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공포증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에 대한 내용은 13 공포증(매직 더 개더링) 문서
13 공포증(매직 더 개더링)번 문단을
13 공포증(매직 더 개더링)#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설명
2. 원인
3. 사례
4. 관련 문서


1. 설명[편집]


Triskaidekaphobia.[1]

이탈리아를 제외한 서양에서 숫자 '13'을 불길하게 생각하여 13에 대한 공포를 느끼는 것으로 중세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3일의 금요일에 대한 공포증은 'Friggatriskaidekaphobia' 로 부른다.


2. 원인[편집]


주로 13일의 금요일이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12보다 1 큰 수이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더 많다. 흔히들 기독교예수가 죽은 날이라고 한다.


3. 사례[편집]


  • 건물에는 13층, 아파트[2]나 호텔 등에는 13호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 13층을 생략하거나 12B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롯데월드타워도 13층은 기계실로 만들었고 4자 금기 때문에 4층 또한 기계실이다. 혹은 대한민국에서 4를 'Four'의 약자인 'F'로 대체하듯이 'Thirteen'의 약자인 'T'로 대체하는 경우도 가끔 있다. 한자문화권의 4자 금기보다 더 심하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병원에서 4층에 수술실, 중환자실을 넣을 정도로 4자 금기가 거의 사라졌다. 사실 서양에서도 특히 유럽의 경우 수백 년 이상 된 건물도 보수공사와 시대에 따른 용도변경을 해가며 계속 쓰는 특성상 13층은커녕 10층 이상 건물 자체가 흔치 않아 이 문제가 잘 일어나진 않는다. 그리고 서양에 13층이 있는 건물도 있다.
  • 서양권 축구 선수, 특히 잉글랜드나 스페인 선수들은 등번호를 13으로 받는 것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3] 그래서 13번은 보통 필드플레이어가 아닌 골키퍼들이 받는다.
  • 나스카 레이싱에서는 우승사례가 없다. 이 때문에 차량넘버를 13으로 쓰는 선수가 거의 없을 뿐더러 우승 가능성이 거의 없는 차량 취급당하고 있다.
  • 인천국제공항에 13번 탑승구는 존재하지 않는다.[4] 다만 대한민국의 다른 국제공항은 탑승구가 13번 이상까지 있더라도 13번을 결번하지 않았다.
  • 프랑스 파리에서 2015년 11월 13일 금요일에 테러가 일어난 이후 13 공포증을 가진 파리 시민이 늘어났다.
  • 아폴로 13가 19시 13분에 발사되어 임무를 실패했다. 하지만 악조건에서도 승무원을 전원 생존시켜 돌아온 성공적인 실패라고도 볼 수 있다.
  • 뉴 호라이즌스원자력 전지를 설치하는 날이 13일의 금요일이었다. 사람들이 이를 너무 불안해하자 부하직원들이 임무 총책임자였던 앨런 스턴에게 핵연료 주입일을 단 하루만 연기시켜 달라고 요청했다. 앨런 스턴은 과학자가 뭔 미신이나 믿고 앉았냐며 아랫사람들의 제안을 거부하고 13일의 금요일에 플루토늄을 주입하는 절차를 강행했다. 핵연료 주입은 별 문제 없이 끝났고 앨런 스턴은 원자력 전지 설치가 끝난 뉴 호라이즌스 앞에서 혼자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 사진이 지상에서의 마지막 뉴 호라이즌스의 사진이다. 이 사진이 마지막 사진이 된 이유는 뉴 호라이즌스가 폭발한 게 아니라 저 사진을 찍고 탈 없이 성공적으로 우주로 날아갔기 때문이다.
  • 13번째 알파벳은 M인데, 히브리어로 죽음을 뜻하는 Movet의 첫 글자이다.
일본 오사카메트로의 경전철 뉴트램은 1993년 무인운전 폭주 및 충돌사고를 일으켜[5] 해당 차량인 제13편성영구결번되었다.
  • Microsoft Office 2010의 버전은 원래 13이 될 예정이었으나 13 공포증 때문에 13을 건너뛰고 14로 정하였다.
  • 1988 서울 올림픽 당시에 선수촌에 설치되었던 24대의 공중전화들 중에 13번은 이용하는 사람이 없어서 텅 비어 있었는데 88번으로 바꾸었더니 이용자들이 줄을 서서 기다렸다는 일화도 있다. 당시 신문 기사 보기
  • 작곡가 쇤베르크 또한 13을 두려워했다. 일단 그는 1874년 9월 13일에 태어났다는 이유로 어린 시절에 따돌림을 당했으며 호텔에 묵을 때에도 13호실 혹은 13층에 묵기를 꺼렸고 작곡할 때 페이지 표기를 할 때에도 13 대신 '12A'등으로 표기했다. 또한 오페라 '모세아론'도 원문 철자가 13글자가 되자 'Moses und Aron'[6]으로 표기했다. 심지어 13의 배수인 78도 두려워해 자신이 78세에 죽을 것이라고 두려워했는데, 실제로는 76세에 사망했다.[7][8] 일각에서는 쇤베르크가 12음 기법을 창안한 이유 또한 그가 13을 무서워해서라는 이야기가 떠돈다. 이에 대한 얘기가 2019년 4월 9일에 방영된 신비한TV 서프라이즈를 통해 소개되었다.
  • KD 운송그룹서울 버스 13번을 통해 회사를 일궈나갔던 역사가 있기에 예외적으로 13에 거부감이 적고 지금도 경기광주 면허로 13번 버스와 여기서 파생된 1113번, 1113-1번, 1113-2번이 존재한다.
  • 타로 카드 중 13번이 데스(죽음, 사신)이다.
  • 미국 전투기 계열 중 틴 시리즈 기체에서 F-13만 빠졌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5:12:16에 나무위키 13 공포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발음은 [ˌtɹɪskaɪdɛkəˈfəʊbi.ə\] '트리스카이데카포비아'다. 열셋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τρεισκαίδεκα(트레이스카이데카)에 공포증을 뜻하는 phobia가 결합되었다.[2] 서울 노원구에 있는 어느 아파트 단지에는 4동은 당연히 없고 13동도 없는(!) 곳이 있다.지도 보기[3] 모든 서양권이 그렇진 않고 예외적인 케이스로 등번호 13번이 선호받는 경우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독일 대표팀에서 13번은 에이스의 번호로 게르트 뮐러, 미하엘 발락, 토마스 뮐러가 대표적이다.[4] 4자 금기 때문에 4번뿐 아니라 44번, 244번도 없는 것과 달리, 113번은 있다.[5] 퇴근시간대 만원 열차가 제동불량으로 종점인 스미노에코엔역을 50m 지나쳐 선로 단말에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나 무려 217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사진[6] 원래대로라면 'Moses und Aaron'으로 표기해야 한다.[7] 그런데 점쟁이가 그에게 '7+6=13'이니 76세에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한 적이 있다.[8] 그런데 그의 사망일은 7월 13일로, 심지어 요일 또한 금요일이었다. 즉 평생동안 13이란 숫자를 기피하고 멀리했음에도 결국 13일의 금요일에 숨을 거두고 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