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린(포켓몬스터)/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덤프버전 : r20190312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푸린(포켓몬스터)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등장인물


파일: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ε' 표기는 에코 파이터로 스킬셋 자체는 원본 캐릭터와 공유하나 일부 성능상의 차이가 있는 클론 캐릭터를 말한다.
파일:ssblogo.gif
원년 파이터

파일:smash_mario.png
01 마리오

파일:smash_donkey_kong.png
02 동키콩

파일:smash_link.png
03 링크

파일:smash_samus.png
04 사무스

파일:smash_yoshi.png
05 요시

파일:smash_kirby.png
06 커비

파일:smash_fox.png
07 폭스

파일:smash_pikachu.png
08 피카츄

파일:smash_luigi.png
09 루이지

파일:smash_ness.png
10 네스

파일:smash_captain_falcon.png
11 캡틴 팔콘

파일:smash_jigglypuff.png
12 푸린

파일:大乱闘スマッシュブラザーズDX_タイトルロゴ.png
DX부터 참전

파일:smash_peach.png
13 피치

파일:smash_bowser.png
14 쿠파

파일:smash_ice_climbers.png
15 얼음 타기

파일:smash_sheik.png
16 시크

파일:smash_zelda.png
17 젤다

파일:smash_dr_mario.png
18 닥터마리오

파일:smash_pichu.png
19 피츄

파일:smash_falco.png
20 팔코

파일:smash_marth.png
21 마르스

파일:smash_young_link.png
22 소년 링크

파일:smash_ganondorf.png
23 가논돌프

파일:smash_mewtwo.png
24 뮤츠

파일:smash_roy.png
25 로이

파일:smash_mr_game_and_watch.png
26 Mr. 게임&워치

파일:ssbxlogo.jpg
X부터 참전

파일:smash_meta_knight.png
27 메타 나이트

파일:smash_pit.png
28 피트

파일:smash_zero_suit_samus.png
29 제로 슈트 사무스

파일:smash_wario.png
30 와리오

파일:smash_snake.png
31 스네이크

파일:smash_ike.png
32 아이크

파일:smash_pokemon_trainer.png 포켓몬 트레이너
파일:smash_diddy_kong.png
36 디디콩

파일:smash_lucas.png
37 류카

파일:smash_sonic.png
38 소닉

33 꼬부기
34 이상해풀
35 리자몽
파일:smash_king_dedede.png
39 디디디 대왕

파일:smash_olimar.png
40 피크민&올리마

파일:smash_lucario.png
41 루카리오

파일:smash_robot.png
42 R.O.B.

파일:smash_toon_link.png
43 툰 링크

파일:smash_wolf.png
44 울프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Logo_EN_%28alt%29_-_Super_Smash_Bros._Wii_U_3DS.png
for Nintendo 3DS / Wii U부터 참전

파일:smash_lucina.png
21ε 루키나

파일:smash_dark_pit.png
28ε 블랙피트

파일:smash_villager.png
45 마을 주민

파일:smash_mega_man.png
46 록맨

파일:smash_wii_fit_trainer.png
47 Wii Fit 트레이너

파일:smash_rosalina_and_luma.png
48 로젤리나&치코

파일:smash_little_mac.png
49 리틀맥

파일:smash_greninja.png
50 개굴닌자

파일:smash_mii_fighter.png Mii 파이터
파일:smash_palutena.png
54 파르테나

51 격투형
52 검술형
53 사격형
파일:smash_pac_man.png
55 팩맨

파일:smash_robin.png
56 러플레

파일:smash_shulk.png
57 슈르크

파일:smash_bowser_jr.png
58 쿠파주니어

파일:smash_duck_hunt.png
59 덕헌트

파일:smash_ryu.png
60

파일:smash_cloud.png
61 클라우드

파일:smash_corrin.png
62 카무이

파일:smash_bayonetta.png
63 베요네타

파일:smashultimatelogo_kor2.png
얼티밋부터 참전

파일:smash_dark_samus.png
04ε 다크 사무스

파일:smash_daisy.png
13ε 데이지

파일:smash_chrom.png
25ε 크롬

파일:icon_ken.png
60ε

파일:smash_inkling.png
64 잉클링

파일:smash_ridley.png
65 리들리

파일:smash_simon.png
66 사이먼

파일:smash_richter.png
66ε 릭터

파일:smash_king_k_rool.png
67 킹크루루

파일:smash_shizue.png
68 여울

파일:icon_gaogaen.png
69 어흥염

파일:icon_packun_flower.png
70 뻐끔플라워

파일:ssbujokericon.png
71 조커

파일:ssbuheroicon.png
72 용사

파일:ssbubanjoicon.png
73 반조 & 카주이

파일:terryicon.png
74 테리

파일:bylethicon.png
75 벨레트 / 벨레스

파일:minminicon.png
76 미엔미엔
파일:steveicon.png
77 스티브 / 알렉스
파일:sephirothicon.webp
78 세피로스
파일:homuraicon.png [[파일:hikariicon.png
파일:kazuyahead.png
81 카즈야
파일:soraicon.png
82 소라
}}}

파일:smash_12purin.png


1. 개요[편집]


풍선포켓몬.

둥글고 커다란 눈동자로 상대를 꾀어내어 편안한 노래를 들려주며 잠들게 만든다.

반드시 잠에 빠지고야 마는 그 노래의 비밀은 목소리의 파장에 있는데, 상대가 가장 졸음을 느끼는 파장으로 노래할 수 있다.

몸에 닿은 상대를 헤롱헤롱 상태로 만드는 "헤롱헤롱바디"의 소유자.

"달의돌"을 사용하면 푸크린으로 진화한다.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피규어 설명


매력적인 풍선포켓몬 / 魅惑のふうせんポケモン / The Sleepy Singer

링네임


초대부터 계속 참전했다. 개근 12인 중 유일하게 계속 히든으로만 출장한 게 특징...이었지만 Wii U 버전에서 초기 캐릭터로 나오게 되면서 이 특징도 사라졌다. 성우는 카나이 미카. 북미 및 영국판은 레이철 릴리스(Rachael Lillis)[1].

사실 초대 당시엔 대놓고 약캐릭터로 구상하였고, 이후로도 참전한 캐릭터 중 대우가 가장 나쁜데, X 때도 당초엔 잘릴 예정이였으나[2] 울프와 툰 링크와 함께 겨우 막차를 탔고[3], 4에서도 개근 12인 중 대부분은 첫 트레일러 공개부터 참전이 확정되었지만 푸린은 네스와 함께 발매가 임박했을 때가 되서야 참전이 확정되었다. 이후 스위치 버전에서도 다른 11인과는 달리 실루엣 예상에서 나오지 않았다.


2. 상세[편집]


상당히 특이한 포지션의 캐릭터로, '풍선' 포켓몬답게 굉장히 쉽게 날아가며, 지상 이동속도는 전 캐릭터중 최하위권이고, 공격시의 리치도 짧은데다 실드가 깨질 경우 위로 엄청나게 튀어오르며 저 하늘의 별이 되어버린다. 하지만 공중 이동속도가 지상 이동속도보다 빠른 데다 커비처럼 다단점프라 복귀에 있어서는 최상의 성능을 자랑하며[4], 의외로 쓸만한 공격[5] 아래에 설명할 필살기들이 트릭키한 성능을 갖고 있어 약하긴 하지만 장점도 있어서 쓸려면 어떻게든 쓸 수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잘 날아가버린다는 단점을 커버하기 위해인지, 보호막이 상당히 큰 편. 보호막이 자연 유지되는 시간도 꽤 긴 편이다. 그런데 혹여 가드 크러시가 발생하면 그대로 KO. 날아가기 어렵게 메탈화나 거대화를 해도 그대로 KO. 앞서 언급한대로 천장같은게 없다면 무조건 하늘의 별이 될만큼 뜨는 높이가 높으므로 저스트 가드 같은 테크닉을 쓰면서 가드에 집중해야 한다.[6] 이 때문에 3DS 토너먼트에서 종종 푸린의 가드크러시를 시작신호로 쓰는 경우도 있다. 로컬플레이는 관전모드가 없으므로 관전용 스크린을 위해 3번째 플레이어가 필수인데 이때 푸린을 골라놓고 가드크러시 KO를 신호삼아 대전을 시작한다. 그래서 영원히 고통받는 푸린 얼티밋의 푸린 동영상도 비장의 무기 다음에 마르스의 실드 브레이커로 가드크러시 KO를 당하는 모습이 나온다.

초대, DX에는 다른 색을 사용하면 리본을 달다가 X부터 회연의 꽃, 곤충채집소년의 모자, 블루의 모자, 커비가 슬립 카피를 했을때 나오는 모자 등을 쓰거나 달고 나온다. 4에서는 여기에 간호순의 모자와 세레나의 모자도 추가.

실은 첫 시리즈에서 커비의 데이터를 재활용해서 포켓몬을 하나 내보낼 예정이었고 다른 후보였던 삐삐를 제치고 선택되었단 뒷이야기가 있다. 이후 푸린이 꾸준히 시리즈마다 개근출석한 걸 보면 삐삐에겐 영상매체의 저주라고 봐도 되지 않을까.

초창기엔 지나치게 눈깔괴물인데다 미간도 좁고 눈빛도 흐리멍텅해 상당히 불편한 인상이라는 평이 있었으며, 이 때문인지 4부터는 눈 크기가 줄어들었고 미간도 그만큼 넓어졌으며 눈빛도 깔끔해졌다. 눈동자의 색도 청록색이었으나 4편부터 청색으로 변경되었다.

64부터 얼티밋까지 공격 모션이 제일 적게 변한 캐릭터다.

3. 기술 일람[편집]


  • 대미지는 원패턴 패널티 비적용 시 기준. 원패턴 패널티 적용 시 첫 공격의 위력이 5% 강해지며 이후 같은 공격을 반복할 때마다 계속해서 줄어든다.

3.1. 지상 공격[편집]


  • 일반 공격
짧은 손으로 적을 2번 때린다. 리치도 짧은 주제에 위력도 상당히 구려서 영 좋지 않다.[7] 위력이 약한 대신 그 만큼 후딜레이도 짧다. 대미지는 3.6% + 3.6%이다.

  • 위 강공격
발을 뒤로 들어올려서 찬다. 조금 느리지만 위력은 강하다. 생각보다 결정력이 강하다. 하지만 초접근해야 맞는 리치가 제일 문제다. 콤보용으로도 어느정도 활용 가능하다. 대미지는 9.6~10.8%이다.

  • 옆 강공격
제자리에서 한 바퀴 돌면서 발로 찬다. 딜레이는 굉장히 빠르지만 리치가 제일 짧으며 위력도 강하지 않아서 그리 쓸만하진 않다. 얼티밋부턴 기본 넉백이 줄고 추가 넉백이 늘어나 초반엔 잽 락을 걸고 후반엔 처치용으로 쓸 수 있다. 공격 방향을 약간 조정할 수 있다. 대미지는 12.0%이다.

  • 아래 강공격
몸을 웅크린 채 킥을 날린다. 역시나 발이 짧다보니 리치도 짧다. 딜레이가 길고 위력도 특출나지 않지만 적을 저각으로 날려서 복귀하기 곤란하게 할 수 있다. 리치도 그나마 긴 편이다. 대미지는 12.0%이다.

  • 대시 공격
앞으로 넘어진다. 리치는 짧지만 비교적 긴 편이며 딜레이도 짧다. 또한 머리 부분에 잠시 무적 판정이 있어 장풍 정도는 보통 무시하고 지나간다. 좋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그나마 쓸만하다. 원래는 꽤나 심심하게 엎어졌으나 얼티밋에선 정면을 보며 실수로 넘어지는 느낌이 든다. 대미지는 9.6~14.4%이다.

  • 복귀 공격
올라오면서 한쪽 발로 킥을 날린다. 발은 많이 짧지만 다행히도 다른 캐릭터에 비해 리치가 더 짧거나 하지는 않는다. 대미지는 9.6%이다.

  • 기상 공격
뒤로 넘어지면 일어나면서 자신의 주위를 발로 공격한다. 앞으로 넘어지면 일어나면서 앞을 차고 뒤를 발로 쳐낸다. 바나나 껍질에 의해 넘어지면 물구나무 자세로 스핀킥을 날린다. 역시나 리치가 더 짧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대미지는 8.4%이다.


3.2. 공중 공격[편집]


  • 공중 일반 공격
특유의 자세로 발을 살짝 뻗어 상대를 공격한다. 딜레이가 없는 수준이며 착지 시 오토 캔슬된다. 판정도 오래 남는다. 위력도 강한 편에 판정까지 좋아 사기적이다. 접근할 때 쓰는 것도 좋지만 푸린은 급속 낙하까지 느린지라 천천히 낙하하다가 공격당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견제나 접근할 때는 아주 좋다. 대미지는 7.2~13.2%이다.

  • 공중 앞 공격
드롭 킥을 날린다. 딜레이도 짧고 적을 완벽한 각도로 띄우기 때문에 다중 점프를 이용해 연속으로 맞추기 쉽다. 리치 또한 푸린치고는 우수한 편이다. 적을 화면 끝까지 밀어붙여 처치할 수도 있다.[8] 위험하긴 하지만 계속 밀어붙이다가 잠자기로 끝을 낼 수도 있다. 대미지는 7.2~10.8%이다.

  • 공중 뒤 공격
뒤돌아서 돌려차기를 날린다. 푸린치고는 생각보다 리치가 길다. 위력이 매우 뛰어나고 딜레이가 적어 상당히 쓸만하다. 공중 앞 공격처럼 밀어붙이기는 힘들지만 결정력은 매우 강하다. 대미지는 15.6%이다. 얼티밋에서는 공격하고 나서 강제로 뒤를 쳐다보게 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공중 위 공격
팔로 자신의 위를 쓱 휘젓는다. 리치는 짧지만 딜레이도 빠르고 판정도 좋다. 리치가 짧은 편이라 오히려 반격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는 게 좋다. 콤보도 넣을 수는 있으나 그리 안정적이진 못하다. 대미지는 9%이다.

  • 공중 아래 공격
여러번 회전하며 발을 드릴처럼 돌린다. 타수가 많고 위력도 강하지만 그만큼 딜레이가 길다. 후딜레이가 길어서 콤보를 잇는 것은 힘들다. 생각보다 빈틈이 크므로 주의해야 한다. 종종 판정이 이상하게 튀어 적이 탈출한다. 총 9연타이며 대미지는 1.8 × 8 + 2.4% (16.8%) 이다.


3.3. 잡기 공격[편집]


  • 잡기
짧은 손을 휘둘러서 잡는다. 리치는 당연하게도 엄청나게 짧다. 대시 잡기나 뒤돌아 잡기를 사용해도 리치에 별로 차이가 없다. 던지기도 그렇게 좋진 않아서 굳이 잡기가 쓸만하진 않다.

  • 잡기 공격
적을 걷어찬다. 대미지는 1.5%이다. 4에선 적을 손으로 때렸었으며 다른 3% 잡기 공격을 가진 캐릭터들 중에서 공격속도가 제일 빨랐으나 기대할 수준은 아니였다.

  • 앞 던지기
찡그린 표정을 지으며 몸을 부풀려서 적을 튕겨내버린다. 기본 넉백만 높고 추가 넉백은 낮아서 어느 용도로 쓰기에도 애매하다. 별 의미가 없긴 하지만 그래도 발동이 빠르며 주변의 적도 피해를 입는다. 대미지는 6.0% + 6.0%이다.

  • 뒤 던지기
적을 들고 뒤로 엎어져서 수플렉스를 먹인다. 역시나 어떻게 사용하기도 애매하다. 앞 던지기보다 위력이 조금 더 강하나 도토리 키재기나 마찬가지다. 대미지는 12.0%이다.

  • 위 던지기
화난 표정으로 제자리에서 한 바퀴 돌면서 적을 위로 던져버린다. 모션이 간결하고 넉백이 던지기 중에서 제일 강하다만 어차피 없는 수준이다. 적이 날아가는 궤도로 플래시가 6개 나타난다. 대미지는 9.6%이다. 초대에선 이게 앞 던지기였다. DX까지는 잠자기와 콤보를 이을 수 있었다.[9]

  • 아래 던지기
화난 표정으로 적을 깔아뭉개고 우스꽝스럽게 데굴데굴 구른다. 역시나 콤보용으로 쓰긴 힘들다. 구르는 도중 다른 적도 피해를 입는다. 대미지는 7.2% + 7.2%이다.


3.4. 스매시 공격[편집]


  • 옆 스매시
앞으로 상당히 느긋하게 킥을 날린다. 느린 대신 위력은 좀 더 강하다. 리치도 제법 길다. 너무 아슬아슬하게 맞으면 위력이 감소한다. 대미지는 19.2~26.8%이며 미스 시 16.9~23.5%이다.

  • 위 스매시
위로 강하게 박치기를 날린다. 위력과 리치에 비해 딜레이가 길어서 반격당하기 쉽다. 낮은 퍼센트에선 분명 맞췄는데도 반격을 당할 수 있다. 별로 좋진 않은 편이다. 후방에서 맞으면 위력이 강해져 그나마 쓸만하다. 대미지는 원래 12~16%이지만 정통으로 맞으면 14~19%의 대미지를 준다.

  • 아래 스매시
다리찢기를 해서 양 옆의 상대를 밀쳐버린다. 공격한 뒤 제자리에서 한 바퀴 돈다. 공격할 때 다리가 순간적으로 상당히 커진다. 하지만 그래봤자 리치는 엄청나게 짧다. 그러나 맞추면 상대를 완벽한 수평으로 날려보내기 때문에 복귀를 하기 힘들어진다. 비스듬하게 메테오 스매시 판정이 있어 절벽에선 그대로 떨어지며 공중에 있는 적은 아래로 떨어뜨린다. 어째선지 지상에 있는 적에겐 999%가 되어도 처치 표시가 뜨지 않는다. 공중에 있는 적에겐 정상적으로 뜬다. 얼티밋에서는 각도가 다른 아래 스매시만큼 높아져서 이런 용도로는 쓸 수 없다. 스매시 공격 차지 모션이 좀 특이하다. 보통 부들부들거리는 다른 스매시 공격 차지와 달리 충전하고 있으면 제자리에서 세 바퀴를 돈다. 대미지는 11~15%이다.


3.5. 필살기[편집]



일반 필살기. 엄청난 속도로 구르며 적을 공격한다. 이게 얼마나 빠르냐면 풀 차지시 소닉이 달리는 것보다 더 빠르고, 와리오가 와리오맨으로 변신한 상태에서 바이크를 타고 가는 것과 같은 속도다. 리미트 브레이크 상태의 클라우드에게 좋은 먹잇감이 된다 We don't use rollout 공중에서 명중 시 착지할 때 까지 좌우 이동 외엔 아무것도 못 한다. 충전을 하나도 하지 않았을 경우 느린데다가 대미지도 주지 못하면서 매우 큰 후딜레이가 생겼으나 얼티밋에선 충전을 안 할경우 한 바퀴만 구르고 정지한다. 얼티밋에선 딜레이도 많이 줄었기에 좀 실용성 있는 기술이 될 듯 하다. 다만 구르는 거리가 크게 줄어드는 너프를 받았다.

옆 필살기.[10] 팔을 내밀며 전진한다. 판정이 길게 남고 실드를 크게 깎아먹기 때문에 실드 깎기용으로 주로 쓰이며, 팔을 내밀 때 앞으로 전진하면서 높이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특징을 살려 복귀 보조용으로 쓰인다. 아예 초대와 DX의 보너스 스테이지에서 이걸 이용해 건너가야 하는 부분이 있을 정도.

위 필살기. 푸린 주변으로 음파가 세 번 퍼지는데 여기 닿은 적은 잠든다. 마지막 음파가 제일 범위가 넓다. 이거 외에 잠재우는 효과가 있는 것은 몬스터볼에서 나오는 아르코가 사용하는 공격이나 다크라이의 다크홀, 피치와 데이지의 최후의 히든카드인 '피치ㆍ데이지 블로섬'밖에 없다. 다만 공중에 있거나 사다리에 매달린 적에겐 통하지 않는다. 푸린 본인도 이 기술을 사용할 땐 상당히 오래 무방비이며, 정작 잠재우고 나서도 상대방이 빨리 깨 버리면 역관광 당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점프와 병행하여 판정 마지막 부분에 상대방이 맞게 하는 것이 기본. 이 기술을 쓰면서 절벽을 잡아 캔슬할 수 있다. 노래하기의 순수 위력은 0이지만 음파가 무려 공격 판정이라 POW 블럭을 터뜨릴 수 있으며 카운터에 반격당한다. 얼티밋에서는 상당한 버프를 받아 공중에서 아주 약간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70% 정도에서 잠을 재워도 스매시 풀 차징을 할수있을만큼 상대방이 오래 잔다. 이를 이용해 상대방이 자는사이 인성질을 한 후에 깨기 직전 잠자기로 킬을 내는 악성 유저들도 있는 모양이다(..)

아래 필살기. 순간적으로 죽은 눈이 된 뒤 오래동안 잠을 잔다. 본편과는 다르게 회복효과는 없으며, 사용 후 일정시간 무방비로 노출되지만, 사용 직후 1프레임만 몸의 중심에 공격판정이 있는데 이게 대미지와 날리는 힘이 굉장히 강하다.[11] 또한 상대에게 잠자기를 맞추면 루이지의 슈퍼 점프 펀치 정통이나 드라군 완제품 히트 등 강력한 기술들의 효과음과 같은 강렬한 소리가 난다. 순간적으로 무적판정이라서 대놓고 가까이에 있는 폭탄류 앞에서 이 기술을 쓰고 터트려도 무적 판정 덕에 주변의 캐릭터들만 대미지를 입고 푸린만 멀쩡하다. 개중에는 디디디의 고르도같은 발사체를 잠자기로 반사하는 용자도 있다. 푸린이 잠을 자는 것은 그냥 후딜레이의 모션이기 때문에 수면 효과에 당할 수도 있다.
대략적인 4편 기준 잠자기의 최소 킬 퍼센트 정리영상. 일부 DLC 캐릭터들은 포함되어있지 않으니, 유튜브에 (해당 캐릭터 이름) Montage라고 치면 각종 애니메이션과 킬 퍼센트[12]를 정리한 영상이 있으니 참고.


3.6. 비장의 무기[편집]


  • 커지기
파일:푸우우리이인.jpg
자신의 몸을 점점 크게 부풀리는 특수한 비장의 무기.
이동 및 공격을 전혀 할 수 없으며 몸집이 커지는 것을 지켜보고 있어야만 하는 기술이다.
단, 이때 푸린은 무적 상태로 커지며 다른 플레이어를 화면 밖으로 조금씩 밀어낸다.
기술 자체는 단순해 보이지만 어떻게 사용하느냐네 따라 효과가 천차만별인 기술이다.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피규어 설명
푸린이 엄청난 크기로 커진 후 몸에 닿은 캐릭터들을 크게 날리는 공격이다. 공격 자체의 대미지는 없는 단순한 날리기 공격이지만, 일단 커진 다음 몸 전체에 판정이 생기는 덕분에 좁은 스테이지에서 특히 그 위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날린 후에도 작아지지 않는 버그도 있다.[13] 4에서는 더욱 더 커지게, 얼티밋에서는 더 빠르게 커지게 변경. 또한 약한 편이지만 커지기가 끝날 때 대미지도 생겼다. 다만 심각한 문제가 있는데 공격 판정 없이 그냥 몸 자체가 점점 커지면서 벽이 되는 방식이라 상대가 무조건 휘말리는 것도 아니고, 밑에 있는 상대한테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니며, 비장의 무기 중 유일하게 날리는 공격이 같은 팀에게도 맞는다. 팀전일 경우 안 쓰는 것만 못하게 될 수도 있는 유일한 비장의 무기. 커스텀 스테이지로 가장 작은 스테이지 만들어 놓고 거기서 저걸 쓴다면 그땐... 그리고 시리즈가 거듭될수록 비장의 무기를 쓸 때 눈도 바뀐다.

3.7. 어필[편집]


  • 위 어필
한 바퀴 스핀한 뒤 화면을 바라보며 몸을 부풀린다.

  • 옆 어필
여러 바퀴 스핀하다가 발 끝으로 서서 손을 옆으로 뻗는다.

  • 아래 어필
공기가 빠져 매우 얇아지면서 땅으로 떨어진다. 피격 판정도 그에 맞게 변한다.

4. 타이틀별 특징[편집]



4.1. 닌텐도 올스타!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편집]




파일:Jigglypuff_SSB.png
히든 캐릭터로 등장한다. 아무런 조건에서나 싱글플레이를 클리어 하면 난입하는데, CPU레벨이 1인지 굉장히 약하다. 쓰러뜨리면 쓸 수 있다. 혹 다른 히든 캐릭터인 캡틴 팔콘네스의 해금 조건이 충족된다면 푸린은 밀려나고 해당 히든 캐릭터와 먼저 대전하게 된다.

대놓고 예능용 약캐로 구상하고 넣었으나 의외로 강점이 많아 중간 정도 티어를 유지하고 있다. 국제 티어 리스트에선 딱 6위를 하고 있다.

4.2.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편집]




파일:Jigglypuff_SSBM.jpg
DX에서는 폭스, 팔코, 시크, 마르스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초강캐로. 사기적인 잠자기의 넉백과 Wall of Pain[14][15] 이라고 불리는 플레이로 한때는 살인 풍선이라 불릴정도로 굉장히 악랄한 캐릭터다. 현재 국제 티어 리스트에선 5위를 지키고 있다.

DX의 푸린은 항상 저평가 받아왔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평가가 천천히 올랐는데[16] 그 이유는 단순히 캐릭터가 재미가 없어서. 출시된지 15년이 넘은 게임을 아직도 붙잡고 있는 사람들은 진심으로 DX를 재밌다고 생각하며 게임을 즐기는것을 추구 하기 때문에, 하는 재미도 보는 재미도 떨어지는 푸린을 하는 사람이 적었던것. 실제로 대회 상위권의 성적을 낼수 있는 최상위권 실력자들 사이에서는 단 한명을 제외하고 푸린을 하지 않는다는 암묵적인 룰 까지 있을 정도다. 하지만 데뷔하자 마자 푸린으로 온갖 대회를 휩쓸었던 Mang0[17]라거나 최근에 세계 원탑에 올라서 있는 HungryBox를 보면, 정말로 잘하는 사람이 푸린을 잡으면 얼마나 무시무시 해지는지 입증이 돼있다.

푸린은 다른 상위권 캐들과 비해 매우 독특한 강점들을 가지고 있는데, 압도적인 1위의 공중속도 덕에 공중상태에서도 다른 캐릭터가 지상에서 대쉬하는 것처럼 움직일 수가 있어서 공중전에서 치고 빠지는 전략이 가능했다. 이는 5단 점프와 합쳐 푸린의 지상 복귀를 저지 하는건 불가능이나 없는 반면 다른 캐릭터 들은 꿈도 못꿀 유동적인 복귀 저지가 가능하게 만들었다. DX의 상위권캐들의 공통적인 장점이 강력한 복귀 저지력인데, 이를 무력화 시키는 S급 복귀력은 엄청난 강점이다. 또한 시스템상 대부분의 사기캐는 콤보가 지상부터 시작하는 관계로 공중전을 유도하면서 히트앤런을 운영해 나가기 때문에 생존력이 부족한 상대에게는 더더욱 강캐였다.

푸린이 지상에서 약한가 하면 또 절대로 아닌데 잡기와 연계로 0%부터 KO가 가능한 잠자기와 사기적인 웅크리기 때문이다. 푸린이 웅크리면 시크, 마르스와 캡틴 팔콘의 잡기가 안들어간다! 이 3캐릭터는 잡기 연계의 의존도가 매우 큰데, 이 웅크리기 때문에 실드 공략에 애로사항이 필뿐만이 아니라 결정력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또한 공중 뒷 공격의 판정은 DX 역대 통틀어서 가장 정신나간 매직 리치를 자랑하고 있다. 그냥 뒷다리를 뻗은것 뿐인데 뻗은것에 2배나 되는 히트박스 판정을 자랑한다. 이를 이용한 컨트롤까지 합치면 아무리 잘하는 폭스도 자칫하면 떠밀려 나갈 수가 있다.

푸린은 DX의 다른 캐릭터들 보다 조작이 매우 쉬운편이다. 이는 컨디션에 따라 생기는 실력의 변동이 적다는 강력한 장점이 있다. 특히 폭스와 팔코는 엄청난 조작 난이도 때문에 하면 할수록 피곤 해진다는 프로들이 증언이 있는데 푸린을 한다면 이런 문제가 전혀 없다. 이러한 관계로 푸린은 실질적으로 모든 캐릭터의 상대로 상성상 우위에 있는 사기캐다.

단, 너무 가벼워서 단순한 공격에도 뻥뻥 날아가버리는 단점이 있는데, 단순한 스매시인데도 클린히트에 훅가는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푸린은 맞기 않기 위한 노고가 필요한데, 그만큼 L 캔슬과 턱걸이 컨트롤에 익숙해져야 한다. 신난다고 붕붕 떠다니다가 한번에 신나게 별이 될 수가 있을 정도로 저항력이 없기 때문에 덜 맞고 많이 때려야 한다. 특히 잠꼬대 빼고는 결정력이 없기 때문에 상대를 밀어내기 위한 정확한 공격은 필수다. 대회에서는 여럿 매드무비를 보여줬지만, 이런 명장면 뒤로 간혹 잠꼬대를 헛쳤다가는 풀콤보 + 대기권 직빵행을 경험할 수가 있다. 그만큼 잠꼬대 자체가 그리 맞추기가 쉽지 않다. 단지 DX의 속도가 빨라서 푸린이 공중에 비행하듯이 있을 수가 있는 것 뿐이다.

푸린의 적은 플레이어 수도 상당한 강점이다. 세계에서 잘하는 푸린이 HungryBox 단 한명밖에 없다보니, 푸린 상대로 경험이 풍부한 사람이 한명도 없어서 상성이 좋다는 폭스를 들고도 저 HungryBox 상대로 다 져버린다. DX에서의 사기성을 알고 싶으면, EVO 2014에 준우승한 그의 비디오를 참고하면 좋다.(EVO 2015도 추천. 잠자기 기술도 명중했다. 근데 상대방이 넘사벽 폭스라...) 그야말로 푸린의 모든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EVO 2016, 그의 푸린이 Armada의 폭스를 상대로 우승했다.

4.3.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편집]




파일:Jigglypuff_SSBB.jpg
X에서는 아공의 사자 스토리 클리어 이후에 얻을 수 있는 캐릭터 3인(울프, 툰 링크, 푸린) 중 하나. '습지' 스테이지에서 나타나는 문으로 들어가면 등장하고 이를 쓰러뜨리면 동료로 들어온다.

천국에서 지옥으로 떨어졌다. X부터 전체적인 게임의 속도가 줄어들고 공중 회피를 연속으로 쓸수 있게 되면서 쓰기도 어렵고 강하지도 않은 초약캐로 너프, 티어 리스트에서 최하위인 하이랄 캐릭터들과 같은 취급으로 몰락했다. 현재 국제 티어 리스트에선 뒤에서 3등인 36등이다.[18]

4.4. Super Smash Bros. for Nintendo 3DS / Wii U[편집]




파일:Jigglypuff_SSB4.png
성능 리틀 맥과 거의 반대다. 그가 지상전 최강, 공중전 최약이었다면 푸린은 지상전 최약, 공중전 최강이다. 즉, 서로 안티테제나 다름없다.

여전히 지옥에 있다. 국제 티어 리스트에선 뒤에서 1등이라는 영광스런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여러모로 극단적인 캐릭터다. 몸무게, 걷기 속도, 지상 속도, 낙하 속도, 리치가 가장 낮고 공중 이동 속도와 착지 딜레이가 최강이다. 캐릭터의 기본부터 이렇게 극단적일 뿐만 아니라 필살기들 조차 특이해서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캐릭터 정도로 정리된다. 비록 DX때보다는 많이 약해졌으나 푸린을 잘 이해할 수 있다면 꽤 잘 싸울 수 있다. 하지만 푸린을 이해할 수 없다면 잠자기구르기셀프 무력화 또는 투신자살하기 쉽다. 원래 중하위권정도의 평가를 받고 있었으나, 푸린 수준으로 약했던 다른 바닥 티어 캐릭터들이 핵 버프 받을 동안, 혼자 아무런 버프를 받지 못해서 평가가 폭락했다. 안 그래도 약하다고 까이는 상태에서 푸린의 극상성 캐릭터가 추가되어서 X 때 만큼이나 나쁜 평가를 받아, 이제는 바닥캐에 속한다(...). EVO2016 DX부분 우승을 차지한 푸린 유저 Hungrybox는 SSB4 에서는 같은 푸린으로 64위권 안에도 들지 못했다. 세상에서 푸린을 가장 잘하는 플레이어조차 4편의 푸린은 답이 없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 HBOX:She still sucks.[19] 현재 ver1.1.7 공식 티어 리스트에서는 (S~G)중 G급 55/55위, Mii들을 포함하면 58/58위 꼴등인건 똑같잖아, 진짜 꼴등이다.

아래 필살기인 잠자기가 발동 즉시 데미지를 주고 후딜을 길게 가지는 능력이라 후딜을 없애주는 터보 모드를 하면 공격은 즉발이면서 후딜은 씹고 무한 홈런이 가능하다. 실제로 클래식 마스터핸드 전에서 터보 모드의 푸린으로 플레이하면 게임이 터진다.[20]

4.5.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편집]


파일:smashultimatelogo_kor2.png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참전 파이터

[ 펼치기 · 접기 ]



#12
PURIN

파일:smash_12purin.png


아직 평가를 내리기엔 좀 이른 감이 없진 않지만 지금까지의 평가를 보면 중위권 정도다. 지난 몇 타이틀에선 항상 바닥 신세였으니 어느 정도 재기에 성공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맷집은 여전히 종잇장이나 피츄의 몸무게가 더 낮아지면서 꼴찌는 아니다.


4.5.1. 등불의 별[편집]




4.5.2. 클래식 모드[편집]


파일:SSBU_Congratulations_Jigglypuff.png
모드 테마는 "64 올스타즈". 초대작의 원년 파이터 12명이 나오는데, 정규 파이터인 마리오부터 피카츄까지는 사무스와 요시, 커비와 폭스를 빼면 한명씩 상대하지만 해금캐인 루이지부터 푸린까지는 한번에 덤벼든다. 최종 보스는 거대화 상태의 동키콩.[21]
[1] 둘다 X부터 맡는다.[2] 사실 미참전한 1세대 포켓몬 중에서는 인기나 상징성으로 보자면 피카츄와 페어를 이루는 이브이가 훨씬 입지가 확고한 편이다. 푸린은 인기나 인지도는 상위권에 들 정도로 괜찮은 편이지만 타이틀 간판도 해본 이브이에겐 확실히 밀린다. 총선거에서도 이브이는 12위였고 푸린은 49위. 그러나 이브이는 아직도 스매시브라더스에서는 몬스터볼 포켓몬 같은 위치로만 만족하는 동안 푸린은 어찌어찌 파이터로 개근중인 상태다. 스매시브라더스와 상성이 매우 좋은 풍선 포켓몬(...)이라는 개성 때문에 살아남은 케이스라 할 수 있다.[3] 그래서 아공의 사자에서도 나오지 않는다.[4] 푸린은 막치기로 가로복귀를 할 수 있지만 세로복귀기가 없기 때문에 얼티밋에서 추가된 방향성 공중회피를 복귀에 굉장히 잘 써먹는다. DX에도 방향성 공중회피를 복귀에 쓸 수 있다.[5] 약캐란 이미지와는 다르게 발동속도가 전체적으로 빠른 편. 대신 판정박스는 보이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정직함을 자랑한다(...)[6] 천장에 막혀서 올라가지 못하고 떨어졌을 경우를 고려한 건지 스턴 모션은 존재한다. 이 모션은 뮤츠의 사슬묶기에 맞아도 나온다.[7] 이마저도 얼티밋에서 버프된 것이며 4에선 999%에서도 상대방이 처치되지 않는 대단한 넉백을 보여준다.[8] 다만 확정은 아니고 보통은 그냥 상대를 복귀하긴 힘든 먼 거리까지 밀어붙이는 정도다. 낮은 퍼센트에선 클린 히트, 대미지가 쌓이면 좀 늦게 맞춰야 밀어붙이기가 쉬워진다. 100% 이상은 다른 기술로 킬을 내는게 더 좋다.[9] 초대에선 거의 모든 상황에서 가능했지만 DX에선 폭스처럼 낙하속도가 빠른 캐릭터만 안정적으로 콤보를 이을 수 있다. 그러나 DX에선 어차피 폭스 플레이어가 널렸으니 크게 문제되진 않는다(...).[10] 초대에서만 일반 필살기[11] 초대에서는 날리는 힘도 데미지도 조금 약해서 봉인기였지만 DX에서 강화. X에서는 날리는 힘이 줄어든 대신 머리에 꽃을 피워 지속 데미지를 입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4에서는 DX보단 좀 덜한 수준으로 다시 강화.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잠자기의 공격판정을 모른다. 심지어 미국에서 판매되던 공략집마저도 푸린의 잠자기를 '뭔지는 모르겠는데 어쨌든 쓰지 마라' 라고 했을 정도니까...[12] 루이지의 슈퍼 점프 펀치, 리틀 맥의 K.O 어퍼컷, 클라우드의 화룡점정 등.[13] 방법은 의외로 간단한데, 올딘대교처럼 지형지물이 부서지고 다시 생기는 스테이지에서 비장의 무기를 쓰는 도중 지형지물이 푸린의 위치에 생기면 푸린이 맞은 것처럼 경직이 생기면서 커진 채로 유지된다.[14] 자기 자신이 스크린 밖까지 나갈때까지 공중 뒤공격을 연속해서 사용하는 그야말로 푸린이기 때문에 가능한 기술이다.[15] 사실 이런 벽몰기 플레이는 커비나, 디디디 대왕이나, 메타 나이트도 공중점프가 더 있기 때문에 가능은 하지만, 커비나 디디디 대왕은 공중속도가 너무 애매해서 안 되며 메타 나이트는 주로 위로 콤보를 이어가는 스타일이 더 적합하며 무엇보다 이 작품엔 디디디 대왕이나 메타 나이트도 없고 커비는 최약캐인지라 푸린만 쓸 수 있는 기술이 돼 버렸다.[16] 티어 리스트가 장기간 동안 갱신 되지 않고 있지만 현재 평가는 폭스와 1위를 다툴 수준. [17] 지금은 폭스와 팔코 메인. 가끔 마르스를 쓰기는 하지만 지금 푸린을 쓰지는 않는다.[18] 35위는 링크며, 37위는 젤다, 38위는 가논돌프다. 하이랄 안습 트리오 사이 샌드위치가 된 것.[19] 트위치 방송할때 쓴 말이다. [20] 넉백이 없는 보스 특성상 무한히 날아오는 홈런 러쉬를 고스란히 다 맞아줄 수밖에 없다.[21] 원년작에선 싱글플레이 스테이지 중 동키콩 스테이지에서 자이언트 동키콩으로 나온 것을 오마주 한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