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고민주공화국 프랑

덤프버전 : r (♥ 0)



Franc Congolais (프랑스어)

파일:Central_Bank_of_the_Congo_logo.png


1. 개요
2. 1기
3. 2기
3.1. 1998 ~ 2003
3.2. 2005 ~(현행권)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콩고민주공화국의 통화로, 프랑계 통화이다. 콩고민공과는 다르게 옆나라 콩고 공화국에서는 통합화폐인 중앙아프리카 프랑을 사용하고 있으니 유의. 전신은 자이르국명을 쓰던 시절의 통화인 자이르 자이르이다.


2. 1기[편집]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01.jpg20F앉은 여자나무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02.jpg50F사자, 다리 풍경건물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03.jpg100F조제프 카사부부, 관머리두루미건물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05.jpg500F전통 가면건물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06.jpg1,000F조제프 카사부부건물


3. 2기[편집]


현대에서 콩고민공 프랑이라고 하면 이걸 가리킨다. 누보자이르와의 교환비는 100,000누보자이르/F이며, 1기 프랑과의 비는 300조 : 1이다.

ISO 4217코드는 CDF, 기호는 라틴문자 F를 사용한다.(타 프랑화와 구분할 때는 FC) 보조단위는 상팀(Centime)이다.

2008년에 최고점인 2.7원/F를 찍었다가 이듬해에는 1.5원/F까지 확 떨어졌는데, 이에 정부가 금리를 40%까지 올려서 어떻게든 폭락을 막아보고자 발악을 했으나 내전으로 인한 소모되는 비용이 엄청나서 결국 2010년에 1.2~1.3원/F까지 하락했다. 이후 내전이 잠잠해지며 2013년 일시 휴전으로 인하여 잘 버티나 싶었는데 2016년 후반기부터 다시 휘청거리기 시작, 결국 2018년 1월에는 0.67원/F(=약 2원당 3프랑 꼴)으로 크게 하락하였다.

2023년 11월 현 환율은 1프랑당 약 0.53원.


3.1. 1998 ~ 2003[편집]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1.jpg1C커피 수확니이라곤고 화산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2.jpg5C수쿠 가면잔데[1]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3.jpg10C펜데 가면펜데 무용수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4.jpg20C영양우펨바 국립공원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5.jpg50C오카피오카피 가족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6.jpg1F게카마인社 구리광산단지파트리스 루뭄바와 함께 체포되어 처형 직전인 공산당원들[2][3]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7.jpg5F흰코뿔소캄완가 폭포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08.jpg10F루바 전통조각 "테트 아 테트"루바 전통조각
파일:59615_A.jpg20F숫사자 머리암사자와 아기사자들
  • 은근히 C(상팀)와 F(프랑)권의 차이점이 별로 없어, 혼동을 일으키곤 한다.
  • 1F, 5F는 초판만 인쇄하고 중단했기 때문에 액면가보다 실물 거래가가 더 높아지는 품귀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3.2. 2005 ~(현행권)[편집]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10.jpg50F음와나 푸[4]콩고강의 어촌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11.jpg100F코끼리잉가 2 수력발전소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12.jpg200F밭일나무통 두들기며 노는 사람들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13.jpg500F다이아몬드 캐는 인부들에트로왓 계곡[5]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14.jpg1,000F오카피, 카니오카 박스[6]앵무새와 옥수수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15.jpg5,000F얼룩말, 헴바 조각상마니옥[7], 콩고공작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16.jpg10,000F버팔로, 쿠바추장 조각상바나나 나무와 독특한 새
파일:attachment/콩고민주공화국 프랑/congo17.jpg20,000F기린, 바실렐레 두상조각야자수와 타조


4.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border:1px solid #000"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콩고민주공화국 관련 문서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


[1] 콩고민족 고유의 하프[2] 카탕가 지방과 남부 카사이 지방의 쿠데타가 발생하자 루뭄바는 이에 대해 UN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파견된 평화유지군은 어떤 대응도 하지 않았다. 이에 소련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실패했고 체포되어 가택 연금되었고 도중에 탈출을 시도했지만 실패, 이후 모부투에 의해 카탕가 지역 반란군의 우두머리인 모이스 촘베에게 넘겨져 총살당한다. 지폐에는 그 총살당하기 전 최후의 장면을 그린 것.[3] 기묘한 사실은, 정계에 모부투를 올린 장본인이 다름 아닌 루뭄바였다는 것인데(...) 모부투는 당시 루뭄바와 갈등을 겪던 대통령 조세프 카사-부부의 사주로 쿠데타를 일으켰던 것. 루뭄바 사후에 모부투는 다시 카사부부와 UN의 뒤통수를 쳐서(...) 문화대혁명을 모델로 사회주의 국가인 자이르를 건국했다. 그리고 또 기묘한 사실은, 이후 루뭄바를 콩고와 아프리카의 영웅으로 다시 조명한 인물 역시 모부투였다는 것.[4] 쵸퀘식 가면[5] 다이아몬드 채산지이다.[6] 전통조각장식의 상자[7] 카사바의 일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02:16:09에 나무위키 콩고민주공화국 프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