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야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 ||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주요 대표팀 | 역대 로스터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역대 유니폼 | 역대 BI | 세대별 대표팀 | 논란 | 흑역사
1976
하를럼 베이스볼 위크
1976
세계야구선수권
1977
대륙간컵
1978
하를럼 베이스볼 위크
1978
세계야구선수권
김계현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76년|

1976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76년|

1976
]]
김응룡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77년|

1977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1978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1978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1979
대륙간컵
1980
서울컵
1980
세계야구선수권
1981
월드 게임
1981
대륙간컵
김응룡호

1979
|

1980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

1980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어우홍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81년|

198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81년|

1981
]]
1982
세계야구선수권
1983
대륙간컵
1984
세계야구선수권
1984
LA 올림픽
1985
대륙간컵
어우홍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82년|

1982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83년|

1983
]]
한을룡호

1984

김청옥호

1984

성기영호

1985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1986
세계야구선수권
1987
대륙간컵
1988
서울 올림픽
1990
베이징 아시안게임
1994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성기영호

1986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김영빈호

1987

김병우호

1988

장순조호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야구|

1990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김충남호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야구|

1994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1996
애틀랜타 올림픽
1998
IBAF 야구 월드컵
1999
IBAF 대륙간컵
2002
IBAF 대륙간컵
2003
IBAF 야구 월드컵
김충남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96년|

1996
]]
주성노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98년|

1998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99년|

1999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2002년|

2002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강문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2003년|

2003
]]
2005
IBAF 야구 월드컵
2006
IBAF 대륙간컵
2007
IBAF 야구 월드컵
2009
IBAF 야구 월드컵
2010
IBAF 대륙간컵
김정택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2005년|

2005
]]
권영호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2006년|

2006
]]
강문길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2007년|

2007
]]
김학용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2009년|

2009
]]
김정택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2010년|

2010
]]
2011
IBAF 야구 월드컵
천보성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2011년|

2011
]]
† 1998년이 분기점이 되는 이유는 KBO 리그 소속 선수 선발을 책임지는 KBO가 참여하기 시작한 대표팀이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이기 때문이다.
1998년 이후 A급 야구 대표팀 목록은 이쪽으로 →



1. 개요
2. 참가 선수
3. 예선과 본선
5. 여담


1. 개요[편집]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의 야구 종목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서 시범종목으로 채택 되었으나 대만 대한민국 일본 중국 4개국만 참여한 대회였기에 이 대회가 실질적으로 아시안 게임에서 제대로 진행되는 야구 대회였다.

특징으로는 프로선수들의 참가가 아닌 아마추어 선수들만 허용이되었고 아마야구 답게 알루미늄 배트를 먼저 선보였음으로 시작이 되었다.

현재는 사라진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홈구장인 히로시마 시민 구장 구레시니코야 야구장 히로시마 코카콜라 야구장 3개의 구장에서 경기가 펼쳐졌고, 대회 방식은 대회 참가 6개국끼리 A/B 두 조로 나누어 예선을 치르는 경기였다.

A조는 일본/중국/태국, B조는 한국/대만/몽골


2. 참가 선수[편집]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명단
감독
1명
김충남(연세대학교 감독)
코치
2명
김병일(한국화장품 감독) 윤병선(건국대학교감독
투수
6명
위재영(인하대[1]), 임선동(연세대[2]), 전병호(영남대), 문동환(연세대[3]), 조성민(고려대[4]), 차명주(한양대)
포수
2명
최기문(원광대), 진갑용(고려대)
내야수
7명
홍원기(고려대),백재호(동국대), 강혁(한양대[5]), 안희봉(연세대)[6], 김종국(고려대), 김재걸(단국대), 조경환(고려대[7])
외야수
4명
박재홍(연세대[8]), 이병규(단국대), 이영우(건국대), 권오영(상무[9])



3. 예선과 본선[편집]


예선
A조

순위
국가


1위
일본
2
0
2위
중국
1
1
3위
태국
0
2

일본(1승) 25-2(5회 콜드 게임) 태국(1패)
중국(1패) 1-10 일본(2승)
태국(2패) 1-16(6회 콜드 게임) 중국(1승 1패)

B조

순위
국가


1위
한국
2
0
2위
대만
1
1
3위
몽골
0
2

한국(1승) 21-0(5회 콜드 게임) 몽골(1패)
대만(1패) 0-9 한국(2승)
몽골(2패) 0-20(5회 콜드 게임) 대만(1승 1패)

5위 결정전

태국 20-3 몽골(5회 콜드 게임)

준결승

한국 14-0 중국(7회 콜드 게임)
일본 13-3 대만(7회 콜드 게임)

동메달 결정전

중국 4-9 대만

4. 결승전[편집]



팀명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일본
0
0
0
2
0
0
2
0
2
6
0
0
대한민국
0
0
0
3
0
0
0
0
2
5
0
0

한국과 일본은 각각 조 1위 및 콜드게임으로 올라왔다. 허나 서로가 붙는 아마추어 대회에서는 1990년 이후 가장 오랜만에 치르는 공식전이었다.
그만큼 일본 내에서는 관심이 많았으나 국내에서는 관심이 적었다. 오히려 축구와 마라톤이 눈에 띄게 많이 알려졌다.

한국은 선발 문동환이 중반까지 호투하며 일본타선을 막아냈지만 구원투수로 등판한 조성민의 난조로 아쉽게 패배한다.

경기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은 4회초에 먼저 2점을 내준 뒤 5회 2사 1·2루서 안희봉이 3점홈런을 터뜨려 3-2로 전세를 뒤집는 데 성공했지만, 7회 무사 1루서 상대의 희생번트를 어설프게 처리하다 안타를 만들어주면서 2사 2·3루의 위기를 맞았다. 여기서 대타 다이세이 다카기의 투수 키를 넘는 빗맞은 타구를 2루수와 유격수가 서로 미루다 2점을 내줘 4-3으로 재역전 당했다. 그렇게 9회에 일본은 추가 2득점을 하였고 홈팀 공격 한국은 추격전을 했으나 결국 주저 앉고 1점차로 패배 하였다.


5. 여담[편집]



  • 일본과 한국은 이 대회에서 20득점이라는 신기록을 세웠다. 물론 상대팀이 야구라는 개념도 모르는 태국과 몽골이었다.
  • 엔트리에 있던 권오영은 당시, 상무 소속이었고, 나머지는 미필 대학생들이었다.
  • 박재홍, 이병규는 이 대회를 시작으로 무려 4연속으로 아시안 게임을 나갔으나, 하필 마지막이 좋지 않게 끝나서 좀 찝찝했다.
  • 공식적으로 채택 된 아시안 게임 첫 은메달을 걸고 귀국한 선수들은 이 후 프로에 데뷔를 하게 된다. 권오영은 프로에 두각을 내지 못했지만, 배재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많은 제자들을 양성한다.
  • 대표팀 맡았던 김충남 감독은 애틀랜타 올림픽에 사령탑을 맡지만, 예선 광탈을 하여 지휘봉을 내려 놓는다.
  • 문동환을 구원한 조성민은 패전 투수가 된다.
  • 한국과 일본이 다음 대회 역시 결승전에서 만났지만, 한국이 프로+아마추어 최상의 조합으로 첫 금메달을 획득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2:06:06에 나무위키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야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태평양 돌핀스 기지명.[2] LG 트윈스 기지명.[3] 롯데 자이언츠 기지명이었으나 실업 야구 팀인 현대 피닉스에 입단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동환 문서 참고.[4] 훗날 일본프로야구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한다.[5] OB 베어스가 강혁을 기지명했는데 강혁이 한양대를 입단해서 강혁은 KBO에서 영구제명 됐다. 4년 뒤 활약으로 영구제명이 풀린 후 1999년 프로에 입단했다.[6] 태평양 돌핀스 기지명.[7] 롯데 자이언츠 기지명.[8] 해태 타이거즈 기지명.[9] 한화 이글스 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