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모키오역

덤프버전 : (♥ 0)

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싱가포르 MRT
앙모키오
파일:싱가포르 MRT 4호선.svg
주롱이스트 방면
이오추캉
← 1.5 ㎞
남북선
(NS16)
파일:싱가포르 MRT 5호선.svg
마리나사우스피어
방면

비 샨
2.4 ㎞ →
애비에이션파크
방면

타비스톡
← ㎞
크로스
아일랜드선
(미개통)
브라이트힐 방면[1]
텍 기
㎞ →


다국어 표기
영어Ang Mo Kio
중국어(간체)宏茂桥
타밀어அங் மோ கியோ
주소
남북선2450 Ang Mo Kio Ave 8
Singapore 569811
크로스
아일랜드선
미정[2]
승강장 구조
남북선2면 3선 쌍섬식 승강장
크로스
아일랜드선
복선 섬식 승강장(예정)
운영 기관
남북선SMRT Trains
크로스
아일랜드선
미정
개업일
남북선1987년 11월 7일
크로스
아일랜드선
2030년 예정

파일:NS16_CR11_Ang_Mo_Kio_MRT_20230421_093320.jpg

1. 개요
2. 승강장
2.1. MRT 남북선



1. 개요[편집]


싱가포르 MRT 남북선의 역이다. 싱가포르 MRT의 원년 멤버 역중 하나이며 역에 있는 쇼핑몰에 규모가 큰 실내 버스 터미널이 있다.

역명인 앙모키오는 중국어 훙마오차오(紅毛橋)의 호키엔어 식 독음인데 훙마오(紅毛)는 명나라청나라 시절부터 중국에서 백인을 일컫던 이름으로 붉은 머리라는 뜻이다. 당시 접촉했던 스페인, 포르투갈라틴인들이 금발보다는 붉은 머리나 갈색 머리가 더 많았기 때문이었다. 물론 이 역명의 유래는 영국인을 뜻하는 말인데 해협식민지 시절 영국 총독부 사람들이 이 지역에 다리를 건설하면서 붙어버린 이름이다.

특이하게 2면 3선식 승강장인데 바로 한쪽은 출퇴근 시간대 한정으로 앙모키오 착발 열차가 있기 때문이다.

리셴룽 현 싱가포르 총리[3]지역구이다. 아버지 리콴유는 차이나타운의 탄종파가가 지역구였고 생가도 있다. 현직 총리의 지역구지만 딱히 특혜받는 그딴 건 없다.

시내에 비해 월세가 싸고 시내하고 멀지 않아 외국인들이 많이 자취하며 거주한다.

2. 승강장[편집]



2.1. MRT 남북선[편집]


파일:nsl_ns16_mar16-12.jpg

이오추캉
ACDB
비샨·비샨차량기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2 21:23:55에 나무위키 앙모키오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30년 1차 구간 개통 직후에는 브라이트힐역까지만 운행할 예정이며, 2032년 2차 구간 개통 후에 주롱레이크디스트릭트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2] 역이 완공되는대로 주소가 배정될 예정이다.[3] 한국은 일본과 달리 수상보단 총리라고 부른다. 일본은 입헌군주국이라 총리가 수장이지만 한국은 버젓하게 대통령이 있는 나라이며 총리는 대통령에 대한 선임 참모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