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골든벨/지역

덤프버전 : r20180326





1. 설명
2. 골든벨 등극자의 달성 기간
2.1. 10회 등극 달성(10단위 등극 기준)
2.2. 50회 등극 달성(50단위 등극 기준)
3. 역대 최장 공백기와 최단 공백기
3.1. 최장 공백기(100일 이상 및 이후 경과 기준)
3.2. 최단 공백기(2~3회 연속 골든벨 탄생/실패 기준)
3.2.1. 명예의 전당(2~3회 연속 탄생 기준)
3.2.2. 골든벨 실패(2~3회 연속 실패 기준)
3.3. 지역별 최장 공백기(2,000일 이상 경과 기준)
3.4. 지역별 시군구 참가학교 최장 공백기(2,000일 이상 경과 기준)
3.5. 남/여학생별 골든벨 공백기(300일 이상 경과 기준) [1]
3.5.1. 종합
3.5.2. 남학생
3.5.3. 여학생
4. 역대 방영편수(889회 기준, 통산 893회(독립 편성) - 총 928회 방영 편수 기준 - 접속! 신세대 코너 포함)
5. 역대 결방횟수(889회 기준, 통산 74회 결방 횟수 기준)
6. 연도별 지역 참가 학교 횟수
7. 연도별 지역 골든벨 도전 등극/실패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166명 실패 기준) [2]
7.1. 골든벨 명예의 전당 수상자 등극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 [3]
7.2. 골든벨 실패 횟수(166명 실패 기준) [4]
8. 역대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선택(색)별 등극/실패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166명 실패 기준)
8.1. 연도별 등극자 선택(색)별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 [5]
8.1.1. 2002년 3월 24일 ~ 2002년 12월 15일(26대 ~ 30대)
8.1.2. 2003년 2월 9일 ~ 2003년 6월 22일(31대 ~ 32대)
8.1.3.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
8.1.4.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현재(106대 ~ 현재)(16개 선택 기준,16명 수상자 기준)
8.2. 연도별 실패자 선택(색)별 횟수(166명 실패 기준)
8.2.1. 2002년 2월 17일 ~ 2002년 11월 24일(3명 실패)
8.2.2. 2003년 4월 27일 ~ 2003년 6월 1일(4명 실패)
8.2.3. 2003년 7월 27일 ~ 2014년 11월 16일(97개 선택 기준,97명 실패자 기준)
8.2.4.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현재(43개 선택 기준,43명 실패자 기준)
8.3. 지역별 등극자 선택(색)별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
8.3.1. 2002년 2월 3일 ~ 2002년 12월 15일(25대 ~ 30대)
8.3.2. 2003년 2월 9일 ~ 2003년 6월 22일(31대 ~ 32대)
8.3.3.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 [6]
8.3.4.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현재(106대 ~ 현재)(16개 선택 기준,16명 수상자 기준)
8.4. 연도별 실패자 선택(색)별 횟수(166명 실패 기준)
8.4.1. 2002년 2월 17일 ~ 2002년 11월 24일(3명 실패)
8.4.2. 2003년 4월 27일 ~ 2003년 6월 1일(4명 실패)
8.4.3. 2003년 7월 27일 ~ 2014년 11월 16일(97개 선택 기준,97명 실패자 기준)
8.4.4.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현재(43개 선택 기준,43명 실패자 기준)
9. 역대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선택(도,전,골,든,벨)별 총 통산 등극/실패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166명 실패 기준)
9.1. 연도별 등극자/실패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89대 및 89명 등극 기준)
9.1.1. 연도별 등극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89대 및 89명 등극 기준) [7]
9.1.2. 연도별 실패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140명 실패 기준)
9.2. 지역별 등극자/실패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
9.2.1. 지역별 등극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 [8][9]
9.2.2. 지역별 실패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
10. 역대 최종문제(번)(38번~49번 탈락 최종문제 기준,884회 기준,121대 및 121명 등극,166명 실패 기준) [10][11][12][13][14]
10.1. 연도별 [15][16][17][18][19][20]
10.2. 지역별 [21][22][23][24][25][26][27]
11. 역대 연도별 왕중왕 최종문제
12. 역대 왕중왕 등극자 지역
13. 역대 준왕중왕 준우승자 지역
14. 역대 대거 탈락 문제(60명 이상 탈락 및 40명 생존 기준,정답률 40% 이하 및 오답률 60% 이상 기준,총 33문제 대거탈락 기준)
14.1. 연도별
14.2. 지역별 및 특집별
15. 역대 최후의 1~4인(885회 기준)
16. 역대 KBS 아나운서 성별 진행자 횟수
17. 역대 KBS 아나운서 성별 진행 횟수
17.1. 남자(총 1,188회 남성 진행 횟수 기준)
17.2. 여자(총 936회 남성 진행 횟수 기준)
18. 역대 성씨별 진행자
19. 역대 참가 지역(888회 기준, 총 726개 참가 학교 기준) [28] [29] [30][31] [32]
19.1. 지역별 참가 학교수
19.2. 참고사항



1. 설명[편집]


  • 도전 골든벨에서 지역에 참가한 학교의 방영된 골든벨의 지역들의 문서며, 지역에 대한 자세한 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골든벨 등극자의 달성 기간[편집]



2.1. 10회 등극 달성(10단위 등극 기준)[편집]


대수출신학교(골든벨 수상자)등극후 달성 기간등극후 달성 간격
1(초대) ~ 101대 이병렬(경기 성남 분당고 2학년)(접속!신세대 코너) ~ 10대 조아라(경기 의정부여고 1학년)(독립 편성 이후)1999년 2월 19일 ~ 2000년 2월 11일357일
11 ~ 2011대 최정은(서대전여고(◎) 3학년) ~ 20대 김성수(강원 원주고 3학년)2000년 2월 25일 ~ 2001년 7월 6일497일
21 ~ 3021대 선지원(한국테크노과학고 3학년) ~ 30대 윤슬기(서울 진선여고 3학년)2001년 9월 7일 ~ 2002년 12월 15일465일
31 ~ 4031대 박진희(충북 충주여고 3) ~ 40대 황은영(부산 대덕여고 3학년)2003년 2월 9일 ~ 2004년 8월 1일539일
41 ~ 5041대 김종현(청학동골든벨 특집& 대구 성광고(◎) 3학년) ~ 50대 이덕원(경기 광명 진성고 3학년)2004년 8월 15일 ~ 2005년 7월 17일336일
51 ~ 6051대 최원녕(★)(경기 군포고(◎) 2학년) ~ 60대 김연재(전남 순천강남여고 3학년)2005년 10월 23일 ~ 2006년 11월 19일392일
61 ~ 7061대 김신해(경북 경산 하양여고 3학년) ~ 70대 최수진(대구 현풍고 1학년)2007년 1월 21일 ~ 2008년 9월 21일609일
71 ~ 8071대 김도영(부산남고 1학년) ~ 80대 염동호(경북 포항 영신고 3학년)2008년 10월 26일 ~ 2011년 1월 2일1,031일
81 ~ 9081대 김유리(동국대부속여고 3학년) ~ 90대 한종현(서울 대광고 1학년)2011년 4월 24일 ~ 2013년 1월 6일623일
91 ~ 100(100대 금자탑)91대 정찬렬(경남 진주고 3학년) ~ 100대 김희주(전북여고 3학년)2013년 4월 14일 ~ 2014년 7월 13일455일
101 ~ 110101대 송현서(수학골든벨 & 전북 전주 상산고 1학년) ~ 110대 전진웅(2015 역사통일 골든벨 & 경기 하남고 1학년)2014년 7월 27일 ~ 2015년 8월 16일385일
111 ~ 120111대 최준희(경남 밀양고 2학년) ~ 120대 함태원(경기 남양주 청학고 1학년)2015년 8월 30일 ~ 2017년 5월 7일617일


2.2. 50회 등극 달성(50단위 등극 기준)[편집]


대수출신학교(골든벨 수상자)등극 기간등극후 달성 간격
1 ~ 501대 이병렬(경기 성남 분당고 2)(접속! 신세대 코너) ~ 50대 이덕원(경기 광명 진성고 3학년)(독립 편성 이후)1999년 2월 19일 ~ 2005년 7월 17일2,341일
51 ~ 10051대 최원녕(★)(경기 군포고(◎) 2학년) ~ 100대 김희주(전북여고 3학년)2005년 10월 23일 ~ 2014년 7월 13일3,284일


3. 역대 최장 공백기와 최단 공백기[편집]



3.1. 최장 공백기(100일 이상 및 이후 경과 기준)[편집]


  • 기간이 같은 경우 방송 날짜를 우선으로 하였다.
순위공백기간구분공백일자출신학교(골든벨 수상자)비고
12017년 6월 18일~현재200일
이상 침묵
280일경기 안양고등학교(◇)(121대 윤병희)~현재[33][34][35] [36]
22015년 9월 6일~2016년 4월 24일231일경기 안양 부흥고등학교(112대 서민석)~경남 김해가야고등학교(113대 신한비)[37] [38][39][40]
32012년 2월 5일~9월 9일217일충남외국어고등학교(86대 이건희-2명 중 1명 등극)~전남 여수화양고등학교(87대 김준희)[41] [42][43]
42009년 1월 11일~7월 12일100일
이상 침묵
182일서울 중앙고등학교(72대 이수홍)~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73대 김주현)[44]
52011년 7월 31일~2012년 1월 15일168일경북 예천 대창고등학교(82대 김태우)~대전대신고등학교(◇)(83대 김덕호,84대 서문규)[45][46]
62003년 2월 9일~6월 22일133일충북 충주여자고등학교(31대 박진희)~전남 영광 해룡고등학교(32대 이정주)
2009년 11월 8일~2010년 3월 21일서울 중산고등학교(75대 김주송-500회 특집 전국고교최강전)~서울 동덕여자고등학교(76대 송정인)[47] [48][49]
72010년 4월 18일~8월 22일126일전남 순천매산여자고등학고(77대 김새롬)~충북 충주고등학교(78대 고건호)
82010년 8월 22일~12월 19일119일충북 충주고등학교(78대 고건호)~광주 장덕고등학교(79대 김효진)
92002년 3월 24일~7월 14일112일부산 학산여자고등학교(26대 이유정)~선정고등학교(27대 김동원)
2002년 7월 14일~11월 3일서울 선정고등학교(27대 김동원)~충남 논산 쌘뽈여자고등학교(28대 김민희)[50][51]
2004년 4월 11일~8월 1일경남 마산중앙고등학교(39대 김준설)~부산 대덕여자고등학교(40대 황은영)
2014년 3월 23일~7월 13일부산여자고등학교(99대 이나현)~전북여자고등학교(100대 김희주)[52]
102000년 10월 6일~2001년 1월 19일105일인천 대인고등학교(16대 박진우)~서울 진명여자고등학교(17대 박장미(☆))[53][54]
2007년 3월 18일~7월 1일인천 부평여자고등학교(62대 김한나)~강원 평창고등학교(63대 이민주)
2007년 8월 26일~12월 9일충남 보령 대천고등학교(64대 김성환)~경북 김천고등학교(65대 이규인)


3.2. 최단 공백기(2~3회 연속 골든벨 탄생/실패 기준)[편집]



3.2.1. 명예의 전당(2~3회 연속 탄생 기준)[편집]


  • 2회 연속 탄생 : (29대 박홍준(서울세종고)~30대 윤슬기(서울 진선여고)), (34대 안경민(경남 진주동명고)~35대 김승필(울산 무룡고)), (46대 김유진,47대 김지혜(이상 경북 구미여고) - 2인 동시 등극), (59대 문형범(춘천고- 독서골든벨)~60대 김연재(전남 순천강남여고)), (83대 김덕호, 84대 서문규(이상 대전대신고(◇) - 2인 동시 등극), (85대 조해창(대구고)~86대 이건희(충남외고)), (87대 김준희(전남 여수 화양고)~88대 유은식(서울 배재고,◇)), (102대 신명규(효양고)~103대 이정담(서울관광고-관광골든벨-단독 도전), (111대 최준희(경남 밀양고)~112대 서민석(경기 안양 부흥고)), (115대 황미홍(광복절 특집 1부 - 2016 재중동포 골든벨 연변제1고급중학교)~116대 김민철(경기 군포부곡중앙고 - 現 군포중앙고)) - 총 11번
  • 3회 연속 탄생 : (21대 선지원(한국테크노과학고 -현 부산보건고)~22대 이정호(부산 동아고)~23대 한성식(경기 구리고)) - 총 1번


3.2.2. 골든벨 실패(2~3회 연속 실패 기준)[편집]


  • 2회 연속 실패 : 이장희(김포 양곡종고 - 현 양곡고) ~ 남경민(서울 염광여고(현 염광고)),김광진(경남 통영고) ~ 여름특집 2000년 해양소년단 특집 ~ 서승화(경남 통영고) ~ 이종률(서울 한국삼육고) ~ 김은나(제주 신성여고), 최솔(전남 해남고(◎) ~ 이민령(부산 동래여고), 배진형(대구 경원고)(국제 화학올림피아드 기념 특집) ~ 이재민(전북 전주 우석고), 이덕현(서울 청량고(◎) ~ 이예빈(경남 김해여고),정재훈(경북 포항 동지고) ~ 최정범(경기 광주중앙고)(2006 역사골든벨), 권무광(충남 천안제일고)(400회 특집 전국고교최강전) ~ 방수빈(충남 태안고),이준수(경기 안산 양지고) ~ 이원경(충남 천안쌍용고),김영은(경남 고성중앙고) ~ 김정환(전북 고창고,◇), 임수정(전남 목포정명여고-단독 도전) ~ 김한솔(경기 화성 병점고),강희제(경기 파주 문산고(◇) ~ 김엽(서대전고(◇)),김유신(경기 이천고,◇) ~ 김혜영(충남 계룡 용남고),윤라경,박소현(이상 전북 전주 호남제일고 - 2인 동시 탈락), 유진석(경북 영천 영동고) ~ 유진혁(경기 파주 교하고),임상이(전북 전주솔내고) ~ 백민하(충남 서산 서일고,◇), 백군,김염(이상 2015년 재중동포 골든벨 - 2인 동시 탈락), 손민준(전남 신안 도초고)(추석특집 섬마을 골든벨) ~ 이선화(충남 천안 복자여고)(2015 한글날특집),김동원(전북 군산동고) ~ 조민혁(전남 여수석유화학고),임민석(조대부고) ~ 박장민(충남 천안 복자여고)(2016 한글날특집),손주용(경기 의정부 호원고) ~ 강희은(경기 이천양정여고-최후의 2인-2명 중 1명 골든벨 도전 탈락),이승윤(경기 용인 죽전고) ~ 이승한(강원 홍천고-최후의 2인 - 2명 중 골든벨 도전 1명 탈락) - 총 27번

  • 3회 연속 실패 : 이덕현(서울 청량고(◎) ~ 이예빈(경남 김해여고) ~ 이정배(경기 고양 일산대진고)(대한민국 과학축전 특집),송은한(충남 금산고-단독 도전) ~ 조용훈(서울 상문고) ~ 전진(광주과학고)(2009 과학골든벨),김다영(경기 성남 계원예고) ~ 이현(경남 진주 대아고) ~ 이진우(경기 성남 성일고) - 총 3번


3.3. 지역별 최장 공백기(2,000일 이상 경과 기준)[편집]


  • 밑줄 표기는 10년 이상.
순위지역공백기간구분공백일자출신학교(골든벨 수상자)비고
1울산광역시2003년 9월 7일~현재5,000일
이상 침묵
5,320일+무룡고등학교(35대 김승필)~[55][56][57]
2전라북도2001년 2월 16일~2014년 7월 13일4,000일
이상 침묵
4,895일+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17대 박지영)~전북여자고등학교(100대 김희주)[58] [59][60]
3대전광역시2000년 2월 25일~2012년 1월 15일4,342일+서대전여자고등학교(◎)(11대 최정은)~대전대신고등학교 (재도전)(83대 김덕호,84대 서문규)[61] [62] [63]
4강원도2007년 7월 1일~2017년 4월 23일3,000일
이상 침묵
3,584일평창고등학교(63대 이민주)~홍천고등학교(119대 박우선)[64][65][66]
5경상남도2005년 2월 20일~2013년 4월 14일2,000일
이상 침묵
2,975일김해고등학교(45대 배순영)~진주고등학교(91대 정찬렬)[67]
6인천광역시2007년 3월 18일~2014년 10월 19일2,772일부평여자고등학교(62대 김한나)~동산고등학교(◇)(104대 문성호)[68]
7충청북도2010년 8월 22일~현재2,772일충주고등학교(78대 고건호) ~[69]
8인천광역시2000년 10월 15일~2007년 3월 18일2,344일대인고등학교(16대 박진우)~부평여자고등학교(62대 김한나)
9대전광역시2012년 1월 15일~현재2,268일대전대신고등학교(◇)(83대 김덕호,84대 서문규) ~[70]
10대구광역시2012년 1월 29일~현재2,247일대구고등학교(85대 조해창) ~
11충청남도2012년 2월 5일~현재2,247일충남외국어고등학교(86대 이건희-2명 중 1명 등극) ~
12충청북도2004년 8월 29일~2010년 8월 22일2,184일제천고등학교(◎)(41대 김학명)~충주고등학교(78대 고건호)[71]

3.4. 지역별 시군구 참가학교 최장 공백기(2,000일 이상 경과 기준)[편집]


  • 굵은 글씨는 참가한 시군구 지역 학교의 공백 기간이 침묵이 깨진 기록
  • 밑줄 표기는 10년 이상.
순위지역공백기간공백일자출신학교(골든벨 수상자-대수별)비고
1강원도
삼척시
1999년 11월 19일~현재6,708일+삼척여자고등학교~ 현재[72][73]
2전라남도
진도군
2002년 10월 6일~현재5,656일+진도고등학교(◎)~ 현재[74]
3경기도
포천시
2003년 6월 1일~현재5,418일+동남고등학교(50번 탈락)~ 현재
4경기도
평택시
2003년 6월 15일~현재5,404일+신한고등학교~현재
5전라남도
영광군
2003년 6월 22일~현재5,397일+해룡고등학교(32대 이정주)~현재[75]
6충청남도
부여군
2003년 9월 14일~현재5,313일+부여여자고등학교~현재
7전라북도
김제시
2004년 2월 1일~현재5,173일+덕암고등학교~현재
8광주광역시
서구
2002년 3월 3일~2016년 4월 17일5,159일+광덕고등학교(◎)~전남고등학교
9강원도
속초시
2004년 4월 25일~현재5,089일+속초여자고등학교~현재
10강원도
동해시
2001년 1월 12일~2014년 11월 30일5,070일+북평고등학교~묵호고등학교
11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2004년 5월 16일~현재5,068일+삼성여자고등학교~현재[76][77]
12경기도
가평군
2004년 7월 18일~현재5,005일+가평고등학교 ~ 현재
13부산광역시
사상구
2004년 8월 1일~현재4,991일+대덕여자고등학교(40대 황은영)~현재
14충청북도
제천시
2004년 8월 29일~현재4,963일+제천고등학교(◎)(42대 김학명)~현재
15경상남도
통영시
2000년 7월 21일~2014년 1월 18일4,930일+통영고등학교(50번 탈락)~동원고등학교
16경기도
구리시
2004년 12월 12일~현재4,858일+토평고등학교~현재[78]
17충청남도
서산시
2005년 2월 6일~현재4,802일+서일고등학교(◎)~현재[79]
18강원도
태백시
2005년 3월 13일~현재4,767일+황지고등학교~현재
19전라북도
군산시
2003년 2월 16일~2016년 2월 28일 4,760일+군산여자고등학교(◎)~군산동고등학교(50번 탈락)[80][81][82]
20전라북도
남원시
2005년 5월 29일~현재4,670일+남원고등학교~현재
21전라남도
해남군
2005년 6월 19일~현재4,669일+해남고등학교(◎)(50번 탈락)~현재
22경상남도
거제시
2000년 11월 3일~2013년 5월 19일4,580일+거제고등학교~ 거제제일고등학교
23전라남도
화순군
2005년 9월 25일~현재4,571일+능주고등학교~현재
24전라북도
고창군
2002년 12월 22일~2015년 5월 10일 4,522일+고창고등학교(◎)~고창여자고등학교(50번 탈락)
25서울특별시
중구
2005년 11월 20일~현재4,508일장충고등학교~현재[83]
26경상남도
밀양시
2003년 5월 25일~2015년 8월 30일 4,494일+밀성고등학교(◎)~밀양고등학교(112대 최준희)
27부산광역시
남구
2006년 3월 5일~현재4,410일+예문여자고등학교~현재
28충청남도
예산군
2006년 5월 7일~현재4,347일예산고등학교(◎)(55대 석정완)~현재[84]
29경기도
의정부시
2004년 5월 9일~2016년 3월 13일4,326일+경민고등학교~송현고등학교[85]
충청남도
당진시
2006년 5월 28일~현재4,326일+당진고등학교~현재[86]
30경기도
안성시
2002년 6월 23일~2014년 2월 9일4,249일+안성종합고등학교(◎,現 가온고등학교)~경기창조고등학교
31인천광역시
강화군
2006년 8월 20일~현재4,242일+강화고등학교(◎)~현재
32경기도
연천군
2006년 12월 10일~현재4,130일+전곡고등학교~현재
33경상남도
함양군
2006년 12월 24일~현재4,116일+함양고등학교~현재
34서울특별시
강북구
2001년 12월 16일~2013년 3월 10일4,102일+영훈고등학교~미양고등학교
35강원도
춘천시
2007년 4월 29일~현재3,990일+봉의고등학교~현재
36경기도
군포시
2005년 10월 23일~2016년 8월 28일3,962일+군포고등학교(◎)(51대 최원녕((◎)(★))~부곡중앙고등학교(116대 김민철)[87][88][89]
37강원도
원주시
2004년 6월 20일~2015년 1월 25일 3,871일+북원여자고등학교 ~ 치악고등학교[90]
충청남도
보령시
2007년 8월 26일~현재3,871일+대천고등학교(64대 김성환)~현재
38경상북도
안동시
2007년 10월 28일~현재3,808일+성희여자고등학교~현재[91]
39전라북도
정읍시
2007년 6월 10일~2017년 8월 20일3,724일+정읍여자고등학교~정읍고등학교[92]
40전라남도
함평군
2008년 2월 3일~현재3,710일+함평고등학교~현재
41강원도
강릉시
2001년 1월 5일~2011년 2월 6일3,684일+강일여자고등학교~강릉여자고등학교(50번 탈락)[93]
42전라북도
순창군
2008년 3월 23일~현재3,661일+순창제일고등학교~현재
43전라남도
광양시
2008년 4월 6일~현재3,647일중마고등학교~현재
44서울특별시
영등포구
1999년 4월 23일(접속! 신세대 코너)~2009년 3월 8일3,621일여의도여자고등학교(50번 탈락)~영등포여자고등학교[94]
45강원도
횡성군
2008년 4월 13일~현재3,640일횡성여자고등학교~현재
46경기도
이천시
2004년 10월 31일~2014년 9월 14일3,605일이천제일고등학교~효양고등학교(102대 신명규)
충청남도
공주시
2008년 5월 18일~현재3,605일공주여자고등학교~현재
47울산광역시2008년 7월 13일~현재3,542일울산고등학교~현재
48경상남도
남해군
2004년 9월 5일~2014년 4월 6일3,500일남해제일고등학교~남해해성고등학교
49부산광역시
영도구
2008년 10월 26일~현재3,442일부산남고등학교(71대 김도영)~현재[95]
50경기도
오산시
2004년 11월 14일~2014년 1월 12일3,346일오산고등학교~운천고등학교
경상북도
경주시
2008년 4월 27일~2017년 6월 25일경주여자고등학교~선덕여자고등학교(50번 탈락)[96]
51서울특별시
영등포구
2009년 3월 8일~현재3,311일영등포여자고등학교~현재
52경상남도
양산시
2005년 6월 5일~2014년 5월 18일3,269일효암고등학교~양산고등학교
53대전광역시
서구
2004년 2월 8일~2013년 1월 13일3,262일동방여자고등학교(現 동방고등학교)~대전제일고등학교[97]
54경상남도
함안군
2008년 2월 24일~2017년 1월 22일3,255일칠원고등학교(◎)~함안고등학교(118대 이익찬)
55경상북도
울진군
2009년 5월 10일~현재3,248일울진고등학교(◎)~현재
56강원도
영월군
2009년 6월 21일~현재3,206일영월고등학교~현재
57전라북도
부안군
2009년 7월 19일~현재3,178일부안고등학교(50번 탈락)~현재
58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009년 8월 9일~현재3,157일명지고등학교(◎)~현재[98]
59대구광역시
동구
2009년 9월 20일~현재3,115일영신고등학교(74대 김청휘)~현재[99]
60경상남도
거창군
2009년 11월 15일~현재3,059일거창중앙고등학교~현재
61충청남도
금산군
2009년 4월 5일~2017년 7월 16일3,031일금산고등학교(50번 탈락)~금산여자고등학교
62강원도
평창군
2007년 7월 1일~2015년 9월 20일3,004일평창고등학교(63대 이민주)~상지대관령고등학교
63강원도
홍천군
2009년 3월 15일~2017년 4월 23일2,961일홍천여자고등학교(◎)~홍천고등학교(119대 박우선-2명 중 1명 등극)[100]
64경상남도
거창군
2001년 11월 2일~2009년 11월 15일2,935일거창대성고등학교(◎)~거창중앙고등학교
65경상남도
진주시
2005년 5월 8일~2013년 4월 14일2,898일진주제일여자고등학교~진주고등학교(91대 정찬렬)[101]
66경상북도
청도군
2010년 5월 2일~현재2,891일모계고등학교(☆)~현재[102]
67경기도
성남시
2007년 3월 25일~2015년 1월 18일2,856일늘푸른고등학교~성일고등학교(50번 탈락)
경기도
고양시
2007년 8월 19일~2015년 6월 14일백양고등학교~저현고등학교(50번 탈락)
68충청북도
충주시
2010년 8월 22일~현재2,772일충주고등학교(78대 고건호)~현재
69전라남도
여수시
2002년 1월 6일~2009년 5월 31일2,702일여수중앙여자고등학교~부영여자고등학교(◎)(50번 탈락)
경상남도
김해시
2006년 9월 3일~2014년 1월 26일김해여자고등학교(50번 탈락)~김해경원고등학교
70인천광역시
연수구
2009년 9월 27일~2017년 2월 12일2,695일신송고등학교~인천대건고등학교
71경상북도
구미시
2006년 6월 25일~2013년 10월 20일2,674일구미고등학교(50번 탈락)~도개고등학교
72경상북도
상주시
2007년 4월 1일~2014년 6월 8일2,625일용운고등학교(50번 탈락)~함창고등학교
73충청남도
아산시
2004년 11월 28일~2011년 12월 18일2,576일아산고등학교~온양고등학교
74전라남도
영암군
2009년 2월 8일~2016년 2월 21일2,569일영암여자고등학교~삼호고등학교
74대전광역시
중구
2001년 12월 30일~2008년 10월 12일2,479일대전동산고등학교~대전중앙고등학교(◎)
75경기도
양평군
2011년 6월 12일~현재2,485일양일고등학교(50번 탈락)~현재
76충청남도
천안시
2011년 7월 10일~현재2,464일천안신당고등학교~현재
77경기도
광명시
2011년 7월 24일~현재2,443일소하고등학교~현재
78경상북도
예천군
2011년 7월 31일~현재2,436일대창고등학교(82대 김태우(☆))~현재[103]
79경상북도
경산시
2007년 1월 21일~2013년 8월 25일2,408일하양여자고등학교(61대 김신해)~문명고등학교
80인천광역시
강화군
2000년 1월 28일~2006년 8월 20일2,396일강화여자종합고등학교(現 강화여자고등학교)~강화고등학교(◎)
81충청북도
청주시
2009년 5월 24일~2015년 10월 25일2,345일청주대성고등학교~충북여자고등학교
대구광역시
북구
2002년 1월 27일~2008년 6월 29일협성고등학교~경일여자고등학교(50번 탈락)[104]
82충청남도
홍성군
2007년 5월 13일~2013년 10월 6일2,338일홍성고등학교~홍주고등학교
83대전광역시
중구
2011년 6월 19일~2017년 8월 27일2,261일남대전고등학교~대전고등학교
84경상북도
영주시
2012년 1월 8일~현재2,268일대영고등학교(50번 탈락)~현재
85전라북도
익산시
2012년 4월 15일~현재2,170일전북제일고등학교~현재
86전라북도
익산시
2006년 6월 11일~2012년 4월 15일2,135일이리여자고등학교~전북제일고등학교
87경기도
광주시
2007년 10월 14일~2013년 5월 5일2,030일광주고등학교~광남고등학교 (50번 탈락)
(이상 경기도 광주시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2008년 6월 1일~2013년 12월 22일퇴계원고등학교~심석고등학교

3.5. 남/여학생별 골든벨 공백기(300일 이상 경과 기준) [105][편집]



3.5.1. 종합[편집]


순위공백기간구분공백일자출신학교(골든벨 수상자)비고(성별)
12011년 4월 24일~2013년 4월 28일700일
이상
735일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81대 김유리)~전남 완도고등학교(92대 최정서)여학생 6번째
22008년 9월 21일~2010년 3월 21일500일
이상
546일대구 현풍고등학교(70대 최수진)~서울 동덕여자고등학교(76대 송정인)여학생 4번째
32016년 11월 13일~현재400일
이상
497일경기 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117대 조한희)~현재여학생 8번째(침묵 중)
42003년 7월 13일~2004년 8월 1일300일
이상
385일대구 효성여자고등학교(33대 김세연)~부산 대덕여자고등학교(40대 황은영)여학생 2번째
52010년 4월 18일~2011년 4월 24일371일전남 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77대 김새롬,600회 특집 우승자)~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81대 김유리)여학생 5번째
62007년 3월 18일~2008년 2월 17일336일인천 부평여자고등학교(62대 김한나)~광주중앙여자고등학교(現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66대 빙현진)여학생 3번째
72000년 2월 25일~2001년 1월 19일329일서대전여자고등학교(◎)(11대 최정은)~서울 진명여자고등학교(17대 박장미(☆))여학생 1번째
82015년 9월 6일~2016년 7월 17일315일경기 안양 부흥고등학교(112대 서민석)~경기 성남 판교고등학교(114대 권민성)남학생 2번째
92001년 9월 21일~2002년 7월 14일303일경기 구리고등학교(23대 한성식)~서울 선정고등학교(27대 김동원)남학생 1번째
102015년 6월 21일~2016년 4월 24일308일전북 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109대 이예지,(★))~경남 김해가야고등학교(113대 신한비)여학생 7번째


3.5.2. 남학생[편집]


순위공백기간구분공백일자출신학교(골든벨 수상자)비고
12015년 9월 6일~2016년 7월 17일300일
이상
315일경기 안양 부흥고등학교(112대 서민석)~경기 성남 판교고등학교(114대 권민성)[106][107] [108][109]
22001년 9월 21일~2002년 7월 14일303일경기 구리고등학교(23대 한성식)~서울 선정고등학교(27대 김동원)[110][111][112]

3.5.3. 여학생[편집]


순위공백기간구분공백일자출신학교(골든벨 수상자)비고
12011년 4월 24일~2013년 4월 28일700일
이상
735일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81대 김유리)~전남 완도고등학교(92대 최정서)[113][114][115][116][117]
22008년 9월 21일~2010년 3월 21일500일
이상
546일대구 현풍고등학교(70대 최수진)~서울 동덕여자고등학교(76대 송정인)[118][119][120][121][122][123][124]
32016년 11월 13일~현재400일
이상
497일경기 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117대 조한희)~현재[125][126][127][128][129][130][131][132]
42003년 7월 13일~2004년 8월 1일300일
이상
385일대구 효성여자고등학교(33대 김세연)~부산 대덕여자고등학교(40대 황은영)[133][134][135]
52010년 4월 18일~2011년 4월 24일371일전남 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77대 김새롬,600회 특집 우승자)~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81대 김유리)[136][137][138]
62007년 3월 18일~2008년 2월 17일336일인천 부평여자고등학교(62대 김한나)~광주중앙여자고등학교(現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66대 빙현진)[139][140][141]
72000년 2월 25일~2001년 1월 19일329일서대전여자고등학교(◎)(11대 최정은)~서울 진명여자고등학교(17대 박장미(☆))[142][143][144][145]
82015년 6월 21일~2016년 4월 24일308일전북 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109대 이예지,(★))~경남 김해가야고등학교(113대 신한비)[146][147][148][149]


4. 역대 방영편수(889회 기준, 통산 893회(독립 편성) - 총 928회 방영 편수 기준 - 접속! 신세대 코너 포함)[편집]


연도방영편수비고
199934접속 신세대 코너 [150]
18독립 편성 [151]
521999년 기준
200051[152]
200152[153]
200242[154]
200350
200450
200549
200651
200750
200851
200951
201047
201150
201248
201351
201447(2부)
201550(2부)
201649(2부)
201737(2부)[155]
20184[156]
합계코너포함 931
독립편성 897
연도당 방송횟수코너포함 46.5
독립편성 44.8

5. 역대 결방횟수(889회 기준, 통산 74회 결방 횟수 기준)[편집]


연도결방횟수비고
19990접속 신세대 코너
2독립 편성 [157]
21999년 기준
20001[158]
20010[159]
200210[160]
20032
20042
20053
20062
20072
20081
20091
20105[161]
20112[162]
20125[163]
20131
20145[164]
20152[165]
20163
201717[166][167]
20188[168]
합계74
연도당 결방수3.7


6. 연도별 지역 참가 학교 횟수[편집]


연도서울부산대구인천대전광주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해외(중국)등극자실패자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5121110041021331007(2)7(1팀)
201362301200510222531089
2014120100001010021460033
20151011000011221313800720(2)
20162001011016110120300518
201720121000620111350045
2018111
합계


7. 연도별 지역 골든벨 도전 등극/실패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166명 실패 기준) [169][편집]



7.1. 골든벨 명예의 전당 수상자 등극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 [170][편집]


지역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인천광역시대전광역시 (2)광주광역시울산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171]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 [172]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북도 (2)경상남도제주특별자치도[173]해외
(중국)
골든벨 수상자
연도
19993001000021001100009
20000012100030000000007
20012200000021001000008
20023100000001000000006
20030010001000110102006
20040110000011110001007
2005(2)101000002000004(2) [174]1009(2)
20061000010011020110008
20070001000001010020005
20080120010110000000006
20093010000000000000004
20101000010000100100004
20111000000000000020003
2012(2)20102(2) [175]00000010100007
20132000010100000211008
20141101000030002000008
20150000000030001003007
20160000000030000001015
20170000000021000001004
2018
합계
(골든벨 수상자)
206853(2)412227365710(2)1001121


7.2. 골든벨 실패 횟수(166명 실패 기준) [176][편집]


지역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인천광역시대전광역시광주광역시울산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177]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북도 (2)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제주특별자치도[178]해외
(중국)(2)
골든벨 실패자
연도
19994000000010000001006
20003000000010100002007
20011100000000011100005
20020101100000010000003
20031110000010001000207
20040000000011011000004
20050200000020001301009
200620210100210010320116
20070000000011030220009
20082010000010001020007
200920000200201211100012
201002100000101021110010
20112200010011001110009
2012(1팀)100010001101101000(1팀)7
2013(2)0000000050012(2)100009
20140000000020001000003
2015(2)000000007002321302(2)20(2)
201600030100700111120018
20170010000012000010005
2018
합계
(골든벨 실패자)
1896525003673141713141222(2)(1팀)166


8. 역대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선택(색)별 등극/실패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166명 실패 기준)[편집]



8.1. 연도별 등극자 선택(색)별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 [179][편집]



8.1.1. 2002년 3월 24일 ~ 2002년 12월 15일(26대 ~ 30대)[편집]


연도예술 분야 (빨간색) 역사 분야(노란색)과학 분야 (파란색) 시사 문제 (하얀색)문학 분야 (초록색) 수상자
2002122016
합계122006


8.1.2. 2003년 2월 9일 ~ 2003년 6월 22일(31대 ~ 32대)[편집]


연도예술 분야 (빨간색) 역사 분야(노란색)과학 분야 (파란색) 문학 문제 (하얀색) 분야 (초록색) 수상자
2003020002
합계020002


8.1.3.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편집]


연도도 (빨간색) 전 (노란색)골 (파란색) 든 (하얀색)벨 (초록색) 수상자
2003020022
2004002327
200510134(2) [180]9
2006205018
2007131005
2008001416
2009200114
2010010214
2011000123
201202(2)[181]1227
2013223108
2014122308
합계91216201673

8.1.4.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현재(106대 ~ 현재)(16개 선택 기준,16명 수상자 기준)[편집]


연도도 (남색) 전 (빨간색) 골 (회색) 든 (보라색) 벨 (진한 보라색) 수상자
2015034007
2016021115
2017110024
2018
합계1651316


8.2. 연도별 실패자 선택(색)별 횟수(166명 실패 기준)[편집]



8.2.1. 2002년 2월 17일 ~ 2002년 11월 24일(3명 실패)[편집]


연도예술 분야 (빨간색) 역사 분야(노란색)과학 분야 (파란색) 시사 문제 (하얀색)문학 분야 (초록색) 수상자
2002011103
합계011003


8.2.2. 2003년 4월 27일 ~ 2003년 6월 1일(4명 실패)[편집]


연도예술 분야 (빨간색) 역사 분야(노란색)과학 분야 (파란색) 문학 문제 (하얀색) 분야 (초록색) 수상자
2003021104
합계021104


8.2.3. 2003년 7월 27일 ~ 2014년 11월 16일(97개 선택 기준,97명 실패자 기준)[편집]


연도도 (빨간색) 전 (노란색)골 (파란색) 든 (하얀색)벨 (초록색) 실패자
2003020013
2004001124
2005211149
20062452215
2007131139
2008241007
20091334112
20103014210
2011215109
2012202217
20132(2)[182]11419
2014001113
합계171922211897

8.2.4.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현재(43개 선택 기준,43명 실패자 기준)[편집]


연도도 (남색) 전 (빨간색) 골 (회색) 든 (보라색) 벨 (진한 보라색) 실패자
201523111118
20164532418
2017022015
2018
합계610163643


8.3. 지역별 등극자 선택(색)별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 [편집]



8.3.1. 2002년 2월 3일 ~ 2002년 12월 15일(25대 ~ 30대)[편집]


지역예술 분야 (빨간색) 역사 분야(노란색)과학 분야 (파란색) 시사 문제 (하얀색)문학 분야 (초록색) 수상자
서울특별시012003
부산광역시000011
대구광역시000000
인천광역시000000
광주광역시000000
대전광역시000000
울산광역시000000
세종특별자치시000000
경기도000000
강원도100001
충청북도000000
충청남도010001
전라북도000000
전라남도000000
경상북도000000
경상남도000000
제주특별자치도000000
해외
(중국)
000000
합계122016



8.3.2. 2003년 2월 9일 ~ 2003년 6월 22일(31대 ~ 32대)[편집]


지역예술 분야 (빨간색) 역사 분야(노란색)과학 분야 (파란색) 문학 문제 (하얀색) 분야 (초록색) 수상자
서울특별시000000
부산광역시000000
대구광역시000000
인천광역시000000
광주광역시000000
대전광역시000000
울산광역시000000
세종특별자치시000000
경기도000000
강원도000000
충청북도010001
충청남도000000
전라북도000000
전라남도010001
경상북도000000
경상남도000000
제주특별자치도000000
해외
(중국)
000000
합계020002

8.3.3.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 [183] [편집]


지역도 (빨간색) 전 (노란색)골 (파란색) 든 (하얀색)벨 (초록색) 수상자
서울특별시3023412
부산광역시001203
대구광역시011608
인천광역시110002
광주광역시102014
대전광역시(2)02(2)0002(2)
울산광역시000011
세종특별자치시010012
경기도004228
강원도111003
충청북도010102
충청남도111115
전라북도110002
전라남도111104
경상북도(2)01234(2)10(2)
경상남도011125
제주특별자치도000000
해외
(중국)
000000
합계91216201673


8.3.4.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현재(106대 ~ 현재)(16개 선택 기준,16명 수상자 기준)[편집]


지역도 (남색) 전 (빨간색) 골 (회색) 든 (보라색) 벨 (진한 보라색) 수상자
서울특별시000000
부산광역시000000
대구광역시000000
인천광역시000000
광주광역시000000
대전광역시000000
울산광역시000000
세종특별자치시000000
경기도114028
강원도000011
충청북도000000
충청남도000000
전라북도001001
전라남도000000
경상북도000000
경상남도031105
제주특별자치도000000
해외
(중국)
010001
합계1561316


8.4. 연도별 실패자 선택(색)별 횟수(166명 실패 기준)[편집]



8.4.1. 2002년 2월 17일 ~ 2002년 11월 24일(3명 실패)[편집]


지역예술 분야 (빨간색) 역사 분야(노란색)과학 분야 (파란색) 시사 문제 (하얀색)문학 분야 (초록색) 실패자
서울특별시000000
부산광역시001001
대구광역시000000
인천광역시000101
광주광역시000000
대전광역시010001
울산광역시000000
세종특별자치시000000
경기도000000
강원도000000
충청북도000000
충청남도000000
전라북도000000
전라남도000000
경상북도000000
경상남도000000
제주특별자치도000000
해외
(중국)
000000
합계011103

8.4.2. 2003년 4월 27일 ~ 2003년 6월 1일(4명 실패)[편집]


지역예술 분야 (빨간색) 역사 분야(노란색)과학 분야 (파란색) 문학 문제 (하얀색) 분야 (초록색) 수상자
서울특별시010001
부산광역시000000
대구광역시000000
인천광역시000000
광주광역시000000
대전광역시000000
울산광역시000000
세종특별자치시000000
경기도010001
강원도000000
충청북도000000
충청남도000000
전라북도000000
전라남도000000
경상북도000000
경상남도000000
제주특별자치도001102
해외
(중국)
000000
합계021104

8.4.3. 2003년 7월 27일 ~ 2014년 11월 16일(97개 선택 기준,97명 실패자 기준)[편집]


지역도 (빨간색) 전 (노란색)골 (파란색) 든 (하얀색)벨 (초록색) 실패자
서울특별시21420
부산광역시12211
대구광역시1112
인천광역시100
광주광역시310
대전광역시1000
울산광역시0000
세종특별자치시000
경기도53263
강원도1211
충청북도0011
충청남도12123
전라북도(2)2(2)2332
전라남도1133
경상북도22331
경상남도13
제주특별자치도000000
해외
(중국)(2)
000000
합계1717202320

8.4.4.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현재(43개 선택 기준,43명 실패자 기준)[편집]


지역도 (남색) 전 (빨간색) 골 (회색) 든 (보라색) 벨 (진한 보라색) 실패자
서울특별시000000
부산광역시000000
대구광역시001001
인천광역시201003
광주광역시010001
대전광역시000000
울산광역시000000
세종특별자치시000000
경기도3531315
강원도001012
충청북도000000
충청남도022004
전라북도003104
전라남도102003
경상북도020103
경상남도003025
제주특별자치도000000
해외
(중국)
000000
합계610163643


9. 역대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선택(도,전,골,든,벨)별 총 통산 등극/실패 횟수(121대 및 121명 등극 기준,166명 실패 기준)[편집]



9.1. 연도별 등극자/실패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89대 및 89명 등극 기준) [편집]



9.1.1. 연도별 등극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89대 및 89명 등극 기준) [184][편집]


연도수상자
2003020024
2004002327
200510134(2) [185]9
2006205018
2007131005
2008001416
2009200114
2010010214
2011000123
201202(2)[186]1227
2013223108
2014122308
2015034007
2016021115
2017110024
2018
합계101821211989


9.1.2. 연도별 실패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140명 실패 기준) [편집]


연도실패자
2003020013
2004001124
2005211149
20062452215
2007131139
2008241007
20091334112
20103014210
2011215109
2012202217
20132(2)[187]11419
2014001113
201523111118
20164532418
2017022015
2018
합계2329382424140


9.2. 지역별 등극자/실패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편집]



9.2.1. 지역별 등극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 [188][189][편집]


지역수상자
서울특별시3023412
부산광역시001203
대구광역시011608
인천광역시110002
광주광역시102014
대전광역시(2)02(2)0002(2)
울산광역시000011
세종특별자치시010012
경기도1182416
강원도111014
충청북도010102
충청남도111115
전라북도111003
전라남도111104
경상북도(2)01234(2)10(2)
경상남도0422210
제주특별자치도000000
해외
(중국)
000001
합계101923211989


9.2.2. 지역별 실패자 선택(도,전,골,든,벨)별 횟수[편집]


연도실패자
서울특별시214209
부산광역시122117
대구광역시111126
인천광역시302005
광주광역시031004
대전광역시100001
울산광역시000000
세종특별자치시000000
경기도6466528
강원도012126
충청북도000112
충청남도1432313
전라북도(2)2(2)264216
전라남도2033312
경상북도2434114
경상남도103059
제주특별자치도000000
해외
(중국)(2)
000000
합계2327362726140


10. 역대 최종문제(번)(38번~49번 탈락 최종문제 기준,884회 기준,121대 및 121명 등극,166명 실패 기준) [190][191][192][193][194][편집]



10.1. 연도별 [195][196][197][198][199][200][편집]


연도38번39번40번41번42번43번44번45번46번47번48번49번50번 골든벨 등극
(명예의 전당)
50번 골든벨 실패비고
199900000110021696
2000000010221788(2)77
2001101215443(2)10(2)1685
20020000208(2-2회)4368(2)363
20030000003(2)43125867
2004000010101086974
200500000010168149(2)9
2006000000030410108(1)16
2007000010003491659
20080000000024121467
20090000000036717412
201000000010131014410
2011000111106410539
2012000110108(2)5447(2)(1)7(1팀)
20130000000124111489(2)
2014000000001619683
2015000000000669720(2)
20160000111218375(1)18
201700000211733(2부-(2))6(2)4(1)5
2018111
합계1014911262158108140176121166


10.2. 지역별 [201][202][203][204][205][206][207][편집]


지역38번39번40번41번42번43번44번45번46번47번48번49번50번 골든벨 등극
(명예의 전당)
50번 골든벨 실패비고
서울특별시1002346452114222018
부산광역시00000011448969
인천광역시00010121463955
대구광역시00000110207(2)886
광주광역시00000000154245
대전광역시000001005(2)5953(2)2[208]
울산광역시00000000011210
세종특별자치시00000000000120
경기도0000327517(2)2024312236
강원도000000003771377
충청북도00000010155433
충청남도001001233349(2)615
전라북도0000001114611(2)517(2)
전라남도0000102(2)221817712
경상북도0000114(2-2회)059(2)91410(2)14[209]
경상남도0000010211019191012
제주특별자치도00001000114602
해외
(중국)
00000000010113(2)
(1팀)
그외00010000000000[210]
합계1014912271955103132183121166

11. 역대 연도별 왕중왕 최종문제[편집]


연도39번40번42번44번45번46번47번48번49번50번52번53번63번비고
1999(상,하반기)0000000000000상반기 ??번
하반기 ??번
2000(상,하반기)0000000000101상반기 52번
하반기(연말) 63번
20011000000000000100회 특집 대체편성
20020000000100000
20030000000000010
20040000000000001
20050000000100000
20060000100001000
20070100000000000
20080010000000000
20090000000010000
20100000001000000
20111000000000000
201200000100000002012년 1주 앞당겨
이후 1주 결방
20130000001000000
2014(2부)00001000000002014년 2부로 나뉘어 편성
20150000000010000
2016(2부)00010000000002016년 2부로 나뉘어 편성
20172017년 왕중왕전 편성 취소
2018
합계2111212221112


12. 역대 왕중왕 등극자 지역[편집]


지역별39번40번42번44번45번46번47번48번49번50번52번53번63번비고
인천광역시0010000000000
세종특별자치시0000001000000
강원도0000000100001
충청북도00010000000002016년 2부로 나뉘어 편성
충청남도00000100000002012년 1주 앞당겨
이후 1주 결방
합계2111212221112


13. 역대 준왕중왕 준우승자 지역[편집]


지역별39번40번42번44번45번46번47번48번49번50번52번53번63번비고
광주광역시0010000000000
전라북도0000000010000
경상남도00010000000002016년 2부로 나뉘어 편성

14. 역대 대거 탈락 문제(60명 이상 탈락 및 40명 생존 기준,정답률 40% 이하 및 오답률 60% 이상 기준,총 33문제 대거탈락 기준)[편집]



14.1. 연도별[편집]


연도60명61명62명63명64명65명66명67명68명69명70명72명74명75명76명77명78명82명83명비고
19990000000000000000000
20000001000000000000000
20010000000000000000000
20020100000000000000000
20030000000000000000000
20040000000000000000000
20050000000000000000000
20060010000000000000000
20070000000000010000100
20081010000000000000010
20090000000000010000000
20100000000000000000000
20110000001000000100000
20120000000010000000000
20132000200000001000000
20140000010001000000000
20150110000000100000000
20160000200000000010300
20170100000001000001001
20181
합계3331411112121111411

14.2. 지역별 및 특집별[편집]


지역
특집명
60명61명62명63명64명65명66명67명68명69명70명72명74명75명76명77번78명82명83명비고
서울특별시111
부산광역시11
대구광역시1
대전광역시1
광주광역시1
울산광역시0000000000000000000
세종특별자치시0000000000000000000
경기도111
강원도11
충청북도0000000000000000000
충청남도0000000000000000000
전라북도1
전라남도111
경상북도1111
경상남도21112
제주특별자치도1
역사통일 골든벨1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1
특집 한글골든벨1
왕중왕전0000100000000000000
합계3331411112121111411

15. 역대 최후의 1~4인(885회 기준)[편집]


연도최후의 1인최후의 2인최후의 3인최후의 4인비고
2014181025
20153415(2부-(2))27
2016111924
201734(2부-(2))1214


16. 역대 KBS 아나운서 성별 진행자 횟수[편집]


성별 진행자진행자 수비고
남성6
여성12


17. 역대 KBS 아나운서 성별 진행 횟수[편집]



17.1. 남자(총 1,188회 남성 진행 횟수 기준)[편집]


남성 진행자진행횟수비고
김홍성116(첫MC)
141(재진행)
통산 257
신영일1
윤인구74
김현욱272[211]
김승휘54[212]
박태원185
오승원87
한상권1[213]
총 남성 진행자
진행 방영 횟수
1,188

17.2. 여자(총 936회 남성 진행 횟수 기준)[편집]


여자 진행자진행횟수비고
손미나123
신성원1
최원정142
김보민151
오정연79
박은영50[214]
정다은98[215]
차다혜39
가애란11[216]
정지원42
전주리69
김지원111
박소현19
김성은1[217]
총 여성 진행자
진행 방영 횟수
936


18. 역대 성씨별 진행자[편집]


성씨비고
김씨33[218]
이씨00[219]
박씨12
손씨01
오씨11
윤씨10
정씨02
차씨01
최씨01
가씨01
전씨01
합계612

19. 역대 참가 지역(888회 기준, 총 726개 참가 학교 기준) [220] [221] [222][223] [224][편집]



19.1. 지역별 참가 학교수[편집]


순위지역참가 학교 수
1경기도(11) (2+) [225][226][227]153
2서울특별시(9)(1-3)(2+) [228]124
3경상남도(6)(1-3) [229]65
4경상북도(5)(2+) [230][231][232]46
5전라남도(4) [233] [234]42
6전라북도(9) (2+,2+) [235][236][237][238]40
7부산광역시(1) (3+) [239][240]39
8충청남도(2) (2+,2+)[241][242][243]38
8강원도(3) [244][245]36
9인천광역시(4)(1-3) [246]34
10대구광역시30
11대전광역시(5) [247]21
충청북도(3)(1-3)(2+) [248]
12광주광역시(3) [249]17
13제주특별자치도(3)[250]11
14울산광역시[251][252]4
15중국 [253][254]3
16세종특별자치시[255] [256]2
합계17개 지역
중국[257]
726


19.2. 참고사항[편집]


  • 공식 골든벨 출연학교에만 인정된다.
  • 특집방송분, 왕중왕전은 제외하며, 고등학교만을 대상으로 한다.
  • 같은 지역에서 2학교(□)/3학교(■) 이상이 출연한 회차는 1회로 처리한다.
  • 2번 이상 재도전(◇)/3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는 첫번째(◎)로 출연한 경우만 들어간다.
  • 지역 연합은 1학교로 처리한다.(과학고 특집, 독서 골든벨, 2012 팔도 최강전과 같이 여러 지역이 연합해서 한 특집 제외)


[1] 이로 인해 남/여학생별 골든벨 공백기는 등재기준이 1년 이상에서 300일로 완화되었다.[2]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2명 동시 골든벨에 도전하여 등극/실패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3]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2명 동시 골든벨에 등극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4]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2명 동시 골든벨 실패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5] 4개의 통을 선택하여 4개 통이 선택하여 등극한지 아직 한 해에서 각 모든 5개(도,전,골,든,벨)의 모두 제시된 분야의 색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등극하지 않고 있다.[6]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선통의 선택에서 충청남도 (38대, 55대, 57대, 64대, 86대-5명 및 5번 등극)지역은 모두 도,전,골,든,벨을 5개 통을 모두 선택하여 모두 등극함[7] 선택별 4개를 선택하여 등극한지 아직 한 해에서 각 모든 5개(도,전,골,든,벨)의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등극하지 않고 있다.[8]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선통의 선택에서 각 통(도 (빨간색), 전 (노란색), 골 (파란색), 든 (하얀색), 벨 (초록색))의 선택에서 모두 (도,전,골,든,벨)을 모두 5개의 각 색의 통을 선택하여 충청남도의 각 통의 모두 선택사여 등극한 학교 (38대, 55대, 57대, 64대, 86대)의 5개를 모두 등극함. [9]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선통의 선택에서 경기도 (43대, 50대, 51대, 58대, 69대, 98대, 102대 ,105대~ 106대, 110대, 112대, 114대, 116대~117대, 120대~121대)지역은 모두 도,전,골,든,벨을 16개 통을 모두 선택하여 모두 등극함.[10] 아홉수(1999년,2005년)에 걸렸는지 아직 한해에 10명 이상을 기록하지 않고 있다.[11] 등극한 최고기록 회수는 굵은 글자 표시[12] 2인 1조의 1팀(남자1명,여자1명)에서 골든벨을 실패한 조는 (1팀)로 표시한다.[13] 실패한 최고기록 회수는 굵은 글자 표시[14] 아직 과학고등학교가 현재까지 과학고가 단독으로 골든벨에 등극 및 실패하지 않고 있는 경우는 단 한번도 없다.[15]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최종문제에서 진출하여 탈락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16]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최종문제에서 진출하여 탈락/골든벨을 등극/골든벨을 실패)에서 2회 이상은 (2-2회)로 표시한다.[17]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골든벨을 등극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18]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골든벨을 실패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19] 연도별에서 1부 ~ 2부까지 방송된 골든벨을 실패한 학생은 (2부)로 표시한다.[20] 연도별에서 실패한 최고기록 회수는 굵은 글자 표시[21] 지역별에서 2명 이상의 최종문제에서 진출하여 탈락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22] 지역별에서 2명 이상의 (최종문제에서 진출하여 탈락/골든벨을 등극/골든벨을 실패)에서 2번 이상은 (2-2회)로 표시한다.[23] 지역별에서 2명 이상의 골든벨을 등극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24] 지역별에서 2명 이상의 골든벨을 실패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25] 지역별에서 연합특집,2~3학교 이상 출연학교,특집편의 최후의 1인에 확정되어 진출한 학생은 지역이다.[26] 지역별에서 1부 ~ 2부까지 방송된 골든벨을 실패한 학생은 (2부)로 표시한다.[27] 지역별에서 실패한 최고기록 회수는 굵은 글자 표시[28] 두 학교 이상의 골든벨을 출연한 지역은 (2+)로 표시한다[29] 세 학교 이상의 골든벨을 출연한 지역은 (3+)로 표시한다[30] 2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의 횟수는 ()로 표시한다[31] 3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의 횟수는 ()로 표시한다[32] 아직 과학고등학교가 단독으로 참가하지 않고 있으며 단독으로 참가한 경우는 단 한번도 없다. 과학고등학교의 과학골든벨에서 특집편에서만 골든벨 수상자는 54대,96대의 2명이 2회 수상한 적이 있어 현재까지 단독으로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고 있다.[33] 121대 등극으로 재도전 학교가 812일만에 배출함[34] 121대 등극 이후 9월 17일, 24일,10월 1일 3주 연속, 10월 15일~ 12월 24일,12월 31일,2018년 1월 7일~2월 25일, 20주 동안 총 17회 결방 되며 KBS 노조 파업의 결방으로 280일 넘께 수상자가 나오지 않고 있다. 역대 280일 공동 1위[35] 역대 최장기간 공백기, 200일 이상 나오지 않고 있는 것은 3번째이다.[36] 2018년 연도별 첫 골든벨 도전 등극 예정 중 가장 늦은 날짜로 2018년 3월 25일 이후 280일째 침묵[37] 역대 최장기간 공백기, 200일 이상 나오지 않은 것은 2번째이다.[38] 2016년 연도별 첫 골든벨 중 가장 늦은 날짜로 4월 24일 231일만에 등극[39] 여학생은 308일만에 등극[40] 이때부터 2015년 6월 21일부터 2016년 4월 24일동안 여학생 역시 308일동안 나오지 않았다.[41] 어찌된 일인지 방송에서는 '마의 87대'라고 불리지 않았는데, 제작진이 간과한 듯하다.(그 전에도 공백기가 있을 때 '마의 XX대'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42] 200일 이상 나오지 않은 것은 처음이다.[43] 87대에 등극한 전남지역의 남학생 최초로 등극[44] 72대 ~ 73대에 등극하여 182일만에 2연속 서울지역 등극과 2연속 남학생 등극[45] 2명 동시 배출은 2,506일만에[46] 168일만에 등극하여 대전에서는 2,121일만에 등극하여 역대 2명 동시 등극하여 대전대신고는 재도전 학교(◇)에서만 2명 동시 등극[47] 2009년 11월 8일 500회 특집 전국고교최강전에서 서울 중산고의 같은 학교로 등극[48] 2010년 연도별 늦은 날짜로 3월 21일 133일만에 등극[49] 75대에 등극하여 같은학교의 2회 등극과 76대 등극하여 2연속 서울지역 등극[50] 처음으로 100일 이상 골든벨 주인공이 나오지 않았으며 심지어 50번 문제조차 가지 못했다는 점. 즉, 최고 기록이 49번이었다는 것.[51] 303일만의 남학생 등극, 최초로 300일 이상[52] 2014년 4월 13일 ~ 5월 4일 세월호 침몰 참사의 애도 분위기 조성으로 이후 3주 연속 결방하여 이후 첫 골든벨이 나온 후 5,623일만에 100째 골든벨이 나왔으며, 전북지역은 역대 최장기간 공백기로 4,895일만에 등극[53] 여학생은 10대 최정은(서대전여고(◎)등극 이후 17대 박장미(서울 진명여고)등극으로 329일만에 등극[54] 17대 등극한 박장미(서울 진명여고) 당시 학생은 100회 특집 및 2001년 왕중왕전 등극 및 수석으로 차지[55] 울산에서의 골든벨은 이 학교가 유일하다. - 2003년 9월 7일 기준[56]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울산지역 최장 공백기[57]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5,000일 이상 최장 공백기, 5,000일 경과 이후 첫번째이다.[58] 첫 골든벨이 나온지 1999년 2월 19일(접속! 신세대 코너) 부터 2014년 7월 13일의 5,623일만에 100대 골든벨 탄생[59] 현재까지 전북에서는 통산 5회 중 여학생 4회, 남학생 1회 밖에 골든벨을 올리지 못했으며 전주시와 익산시 뿐이다. 재미있게도 남자가 아닌 모두 여자이며 특집 수학 골든벨에서만 남학생이 등극한 게 전부이고 단독으로 전북지역 참가 학교의 남학생이 등극한 적은 단 한번도 없다.[60]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4,000일 이상 최장 공백기, 4,000일 경과 이후 첫번째이다.[61] 현재까지 대전에서는 이 2개의 고등학교 밖에 골든벨을 올리지 못했다. 재미있게도 남녀공학이 아닌 남고여고이며 모두 서구에 있다는 게 특징.[62] 2,506일만에 역대 2번째 쌍둥이 골든벨[63] 재도전 학교에서 2012년 1월 15일 2번째 쌍둥이 골든벨 등극 - 재도전 학교 기준[64] 춘천시(3명-25대 유은영(춘천여고),37대 박진(춘천고),59대 문형범(춘천고,독서골든벨), 강릉시(8대 남재균,1999년 11월 5일이 마지막), 원주시(20대 김성수(원주고)의 2001년 7월 6일이 마지막)까지 포함해도 다섯 도시 뿐이다.[65] 홍천군의 홍천고등학교에서는 119대 박우선(당시 1학년) 학생이 등극하여 2명 중 1명이 등극하여 이승한(당시 3학년)이 1명이 탈락했다.[66] 3,584일만에 강원도 지역은 최장기간으로 63대 이민주(평창고) 이후 119대 박우선(홍천고-강원도) 등극[67] 진주시에서는 2003년 8월 31일 진주동명고등학교(34대 안경민) 이후 3,514일만에[68] 인천지역은 2,77일만에 등극하여 104대에 등극하여 재도전 학교에서만 104대 수상자만 등극[69] 현재까지 충북에서는 통산 3회 중 남학생 2회, 여학생 1회 밖에 골든벨을 올리지 못했으며 충주시와 제천시 뿐이다. 교육의 도시 청주시에서 단 1명도 없다니! 재미있게도 남녀공학이 아닌 남고, 여고라는 게 특징.[70] 대전에서는 2,121일만에 등극하여 역대 2명 동시 등극하여 2인 동시 배출은 2,522일만에 2인 동시 등극하여 대전대신고는 재도전 학교(◇)에서만 2명 동시 등극[71] 충주시에서는 충주여자고등학교 이후 2,751일만에[72] 삼척시 지역 처음이자 마지막 방송[73] 역대 골든벨 출연학교 시군구 지역의 6,000일 이상 최장 공백기, 6,000일 경과 이후 첫번째이다.[74] 첫도전에서 2002년 10월 6일 2인 동시 도전하여 44번 문제까지 2인 동시 탈락하여 이후 재도전(◇)에서 2013년 11월 3일 전주리 아나운서의 첫 방송이었고 최후의 1인의 남학생이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한 경우이다.[75] 전남 영광군은 최장기간 공백기로 5,390일째 침묵[76] 2004년 5월 2일 제주 서귀포시는 남주고 편에 이후 2004년 차석을 차지했다.[77] 유일하게 제주지역의 서귀포시는 역대 최강기간 공백기로 5000일째 침묵- 5,061일째 침묵[78] 구리시(2004년이 마지막- 1999년 8대에 등극한 이명진(구리 인창고 당시 3학년), 2001년 23대에 등극한 한성식(경기 구리고 당시 3학년)) 까지 2번 등극 포함해도 각 지역의 도시 뿐이다.[79] 첫도전 학교에 참가한 서산 서일고는 최후의 1인으로 49번 문제에 탈락하여 도전한 김솔이(당시 2학년) 이후 졸업생으로 2011년 (11월 27일 방송) 600회 특집 - 1부에서 최후의 4인까지 도전하였고. 이후 재도전(◇) 학교에서 2015년 8월 2일 만에 3,829일만에 재도전하여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아쉽게 탈락한 경우이다.[80] 전라북도 군산시는 역대 최장기간 간격인 4,760일(13년)만에 참가 - 역대 18위[81] 13년 넘게 전라북도 군산시 지역이 참가하지 않았다.[82] 전라북도 군산시는 2003년 2월 16일 군산여고의 최후의 1인 강은미(당시 2학년,65번 탈락 전,101번-패자부활 이후 101번 통과)이 101번을 달고 46번 까지 도전하여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하고 이후 최장기간 4,760일(13년) 후인 2016년 2월 28일 군산동고의 최후의 1인 김동원(당시 2학년)이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아쉽게 탈락으로 27대에 이어 동명이인이 나올 뻔했다.[83] 서울특별시 중구에서의 참가한 학교는 장충고 단 1개 학교 뿐이다.[84] 충남 예산군은 55대에 등극 이후 11년 동안 재도전(◇)에서 2017년 7월 2일 2명 동시 도전하여 49번 문제 까지 탈락하여 아쉽게 2명 동시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할 뻔 했으며, 도전 이후 예산군 참가한 학교(예산고(◎)-55대 석정완)는 단 1개 학교 뿐이다.[85] 2016년 11년 만에 의정부시로 참가하여 역대 최장 공백기였던 송현고(2016년 3월 13일 방송)는 학교 홈페이지에 게재되지 않았고 동년 11월 6일 호원고 편에서 아쉽게 50번 골든벨 문제에 탈락하여 10대에 이어 나올 뻔했고, 다음해인 2017년 2월 19일 동국사대부속 영석고 편에서 83명 대거탈락(역대 1위)을 기록한 경우이다.[86] 이 때는 당진군에서 시 승격 이전의 참가했던 학교이다.[87] 경기 군포 부곡중앙고(현 군포중앙고) 116대 김민철 학생의 방송일 및 대수/기수 변경으로 기록 깨짐[88] 116대 등극하여 배출한 학교의 교명 변경 군포 부곡중앙고(현 군포중앙고)[89] 이후 군포고에서 첫도전(◎)하여 51대 등극으로 2005년 차석을 차지하여 이후 역대 최장 간격인 3,962일 및 10년 이후 116대 등극하여 군포시 지역은 2번째 골든벨에 등극했다.[90] 원주시 지역은 2004년 6월 20일 북원여고 이후 3,781일만에 참가하여 2015년 1월 25일 치악고(최종문제:48번)가 참가하였으나, 6번 OX 문제에서 70명 대거 탈락한 경우와. 2017년 4월 16일 현재까지 12위이자 2015년 최다 탈락자의 대거탈락한 학교의 경우이다.[91] 이후 10년 동안 안동시는 안동 지역의 2014년 경안고-경북 안동시(◇)편의 재도전에서 2014년 왕중왕(☆)에 등극하여 재도전 학교에서 2014년 왕중왕(☆)에 등극하고 현재 10년 침묵 상태이고 2005년 300회 특집 독서골든벨의 52대 골든벨 수상자(경북 안동여고 - 특집)가 있었지만 안동시 지역 학교 단독으로 명예의 전당에 등극하지 않고 있다.[92] 이후 10년 동안 정읍시는 정읍 지역에서 정주고(◇)의 재도전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탈락하여 같은 학교(정주고)가 2번 탈락 후 2015년 서영여고(재도전)에서 아쉽게 골든벨 도전에 실패한 경우이고, 2017년 8월 20일 정읍고가 49번 문제에 탈락하여 아쉽게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 진출에 실패한 경우이다.[93] 이후 10년 동안 강릉시의 강릉 지역은 2006년 관동 특집의 강릉여고가 50번 탈락 이후 2001년 2월 6일 강릉여고의 50번 골든벨 문제에 탈락하여 같은 학교(강릉여고)가 2번 이상 골든벨 도전에 실패했다.[94] 서울 영등포고의 여의도여고 편(접속!신세대 코너)에서 아쉽게 50번 골든벨 문제에 탈락했던 당시 학생인 전은주 양이 전자사전을 전달한 이후 2009년 7월 12일 서울 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 편의 국어교사로 담임이었던 73대 골든벨에 등극한 김주현 학생(당시 2학년)의 담임이었고, 이후 2011년 600회 특집 역대 골든벨 출연자에서 도전하였다.[95] 2008년 10월 26일 부산남고(71대 김도영)의 71대 등극한 학교로 대거탈락의 82명으로 2위를 기록한 경우이다.[96] 경주시에는 3,346일만에 참가하여 2017년 6월 25일 선덕여고편에서 유일하게 최후의 1인 단독 도전으로 아쉽게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실패하여 탈락한 경우이다.[97] 이후 8년 동안 대전 서구 지역은 교명 변경 전의 대전 동방여고는 여학교에서 남녀공학으로 전환한 학교와 이후 2012년 1월 15일 대전대신고의 재도전(◇)에서 골든벨 문제에서 2인 동시 배출하였다.[98]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서 참가한 학교는 단 1개 학교 뿐이다.[99]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참가한 학교는 단 1개 학교 뿐이다.[100] 강원 홍천군 지역은 홍천고에서 119대 박우선 군이 등극하여 2명중 1명은 이승한 군 학생이 탈락하여 강원지역은 3,584일만에 등극한 경우이다.[101] 진주시 지역은 2005년 5월 8일 진주제일여고의 최후의 1인 이였던 차화진(당시 3학년)이 2005년 왕중왕전 최후의 4인 까지 도전하였고, 이후 9년만에 진주고가 91대에 등극 정찬렬(당시 3학년)이 등극하여 역대 최장기간 공백기로 등극했다.[102] 청도군 지역은 2010년 5월 2일 모계고 편에서 최후의 1인 김영도 군 학생이 49번 까지 탈락하여 2010년 왕중왕(☆)에 등극한 경우이다.[103] 예천군 지역은 82대에 등극하여 2011년 왕중왕전에 왕중왕에 등극했다.[104] 대구 북구지역은 2008년 6월 29일 경일여고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탈락한 나한별 양이 이후 2011년 600회 특집 역대 도전자에서 참가하여 600회 특집 역대 골든벨 도전자에서 준우승한 경우이다.[105] 이로 인해 남/여학생별 골든벨 공백기는 등재기준이 1년 이상에서 300일로 완화되었다.[106] 2015년 9월 6일 113대 등극 및 2015년 7회 등극 이후 다음 해인 2016년에 여학생이 1명(113대)뿐으로 골든벨에 등극했다.[107] 남학생은 2015년 112대 등극 이후 114대 등극전의 도전 직전에서 2005년 9월 6일 이후 1회, 2016년 8회 실패한 경우이다.[108] 역대 남학생 최장기간 공백기, 315일 이상 나오지 않은 것은 300일 경과 이후 2번째이다.[109] 박태원 아나운서가 진행할때 2015년 남학생이 4명 등극하여 이후 2016년 오승원 아나운서(2016년 1월 10일 부터 기준)의 첫 MC 이후 남학생이 1명 등극했다.[110] 남학생은 이후 같은 해인 2001년 23대에 등극하여 골든벨 3주 연속 등극하여 (24대,1명) ~ 2002년(25대(☆)~26대,2명)이 여학생은 3번 연속 골든벨에 등극했다.[111] 23대 등극 이후 27대 등극전의 도전 직전에서 2001년 이후 다음 해인 2002년 1회 실패한 경우이다.[112] 역대 남학생 최장기간 공백기, 303일 이상 나오지 않은 것은 300일 경과 이후 최초로 1번째이다.[113] 2011 왕중왕전 참가 - 81대 김유리(동국사대부속여고 당시 3학년)[114] 이후 2011년(1명),2012년(7명),2013년(2명)에는 같은 기간동안 무려 10명의 남학생(82대~91대)(83~83대 등극은 2명 동시 등극)이 연속해서 골든벨로 등극했다.[115] 여학생은 2011년 81대 등극 이후 92대 등극전의 도전 직전에서 2011년 4월 24일 이후 5회, 2012년 0회 여학생 실패 없음, 2013년 3회(2003년 2월 24일은 2명 동시 실패 및 탈락) - 총 8회 여학생이 실패한 경우이다.[116] 역대 여학생 최장기간 공백기, 735일 이상 나오지 않은 것은 700일 경과 이후 첫번째이다.[117] 이후 여자 진행자의 차다혜,가애란 아나운서가 진행할때 2012년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고 이후 다음 해인 2013년 정지원 아나운서가 여학생 1명 등극했다.[118] 이후 3년 동안 남학생은 18명인데 2008년 여학생은 단 4명만 골든벨로 등극했다.[119] 역대 여학생 최장기간 공백기, 735일 이상 나오지 않은 것은 700일 경과 이후 첫번째이다.[120] 이후 2008년(1명-71대 김도영),2009년(4명)에는 같은 기간동안 무려 5명의 남학생(71대~75대)이 연속해서 골든벨로 등극했다.[121] 여학생은 2008년 70대 등극 이후 76대 등극전의 도전 직전에서 2008년 9월 21일 이후 3회, 2009년 4회, 2010년 2회 - 총 9회 여학생이 실패한 경우이다.[122] 역대 여학생 최장기간 공백기, 546일 이상 나오지 않은 것은 500일 경과 이후 첫번째이다.[123] 여성 진행자에서 오정연 前 아나운서가 여성으로 진행할때 2008년 4회 등극하여 2009년 박은영 아나운서가 여성으로 진행할때 여학생이 울리지 못하고 다음해인 2010년 정다은 아나운서가 여성으로 진행할때 여학생 2명(2011년 1명 은 여학생)이 등극했다.[124] 2010 왕중왕전 최후의 4인 까지 도전한 - 76대 송정인(서울 동덕여고 당시 3학년)[125] 이 때는 2016년 11월 13일에 경기 이천양정여고의 역대 최후의 2인 중 조한희(당시 2학년)가 117대에 등극하여 나머지 1명 강희은(당시 3학년) 학생이 탈락으로 역대 2인 동시 도전 중에서 실패로 역대 2명 중 1명이 등극했다.[126] 2016년 5명 까지 등극 이후 다음 해인 2017년에는 같은 기간동안 무려 4명의 남학생(118대~121대 현재)이 연속하여 4연속 남학생이 2017년 등극했으며 다음 해인 2018년에 골든벨로 도전 하고 있다.[127] 2016년 117대의 여학생이 등극하여 2016년 5명이 등극하여 다음 해인 2017년에는 등극 없이 다음 해인 2018년 이후 1월 ~ 2월 결방했다.[128] 이후 2017년 남학생이 4명 등극하여 재도전 학교에서 재도전 학교가 812일만에 골든벨에 등극했다.[129] 여학생은 2016년 117대 등극 이후 도전 직전에서 2016년 11월 13일 이후 1명, 2017년 2회 - 총 3회 여학생이 실패하고있는 경우이다.[130] 여학생 497일째 침묵 - 역대 3위[131] 역대 여학생 최장기간 공백기, 497일 이상 나오지 않은 것은 400일 경과 이후 첫번째이다.[132] 여자 진행자에서 김지원 아나운서가 진행할때 2016년 여학생이 3명 등극(2016년 명예의 전당 5명 등극)하여 이후 다음 해인 2017년 박소현 아나운서가 여자 새MC로 (2017년 여학생 등극 없음), 2018년의 다음 해인 3월 4일 이후 새 여자 MC인 박소현 아나운서가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고 있다.[133] 이후 2년동안 남학생은 6명(34대~39대)인데 여학생은 단 3명만 골든벨로 등극했다.[134] 여학생은 2004년 40대 등극 이후 도전 직전에서 2003년 7월 13일 이후 3명, 2004년 1회 - 총 4회 여학생이 실패한 경우이다.[135] 역대 여학생 최장기간 공백기, 385일 이상 나오지 않은 것은 300일 경과 이후 2번째이다.[136] 이후 2010년 4월 18일 부터 2011년 4월 24일의 1년동안 남학생은 3명인데 여학생은 2010년에 단 2명만 골든벨로 등극했다.[137] 여학생은 2010년 77대 등극 이후 도전 직전에서 2010년 4월 18일 이후 3명, 2011년 1회 - 총 4회 여학생이 실패한 경우이다.[138] 2010년 4월 18일 77대 김새롬(전남 순천매산여고 졸업생)의 600회 특집 우승자[139] 2007년에는 같은 기간동안 무려 3명의 남학생(63대~65대)이 연속해서 골든벨로 등극했다.[140] 여학생은 2007년 62대 등극 이후 도전 직전에서 2007년 3월 18일 이후 2명 - 총 2회 여학생이 실패한 경우이다.[141] 역대 여학생 최장기간 공백기, 336일 이상 나오지 않은 것은 300일 경과 이후 3번째이다.[142] 2000년에는 같은 기간동안 무려 5명의 남학생(12대~16대)이 연속해서 골든벨로 등극했다.[143] 여학생은 2000년 11대 등극 이후 도전 직전에서 2000년 2월 25일 이후 3명 - 총 3회 여학생이 실패한 경우이다.[144] 역대 여학생 최장기간 공백기, 329일 이상 나오지 않은 것은 300일 경과 이후 첫번째이다.[145] 2001 왕중왕(☆) - 17대 박장미(서울 진명여고 당시 3학년)[146] 2015년에는 같은 기간동안 무려 3명의 남학생(110대~112대)이 연속해서 골든벨로 등극했다.[147] 여학생은 2015년 109대 등극 이후 도전 직전에서 2015년 6월 21일 이후 9명, 2016년 1회 - 총 10회 여학생이 실패한 경우이다.[148] 여학교는 308일만에 등극하여 8위 기록[149] 2015년 준왕중왕(★) - 109대 이예지(전북 전주중앙여고 당시 1학년)[150]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 KBS 1TV에서만 34회 편성[151] KBS 2TV에서 단독 독립 편성으로 18회 편성[152] 유일하게 독립 편성중에 KBS 2TV에서만 51회 편성[153] KBS 2TV에서 44회 편성,KBS 1TV에서 방송시간을 옮기며 8회 편성[154] 이후 KBS 1TV에서 42회 편성[155] 2017년 역대 최저 편성(37회-40회 이하 최저 편성)[156] 2018년 새해 초부터 1월 ~ 2월 방송하지 않았으며 편성 없이 결방했다.[157] 독립 편성에서 KBS 2TV에서 2번 결방하여 야구 중계 방송 관계로 결방된 적이 있다.[158] 2000년 설날특집 관계로 결방[159] 유일하게 독립 편성중에 2001년만 결방하지 않았다.[160] KBS 1TV에서 방송시간을 옮긴 후 2002년 월드컵 중계방송 여파와 K리그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되어 10회 결방한 적이 있다.[161] 2010년 초계함 침몰로 3주 연속 결방[162]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중계방송 관계로 2주 연속 결방[163] 2012년 런던올림픽으로 인한 3주 연속 결방[164] 2014년 세월호 침몰로 3주 연속 결방[165] 2015년 메르스 바이러스로 2주 연속 결방[166] 1월 1일 신년특집 관계로 결방,3월 12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 특보 관계로 결방, 9월 17일,24일,10월 1일,15일,22일,29일,11월 5일,12일,19일,26일,12월 3일,10일,17일,24일,31일 동안 KBS 노조 파업으로 12주 넘게 결방되었다.[167] 2002년 이후 10번 이상 결방했다.[168] 2018년 새해 초부터 1월 ~ 2월 의 2개월 연속 방송 없이, 2개월 동안 결방했다.[169]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2명 동시 골든벨에 도전하여 등극/실패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170]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2명 동시 골든벨에 등극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171] 등극자는 구 충청남도 연기군 지역 포함의 승격의 세종특별자치시(68대 등극,93대 등극 기준)[172]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충청남도 지역은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의 각 통의 선택에서 충청남도 (38대, 55대, 57대, 64대, 86대-5명 및 5번 등극)지역은 모두 도,전,골,든,벨을 5개 통을 모두 선택하여 모두 등극함[173] 등극한 구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 이전 포함[174] 2005년 3월 6일 구미여고 편에서 46대~47대의 2명 동시 등극하여 한 학교(구미여고)에서 역대 최초로 2인 동시 등극[175] 2012년 1월 15일 대전대신고 편에서 83대~84대의 2명 동시 등극하여 한 학교(대전대신고(◇,재도전))에서 역대 2번째로 2인 동시 등극하며 재도전 학교(◇)에서만 2인 동시 등극 - 2인 동시 등극은 2,522일만에 등극함[176]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2명 동시 골든벨 실패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177] 등극자는 구 충청남도 연기군 지역 포함의 승격의 세종특별자치시 기준[178] 실패한 구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 이전 포함[179] 4개의 통을 선택하여 4개 통이 선택하여 등극한지 아직 한 해에서 각 모든 5개(도,전,골,든,벨)의 모두 제시된 분야의 색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등극하지 않고 있다.[180] 2005년 3월 6일 기준의 경북 구미여고 편에서 벨(초록색)을 2명 동시 선택하여 골든벨에 2명 동시 등극하여 46~47대 골든벨 2명 동시 등극하여 역대 한 학교에서 최초로 2명 동시 등극[181] 2012년 1월 15일 기준의 대전대신고(◇,재도전)편 재도전에서 2003년 1월 12일 이후 3,290일만에 재도전하여 전(노란색)을 2명 동시 선택하여 골든벨에 2명 동시 등극하여 83~84대 골든벨 2명 동시 등극하여 재도전 학교에서만 2인 동시 등극하여 2명 동시 배출은 2,522일만에 2명 동시 등극하여 2번째로 2명 동시 등극[182] 2013년 2월 24일 기준의 전북 전주 호남제일고 편에서 도(빨간색)을 2명 동시 선택하여 골든벨에 2명 동시 탈락으로 역대 한 학교에서 최초로 2명 동시 탈락[183]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선통의 선택에서 충청남도 (38대, 55대, 57대, 64대, 86대-5명 및 5번 등극)지역은 모두 도,전,골,든,벨을 5개 통을 모두 선택하여 모두 등극함[184] 선택별 4개를 선택하여 등극한지 아직 한 해에서 각 모든 5개(도,전,골,든,벨)의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등극하지 않고 있다.[185] 2005년 3월 6일 기준의 경북 구미여고 편에서 '벨'을 2명 동시 선택하여 골든벨에 2명 동시 등극하여 46~47대 골든벨 2명 동시 등극하여 역대 한 학교에서 최초로 2명 동시 등극[186] 2012년 1월 15일 기준의 대전대신고(◇,재도전)편 재도전에서 2003년 1월 12일 이후 3,290일만에 재도전하여 '전'을 2명 동시 선택하여 골든벨에 2명 동시 등극하여 83~84대 골든벨 2명 동시 등극하여 재도전 학교에서만 2인 동시 등극하여 2명 동시 배출은 2,522일만에 2명 동시 등극하여 2번째로 2명 동시 등극[187] 2013년 2월 24일 기준의 전북 전주 호남제일고 편에서 '도'를 2명 동시 선택하여 골든벨에 2명 동시 탈락 2명 동시 탈락으로 역대 한 학교에서 최초로 2명 동시 탈락[188]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선통의 선택에서 각 통(도 (빨간색), 전 (노란색), 골 (파란색), 든 (하얀색), 벨 (초록색))의 선택에서 모두 (도,전,골,든,벨)을 모두 5개의 각 색의 통을 선택하여 충청남도의 각 통의 모두 선택사여 등극한 학교 (38대, 55대, 57대, 64대, 86대)의 5개를 모두 등극함. [189]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선통의 선택에서 경기도 (43대, 50대, 51대, 58대, 69대, 98대, 102대 ,105대~ 106대, 110대, 112대, 114대, 116대~117대, 120대~121대)지역은 모두 도,전,골,든,벨을 16개 통을 모두 선택하여 모두 등극함.[190] 아홉수(1999년,2005년)에 걸렸는지 아직 한해에 10명 이상을 기록하지 않고 있다.[191] 등극한 최고기록 회수는 굵은 글자 표시[192] 2인 1조의 1팀(남자1명,여자1명)에서 골든벨을 실패한 조는 (1팀)로 표시한다.[193] 실패한 최고기록 회수는 굵은 글자 표시[194] 아직 과학고등학교가 현재까지 과학고가 단독으로 골든벨에 등극 및 실패하지 않고 있는 경우는 단 한번도 없다.[195]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최종문제에서 진출하여 탈락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196]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최종문제에서 진출하여 탈락/골든벨을 등극/골든벨을 실패)에서 2회 이상은 (2-2회)로 표시한다.[197]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골든벨을 등극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198] 연도별에서 2명 이상의 골든벨을 실패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199] 연도별에서 1부 ~ 2부까지 방송된 골든벨을 실패한 학생은 (2부)로 표시한다.[200] 연도별에서 실패한 최고기록 회수는 굵은 글자 표시[201] 지역별에서 2명 이상의 최종문제에서 진출하여 탈락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202] 지역별에서 2명 이상의 (최종문제에서 진출하여 탈락/골든벨을 등극/골든벨을 실패)에서 2번 이상은 (2-2회)로 표시한다.[203] 지역별에서 2명 이상의 골든벨을 등극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204] 지역별에서 2명 이상의 골든벨을 실패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205] 지역별에서 연합특집,2~3학교 이상 출연학교,특집편의 최후의 1인에 확정되어 진출한 학생은 지역이다.[206] 지역별에서 1부 ~ 2부까지 방송된 골든벨을 실패한 학생은 (2부)로 표시한다.[207] 지역별에서 실패한 최고기록 회수는 굵은 글자 표시[208] 대전지역은 2012년 1월 15일 대전대신고등학교(◇)에서 83~84대에 2명 동시 등극하여 한 학교에서 2명 동시 배출함으로써 재도전 학교에서만 2명 동시 배출(2,522일만에 2명 동시 등극)[209] 경북지역은 2005년 3월 6일 구미여고에서 46~47대에 등극하여 최초로 2명 동시 등극하여 한 학교에서 최초로 2명 동시 배출함[210] 2011년 12월 2일의 2001년 붉은 악마 특집 편에서 역대 최저문제 41번[211] 2011년 2월 20일 충남 천안 오성고 편에서 김현욱 아나운서가 패자부활전이 끝나고 김승휘 아나운서로 교체되어 김현욱 아나운서가 물러났다.[212] 2011년 2월 20일 충남 천안 오성고 편에서 21번 문제 부터 48번 문제 까지 탈락한 최후의 1인 도전자(김다혜-3학년,단독 도전,최종문제:48번) 까지 남성MC의 교체한 김승휘 아나운서가 진행했다.[213] 2017년 10월 8일 KBS 노조 파업으로 남자 아나운서의 한상권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214] 여자MC의 박은영 아나운서의 1년 반 동안 진행[215] 여자MC의 정다은 아나운서의 2년 동안 진행[216] 여자MC의 가애란 아나운서의 100일 이하의 여자 진행자[217] 2017년 10월 8일 KBS 노조 파업으로 여자 아나운서의 김성은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218] 김씨 진행자 - 남성:김홍성,김현욱,김승휘,여성:김보민,김지원, 임시 진행자 여성 - 김성은[219] 역대 진행자에서 이씨가 단 한번도 진행하지 않고 있다.[220] 두 학교 이상의 골든벨을 출연한 지역은 (2+)로 표시한다[221] 세 학교 이상의 골든벨을 출연한 지역은 (3+)로 표시한다[222] 2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의 횟수는 ()로 표시한다[223] 3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의 횟수는 ()로 표시한다[224] 아직 과학고등학교가 단독으로 참가하지 않고 있으며 단독으로 참가한 경우는 단 한번도 없다. 과학고등학교의 과학골든벨에서 특집편에서만 골든벨 수상자는 54대,96대의 2명이 2회 수상한 적이 있어 현재까지 단독으로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고 있다.[225] 초대 골든벨 등극(1대-접속 신세대 코너)[226] 1999년 방송을 시작한 후 같은 해 1월 11일 부터 2017년 6월 11일 기준에서 참가한 고양시 지역에서는 단 한번도 학교 지역의 고양시를 표기하기 않고 있다.[227] 현재까지 경기도 의왕시, 하남시(이상 경기 2개 시지역)에서는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했다.[228] 현재까지 서울 영등포구에서는 2곳 모두 여학교가 출연하였다. 재미있게도 남고와 남녀공학이 아닌 모두 여고가 있다는 게 특징. 현재까지 마포구 소재 학교는 아직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229] 현재까지 경상남도 하동군, 산청군, 합천군(이상 경남 3개 군 지역)에서는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230] 2005년 한 학교에서 경북 구미여고에서 최초로 2명이상 동시 골든벨에 등극하였다.(여학생은 동시 2명 골든벨 등극)[231] 구미시 지역은 상모고가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참가 취소이다.[232] 현재까지 경상북도 칠곡군, 성주군, 고령군, 영양군, 청송군(이상 경북지역 5개 군지역)에서는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233] 현재까지 전라남도 보성군, 고흥군, 신안군(이상 전남 3개 군지역)에서는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234] 현재까지 전남에서는 통산 7회 중 여학생 5회, 남학생 2회 밖에 골든벨을 울린 후 재미있게도 남고가 아닌 모두 남녀공학,여고라는 게 특징.[235] 현재까지 전라북도 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임실군, 장수군에서는(이상 전북지역 5개 군지역)의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했다.[236] 2013년 한 학교에서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역대 2명 동시 탈락한 학생이다.(여학교 기준)[237] 현재까지 전북에서는 통산 5회 중 여학생 4회, 남학생 1회 밖에 골든벨을 올리지 못했으며 전주와 익산 이외의 지역은 없다. 재미있게도 남자가 아닌 모두 여자이며 재미있게도 남녀공학이 아닌 여고가 있다는 게 특징이고 특집편에서만 남학생이 등극한 게 특징이고 남학생은 특집편 밖에 단독으로 전북지역이 참가 학교의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고 있다.[238] 2014년 전북여고(전주시 소재)에서 100대 골든벨 금자탑 등극[239] 현재까지 부산 사상구에서는 2곳 모두 여학교(40대 수상자 포함)가 출연하였다. 재미있게도 남고와 남녀공학이 아닌 모두 여고가 있다는 게 특징[240] 현재까지 부산에서는 강서구(부산),수영구,연제구,동구(부산) (이상 부산 4개 자치구 지역)의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241] 현재까지 충남에서는 서천군에서는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242] 충남지역의 보령시 지역은 참가한 학교의 미표기로 지역의 보령시를 표기하고 있지 않고 있다.[243] 현재까지 충남에서는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선통의 선택에서 충청남도 지역은 모두 도,전,골,든,벨을 5개 통을 모두 선택하여 모두 등극함[244] 현재까지 강원에서는 화천군, 양구군, 양양군, 고성군(강원도)에서는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245] 현재까지 강원도 삼척시 지역의 학교 참가 이후 6,491일 - 역대 1위 최장기간 이후 장기간 역대 최장 공백기로 참가하지 못하고 있다.[246] 현재까지 인천 계양구, 옹진군에서는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247] 2012년 한 학교의 대전대신고(◇,재도전) 두번째로 2명이상 동시 골든벨에 등극하여 남학생 2명 동시 등극과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에서 2명 동시 등극한 경우이다.[248] 현재까지 충북에서는 괴산군, 영동군, 증평군, 보은군, 단양군(이상 충북 5개 군지역)에서는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249] 현재까지 광주에서는 통산 4회중 여학생 2회, 남학생 2회 밖에 골든벨을 울린 후 재미있게도 남고가 아닌 모두 남녀공학,여고인 것이 특징[250] 1999년 방송을 시작한 후 2000년 참가한 제주특별자치도지역에서는 단 한명도 명예의 전당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251] 현재까지 울산 동구, 울주군에 있는 학교가 단 한곳도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252] 현재까지 울산지역이 남학교,남녀공학이 출연했으나 여학교는 단독으로 참가하지 않고 있다.[253] 재중동포 중국의 해외 학교 포함[254] 2016년(8월 21일 방송) 115대에 등극한 황미홍 학생이 해외 학교 최초로 등극[255] 舊 충청남도 연기군 지역에 해당함[256] 2008년 7월 20일 이후 2013년 6월 30일 같은 학교 세종고(구 조치원고)에서 2번 등극[257] 재중동포 학생의 중국에 해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