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1/2006시즌/1R~6R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06시즌


1. 개요
2. 파일:바레인 국기.svg 1R: 2006 포뮬러 1 걸프 에어 바레인 그랑프리 (바레인 GP)
2.1. 퀄리파잉
2.2. 레이스
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R: 2006 포뮬러 1 페트로나스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말레이시아 GP)
3.1. 퀄리파잉
3.2. 레이스
4. 파일:호주 국기.svg 3R: 2006 포뮬러 1 포스터's 호주 그랑프리 (호주 GP)
4.1. 퀄리파잉
4.2. 레이스
5.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4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 포스터's 디 산마리노 2006 (산마리노 GP)
5.1. 퀄리파잉
5.2. 레이스
6.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5R: 2006 포뮬러 1 그랑프리 오브 유럽 (유럽 GP)
6.1. 퀄리파잉
6.2. 레이스
7. 파일:스페인 국기.svg 6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 텔레포니카에스파냐 2006 (스페인 GP)
7.1. 퀄리파잉
7.2. 레이스



1. 개요[편집]


포뮬러 12006 시즌 중 1R부터 6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파일:바레인 국기.svg 1R: 2006 포뮬러 1 걸프 에어 바레인 그랑프리 (바레인 GP)[편집]



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31.4311번째
P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047s2번째
P3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118s3번째
P4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271s4번째
P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733s5번째
P6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48s6번째
P79.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575s7번째
P8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클리엔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681s8번째
P9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065s9번째
P101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495s10번째
[ Q2 결과 ]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34.439Q2 진출
P177.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263s17번째
P181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285s18번째
P19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461sPL[1]
P2022.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타쿠마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2.972s20번째
P2123.
파일:일본 국기.svg

이데 유지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5.831s21번째
P2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No time22번째
[1] 포메이션 랩 도중 트랜스미션 문제로 인해 피트레인에서 T카로 스타트
2006 바레인 GP 퀄리파잉 미하엘 슈마허의 폴 랩

Q1
Q1에선 키미 래이쾨넨이 리어 서스펜션 문제로 랩타임을 기록하지 못한 채 탈락하였고, 키미가 사고나기 전에 랩타임을 기록하려던 랄프 슈마허는 키미의 사고 직후 발령된 레드 플랙으로 인해 랩타임을 경신하지 못하고 Q1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이외엔 신생팀인 슈퍼 아구리 드라이버들과 미들랜드 드라이버들이 탈락하였다.

Q2
상위권은 대체로 31초대에 들어서기 시작하며 랩타임이 향상되기 시작했고, 대부분의 드라이버들이 32초대를 기록하며 Q3 진출권에서 경합이 이루어졌다. 토로 로쏘 드라이버들이 Q2 최하위를 기록한 가운데, 자크 빌르너브까지 Q2에서 탈락하였다.

Q3
미하엘 슈마허가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페르난도 알론소가 Q1과 Q2에서 모두 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하며 유력한 폴 포지션 후보였으나, Q3에서 알론소가 좋지 못한 랩타임을 기록하며 4위에 그쳤고, 슈마허가 폴을 잡을 수 있었다. 페라리 데뷔전을 치루는 펠리페 마싸는 슈마허에 0.05여초 뒤진 기록으로 프런트 로우에 서게 되었다.

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29:46.205 (57랩)10
2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246s8
3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9.360s6
4위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9.992s5
5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37.048s4
6위9.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41.932s3
7위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03.0432
8위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클리엔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06.771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
9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09.907
10위14.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5.541
11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25.997
12위1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3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1.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스피드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4위7.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15위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6위7.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17위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2 Laps
18위22.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타쿠마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4 Laps
DNF23.
파일:일본 국기.svg

이데 유지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35랩)[엔진]
DNF17.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29랩)[엔진]
DNF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21랩)[유압계통]
DNF1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0랩)[드라이브샤프트]
[엔진] A B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유압계통] 유압계통 문제로 리타이어[드라이브샤프트] 드라이브샤프트 문제로 리타이어


레이스 스타트에선 페르난도 알론소가 로켓 스타트로 4위에서 2위까지 올라서며 좋은 출발을 보였다. 폴시터인 미하엘 슈마허는 치고 나간 가운데, 3위로 내려간 펠리페 마싸가 알론소와의 컨택을 피하려다 스핀을 하며 하위권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미들랜드의 크리스티얀 알버스는 오프닝 랩에서 드라이브샤프트 문제로 리타이어하였고, 이후 20여랩 동안은 별 이슈 없이 레이스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21랩 째, 지안카를로 피지켈라가 유압계통 이슈로 리타이어하며 포인트권에서의 경쟁자가 1명 줄어들었다.

최하위에서 시작한 키미 래이쾨넨은 추월쇼를 선보이며 순위를 빠르게 올려나갔다. 특히 경합이 이어질 때마다 빠르게 추월에 성공하여 별다른 시간 손해 없이 올라올 수 있었다. 도중에 자크 빌르너브와의 배틀이 조금 오래 걸려 약간의 시간 손해를 봤으나, 이외엔 빠르게 추월하며 상위권으로 올라섰다. 그리고 팀메이트인 후안 파블로 몬토야보다 앞서게 되었다. 혼다의 젠슨 버튼은 몬토야와 지속적으로 배틀을 하다가 직선 주로에서 추월에 2번이나 성공했지만, 피트스톱에서 시간 손해를 많이 입으며 몬토야의 뒤로 트랙에 합류하기만을 반복했다. 결국 레이스 막판엔 키미에게 붙었으나, 0.6초 차로 4위로 완주하게 되었다.

르노의 알론소는 빠른 페이스를 보이며 2번째 피트스톱 이후 슈마허를 추월하는 데 성공했다. 슈마허가 피트에서 나오는 순간 1번 코너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를 형성했고, 알론소가 추월에 성공해 선두로 올라섰다. 그리고 남은 18여랩의 리드를 잘 지키며 57랩을 가장 먼저 돌아 우승을 차지하였다. 슈마허가 마지막에 다시 알론소에게 붙었으나 1.2초 차로 2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대단한 추월쇼를 보여준 키미 래이쾨넨이 0.6초 차로 3위로 완주하며 레이스가 마무리되었다. 페라리 데뷔전을 치룬 마싸는 최하위에서 순위를 올려나갔으나 9위로 포인트 획득에 실패했고, BMW와 결별하고 코스워스 엔진을 장착한 윌리엄스 듀오는 6-7위로 선방하였다. 특히, 데뷔전을 치룬 니코 로즈버그는 7위로 완주해 데뷔전에 포인트를 획득하였다.



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R: 2006 포뮬러 1 페트로나스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말레이시아 GP)[편집]



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33.8401번째
P2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젠슨 버튼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146s2번째
P310.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코스워스)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786s3번째
P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828s14번째[-10][엔진_교체]
P59.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832s4번째
P6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076s5번째
P7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43s6번째
P8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907s7번째
P915. 크리스티안 클리엔 (레드불 - 페라리)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4.875s8번째
P107. 랄프 슈마허 (토요타)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No time22번째[-10][엔진_교체]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Q37.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34.586Q3 진출
P1114.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028s19번째[-10][엔진_교체]
P12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097s20번째[-10][엔진_교체]
P13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116s9번째
P1417.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166s10번째
P151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197s11번째
P1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No time21번째[-10][엔진_교체]
[-10] A B C [엔진_교체] A B C
[ Q1 결과 ]

많은 드라이버들이 연습 세션 도중 엔진을 교체하거나 퀄리파잉 세션 도중에도 엔진 교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더운 날씨 속에서의 엔진 교체로 인해 그리드 페널티가 난무했고, 중위권에 있던 드라이버들이 상위권에서 시작하는 기회가 주어졌다. 지안카를로 피지켈라가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고, 미하엘 슈마허의 그리드 페널티로 인해 윌리엄스 듀오가 3-4위에서 시작할 수 있었다.

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30:40.529 (56랩)10
2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4.585s8
3위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젠슨 버튼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9.631s6
4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39.351s5
5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43.254s4
6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43.854s3
7위17. 자크 빌르너브 (BMW 자우버)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20.4612
8위7. 랄프 슈마허 (토요타)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21.288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
9위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10위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1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 Laps
12위1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2 Laps
13위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2 Laps
14위22.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타쿠마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3 Laps
DNF1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48랩)[엔진]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1.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스피드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41랩)[클러치]
DNF23.
파일:일본 국기.svg

이데 유지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33랩)[스로틀]
DNF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클리엔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26랩)[유압계통]
DNF9.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5랩)[유압계통]
DNF14.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0랩)[유압계통]
DNF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6랩)[엔진]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0랩)[충돌]
[엔진] A B [클러치] 클러치 문제로 리타이어[스로틀] 스로틀 문제로 리타이어[유압계통] A B C [충돌] 타 드라이버와 충돌 후 곧바로 리타이어


레이스 스타트에선 페르난도 알론소가 로켓 스타트를 하며 7위에서 단숨에 윌리엄스 듀오까지 제치고 3위로 올라섰다. 지안카를로 피지켈라가 선두, 젠슨 버튼이 2위를 유지한 가운데, 중상위권에 있던 키미 래이쾨넨크리스티안 클리엔과의 컨택으로 인해 서스펜션이 부러진 뒤 벽에 충돌해 리타이어하였다. 클리엔은 타이어 펑쳐로 인해 최하위로 떨어졌고, 2분여가 지나서야 새 타이어로 교체할 수 있었다. 6랩 째엔 잘 달리고 있던 니코 로즈버그가 엔진 블로우로 인해 리타이어하였다. 중위권에선 엔진을 교체하고 레이스에 임한 미하엘 슈마허가 추월쇼를 벌이고 있었다. 자크 빌르너브를 마지막 코너에서 추월한 것을 시작으로 얼마 뒤 1번 코너에서 야르노 트룰리를 추월해 순위를 올려나갔다.

윌리엄스의 재앙은 로즈버그의 리타이어만으로 끝나지 않았다. 15랩 째엔 마크 웨버가 유압계 이슈로 리타이어하며 조기퇴근을 확정짓고 말았다. 레드불의 데이빗 쿨싸드는 그 전인 10랩 째에 유압계 이슈로 리타이어하며 레드불도 아쉬운 주말을 완성하였다. 하위권에선 치열한 배틀이 이어졌는데, 토로 로쏘의 비탄토니오 리우치사토 타쿠마 사이의 추월과 재추월이 이어졌고, 4번 코너에서 사토가 브레이킹 실수를 하며 리우치가 앞서나갔다.

루벤스 바리첼로는 첫 피트스톱을 마친 후 피트레인에서의 과속으로 인해 10초 스톱 & 고 페널티를 받으며 하위권으로 쳐지고 말았다. 이후 상위권 경쟁을 이어간 알론소가 피트인하며 버튼을 일찍이 제치고 피지켈라에 이어 2위로 올라섰다. 한편, 펠리페 마싸는 아주 좋은 페이스로 피트스톱을 한 미하엘 슈마허를 제치고 앞순위로 올라섰다. 같은 랩에 닉 하이트펠트가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하게 되었다.

레이스 우승은 피지켈라가 차지하였다. 시즌 첫 승과 함께 드라이버 챔피언십 4위로 점프하였고, 알론소가 2위를 기록하며 챔피언십 포인트 격차를 벌릴 수 있었다. 르노는 시즌 첫 2경기에서 퀄리파잉은 살짝 아쉬운 모습을 보였으나 레이스에서 여전히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며 이번 시즌도 가장 앞서나가게 되었다.



4. 파일:호주 국기.svg 3R: 2006 포뮬러 1 포스터's 호주 그랑프리 (호주 GP)[편집]



4.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젠슨 버튼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25.2291번째
P2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406sPL[1]
P3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549s3번째
P4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593s4번째
P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747s5번째
P67. 랄프 슈마허 (토요타)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383s6번째
P79.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708s7번째
P816.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350s8번째
P917. 자크 빌르너브 (BMW 자우버)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4.010s19번째[-10][엔진_교체]
P108.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No time9번째
[ Q2 결과 ]
[ Q1 결과 ]
2006 호주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34:27.870 (57랩)10
2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829s8
3위7. 랄프 슈마허 (토요타)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24.824s6
4위16.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31.032s5
5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38.421s4
6위17. 자크 빌르너브 (BMW 자우버)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49.554s3
7위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1. 루벤스 바리첼로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51.904s2
8위14.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페라리)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53.983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
9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1.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스피드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8.817[+25s][옐로_플랙]
10위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56랩)[90%][엔진]
11위1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12위22.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타쿠마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2 Laps
13위23.
파일:일본 국기.svg

이데 유지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3 Laps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46랩)[전자계통]
DNF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39랩)[유압계통]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37랩)[사고]
DNF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32랩)[사고]
DNF9.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22랩)[트랜스미션]
DNF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클리엔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4랩)[사고]
DNF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0랩)[충돌]
DNF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0랩)[충돌_대미지]
DNF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0랩)[충돌]
[+25s] 25초 페널티[옐로_플랙] 옐로 플랙 상황에서 지나치게 빠르게 달려 페널티 부여[90%] 레이스 전체 거리의 90% 이상을 주파하여 순위 인정[엔진] [전자계통] 전자계통 문제로 리타이어[유압계통] [사고] A B C 본인의 드라이빙 실수로 벽에 충돌해 리타이어[트랜스미션] 트랜스미션 문제로 리타이어[충돌] A B [충돌_대미지] 타 드라이버와 충돌 후 레이스카 누적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


레이스 시작 전, 2위인 지안카를로 피지켈라가 스타트하지 못해 피트레인 스타트를 하게 되었다. 레이스 스타트에선 2위에서 시작한 페르난도 알론소가 좋은 스타트와 함께 1-2번 코너를 잘 공략하며 폴시터인 젠슨 버튼을 잘 압박하였다. 3번 코너에서 아웃 프런트로 추월을 노렸으나, 버튼이 잘 방어하며 1,2위는 순위가 잘 유지되었다. 6번 코너에서 사고가 발생했는데, 야르노 트룰리데이빗 쿨싸드와 충돌하여 리타이어하고 말았다. 트룰리가 트랙 중간에 리타이어하여 곧바로 SC가 발동되었다. 한편 오프닝 랩 첫 코너에서 펠리페 마싸니코 로즈버그와 충돌해 동반 리타이어하는 사고가 있었다. 피지켈라는 피트레인에서 나오자마자 1번 코너에서 스핀하기도 하였다.

2랩이 지나고 3랩째부터 레이스가 재개되었다. 알론소가 스타트 타이밍을 잘 가져가 메인 스트레이트에서 곧바로 추월에 성공했고, 3위였던 키미 래이쾨넨도 곧바로 버튼에게 바짝 붙어 추월을 노렸으나 순위는 유지되었다. 그러다 5랩 째에 크리스티안 클리엔이 잘 달리다가 브레이킹 실수로 리어가 털려 스핀하였고, 벽에 충돌해 리타이어하였다. 두 번째 SC가 발동되었으나, 2랩 뒤에 바로 레이스가 재개되었다. 알론소가 스타트 타이밍을 완벽하게 빼앗으며 선두로 치고 나갔고, 타이밍을 빼앗긴 버튼이 키미에게도 자리를 뺏기며 3위로 내려갔다. 직후 3번 코너에서 버튼이 추월을 다시 노렸으나, 막히며 3위를 유지했다. 이후 20랩 째에 알론소가 첫 피트스톱을 가져갔고, 26랩 째엔 중위권에 있는 미하엘 슈마허가 피트스톱을 하였다.

그렇게 레이스가 별 이슈 없이 진행되었다가 34랩 째, 슈마허가 마지막 코너에서 언더스티어를 제어하지 못하고 벽에 충돌해 리타이어하였다. 메인 스트레이트에 데브리가 흩뿌려져 3번째 SC가 발동되었다. 이후 37랩 째에 재개된 레이스에선 SC로 인한 행운을 얻은 닉 하이트펠트가 2위까지 올라섰다. 그러다 같은 랩에 이번엔 비탄토니오 리우치가 실수하여 벽에 크게 충돌했고, 4번째 SC가 발동되었다. 다시 40랩 째에 재개된 레이스는 큰 충돌 없이 모두가 첫 랩을 완수했다. 그러나 47랩 째에 이번엔 후안 파블로 몬토야가 레이스카 문제로 메인 스트레이트에서 차를 세우며 리타이어하였다.

이후 남은 레이스를 알론소가 잘 리드하며 57랩을 가장 먼저 완주하며 우승을 차지하였다. 시즌 2연승을 질주하며, 리타이어한 슈마허와의 격차를 상당히 벌렸으며, 기존의 상위권 드라이버들도 사고와 실수 등을 하며 중위권으로 완주하여 14점 차로 챔피언십을 리드하였다. 2위는 키미가 차지하였고, 랄프 슈마허가 3위를 기록하며 시즌 첫 포디움에 들었다. 닉 하이트펠트가 4위로 들어오며 BMW 자우버 데뷔전 이후 최고의 순위를 기록했다. 그렇게 잘 가고 있다가 마지막 랩 마지막 코너를 돌고, 갑자기 젠슨 버튼이 엔진 블로우가 발생해 결승선을 앞두고 리타이어하였다. 5위로 완주하기 직전이었기에 혼다의 분위기는 그야말로 멘붕이 되었다. 그 덕에 피지켈라부터 한 계단씩 올라서게 되었고, 마지막으로 데이빗 쿨싸드가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었다. 스캇 스피드는 데뷔 첫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었으나, 옐로 플랙에서 속도를 낮추지 않아 25초 페널티를 받음으로써 9위로 내려갔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르노42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23
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15
4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혼다13
5BMW 자우버10

5.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4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 포스터's 디 산마리노 2006 (산마리노 GP)[편집]



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22.7951번째
P2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젠슨 버튼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193s2번째
P3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1. 루벤스 바리첼로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447s3번째
P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907s4번째
P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914s5번째
P67. 랄프 슈마허 (토요타)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977s6번째
P7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226s7번째
P8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363s8번째
P98.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377s9번째
P109.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2.000s10번째
[ Q2 결과 ]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Q21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25.410[同]Q2 진출
P17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클리엔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000s[同]17번째
P18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1.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스피드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027s18번째
P19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410s19번째
P201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678s20번째
P2122.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타쿠마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2.199s21번째
P2223.
파일:일본 국기.svg

이데 유지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3.872s22번째
[同] A B 같은 랩타임을 기록했으나, 먼저 기록한 드라이버가 앞 순위로 인정
2006 산마리노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미하엘 슈마허가 폴 포지션을 기록하며 아일톤 세나65개의 폴 포지션 기록을 경신하였다.

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점수(pts)
우승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31:06.486 (62랩)10
2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096s8
3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5.868s6
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7.096s5
5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7.524s4
6위9.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37.739s3
7위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젠슨 버튼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39.635s2
8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40.200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
9위7.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45.511s
10위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1.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7.851
11위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19.675
12위17.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22.370
13위1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4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5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1.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스피드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6위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2 Laps
DNF14.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47랩)[드라이브샤프트]
DNF22.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타쿠마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44랩)[사고]
DNF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클리엔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40랩)[유압계통]
DNF23.
파일:일본 국기.svg

이데 유지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23랩)[서스펜션]
DNF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5랩)[스티어링]
DNF1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0랩)[충돌]
[드라이브샤프트] [사고] [유압계통] [서스펜션] 서스펜션 문제로 리타이어[스티어링] 레이스카의 스티어링에 문제가 있어 리타이어[충돌]


레이스 스타트에선 폴시터인 미하엘 슈마허가 좋은 스타트로 1위를 유지했고, 2위에서 시작한 젠슨 버튼도 순위를 유지했다. 루벤스 바리첼로가 좋지 못한 스타트로 5위까지 내려갔고, 펠리페 마싸페르난도 알론소가 1계단씩 순위를 올렸다. 6번 빌르너브 코너에서 큰 사고가 발생했는데, 인 코스로 무리하게 파고든 이데 유지가 크리스티얀 알버스와 충돌해 알버스의 차가 데굴데굴 구른 것이었다. 다행히 알버스는 부상 없이 차에서 빠져나왔다. 이 사고로 곧바로 SC가 발동되었다.

3랩 째에 레이스가 재개되었다. 별다른 순위 변동 없이 레이스가 진행되던 시점에서 20랩 째에 펠리페 마싸가 첫 번째 피트스톱을 가져갔고, 다음 랩엔 선두인 슈마허가 피트인을 하였다. 두 페라리 듀오가 거의 동일한 연료량을 주입하며 무난한 전략을 가져갔고, 26랩 째엔 롱 스틴트를 가진 알론소가 피트인을 하며 레이스 후반부의 역전을 노렸다. 30랩 째엔 버튼이 피트스톱 도중 연료 주입을 완료하지 않고 출발하여 피트크루를 치는 사고가 있었다.

35랩 째부터 슈마허와 알론소 사이에 치열한 배틀이 시작됐다. 직전 5여랩 전부터 알론소가 1.5초 더 빠른 페이스를 보이며 격차를 빠르게 줄였던 것이었다. 마치 지난 시즌 산마리노 GP에서의 두 드라이버의 배틀과 같이 치열한 접전이 이어졌으나, 작년과는 반대로 슈마허가 알론소를 철통 방어하며 순위를 지켜갔다. 더 이상 추월이 쉽지 않다고 판단한 르노는 42랩 째에 알론소를 피트인시켜 새 타이어로 교체하였다. 페라리도 이를 견제하기 위해 슈마허를 다음 랩에 불러들여 새 타이어로 교체했고, 가까스로 알론소 앞으로 트랙에 복귀하며 순위를 유지했다.

결과는 슈마허의 우승이었다. 지난 해의 산마리노 GP에서의 아쉬움을 보란듯이 설욕하는 경기력을 보여준 슈마허였다. 알론소가 2위로 완주하였고, 3위는 후안 파블로 몬토야가 차지하며 시즌 첫 포디움을 수확했다. 이 경기 결과로 슈마허가 2점을 좁히며 알론소와 15점 차 뒤진 2위로 올라섰다.

한편, 이 경기는 F1 역사상 마지막 산마리노 GP였다. 해당 서킷에서 열린 그랑프리는 14년 뒤에야 F1 캘린더에 돌아왔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르노51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33
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30
4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혼다15
5BMW 자우버10

6.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5R: 2006 포뮬러 1 그랑프리 오브 유럽 (유럽 GP)[편집]


레이스 주말 전, 드라이버 변동이 있었다. 지난 산마리노 GP 종료 이후 슈퍼 아구리의 이데 유지가 FIA로부터 슈퍼 라이센스 박탈을 당하며 F1을 떠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슈퍼 아구리는 그의 대체 드라이버로 미나르디의 리저브 드라이버 출신인 프랭크 몽타니를 발탁하였다. 이 경기가 곧 몽타니의 F1 데뷔전이 되었다.

6.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29.8161번째
P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212s2번째
P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591s3번째
P4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1. 루벤스 바리첼로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938s4번째
P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17s5번째
P6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젠슨 버튼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24s6번째
P78.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603s7번째
P8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064s8번째
P99.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3.589s19번째[-10][엔진_교체]
P1017. 자크 빌르너브 (BMW 자우버)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7.182s9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Q39.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30.892Q3 진출
P117.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052s10번째
P12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302s22번째[-10][엔진_교체]
P13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305s11번째
P1414.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335s12번째
P151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530s13번째
P16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836s14번째
[ Q1 결과 ]

6.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점수(pts)
우승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35:58.765 (60랩)10
2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3.751s8
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4.447s6
4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4.879s5
5위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1. 루벤스 바리첼로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2.5864
6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4.1163
7위10.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코스워스)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14.5652
8위17. 자크 빌르너브 (BMW 자우버)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29.364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
9위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10위1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1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1.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스피드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2위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13위1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DNF7.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52랩)[엔진]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52랩)[엔진]
DNF22.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타쿠마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45랩)[유압계통]
DNF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랭크 몽타니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29랩)[유압계통]
DNF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혼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28랩)[엔진]
DNF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클리엔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28랩)[트랜스미션]
DNF9.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2랩)[유압계통]
DNF14.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2랩)[충돌_대미지]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0랩)[충돌_대미지]
[엔진] A B C [유압계통] A B C [트랜스미션] [충돌_대미지] A B

패스티스트 랩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32.099 (Lap 39)
2006 유럽 GP 하이라이트

레이스 스타트에선 폴 시터인 페르난도 알론소가 좋은 스타트로 자리를 유지한 채 앞서나갔다. 하위권에 있는 비탄토니오 리우치야르노 트룰리, 데이빗 쿨싸드와의 컨택으로 인해 프런트 윙과 리어 타이어 대미지를 입었다. 이 사고로 인해 데브리가 흩뿌려져 SC가 발동되었다.

레이스가 3랩 째에 재개되었다. 별다른 이슈가 없이 잘 진행되다가 하위권에서 잠시 배틀이 있었는데, 크리스티얀 알버스가 인으로 잘 파고들며 사토 타쿠마를 추월하는 데 성공했다. 14랩 째엔 마크 웨버가 레이스카 문제로 리타이어하였다. 18랩 째에 알론소가 첫 피트스톱을 진행하며 선두는 슈마허로 바뀌었다. 다음 랩엔 슈마허가 피트인을 하며 르노의 전략에 응수한 페라리였다. 그리고 가까스로 알론소가 슈마허의 앞으로 들어오며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

피트인을 했던 키미 래이쾨넨지안카를로 피지켈라의 뒤로 가까스로 들어오며 쉽지 않은 레이스를 예고했다. 앞에 있는 피지켈라는 자우버의 닉 하이트펠트와의 배틀로 인해 앞 드라이버와의 격차는 벌어져갔고, 키미는 꽁꽁 묶이게 되었다. 같은 시기에 피트레인 출구 쪽엔 젠슨 버튼이 레이스카 문제로 차를 세워 리타이어하였고, 몇 랩 뒤엔 크리스티안 클리엔도 리타이어하였다.

38랩 째에 알론소가 두 번째 피트스톱을 가지며 안정적인 레이스를 운영해나갔다. 이 사이 2위에 있던 슈마허는 페이스를 끌어올려나갔고, 이 상태로 2랩을 달려나갔다. 41랩 째에 피트인 한 슈마허는 마침내 알론소의 앞으로 들어오며 선두로 올라섰다. 페라리의 오버컷 전략이 성공한 순간이었다. 그렇게 슈마허가 별 문제 없이 레이스를 안전하게 리드해나갔다.

레이스 종료까지 7랩 남은 53랩 째에 후안 파블로 몬토야랄프 슈마허가 차량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트랙엔 13명만이 남았다. 그러나 추가적인 리타이어 없이 남은 드라이버들이 모두 완주에 성공할 수 있었다. 레이스 우승은 미하엘 슈마허가 차지하였고, 알론소가 2위로 완주하였다. 이 경기 결과로 슈마허가 또 한 번 더 격차를 2점 좁히며 13점 차가 되었다. 컨스트럭터에선 페라리가 더블 포디움을 기록해 2위에 있던 맥라렌을 밀어내었고, 선두 르노와 16점 차로 크게 좁혔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르노62
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46
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38
4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혼다19
5BMW 자우버11

7. 파일:스페인 국기.svg 6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 텔레포니카에스파냐 2006 (스페인 GP)[편집]



7.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14.6481번째
P2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061s2번째
P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322s3번째
P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794s4번째
P5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1. 루벤스 바리첼로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237s[同]5번째
P67. 랄프 슈마허 (토요타)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237s[同]6번째
P78.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328s7번째
P8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젠슨 버튼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360s8번째
P9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367s9번째
P1016.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496s10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출발 그리드
Q316.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15.468Q3 진출
P119.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034s11번째
P1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333s12번째
P13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0.336s13번째
P1417.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379s22번째[-10][엔진_교체]
P15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클리엔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0.460s14번째
P16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193s15번째
[ Q1 결과 ]


7.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르노 2015 로고.png
1. 페르난도 알론소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26:21.759 (66랩)10
2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미하엘 슈마허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8.502s8
3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23.951s6
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29.853s5
5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키미 래이쾨넨 (맥라렌 - 메르세데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56.875s4
6위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2. 젠슨 버튼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58.347s3
7위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11. 루벤스 바리첼로 (혼다)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2
8위16.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컨스트럭터)타이어기록
9위9.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10위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11위10.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 - 코스워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1 Lap
12위17.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BMW 자우버)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3위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클리엔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4위14.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 - 페라리)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 1 Lap
15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탄토니오 리우치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63랩)[90%][유압계통]
16위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티아고 몬테이로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3 Laps
17위22.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타쿠마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4 Laps
DNF1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크리스티얀 알버스 (MF1 -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48랩)[윙_손상]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21.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스피드 (토로 로쏘 - 코스워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47랩)[엔진]
DNF7.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31랩)[전자계통]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맥라렌 - 메르세데스)
파일:미쉐린 2000년대 로고.webp(17랩)[스핀_리타이어]
DNF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랭크 몽타니 (슈퍼 아구리 - 혼다)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0랩)[드라이브샤프트]
[90%] [유압계통] [윙_손상] 윙 손상으로 리타이어[엔진] [전자계통] [스핀_리타이어] 스핀 후 트랙에 복귀하지 못하고 리타이어[드라이브샤프트]

패스티스트 랩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1:16.648 (Lap 42)
2006 스페인 GP 하이라이트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르노78
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59
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42
4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혼다24
5BMW 자우버12



[-10] A B C D 10 그리드 페널티[엔진_교체] A B C D 엔진 교체로 인한 그리드 페널티 부여[1] 포메이션 랩에서 스타트를 하지 못해 피트레인에서 스타트[同] A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