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플드링크

덤프버전 :



문서가 있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마약류/임시마약류


[ 펼치기 · 접기 ]



마약[1]
양귀비 | 아편 | 미처리 코카 잎 | 코카인, 데소모르핀, 헤로인, 히드로코돈, 히드로모르피놀, 모르핀, 옥시코돈, 코데인 | 펜타닐, 메타돈, 카르펜타닐
향정신성
의약품

비의
료용[2]

부포테닌, 디메틸트립타민, LSD, 사일로시빈, 사일로신, 펜사이클리딘 유사체, 메스케치논 및 유사체, 크라톰 및 미트라지닌, 고메오, 브로모-드래곤에프엘와이
의료용[3]
암페타민(애더럴), 메스암페타민, 메틸페니데이트, 펜메트라진, 펜사이클리딘, MDMA, 살비아 디비노럼, 케타민 | 바르비투르산 계열(바르비탈, 펜토바르비탈 등), 알릴이소프로필아세틸우레아, 플루니트라제팜 | 벤조디아제핀 계열(로라제팜 등), 카틴, 클로랄히드레이트, 마진돌, 페몰린, 펜터민, 조피클론, 졸피뎀, 날부핀, 지에이치비, 덱스트로메토르판, 프로포폴
대마[4]
대마초와 그 수지(樹脂) | 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모든 제품 | 동일한 화학적 합성품(THC, CBD)
임시마약류[5]
감마부티로락톤, 랏슈, HHCH
기타[6]
환각버섯류, 데이트 강간 약물, 야바, 환각물질
[1] 법 제2조 제2호, 각 목별로 구분. 제2호의 성분을 포함한 혼합물질/제재는 바목에 의해 마약으로 분류되나, 한외마약은 제외됨.[2] 법 제2조 제3호 가목[3] 법 제2조 제3호 나목부터 라목, 각 목별로 구분. 제3호의 성분을 포함한 혼합물질/제재는 마목에 의해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나,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을 야기하지 아니하는 제제는 제외됨.[4] 법 제2조 제4호. 제4호의 성분을 포함한 혼합물질/제재는 라목에 의해 대마로 분류됨.[5] 법 제5조의2
[6] 여러 종류가 포함되어 어느 한 곳에 분류하기 애매한 경우 또는 기타 참고할 만한 문서




파일:purpledrank.jpg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Lean, purple drank, purp, sizzurp, dirty sprite, Hi-Tech, Wock[1]라고도 하며 코데인이나 프로메타진 등의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과 스프라이트, 그리고 향미를 위한 사탕[2] 등을 임의의 배율로 혼합, 가공한 마약성 음료의 명칭.


2. 상세[편집]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을 메인으로 한 마약성 혼합물이기에 당연히 마약과 같이 마취작용과 습관성이 있으며 부작용으로 심신기능 저하, 소화 기능 저하와 중독성이 뒤따르며 구토, 발작, 기절, 심한 경우엔 심장 마비로 인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많은 래퍼들이 음용하거나 파티 등에서 흥을 돋구고자 사용하기도 하는 마약성 음료이기에 인식이 가볍고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은데, 극단적인 예시가 아니더라도 장기적인 건강에 좋을 리가 전혀 없으므로 섭취는 절대적으로 자제하도록 하자. 다만 한국인이 마시면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처벌받는다.

애초에 코데인은 마약에, 프로메타진은 멀미약에 부분 첨가되어 전문의약품으로 구분되며 그 첨가된 약들도 처방이 필요하다. 첨가된 약들은 첨가량과 성분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부분 첨가된 것으로 이것을 만들려면 상당히 많은 양이 필요하고 불순물로 인해 부작용도 강력할 것이다.

휴스턴에서 시작되었으며 미국 남부 힙합을 상징하는 문화이기도 하다. 남부 힙합이 주로 울적하고 느릿느릿한 이유도 퍼플 드링크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남부 힙합의 아버지라 불리는 DJ Screw는 90년대 래퍼들에게 퍼플 드링크를 유행시킨 장본인이었고 결국 지나친 복용으로 인해 사망했다. 오늘날 남부 힙합의 영향을 받은 트랩 래퍼들은 이 문화를 그대로 계승하여 퍼플 드링크를 마신다.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 중에 보라색 음료를 마시는 장면이 있거나 린을 홀짝인다(sipping lean)라는 가사가 자주 나오는데 그게 바로 퍼플 드링크이다.

또한 얼음을 천천히 녹이기 위해서 주로 스티로폼 컵 두 개를 겹쳐서 사용한다. 예시로서 릴 펌 의 곡 Be LIke Me의 뮤비에서는 자신을 따라하고 싶은 이들에게 강연을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강연의 내용은 컵을 두 개 겹친 후 시럽소다를 넣어 퍼플드링크를 만드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이처럼 컵을 두 개 겹쳐서 사용하는 것은 일종의 유행이 되어 퍼플 드링크의 음용 시 외에도 종종 이렇게 컵을 겹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3. [편집]



이처럼 힙합 문화에서 자주 언급되는 퍼플 드링크이기에 인터넷 밈으로도 종종 사용되었는데 2022년 2월경부터 밈으로 쓰이는 캐릭터나 래퍼들을 보라색으로 칠해놓고 I LOVE LEAN을 외치게 하는 밈이 퍼져나가며 퍼플 드링크가 아니더라도 조금이라도 보라색을 띄는 음료가 보이면 어김없이 댓글창이 영상과 같이 보라색 이모티콘으로 폭격당하는 일이 잦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7:08:42에 나무위키 퍼플드링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약회사인 Wockhardt 사의 기침 시럽이 주로 제조에 사용되기 때문에 Wock이란 단어 자체가 퍼플드링크를 상징하게 되었다.[2] 주로 '졸리 랜처(Jolly Rancher)'라는 딱딱한 사탕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