청소년문화의집
  • 문수청소년센터
  • 남목청소년문화의집
  • 동구청소년문화의집
  • 성남동청소년문화의집
  • 중구청소년문화의집
  • 북구청소년문화의집

4.8. 경기도[편집]


  • 고양시성사청소년문화의집
  • 고양시탄현청소년문화의집
  • 고양시송포청소년문화의집
  • 가평구청소년문화의집
  • 고리울청소년문화의집
  • 과천청소년문화의집
  • 광정동청소년문화의집
  • 교하청소년문화의집
  • 금촌청소년문화의집
  • 꿈빛나래청소년문화의집
  • 당동청소년문화의집
  • 덕풍청소년문화의집
  • 문산청소년문화의집
  • 부발청소년문화의집
  • 석수청소년문화의집
  • 성남청소년문화의집
  • 송내동청소년문화의집
  • 시흥시꾸미청소년문화의집
  • 안산청소년문화의집
  • 안양만안청소년문화의집
  • 양주청소년문화의집
  • 양지동청소년문화의집
  • 양촌청소년문화의집
  • 양평동부청소년문화의집
  • 양평서부청소년문화의집
  • 사우청소년문화의집
  • 오산남부청소년문화의집
  • 오산중앙청소년문화의집
  • 운정청소년문화의집
  • 은행동청소년문화의집
  • 새말청소년문화의집
  • 일동청소년문화의집
  • 창전청소년문화의집
  • 청미청소년문화의집
  • 통진청소년문화의집
  • 평촌청소년문화의집
  • 포천청소년문화의집
  • 천천청소년문화의집
  • 흥선청소년문화의집
  • 호계청소년문화의집
  • 유림청소년문화의집
  • 수지청소년문화의집
  • 신갈청소년문화의집
  • 과천청소년문화의집

4.9. 강원도[편집]


  • 원덕청소년문화의집
  • 원주청소년문화의집
  • 중앙청소년문화의집
  • 춘천시청소년문화의집
  • 속초청소년문화의집
  • 평창군청소년문화의집
  • 진부청소년문화의집

4.10. 충청북도[편집]


  • 금왕청소년문화의집
  • 보은군청소년문화의집
  • 음성청소년문화의집
  • 제천청소년문화의집
  • 장락청소년문화의집
  • 영동군 황간청소년문화의집
  • 옥천군 이원청소년문화의집

4.11. 충청남도[편집]


  • 공주시청소년 꿈 창작소
  • 공주시청소년문화센터
  • 금산청소년미래센터
  • 당진시청소년문화의 집
  • 부여군청소년문화의 집
  • 아산시청소년문화의 집
* 서천군청소년문화센터
* 성정청소년문화의 집
* 송악청소년문회의 집
* 예산군청소년미래센터
* 서산시청소년문화의 집
* 청양군청소년문화의 집
* 광천청소년문화의 집
* 합덕청소년문화 의집

4.12. 경상북도[편집]


  • 구미시청소년문화의집
  • 영주시청소년문화의집
  • 영천시청소년문화의집
  • 경주 안강청소년문화의집
  • 안동청소년문화센터
  • 문경청소년문화의집
  • 김천시 청소년문화의집
  • 경산시청소년문화의집

4.13. 경상남도[편집]


  • 거제시청소년문화의집
  • 김해청소년문화의집
  • 영산청소년문화의집
  • 의령청소년문화의집
  • 봉림청소년문화의집
  • 마산청소년문화의집
  • 사천청소년문화의집
  • 진해청소년수련관
  • 남지청소년문화의집
  • 밀양시청소년문화의집

4.14. 전라북도[편집]


  • 군산시청소년문화의집
  • 덕진동청소년문화의집
  • 전주청소년문화의집
  • 효자청소년문화의집
  • 익산시청소년문화의집
  • 부안군청소년문화의집

4.15. 전라남도[편집]


  • 구례군청소년문화의집
  • 곡성군청소년문화의집
  • 옥과청소년문화의집
  • 광양시청소년문화의집
  • 보성군청소년문화의집
  • 순천시청소년문화의집
  • 완주군청소년문화의집
  • 장성군청소년문화의집
  • 함평군청소년문화의집
  • 완도군청소년문화의집
•하심청 청소년 문화의 집

4.16. 제주도[편집]


  • 조천청소년문화의집
  • 구좌청소년문화의집
  • 노형청소년문화의집
  • 도남청소년문화의집
  • 도평청소년문화의집
  • 삼도1동청소년문화의집
  • 아라청소년문화의집
  • 애월청소년문화의집
  • 용담1동청소년문화의집
  • 이도1동청소년문화의집
  • 추자청소년문화의집
  • 한림청소년문화의집
  • 화북청소년문화의집

5. 봉사활동[편집]


청소년시설이다보니 청소년을 위한 봉사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자원봉사단을 운영하는 곳도 있고, 자유공간 운영보조, 환경정비, 행사 보조 등으로 봉사활동 시간을 부여하는 곳도 있다.

6. 여담[편집]


  • 여성가족부 발표에 의하면,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특화시설과 함께 청소년센터로 통합되어 운영될 예정이다.
  • 년수관이라고 써있는 도로 바닥 마킹이 타이어에 마모되어 소련이 되버린 짤방이 나돈 적이 있다.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1:06:33에 나무위키 청소년문화의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공휴일 중 일요일은 제외한다. 한마디로 일요일에도 정상 운영한다. 곳에 따라 격주로 운영하는 곳도 있다.[2] 서울시립 금천청소년센터와는 다른 별개의 시설이다. 금천청소년센터는 금동초등학교 인근에 있고, 금천청소년문화의집은 박미삼거리에 있다. 다른 청소년문화의집과는 달리 상가 건물에 입주하여 있다는 것이 특색이다.[3] 특이하게도 벙커 안에 조성되어 있다.[4] 서울시립 마포청소년센터와는 다른 별개의 시설이다. 마포청소년센터는 마포구청 인근에 있고, 마포청소년문화의집은 상암고등학교 인근에 있다.[5] 서울시립 성동청소년센터와는 다른 별개의 시설이다. 성동청소년센터는 왕십리역 인근에 있고, 성동청소년문화의집은 금호역 인근에 있다.[6] 서울시립 성북청소년센터와는 다른 별개의 시설이다. 성북청소년센터는 장위동 남대문중학교 인근에 있고, 성북청소년문화의집은 북한산보국문역 인근에 있다.[7] 서울시립 창동청소년센터와는 다른 별개의 시설이다. 창동청소년센터는 자운고등학교 인근에 있고, 창동청소년문화의집은 초안산에 인접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