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Y 긴가

덤프버전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육·해군 항공병기

[ 펼치기 · 접기 ]
육군
항공대

단좌 전투기
Ki-27,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87, ◈Ki-88, ◈Ki-94, ◈Ki-98, Ki-100, †ⓩKi-162, ◈ⓩKi-200 슈스이, ◈ⓩKi-201 카류, †ⓩKu-4
복좌 전투기
Ki-45 토류, ◈Ki-83, Ki-102, ◈Ki-93
폭격기
습격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BR.20 치코냐, Ki-21, Ki-30, Ki-32,
Ki-48, Ki-49 돈류, Ki-51, Ki-67 히류, †Ki-91
자살 공격기
Ki-115 츠루기
훈련기
Ki-9, Ki-6, Ki-17, Ki-55, Ki-54, Ki-79, Ki-86
정찰기
Ki-16, Ki-36, Ki-46
해군
항공대

함재기
A 함상
전투기

A5M, A6M 제로센, A7M 렛푸, †A8M 리쿠후, †N1K3-A 시덴 카이 二
B 함상
공격기

B5M, B5N, B6N 텐잔, B7A 류세이
C 정찰기
C3N, C5M, C6N 사이운,▼D4Y1-C
D 함상
폭격기

D1A, D3A, †D3Y 묘조, D4Y 스이세이
E 수상정찰기
E2N, E7K, E9W, E10A, E13A, E14Y, E15K 시운, E16A 즈이운
F 수상관측기
F1M, F1A
G 육상공격기
G3M, G4M, G5N 신잔, G8N 렌잔, †G10N 후가쿠
H 비행정
H6K, H8K, H11K 소우쿠
J 국지전투기
J1N 겟코, J2M 라이덴, †J3K 17시 국지전투기, ◈J4M 센덴, ◈J5N 텐라이, ◈J6K 진푸, ◈J7W 신덴, †ⓩJ7W2/J7W3 신덴 카이, ◈ⓩJ8M 슈스이, ◈ⓩJ9Y 킷카, ▼N1K-J 시덴, ▼N1K2-J 시덴 카이, ▼N1K3-J 시덴 카이 一, ▼N1K4-J 시덴 카이 三, ▼†A7M3-J 렛푸 카이
K 훈련기
K5Y, K9W 코우요, K10W, K11W 시라기쿠, ▼A6M2-K, ▼M6A1-K 난잔
L 수송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DC-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L2D, L3Y, L4M, ▼H6K-L, ▼H8K-L 세이쿠, ▼H11K-L 소우쿠, ▼G5N2-L 신잔 카이
M 특수공격기
MX 특수활공기

MXY-7 오카, ◈(제식명 불명)N 토카, M6A 세이란, D4Y4 스이세이
N 수상전투기
N1K 쿄후, ▼A6M2-N
P 폭격기
P1Y 긴가
Q 초계기
Q1W 토카이, Q2M 타이요, †Q3W 난카이
R 육상정찰기
R2Y(세이운, 케이운), ◈ⓩR2Y2 케이운 카이, ▼J1N1-R
S 야간전투기
◈S1A 덴코, ▼J1N-S 겟코, ▼P1Y1-S 바야코, ▼P1Y2-S 쿗쿄, ▼D4Y2-S 스이세이
노획 항공기
파일:소련 국기.svg LaGG-3-8, I-16, 투폴레프 SB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F2A 버팔로, P-40, B-17, P-51 머스탱, F4U 콜세어, F6F 헬캣, 커티스 BT-32, CW-21, DB-7, 마틴 139
파일:영국 국기.svg 호커 허리케인, 브리스톨 블렌헤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로부터 수입한 기체
A7He, AxHe, 하인켈 He 119, 융커스 Ju87 슈투카, 메서슈미트 Bf 109E-7, 포케불프 Fw 190A-5, 메서슈미트 Me 210 A2, 메서슈미트 Me 410, ⓩ메서슈미트 Me163, †ⓩ메서슈미트 Me 262, †포케불프 Ta152, †융커스 Ju 390, †V2 미사일
글라이더, 무동력기, 미사일
Ki-147, †Ki-148, †MXY8 아키구사
◈ 시제, 프로토타입 / † 페이퍼 플랜, 수입 실패 / ⓩ 제트 혹은 로켓 엔진 장착기 / ▼ 타 목적 기체를 유용함
국지전투기: 일본군이 운용했던 본토 방어 및 폭격기 요격 전용 전투기. 요격기 문서 참조.
※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거나 이 틀에 기재되지 않은 일본군의 항공병기 전체 목록은 일본 항공병기 설계안 문서 참조.
연합군(특히 미국)이 대전기의 일본 항공기를 지칭할때 사용했던 코드에 대해서는 연합국 코드명 문서 참조.
템플릿:일본 제국의 항공병기를 참조해 주세요. 전반적인 내용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1. 개요
2. 상세
2.1. 파생형
2.2. 제원(P1Y1a 기준)
3. 운용
4. 여담
5. 매체에서의 등장
6. 모형화
7. 둘러보기


P1Y 銀河(은하)


1. 개요[편집]


P1Y 긴가는 일본 제국 해군의 육상 쌍발 중형 폭격기이다. 실질적으로 1식 육상공격기의 후계라고 할 수 있는 기종이다. 연합국 코드명Frances(프랜시스)이다.

2. 상세[편집]


긴가는 요코스카에 위치한 해군항공기술창에서 해군의 요구에 맞춰 개발되었다. 해군은 긴가에 A6M과 대등한 속도와 G4M과 대등한 항속거리, 1톤 가량의 폭장량과 뇌격 능력에 폭뢰를 탑재해 대잠전도 수행할 수 있는 기체를 요구했다. 해군의 요구 조건이 까다로웠기 때문에 개발은 지연되었다. 소형에 고출력의 나카지마 호마레 엔진을 탑재해 해군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켰으나 호마레 엔진의 신뢰성 문제로 후기 생산분에서는 호마레가 미쓰비시 카세이 엔진으로 교체된다.[1] 그 외에 생산성이 좋지 못하고 유지보수가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2.1. 파생형[편집]


  • P1Y1 15시 육상폭격기 (15試陸上爆撃機)
요코스카 해군공창에서 생산된 3기의 프로토타입과 9기의 예비기이다. 1,820hp의 출력을 내는 NK9B 나카지마 호마레 11형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프로토타입 3번기는 후에 이시카와지마 Tsu-11(오카에 사용된 로켓)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 P1Y1 은하 11형 (銀河11型)
최초 양산 모델이다. 호마레 11형 또는 12형을 탑재했다.
  • P1Y1a 은하 11형 갑형 (銀河11甲型)
호마레 12형과 13.2 mm 2식 기관총 1정을 기체 후미에 방어기총으로 탑재했다.
  • P1Y1b 가칭 은하 11형 을형 (仮称銀河11乙型)
P1Y1a형에 기반하고 있다. 기체 후미의 방어기총이 2정으로 증가했다. 엔진은 호마레 12형이다.
  • P1Y1c 가칭 은하 11형 병형 (仮称銀河11丙型)
P1Y1b형에 기반하고 있으며 대량 양산은 되지 못했다. 기체 전방에 13.2 mm 2식 기관총을 추가했다. 엔진은 역시 호마레 12형이다.
  • P1Y1 은하 11형 개조야전(銀河11型改造夜戦)
야간작전형이다. 20 mm 99식 2호 기관포 2문으로 무장했다. 시험적으로만 운용되었다.
  • P1Y1-S 가칭 은하 21형 (仮称銀河21型)
야간전투기 파생형이다. 전방 무장으로 4문의 99식 2호 기관포를 탑재하고 있으며 후방 방어기총은 기본형과 동일하게 2식 기관총 1정이다. 시험적으로만 운용되었다.
  • P1Y1 지상공격형
P1Y1이나 P1Y1a형에서 개조되었으며 폭탄창 공간을 활용해 최대 20문의 99식 2호 기관포를 탑재했다. 마리아나 제도의 B-29가 배치된 비행장에 대한 공습을 위해 만들어졌다. 총 30기가 개조되었다.
  • P1Y2-S 가칭 은하 26형 시제 극광 (仮称銀河26型/試製極光)
야간전투기형이다. 1943년 10월 개발이 시작되어 백광(白光-코로나)으로 명명되었으며, 이후 1944년 3월 극광(極光-오로라)로 재명명되었다. P1Y1 또는 P1Y1a에서 개조되었으며, 엔진은 카세이 25형 갑[2]으로 변경되었다. 무장은 20mm 99식 2호 기관포 2문, 30mm 5식 기관포 1문이다. 96기 또는 97기가 생산되었으며 이후 거의 전량이 P1Y2로 개조되었다.
  • P1Y2 가칭 은하 16형 (仮称銀河16型)
P1Y2-S에 기반한 육상폭격기이다. 엔진은 카세이 25형 갑 그대로이며 출력은 1,850hp (1,380 kW)이다.
  • P1Y2a 가칭 은하 16형 갑 (仮称銀河16甲型)
P1Y1a에 기반한 육상폭격기이다. 엔진은 카세이 25형 갑으로 변경되었다.
  • P1Y2b 가칭 은하 16형 을 (仮称銀河16乙型)
P1Y1b에 기반한 육상폭격기이다. 엔진은 카세이 25형 갑으로 변경되었다.
  • P1Y2c 가칭 은하 16형 병 (仮称銀河16丙型)
P1Y1c에 기반한 육상폭격기이다. 엔진은 카세이 25형 갑으로 변경되었다.
  • P1Y2 은하 16형 개조야전 (銀河16型改造夜戦)
P1Y2에 기반한 야간작전형으로 역시 시험적으로만 운용되었다. 무장은 20mm 99식 2호 기관포 2문에 30mm 5식 기관포 1문이다.
  • P1Y3 가칭 은하 13형 (仮称銀河13型)
P1Y1에 기반한 모델이며 엔진은 호마레 21형이다.
  • P1Y4 가칭 은하 12형 (仮称銀河12型)
P1Y1에 기반한 모델이며 엔진은 호마레 23형이다.
  • P1Y5 가칭 은하 14형 (仮称銀河14型)
P1Y1에 기반한 모델이며 엔진은 미쓰비시 Ha-43[3]이다.
  • P1Y6 가칭 은하 17형 (仮称銀河17型)
P1Y2에 기반한 모델이며 엔진은 카세이 25형 병(MK4T-C)이다.
  • 가칭 은하 33형 (仮称銀河33型)
장거리 폭격기 파생형이다. 폭장량이 최대 3톤으로 증가했고 승무원은 4명이 되었다. 계획으로 끝났다.
  • 시제 천하 (試製天河)
텐가라는 이름의 제트 폭격기 파생형이다. 엔진은 이시카와지마 Ne-30이며 종전으로 완성되지 못했다.
  • MXY10
긴가의 모습을 본딴 지상 디코이이다.

2.2. 제원(P1Y1a 기준)[편집]


* 기체 외부 수치
* 전장: 15 m
* 전폭: 20 m
* 전고: 4.3 m
* 주익면적: 55 m2
* 공허중량: 7,265 kg
* 만재중량: 10,500 kg
* 최대이륙중량: 13,500 kg
* 익면하중: 191 kg/m2
* 성능
* 엔진: 나카지마 호마레 NK9C 18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2기
* 상승 1,825hp (1,361 kW)
* 최고속도: 5,900 m에서 547 km/h
* 순항속도: 4,000 m에서 370km/h
* 항속거리: 5,370 km
* 상승한도: 9,400 m
* 무장
* 방어무장
* 기수에 20mm 99식 2호 4형 기관포 1문
* 기체 후미에 13.2mm 2식 기관총 1정
* 폭장
* 최대 1톤의 항공폭탄 또는 800 kg 항공어뢰

3. 운용[편집]


긴가는 1943년 8월에 첫 비행을 했으며 육상 쌍발폭격기로서 중국 전선과 태평양 전선에서 운용되었다. 지상 공격은 물론 대함 폭격과 뇌격에도 사용되었다. 가와니시에서 생산된 야간전투기형은 카세이 엔진을 탑재하고 레이더, 독일의 슈레게무지크와 유사한 상향총을 탑재해 B-29 요격에 투입되었으나 B-29를 요격하기에는 고공 성능이 충분하지 않아 대부분의 야간전투기형 기체는 일반 폭격기형으로 개조되었다.

이후 패색이 짙어진 1945년 3월 11일 오키나와 전투에서 천2호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미 해군 항공모함에 대한 카미카제 공격에 동원되기도 하였다.[4]

생산량은 1943년에 45대, 1944년에 620대, 1945년에 434대로 총합 1,101대이다. 시제기 3기는 요코스카 해군공창, 야간작전형 96기 또는 97기는 가와니시에서 생산되었으며 나머지 1,002기는 전부 가와사키에서 생산되었다.

4. 여담[편집]


  • 신칸센 0계 전동차의 디자인은 긴가의 유선형 동체에서 따 왔다. 긴가의 설계 기사였던 미키 타다나오 (三木忠直)가 신칸센의 개발에 참여하기도 했다. 오카의 개발자이기도 하다. 긴가는 세련된 유선형 디자인으로 상당한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 전후 평가를 위해 3대의 긴가가 미국으로 보내졌으며 그 중 1대는 스미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엔진도 탑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5.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p1y1_mod11.png
파일:p1y1_mod11_china.png
일본
중국
  • 워 썬더에서 일본 경폭격기 트리중국 폭격기 트리에 구현되어 있다. 둘 다 긴가 11형이며 일본 트리는 4랭크, 중국 트리는 3랭크이다. 체급에 비해 기동성과 상승력이 좋고 방어 무장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리비가 비싸고 전 티어의 B7A2가 워낙 좋아 많이 보이지는 않는다. 중국 트리의 것은 중국 트리에 기체가 적다 보니 4랭크로 넘어가려면 무조건 구매해야 하기에 중국 트리를 뚫는 유저들은 좀 타지만 중국 유저 수가 적어 많이 보이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파일:0_155e76_3ab195e7_orig.jpg
파일:0_130024_6a02eff0_orig.jpg

파일:Ginga.png
파일:Ginga_(Egusa_Squadron)_388_Card.png
긴가
에쿠사대

파일:Equip_L_238.png


6. 모형화[편집]


  • 1/48
    • Sanger
2000년대 발매된 레진 킷이다.

1972년 제품이다. 레벨의 다양한 서브 브랜드를 통해서 발매되기도 했다.
1995년 제품이다. 바리에이션이 다양하며 현재도 전개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가장 구하기 쉬운 제품이기도 하다. 전용 옵션도 가장 다양하다.
  • Unicraft Models
2019년 제품이다.

  • 1/100
    • 오타키
1964년 제품이다.

  • 1/120
    • 니치모
1962년 제품이다.

  • 1/144
    • 이마이
1974년 제품이다.
1980년대 이마이 제품을 재포장 발매했다.
2003년 이마이 제품을 재포장 발매했다.
  • F-Toys
2009년 제품이다.

  • 1/350
    • 피트로드
완성품으로 겟코, 토카이와 합본으로 발매했다.

7. 둘러보기[편집]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18:10:40에 나무위키 P1Y 긴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호마레는 L당 50hp를 목표로 한 엔진으로, 2차 대전기의 왕복엔진 중 배기량/중량 대비 출력이 템페스트의 브리스톨 센타우러스 엔진과 함께 최상급이지만 그만큼 빡빡한 설계라 유지보수에 더욱 많은 노력을 요구했다.[2] 미쓰비시 MK4T-A, B6N2의 엔진이다.[3] A7M2J4M의 엔진이다.[4] 천1호 작전은 야마토의 특공이다. 긴가는 카미카제 따위로 소모하기에는 아까운 고성능기였지만 일본군의 전술이 미군의 본토 상륙을 저지하기 위한 지연전으로 바뀐 상태에서 항공기의 성능 정도는 그리 중요하게 않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