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 (r17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MBC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기업의 메인 채널 정보에 대한 내용은 MBC TV 문서
MBC TV번 문단을
MBC TV#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MBC 로고.sv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공영방송
[[한국방송공사|

파일:KBS 로고.svg
]]
[[문화방송|

파일:MBC 로고.svg
]]
[[한국교육방송공사|

파일:EBS 로고.svg
]]
SBS 네트워크 지역 민영방송
[[SBS|

파일:SBS 로고.svg
]]
[[G1방송|

파일:G1방송 로고.svg
]]
[[대전방송|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청주방송|

파일:CJB 로고.svg
]]
파일:JTV 로고.svg
파일:kbc 로고.svg[[TBC|

파일:TBC 로고.svg
]]
파일:KNN 로고.svg[[울산방송|

파일:ubc 로고.svg
]]
[[제주방송|

파일:JIBS 로고.svg
]]
독립 지역 민영방송
[[OBS경인TV|

파일:OBS경인TV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00px" 파일:MBC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00px" 파일:EBS 로고.svg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조직 ]
사장콘텐츠총괄부사장
기획조정본부미디어전략본부콘텐츠전략본부보도본부
드라마본부예능본부시사교양본부라디오본부
경영본부방송인프라본부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80px; display: inline-block;"
[ 네트워크 ]
수도권파일:MBC 로고.svg

서울, 인천, 경기
강원권파일:춘천MBC 로고.svg

강원 영서 북부
파일:원주MBC 로고.svg

강원 영서 남부
파일:MBC강원영동 로고.svg

강원 영동
충청권파일:대전MBC 로고.svg

대전, 세종, 충남
파일:MBC충북 로고.svg

충북
호남권파일:광주MBC 로고.svg

광주, 전남 중북부
파일:목포MBC 로고.svg

전남 서남부
파일:여수MBC 로고.svg

전남 동부
파일:전주MBC 로고.svg

전북
대경권파일:대구MBC 로고.svg

대구, 경북 중서남부
파일:안동MBC 로고.svg

경북 북부
파일:포항MBC 로고.svg

경북 동해안
영남 제주권파일:부산MBC 로고.svg

부산
파일:울산MBC 로고.svg

울산
파일:MBC경남 로고.svg

경남
파일:제주MBC 로고.svg

제주


파일:mbcnews_new.png
[ 펼치기 · 접기 ]
MBC TV
파일:newsdesklogo_ko_white_re2.png파일:newstodaylogo_ko_white_re2.png파일:930mnews2.png파일:12mnews.png
평일 19:40
주말 19:55
평일 06:00
토 07:00
평일 09:30평일 12:00
파일:2mbcnewslogo1.png파일:5mnews.png파일:mbc_election.png파일:MBC 시사_스트레이트.png
평일 13:55, UHD평일 16:55법정선거일 16:00일 20:30
파일:mbcnews_new.png
토 12:05 / 일 07:00, 11:55
공휴일 정오 시간대
정시 뉴스정오 종합뉴스저녁앤뉴스
매 정시 07:00~23:05(평일)
매 정시 06:00~23:05(주말, 휴일)
12:00평일 19:00
인터넷
파일:MBICNEWS_NEW.jpg파일:14F 로고.svg파일:오늘비와? 로고.jpg파일:뉴스안하니 로고.jpg
상시평일 19:00(데일리 뉴스) / 각 콘텐츠별 상이상시목 저녁 시간대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파일:MBC 로고.svg 주식회사 파일:문화방송 한글 로고.svg
株式會社 文化放送
Munhwa[1] Broadcasting Corporation
}}} ||
meet me,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약칭MBC
국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설립1961년 2월 21일 (63주년)
개국TV1969년 8월 8일 (54주년)
라디오1961년 12월 2일 (62주년)
DMB2005년 12월 1일 (18주년)
법인명주식회사 문화방송
株式會社 文化放送
본사 소재지




{#white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글로벌미디어센터}}}}}}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267 (상암동)
채널TV 파일:MBC 로고.svg
라디오파일:mbc-fm.png
파일:mbc-fm4u.png
DMB파일:MBC DMB.pngTV파일:all-that-music.jpg
홈페이지 www.imbc.com[2]
링크실시간파일:MBC 로고.svg 온에어[3] 파일:wavve 로고.svg
엠빅라이브
노조 언론노조 MBC본부(교섭대표노조)
[ 펼치기 · 접기 ]
대표자박성제
임원진대표이사 사장 박성제
콘텐츠총괄부사장 정호식
기획조정본부장 박장호
미디어전략본부장 도인태
보도본부장 박준우
드라마본부장 강지웅
(사외이사 제외)
법인형태주식회사 (1961 ~ 현재)
민영방송 (1961 ~ 1980)
공영방송 (1980 ~ 현재)
업종명지상파 방송업, 광고사업, 임대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본사[1])
052220 (iMBC, 2005.1.21 ~ 현재)[2]
주주방송문화진흥회 (지분 70.00%)
정수장학회 (지분 30.00%)
기업규모중견기업
직원 수1,613명 (2021년 12월 31일)
자본금연결: 10억 원 (2021년)
별도: 10억 원 (2021년)
매출액연결: 1조 2,385억 3,744만 7,355원 (2021년)
별도: 7,774억 6,252만 4,940원 (2021년)
영업이익연결: 195억 5,217만 713원 (2021년)
별도: 684억 714만 4,509원 (2021년)
순이익연결: 3,231억 6,224만 4,691원 (2021년)
별도: 1,772억 5,044만 5,111원 (2021년)
자산총액연결: 3조 2,515억 2,130만 2,734원 (2021년)
별도: 2조 5,208억 1,891만 8,140원 (2021년)
부채총액연결: 7,110억 2,713만 3,443원 (2021년)
별도: 3,787억 6,726만 8,338원 (2021년)
자회사부산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 광주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 제주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 춘천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안동문화방송, MBC강원영동, 원주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 MBC충북, MBC아카데미, MBC C&I, MBC아트, iMBC, MBC PLAY BE, MBC 플러스, MBC Archive, MBC America Holdings, Inc., MBC BROADCATING Inc., 아이포터, IPORTER USA Inc.
[1] 원래는 본사가 상장회사였으나 주식분산요건 미달로 상장폐지된 이후 지금껏 상장을 못 하고 있다. 방송문화진흥회 70% + 정수장학회 30%로 100% 지분을 나눠먹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특이한 구조로 인해 MBC를 상장시켜서 정수장학회 측 지분을 장내 매각시켜야한다는 얘기가 한 번씩 나온다.[2] 인터넷 서비스를 하는 계열사인 아이엠비씨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다.

1. 개요
2. 상징
2.2. 로고송
2.3. 사시(社是)
2.4. Vision
2.5. Mission
2.6. Values
2.7. 방송강령
2.9. 마스코트
3. 역사
4. 사옥
4.1. 인사동 사옥 (1961.12.2 ~ 1969.8.7)
4.2. 정동 사옥 (1969.8.8 ~ 1986.4.29)
4.3. 여의도 방송센터 (1982.3.16 ~ 2014.8.3)[4]
4.4. 여의도 경영센터 (2000.9.1 ~ 2014.7.1)
4.5. 일산 드림센터 (2007.11.30 ~ 현재)
4.6. 상암 글로벌미디어센터 (2014.8.4 ~ 현재)
4.7. 강남 스마트센터 (2021.11.1 ~ 현재)
5. 부속 시설
6. 지배구조
6.1. 공영방송
7. 조직
7.1. 조직도(2022년 기준)
7.4. 역대 편성책임자
7.5. 직원
8. 방송 현황
8.1. 채널
8.2. 계열사
8.3. 관계사
9. 정기간행물
10. 노동조합
11. 교통편
11.1. 상암동 본사
11.2. 일산 MBC 드림센터
13. 관련 문서
14. 관련 문헌
1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수도권 지역[5]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TV·라디오 방송사로, 준공영방송[6]이다. 1961년에 설립했으며, 본사 사옥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에 위치한다.

현재 TV 채널 1개, 라디오 채널 2개, DMB 채널 4개를 운영중이며, 호출부호는 HLKV이다.

  • TV: HLKV-DTV
  • 라디오
    • 표준FM : HLKV-SFM, HLKV
    • FM4U : HLKV-FM
  • DMB: HLKV-TDMB


2. 상징[편집]



2.1. 사가(社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화방송/사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로고송[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BC T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사시(社是)[편집]


  • 자유: 진실의 추구와 전파를 위하여 자유를 지킨다.
  • 책임: 개인과 사회에 대하여 스스로 책임을 진다.
  • 품위: 사회 양식에 따라 높은 품격을 지닌다.
  • 단합: 민족단합과 국력배양의 선도적 기능을 다한다.

1974년부터 1981년까지 경향신문의 사시와 같다. 두 연도 모두 두 회사와 관련이 있으며, 아래 '역사' 문단 참조. 위 사시는 2018년 이후 홈페이지에서 사라졌다.

2.4. Vision[편집]


콘텐츠 중심의 글로벌 미디어 그룹
좋은 콘텐츠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든다.

2.5. Mission[편집]


상상력과 창의성으로 시청자의 삶을 더 풍성하게 한다.

2.6. Values[편집]


  • 시청자 first
  • 창의성
  • 공정성
  • 공영성

2.7. 방송강령[편집]


우리는 방송의 주인이 국민임을 명심하고

공영방송으로서 정직한 언론의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계층의 여러 시민들이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해

사회적 공익과 국민의 권익 증진에 이바지한다.

우리는 인권을 존중하고 사회정의와 민주질서를 옹호하며

사회 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불편 부당한 공정방송에 힘쓴다.

우리는 편성, 보도, 제작의 독립과 자율 그리고 책임을 기반으로

국민이 참여하는 열린 방송을 지향하며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

우리는 사회 갈등을 조장하는 지역주의와 집단 이기주의를 배제하고

사회적 약자보호에 노력해 지역, 계층 간 통합에 앞장선다.

우리는 남북이 대화와 협력을 바탕으로

민족화합과 평화통일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한다.

우리는 세계의 균형 발전으로 인류의 복리를 도모하는 일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추구해야 할 가치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한다.

우리는 신속 정확한 보도와 품격 있는 프로그램으로

사회와 문화에 기여하는 전문인임을 깨달아 투철한 윤리의식을 스스로 다지며

이를 행동으로 실천할 것임을 밝힌다.

MBC 방송강령 전문 (2022.4.18, 2차 개정)

[ 펼치기 · 접기 ]

국민의 방송인 문화방송에서 근무하는 우리는

방송의 사회적, 역사적 사명을 깊이 인식하고,

진실과 정의를 바탕으로 언론과 문화의 창달을 통해

국가의 발전과 국민의 복리증진에 이바지하며

나아가 세계평화와 인류공영을 위해 노력할 것을 엄숙히 선언한다.

우리는 방송에 국민이 참여하는 기회를 확대하여

사회구성원의 열망이 반영되고 조화될 수 있도록 노력함으로써

바르고 의로운 공동체적 삶을 실현하는데 최선을 다한다.

우리는 이러한 사명이 진실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견을 불편부당하게 다루는 공정방송을 통해 수행되며,

공정방송은 문화방송의 독립성, 자율성,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강한 책임감이 뒷받침되어야 이루어진다고 확신한다.

우리는 이에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자질 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을 다짐하며,

올바른 윤리의식을 확립하기 위한 원칙과 실천기준을 마련하여

행동지침으로 삼기로 한다.

MBC 방송강령 전문 (1990.6.30 제정)



우리는 방송의 주인이 국민임을 명심하고

공영방송으로서 정직한 언론과 건강한 문화창달을 통해

사회적 공익과 국민의 권익 증진에 이바지할 것을 선언한다.

우리는 인권을 존중하고 사회정의와 민주질서를 옹호하며

사회 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불편 부당한 공정방송에 힘쓴다.

우리는 남북이 대화와 협력을 바탕으로

민족화합과 평화통일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한다.

우리는 사회 갈등을 조장하는 지역주의와 집단 이기주의를 배제하고

사회적 약자보호에 노력해 지역, 계층간 융화에 앞장선다.

우리는 편성, 보도, 제작의 독립과 자율 그리고 책임을 기반으로

국민이 참여하는 열린방송을 지향하며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

우리는 신속 정확한 보도와 품격 있는 프로그램으로

사회와 문화에 기여하는 전문인임을 깨달아 투철한 윤리의식을 스스로 다지며

이를 행동으로 실천할 것임을 밝힌다.

MBC 방송강령 전문 (2003.12.2, 1차 개정)


MBC는 방송인의 윤리와 방송 제작 원칙등을 구체적으로 밝힌 방송강령을 1990년 7월 2일 선포했다. 현재 매월 1일에 방송 시작과 함께 방송강령전문을 텔레비전과 라디오로 송출하고 있다. 현재 송출되는 강령은 2022년 4월 18일 2차 개정판이다.

2.8. 로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BC/로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MBC 로고(1961-1969).svg파일:MBC 로고(1969-1974).svg파일:MBC 로고(1974-1981).svg
1961.12.2 ~ 1969.6.301969.7.1 ~ 1974.7.241974.7.25 ~ 1981.4.25
파일:MBC 로고(1980-1981).svg파일:MBC 로고(1981).svg파일:MBC 로고(1981-1985).svg
1980.12.1 ~ 1981.11.301981.4.26 ~ 1981.11.301981.12.1 ~ 1985.12.31
파일:MBC 로고(1986-2005).svg파일:MBC 로고(2005-2011).svg파일:MBC 로고.svg
1986.1.1 ~ 2005.1.22005.1.3 ~ 2011.12.312012.1.1 ~ 현재

2.9. 마스코트[편집]


파일:엠빅.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엠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8년부터 사용해 온 현 마스코트 엠빅

3. 역사[편집]


문화방송 텔레비전 개국실황(국가기록원)

1961년 2월 21일 부산일보문화방송(現 부산문화방송)의 대표인 김지태를 대표이사로 하는 '서울민간방송'이 설립되었다. 같은 해 3월 8일, 회사명을 한국방송(약칭 HBC)으로 변경하였고, 7월에 라디오서울로 변경했다가 마침내 10월 10일 한국문화방송으로 사명이 확정되었고 12월 2일 첫 전파를 발사하였다. 참고로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의 최초는 서울에 위치한 문화방송(당시 한국문화방송)이 아니고 1959년에 개국한 문화방송(현재의 부산문화방송)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를 참조. 참고로 일본의 경우 수도권에 있는 민영방송보다 다른 지방에 있는 민영방송이 더 먼저 만들어진 경우가 흔하다.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마이니치 방송 참조.

개국과 동시에, 2년 먼저 개국했던 부산의 문화방송(現 부산문화방송)과 방송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7] 하지만 1962년 6월 30일 문화방송 창립자인 김지태가 5.16 군사정변 직후 중앙정보부에 끌려가면서 그 소유권을 사실상 강탈당하는 형태로 5.16장학회(현 정수장학회)로 넘어갔다.

1969년 8월 8일 TV 방송을 개국했다. 1974년 3월 첫 자회사인 한국연합광고를 세운 뒤 경향신문과 회사를 통합하게 됨에 따라 11월 1일 ㈜문화방송·경향신문으로 사명을 바꾸었다.

1980년 군부세력에 의한 강제 언론통폐합으로 신아일보를 흡수 합병하고 민간기업 소유 주식 70%를 KBS가 소유하게 되었다.[8] 그리고 1981년에 언론기본법에 따른 신방겸영 금지에 따라 경향신문과도 분리되었다.[9] 이후 1988년 사회민주화 과정에서 KBS는 자사가 소유하던 문화방송 주식을 문화공보부에 넘겼고 문화공보부는 공영기관인 방송문화진흥회를 설립하여 인수하였다.[10] 나머지 주식 30%도 정수장학회[11]라는 공익재단이 가지게 되었는데, MBC는 법적으로는 공영방송이라는 사상 유례없는 괴악한 형태가 되었다. 하지만 거의 민영방송과 다를 바 없기 때문에 반 공영방송이라고 불러도 무방하다. 참고로 케이블에서 특히 논란이 되는 지상파 관련 문제에는 의무재송신이라는 것이 끼어 있는데, MBC는 의무재송신 대상 채널이 아니다.

1987년 12월 15일에는 수도권 지역 표준FM(95.9MHz)가 개시되었으며, 1994년에는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있던 중파송신소가 경기도 고양시로 이전되었다. 또한 1991년에는 일부 사업부를 MBC프로덕션, MBC미디어텍, MBC방송문화원[12], MBC예술단, 1992년에는 MBC미술센터 등으로 각각 분사시키는 한편, 1991년 미주방송지사(현 MBC 아메리카)를 설치했다.

1996년에 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하고 2000년에는 인터넷 사업을 '인터넷MBC(현 iMBC)'로 분사시켰으며, 동서증권빌딩을 사들여 'MBC경영센터'로 개편시켰다. 2001년 12월 지상파 디지털TV 방송을 실시했으며, 2005년 12월 지상파 DMB 방송까지 실시하면서 본격 디지털 방송시대를 열었다. 2007년 일산드림센터를 세운 뒤 2014년 8월 4일에는 여의도에서 상암동 DMC로 사옥을 이전했다.

2022년 11월 8일 AM 900kHz 방송국이 6개월간 운용 휴지하였다. 2023년 5월 8일에 종료될 예정이다.

4. 사옥[편집]



4.1. 인사동 사옥 (1961.12.2 ~ 1969.8.7)[편집]


파일:external/office.kbs.co.kr/49fe8a353e347.jpg
MBC 구 인사동 사옥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24 (인사동)
[13]

파일:문화방송_인사동.jpg
표지석

파일:external/building.auric.or.kr/BuildingImg407_3.jpg
덕원갤러리
겉보기엔 철거하고 새로 지은 것 같지만[14] 리모델링을 해서 골조 자체는 문화방송이 사용하던 것 그대로라고. 참고로 이 덕원갤러리라는 건물은 2003년 리모델링 때 두 건물을 이어서 건축계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한편, 이 건물 바로 앞에는 발상지를 기념하는 동판이 있는데, 2005년 로고 변경 당시 제막되었다.(사진은 이 글 맨 밑에서 두번째) 위치는 여기인데, 보다시피 어느 순간 하얀색이 싹 벗겨졌다. 참고로 이 구사옥은 1992년부터 덕원문예개발(주)에서 사용하고 있다.

4.2. 정동 사옥 (1969.8.8 ~ 1986.4.29)[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1970%7E1980%27s_MBC_Government_building.jpg
MBC 구 정동 사옥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정동)

파일:/100/400/2/99802.jpg
현 정동 사옥의 모습(1999년 사진)

이 사옥의 설계자는 김수근. 시공사는 현대건설.

1969년부터 사용되었으며. 69년 TV 방송 개국을 위하여 건설한 사옥이다. 1974년부터 1986년 여의도 사옥으로의 완전 이전까진[15] 경향신문과 같이 사용했다. 3개의 스튜디오[16]가 있었다고 전해지며, 저층부(큰 유리창 부분)에는 문화방송 편집국, 보도국, TV, 라디오 스튜디오, 촬영실, 아나운서국이 위치했었고 고층부(작은 창문들이 있는부분)에는 문화관광호텔이 있었다.[17] 정동 사옥 뒤에는 문화체육관이 있었으며, 거기에서 MBC의 1976년~1984년의 인기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었던 '명랑운동회' 같은 프로그램이 제작됐는가 하면 대략 1990년대 중반까지도 MBC 라디오 공개방송이 꾸준히 열리기도 했다.[18] 문화체육관은 이후 2000년대 초반에는 심야영화[19]를 틀어주다가 후에 영화관이 아예 '팝콘하우스'라는 공연장으로 바뀌었으나 시설 노후화로 인해 철거되고 현재 그 자리에는 '정동상림원'이라는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지금은 이 사옥을 경향신문이 사용중이다. 특히 정동 사옥은 완공된 지 50년라는 긴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많은 개조가 있었지만 여전히 낡은 외관을 가지고 있다. 그래도 당시에는 신문사, 윤전공장, TV 및 라디오 방송국에 체육관과 문화관광호텔 등 상업시설까지 다 있는 복합 문화미디어공간으로 지칭됐다. 이 사옥의 현재 모습은 경향신문 문서 참조.

4.3. 여의도 방송센터 (1982.3.16 ~ 2014.8.3)[20][편집]


파일:/content/image/2011/08/23/20110823000282_0.jpg
MBC 구 여의도 방송센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96 (여의도동)
[21]

당시 사옥 이전 전 층별안내도 [ 펼치기 · 접기 ]
층수 Information
10 임원실, 비서팀, 기획조정본부, 대회의실, 소회의실
9 논설위원실, 광고국, 경영지원국, 정보콘텐츠실, 영상1부, CG실
8 편성국, 라디오국, 레코드실
7 라디오기술부, 라디오스튜디오1~9
6 시사제작국, 아나운서국, 스포츠국, 보도기획부, 보도기술부, 뉴미디어뉴스국, 후지 테레비
5 보도국, 정책홍보부, 시청자홍보부
4 네트워크프러덕션센터, 종합편집실, ENG편집실, 경제매거진팀/편집실, 흡연실
3 감사국, 교양제작국, 콘텐츠협력국, 영상2부, 성우실, 사우사랑, 사옥관리부, 디지털전환팀, 의무실
2 디지털기술국, A/C/D부조정실, 매직스튜디오 부조정실, 방송준비실, 자재실
1 A/C스튜디오, 매직스튜디오, D공개홀, 정보콘텐츠실, 분장실, 미래전략TF, TV중계부, 매점, 시청자홍보부
B1 정보콘텐츠실, 자료실, 구내식당, 면회실, 이발소, 매점, IBK기업은행
B2 전기실, 기계실, 의상실, 전산개발실, 대도구실, 주차장, 스포츠영상자료실, 레코드보관실
MBC하면 여의도가 떠오르는 사람이 많을 정도로 익숙할 사옥.

당시 지하 2층, 지상 10층, 옥탑 1층, 연면적 43,430㎡ 규모로 1979년 9월 11일 착공하여 1982년 3월 16일 준공되었다. 정림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가 설계하고 동아건설산업에서 시공하였으며 도로에 면한 입면의 원형 샤프트(수직 통로)는 소통과 관계에 기반하는 MBC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며, 화려하고 풍요로운 보라색 타일과 반사유리를 써서 백색건축의 모더니즘에서 벗어나 변화하는 한국 사회에서의 언론의 진취적 이미지, 경쾌한 도시적 감각을 표방했다. 1982년 서울특별시 건축상 대상 수상작.

컬러 TV시대를 대비한 TV방송 스튜디오로 건설되었으며, 1982년 준공과 함께 보도국을 제외한 TV 제작부서가 이전하였다. 그러나 정동 사옥과 떨어져 있던 탓에 사원들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많이 생기고 불필요한 경비가 많이 든다는 이유로 증축 공사를 통해 1986년 4월에 정동 사옥에 남아있던 부서들도 여의도 사옥으로 이전하였다.[22]스튜디오의 경우 총 4개(A~D)가 있는데 B스튜디오는 매직스튜디오, D스튜디오는 공개홀로 사용되었다.

2007년 11월 일산드림센터가 완공됨에 따라 여의도에 있던 예능본부와 드라마본부는 2008년 초에 고양시 일산으로 옮겨갔고, 라디오본부, 보도본부, 경영본부[23] 등의 나머지 부서들과 방송 주조정실은 여전히 여의도에 남아있었다. 그렇게 30년간 MBC의 대표 사옥으로 쓰이다 건물 자체가 애초에 TV 방송용 스튜디오였던 것을 개조와 증축했던 것이라 적재 하중 위험이라서 2014년 8월 4일부로 방송 전송 기능이 상암동 신사옥으로 이전했고 9월 1일에 상암동으로의 이전 작업이 완료되었다.

라디오의 경우 여의도 사옥에서 한 마지막 생방송은 별이 빛나는 밤에였는데, 생방송 당시에 이미 대부분의 방송 장비가 상암동으로 옮겨진 상태라 마지막 남은 뉴스룸(아나운서가 라디오 뉴스를 진행하는 곳)에서 진행되었다. 그리고 그 뉴스룸에 남아있던 장비마저 그 생방송이 끝나고 정파 되자 마자 상암동으로 옮겨갔다.

여담으로 MBC가 여의도 사옥을 이용했던 시절에 거쳐간 MBC의 로고들이 총 4개이다. 첫 번째 로고는 1981년부터 1985년까지 사용된 3세대 로고[24], 1986년부터 2004년까지 사용된 4세대 로고[25],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사용된 5세대 로고[26], 2012년부터 현재까지 쓰여지고 있는 5.5세대 로고[27] 등이 MBC 여의도 사옥 시절에 사용되었다.

상암동 이전 후 내부는 비어있었지만, 상암 신사옥과 일산 드림센터의 스튜디오마저 세트장이 부족할 경우엔 방송녹화를 위하여 스튜디오 정도만 쓰이기도 했고 안광한 사장 시절 신설된 신사업개발센터, 일명 유배지로도 쓰였다. 참고로 무한도전만이 여의도 시대 마감 후에도 이 건물을 방송에 활용한 적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나 홀로 집에 특집과 끝까지 간다 특집은 아무도 없는 여의도 사옥을 배경으로 활용했다. 2016년 들어서는 토토가2 - 젝스키스 오프닝 일부와 2016 무한상사-위기의 회사원의 세트 촬영 일부도 이곳에서 했다.[28] 리얼스토리 눈의 북한의 대남 전단 편에서 이 사옥의 옥상에서 대남전단을 가정해서 날리는 실험도 했었다.

사실 MBC가 사옥 건립비로 돈을 많이 썼고 카메라도 UHD로 높인다고 돈 많이 써서 이 부지와 건물을 매각하고 싶어하지만, 안 팔렸던 이유가 있었다. 일산이야 뭐 위치도 최상의 조건[29]이라 부지 가격이 높아도 사려고 하지만 여의도는 이상하게 부지 가격이 너무 높아서 안 사간다. 문제가 이걸 따로 팔면 문제가 없는데 묶어 파려고 해서 안 사간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산 드림센터는 지은 지도 얼마 안 된 새 건물(2007년 준공)이나 마찬가지인 데다 활용도가 현재로서는 매우 높고 계열사인 MBC 플러스 미디어에서 활용 중이라 매각할 생각이 없을 듯하다. 참고로, 여의도 MBC 지하 주차장이 AJ파크로 임대되었다고 한다.

여의도 사옥의 매각과 관련해서는 다소 문제가 있었다. # # #

정동 사옥과 여의도 사옥의 대략적 개요는 여기서 볼 수 있다.

상암 이전 이후 코리아콘텐츠플랫폼(현 웨이브아메리카스) 한국사무소와 블렌딩[30]이라는 회사가 입주했고, 지상 주차장 부지 일부에 롯데캐슬 모델하우스가 있었다.

2018년 6월 (주)여의도MBC부지복합개발PFV[31]로 매각된 후 12월 부로 구 사옥 철거가 개시되어 #철거를 시작하기 전에 상암동 본사에서 12월 9일까지 여의도 구 사옥을 배경으로 한 사진전을 개최했었고, 2019년 2월 11일 철거 기념식을 거행했다. 철거 이후에는 오피스텔 및 주상 복합이 들어설 계획[32]이다. 이 사옥은 현재 철거되었으며 옆자리가 파크원이며 역대 문화방송 사옥 중에서 유일하게 건물 형체가 온전히 남아 있지 않게 되었다.[33]

여담으로 Pokémon GO에서는 여의도 사옥이 있던 부지에 여의도MBC사옥 포켓스탑이 아직도 있다.

4.4. 여의도 경영센터 (2000.9.1 ~ 2014.7.1)[편집]


파일:mbc경영센터.jpg
MBC 여의도 경영센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52 (여의도동)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52에 위치한 사옥이다.

원래 스튜디오로 지어진 여의도 사옥의 공간이 부족해지자 바로 옆에 있는 동서증권빌딩(1987년 준공)을 임대한 후 경영본부와 계열사들이 나와서 사용했으며,[34] MBC GAME이 겜비씨였던 시절, 이곳에 스튜디오가 있기도 했다.

2010년 KTB자산운용의 사모펀드 KTB컨피던스35호에 팔았다가 얼마 안 가 심팩에 소유권이 넘어갔고, 2014년 상암 신사옥이 완공하면서 경영본부는 그쪽으로 이전했고 이후 MBC 플러스에서 2015년 3월까지 사용하다가 이후 드림센터로 옮겼고 현재 이곳을 사용하는 계열사는 없으며 심팩이 본사로 사용하고있다.

4.5. 일산 드림센터 (2007.11.30 ~ 현재)[편집]


파일:일산mbc.jpg
MBC 일산 드림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96 (장항동)

층별 안내도
[ 펼치기 · 접기 ]
층수 Information
10 MBC 플러스 (노조사무실, 직원휴게실), MBC재난통신단, 꽃꽂이실, 회선조정실
9 MBC 플러스 (미디어라운지, 대회의실, 기획경영본부, 광고사업본부, 임원실, 주조정실, CMS실, 장비 관재실)
8 MBC C&I (제작국, 방송기술국, 기술연구부, 공간개발사업부, 종합편집실, 노조사무실), 1~3부조정실, MBC ART 노조사무실
7 프로그램회의실, D1~D3스튜디오, 탤런트실, 출연자대기실, 개인분장실, 드라마분장실, 드라마대본연습실, 오디오맨실, 영상미술준비실/정비실, iMBC 사무실
6 MBC ART (임원실, 미술제작국, 콘텐츠기획센터, 경영사업센터, 남여분장실, 분장연구실), MBC 플러스 분장대기실 (1~10)
5 MBC C&I (콘텐츠사업국, SI사업부, 임원실, 경영지원부), 통신실
4 MBC 플러스 (B~D스튜디오/부조정실, 디지털 Biz센터 창고, 서버플레이룸, B/C분장대기실, DMB 부조정실, 녹음실, 숙직실), 6부조정실, 숙직실, 녹음실, 음향효과실, 음향정비실
3 MBC 플러스 (A부조정실, 방송본부, 스포츠센터, NLE종편실, 전산실, NLE가편실, 비주얼아트, 브랜드디자인 정비실, 시사실1/2), 5부조정실
2 D5/D6 스튜디오, 출연자대기실, 개인분장실, MBC 플러스 (A스튜디오[1], 분장대기실), 자산관리부, 뉴스룸 일산지국, 꿈나무축구재단
1 정문초소, 관현악단실, 합창단실, 무용단실, 기자실, 사진스튜디오, 청경대기실, 안내데스크, IBK기업은행, 이벤트홀, 아이스빈, 이마트24
B1 MBC ART (미술세트제작실, 소품실, 소도구창고, 용품관리실, 세트사무실, 작화사무실, 의상실), 관재구매부창고, 세탁실, 미화관리사무실, 기사대기실
B2 중앙제어실, 주차장
B3~B4 주차장
[1] 구 ST 4
현재 MBC ART, MBC 플러스, MBC C&I 본사.

일산 호수공원 앞에 있는 MBC 일산 드림센터. 당초 여의도 사옥은 컬러 TV를 위한 스튜디오였지만 이후 증축을 통해 MBC의 모든 기능이 여의도로 옮겨가게 된다. 하지만 공간의 부족과 건물의 안정성 문제로 1994년 해당 부지를 구입, 1996년에는 일산에 방송 문화 체험이 가능한 통합 신사옥 건축계획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계획은 수정되어 현재와 같은 지하 4층, 지상 10층, 옥탑 1층, 연면적 78,347.1㎡ 규모로 줄어들어[35]2004년 9월에 착공하여 2007년 11월 30일 준공되었고, 그 해 연말부터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이곳엔 한국 최대 규모의 복층스튜디오가 있고, 2층엔 예능스튜디오 2곳(5, 6)이, 7층엔 드라마스튜디오 3곳(1~3)이 위치하고 있다. 이곳이 완공된 이후로 일부 예능 프로그램은 여기서 방송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쇼! 음악중심은 2008년 2월 16일부터 2014년 8월 30일까지 이곳의 공개홀에서 방송을 했다.

드라마본부 및 예능본부 산하 제작부서가 이 곳에 있었으나 상암동 신사옥이 완공되자 일부 예능 스튜디오만 남고 전부 상암동 신사옥으로 옮겨졌다. 상암동 신사옥이 없던 시절인 2007년 MBC ID에는 일산 드림센터가 잠깐 나오기도 했다. #

상암동에 신경을 많이 쓰다보니 관리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은데, 몇몇 MBC 출연금지 연예인의 얼굴이 벽보로 붙어있다.[36] 다만 1층의 복층 로비에 걸려있던 예능/드라마 프로그램 사진들은 현재 대장금을 제외하고 2010년대 이후로 방영된 MBC 드라마 사진들로 바뀌었다. 그리고 2016년 하반기 복면가왕 방송이나 쇼챔피언 비하인드 영상을 자세히 보면 알겠지만 벽보 스타일이 바뀌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과거의 예능 프로그램들과 최근의 프로그램들이 섞여서 붙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공개홀인 D6 스튜디오의 출입구 주변 벽보는 MBC의 대표 예능이었던 무한도전의 사진들로 꾸며져 있다.

여기도 여의도 부지처럼 상암으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같이 매각하려 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현재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시설 좋은 상암동 사옥에서 진행하지만, 이 일산 스튜디오도 쓰이는데 사실은 밑에 서술할 상암동 스튜디오의 단점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쓰는 것.[37] 다시 말해 2014년 상암 시대 이후의 일산 드림센터는 MBC와 MBC 플러스 계열이 같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MBC MUSIC의 공개 음악프로그램인 SHOW CHAMPION도 2015년 1월 개편과 함께 촬영장소를 일산 드림센터 공개홀로 옮겨 매주 이곳에서 생방송을 진행하게 된다.

매년 12월 31일 밤에 진행하는 MBC 가요대제전도 드림센터 공개홀을 메인으로 사용한다. 상기한 프로그램들 특징은 대형 공개홀 스튜디오가 필요한 프로그램들이란 것이다.[38] 즉 일산드림센터는 대형 스튜디오로서는 여전히 MBC에서 쓰임새가 높다. 상암에도 대형 스튜디오가 있긴 하지만 이 쪽은 편성과 편집 기능에 더 집중되어 있다. (경영기획은 상암 사옥 중에서도 경영본부가 따로 있다.)

2015년 3월 3일부로 MBC플러스미디어(現 MBC 플러스)가 본사를 이 곳으로 이전했다. 참고로 그 전까지의 MBC 플러스미디어 본사는 여의도의 구 MBC 사옥 건너편에 있는 구 MBC 경영센터 건물(영등포구 국제금융로 52)에 위치해 있었다. 허나 이 사옥 이전으로 MBC SPORTS+은 야구/농구 경기장들과의 거리가 길어져 중계차량 이동 시간 상에서 불이익을 보게 되었다.[39]

2015년 3월 13일에는 MBC C&I 본사도 사옥을 이곳으로 이전했다. 여담으로 1층에는 MBC WA 체험스튜디오가 있었으나 상암동 본사에 MBC WORLD가 생기면서 사라졌다. 대신 그 자리에는 아이스빈이라는 카페가 입주했다.[40] 그리고 옆의 MBC 자체 매점은 세븐일레븐이었다가 2021년 부로 이마트24로 바뀌었다. 또한 연기자(출연진) 대기실과 녹화장 사이 동선이 제법 길다. 복도는 2005년 당시 MBC CI를 적용하여 알록달록하게 꾸며져 있으며, 그래서 이 복도에 ENG를 놓고 중계하거나 인서트용 인터뷰 컷을 따거나 하는 경우가 꽤 있다.

4.6. 상암 글로벌미디어센터 (2014.8.4 ~ 현재)[편집]


현재 문화방송의 본사 건물이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BC 글로벌미디어센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7. 강남 스마트센터 (2021.11.1 ~ 현재)[편집]


MBC 강남 스마트센터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161 (논현동)
이 사옥은 현재 롯데와 함께 문화센터로 사용 중이다.


5. 부속 시설[편집]


  • MBC 문화동산: 경기도 양주시 만송로 394-104(삼숭동)에 소재한 드라마 촬영장 겸 테마파크. 연수원도 이곳에 위치한다.
  • MBC 드라미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용천드라마길 25(용천리)에 소재한 드라마 촬영장 겸 테마파크.

6. 지배구조[편집]


2019년 7월 기준.
주주명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방송문화진흥회7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수장학회30.00%

6.1. 공영방송[편집]


MBC는 소유 및 운영 주체는 방송문화진흥회로 공적 기관이지만 주요 재원이 광고이고, 방송의 목표가 이용자 만족에 있으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공영방송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사회통념상 MBC는 공영방송의 범주로 분류되고 있다고 하겠다.

-《공영방송》(2014), 정윤식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MBC는 법인 형태가 주식회사이며, 광고 수익으로 운영되는 전형적인 민간상업방송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법적으로는 공영방송으로 분류되는데, 그 이유는 MBC 전체 주식의 70%를 소유한 최대 주주가 국영 공익재단인 방송문화진흥회이기 때문이다. MBC가 민영방송처럼 운영되는 공영방송이 된 데는 하술할 역사적 배경이 한 몫을 하고 있다.

원래 개국 당시부터 문화방송은 명백한 민영방송사였다. 다만 이때도 국영 재단인 정수장학회가 지분의 상당수를 차지했었고 국가가 기업의 명줄을 쥐고 있었던 시절이기 때문에, 중앙일보가 최대 주주였던 동양방송에 비해서 명백히 친정부적인 성향을 띄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었다. 어쨌든 지분의 다수를 민영기업들이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부가 정수장학회를 내세워 간접적으로 운영에 개입했던 것과는 별개로 엄연한 민영방송사가 맞았다. 그러다가 1980년 언론통폐합에 의해 정수장학회와 현대건설, 해태, 미원, 교보 등 일부 대기업들이 나눠 갖고 있던 MBC 지분의 70%가 한국방송공사(KBS)에 강매되어[41] 정수장학회가 소유하고 있던 지분 30%를 제외한 나머지 지분을 KBS가 가져감에 따라 완벽한 공영방송[42]이 되었다. 1980년 동양방송이 신방겸영 금지로 KBS에 통폐합당하고, SBS도 개국되기 전인 시절이라 KBS와 함께 사실상 지상파를 독점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6월 항쟁민주화 이후 기자들 사이에서 MBC의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이는 파업으로 이어졌다. 계속되는 파업과 제작 거부로 인해 제대로 된 운영이 불가능해지자, 정부는 1988년 공익 재단인 방송문화진흥회를 설립하여 KBS 소유 지분 70%를 모두 매입하도록 하여 KBS와는 분리된 또 다른 공영방송이 되었다. 이야기가 복잡하지만, 한마디로 정리하면 문화방송은 "공영화된 민영방송"이다.

이렇게 애매모호한 성격으로 인해 자기들 편한 대로 공영방송과 상업방송의 속성을 취사선택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1990년대부터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시사 프로그램에 있어서 만큼은 독립성이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던 데다가, 다큐멘터리 쪽에서도 숫자는 적지만 가끔씩 대작 다큐(이른바 '눈물 시리즈' 등)를 내놓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2010년대 전까지만 해도 준공영방송의 위상을 어느 정도 보여왔다. 준공영방송이긴 하지만 KBS보다 성향이 유연하고 오락적인 방송사이기도 하다.

'정부-방송문화진흥회-MBC'로 이어지는 구조는 그 속성도 복잡하고 뭐라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정상적인 조직 구조다. 공익성을 내세우고는 있지만 다른 공영방송인 KBS·EBS와 달리 국가와 시민사회의 감시를 거의 받지 않으며, 민영방송사처럼 운영되지만 다른 민영방송사와는 달리 경영 실적에 따른 시장의 평가도 받지 않는다. 방송문화진흥회국정감사를 받는 공직유관단체국회의 감시를 받기는 하지만 무의미한 수준이다. 이는 경영 실패 시 책임을 물을 주체가 모호하다는 의미이며, 문화방송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되기가 다른 방송사보다 더 어려운 이유이다. 그렇기 때문에 방송계에서는 문화방송을 코스피에 상장시켜서 민영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나온다. 하지만 내외부로 반발이 극심하여 실행에 옮기지는 못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인터넷 서비스 자회사인 iMBC만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다.

박성제 체제에서는 MBC의 성격을 공영방송으로 규정짓고 KBS와 경쟁하고자 하고 있다. 취임 후 조직을 개편하며 KBS처럼 지역 방송들을 모두 한 법인으로 운영하는 One MBC를 추진하고 있고, 2020년 5월에는 수신료를 징수하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2021년 6월에는 MBC 2TV를 개국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우선은 지역 뉴스와 시사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편성하고, 국회가 세종시로 이전하면 국회방송의 역할을 이어받아 세종시에서 MBC세종이 주도하고자 한다고 한다. 다만 지역 정치 현안에 올인하는 편성은 자칫 TBS의 MBC 버전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이어지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다른 지상파 방송사인 KBS와 SBS에게 양해를 받아야 하는 사안이다. EBS는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함이 명확했기에 지상파 3사가 EBS 2TV 개국에 동의한 것이다. 또 중첩되는 국회방송의 포지션도 고려해봐야 한다. 비판은 또 있다. 수신료 요구를 MBC가 먼저 쏘아 올렸지만 이 일로 인하여 KBS가 기회를 잡아 수신료를 3,800원으로 인상하는 안을 졸속으로 처리했다. MBC의 편성 역시 지적된다. KBS는 환경스페셜과 지역 7시 뉴스 등 다양한 공영 콘텐츠를 시작했지만 MBC는 그 기대에 못미친다는 지적이다. 미디어오늘 12

7. 조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성제 체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1. 조직도(2022년 기준)[편집]


  • 박성제 대표이사 사장 - 미래정책실(이언주 실장)
    • 기획조정본부(박장호 본부장)
      • 기획국(임영서 국장) - 예산기획, 정책기획
      • 공영미디어국(박건식 국장) - 정책협력, 심의, 시청자커뮤니케이션
      • 메가MBC추진단(안형준 단장) - 관계회사, 그룹전략
    • 미디어전략본부(도인태 본부장)
      • 미디어기획국(이성주 국장) - 미디어전략, IP전략
      • 미디어사업국(이태원 국장) - 콘텐츠사업, 글로벌사업
      • D.크리에이티브스튜디오(이동희 대표) - 1부(M드로메다스튜디오), 2부(14F), 3부(소비더머니), D.콘텐츠사업
      • 특임사업센터(최형문 센터장) - 특임사업
    • 보도본부(박준우 본부장) - 보도운영, 통일방송연구소(김현경 소장)
    • 경영본부(전병덕 본부장)
      • 경영지원국(박미나 국장) - 경영지원, 인사, 법무, 재무운영
      • 자산개발국(이정상 국장) - 자산관리, 관재구매, 정보콘텐츠
    • 방송인프라본부(정영하 본부장)
      • 기술인프라국(이희석 국장) - 기술기획, 방송IT센터(유통인프라), TV송출, 송신
      • 제작기술국(김재상 국장) - 제작기술, 종합편집, 중계, 보도기술, 라디오기술
  • 정호식 콘텐츠총괄부사장
  • 감사국(김원태 감사) - 감사1~3부
  • 시청자위원회(신혜경 위원장) - 조사실

7.2. 대표이사 사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화방송/대표이사 사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3. 콘텐츠총괄부사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화방송/콘텐츠총괄부사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4. 역대 편성책임자[편집]


TV는 콘텐츠전략본부장, 라디오는 라디오본부장이 책임자 위치에 있다. 편성업무는 1961년 창립 시부터 방송부에서 맡았다가 1965년 '편성국'으로 승격됐다. 1968년 TV 방송 준비 과정에서 'TV편성국'을 발족하고 1969년에 기존의 편성국을 '라디오편성국'으로 개편시켰다. 1971년 5월 총국제 도입 후 TV 및 라디오 2개 총국으로 확대 개편되었다가 한달 후 국 단위로 낮춰졌고, 1974년 MBC-경향신문 통합으로 부문제가 도입되면서 방송부문 아래로 들어갔다. 1976년 10월 조직개편에 따라 TV국 및 라디오국이 해체되면서 '편성국'이 다시 생겼고, 구 라디오국의 편성업무가 그쪽으로 넘어갔다.

1981년 MBC와 경향신문이 따로 갈라진 후 이듬해에 방송부문이 편성-제작부문 2원 체제로 가면서 편성이사가 업무를 총괄했다가, 1998년 3월 조직개편 이후 '편성실'로 바뀐 뒤 1999년 라디오 편성업무가 제작본부 산하 라디오국으로 넘어갔다. 2000년 3월에는 '편성본부'로 또 개편되었고, 2001년 10월에는 라디오국이 '라디오본부'로 승격되었다. 2001년 편성본부가 '편성실'로 또 바뀌었다가 2006년에 '편성본부'로 되돌아왔다.

2011년 2월 조직개편 당시 편성본부와 TV제작본부의 일부 기능이 합쳐져 '편성제작본부'로 개편된 후, 2012년 4월부터 편성제작본부가 라디오본부를 합치면서 TV와 라디오의 편성을 모두 담당했다. 2017년 12월 13일 조직개편 후 편성제작본부가 해체되면서 편성 업무는 기획본부에 합쳐져 '기획편성본부'가 되었고, 라디오국이 '라디오본부'로 또 승격되었다. 2018년 기획편성본부가 '전략편성본부'로 바뀌었다가 2020년부터 '콘텐츠전략본부'로 개편되었다.

  • 박근숙 (1974~1978)
  • 서규석 (1978~1980)
  • 안흥식 (1980~1981)
  • 홍의연 (1981~1983)
  • 민용기 (1983~1986 / 1991~1992)
  • 표재순 (1986~1988)
  • 형진한 (1988)
  • 신정휴[43] (1988)
  • 임성기 (1988~1989)
  • 고흥칠 (1989~1991)
  • 김창제 (1992~1993)
  • 차인태 (1993~1995)
  • 심상수 (1995~1997)
  • 김일수 (1997~1998 / 1999~2000)
  • 이긍희 (1998~1999)
  • 민창환 (2000~2001)
  • 여태성 (2001~2002, TV)
  • 이기호 (2001~2003, 라디오)
  • 김지일 (2002~2003, TV)
  • 김세영 (2003~2005, TV) / 우종범 (2003~2005, 라디오)
  • 윤영관 (2005~2008, TV) / 정찬형 (2005~2008, 라디오)
  • 이재갑 (2008~2010, TV)
  • 김정수 (2008~2009, 라디오)
  • 서경주 (2009~2011, 라디오)
  • 안광한 (2010~2011, TV)
  • 백종문 (2011~2014)
  • 이우용 (2011, 라디오)
  • 정호식 (2011~2012, 라디오)
  • 김철진 (2014~2015)
  • 김현종 (2015~2017)
  • 김도인 (2017)
  • 조능희 (2017~2018, TV) / 안혜란 (2017~2020, 라디오)
  • 박태경 (2018~2020, TV)
  • 이근행 (2020~, TV) / 안재주 (2020~, 라디오)

7.5. 직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BC T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방송 현황[편집]



8.1. 채널[편집]



8.1.1.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BC T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1.2. 지상파 라디오 방송[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BC/라디오본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1.3. 지상파 DMB[편집]


  • MBC DMB(올댓뮤직, HD DMB는 수도권한정)
    • HD MY MBC(수도권), MY MBC(전국)[DMB]
    • MBC RADIO[44]
    • MY MBC DATA

8.1.4. PP(MBC 플러스)[편집]



8.1.5. 유튜브 채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BC T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2. 계열사[편집]


현재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조직 ]
사장콘텐츠총괄부사장
기획조정본부미디어전략본부콘텐츠전략본부보도본부
드라마본부예능본부시사교양본부라디오본부
경영본부방송인프라본부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80px; display: inline-block;"
[ 네트워크 ]
수도권파일:MBC 로고.svg

서울, 인천, 경기
강원권파일:춘천MBC 로고.svg

강원 영서 북부
파일:원주MBC 로고.svg

강원 영서 남부
파일:MBC강원영동 로고.svg

강원 영동
충청권파일:대전MBC 로고.svg

대전, 세종, 충남
파일:MBC충북 로고.svg

충북
호남권파일:광주MBC 로고.svg

광주, 전남 중북부
파일:목포MBC 로고.svg

전남 서남부
파일:여수MBC 로고.svg

전남 동부
파일:전주MBC 로고.svg

전북
대경권파일:대구MBC 로고.svg

대구, 경북 중서남부
파일:안동MBC 로고.svg

경북 북부
파일:포항MBC 로고.svg

경북 동해안
영남 제주권파일:부산MBC 로고.svg

부산
파일:울산MBC 로고.svg

울산
파일:MBC경남 로고.svg

경남
파일:제주MBC 로고.svg

제주


MBC 지역계열사들의 자회사들은 각자의 문서를 찾을 것.

  • 파일:MBC 플러스 로고.svg: MBC의 유료 케이블 채널을 총괄하는 법인
  • 파일:MBC C&I 로고.svg: MBC의 외주제작사로, 존속법인은 구 MBC 프로덕션이다.
  • MBC ART: 구 MBC미술센터 - 이상 3개 업체는 현재 일산 드림센터에 입주 중.
  • 파일:iMBC 로고.svg
  • 아이포터: iMBC의 해외직구 사이트 운영자회사.
  • MBC NET: MBC 지역계열사들이 출자한 케이블 PP회사.
  • MBC PlayBe: 멕시코 키자니아의 한국 사업권자이다.
  • MBC AMERICA: 미국 현지법인. 1991년 창립 당시에는 '미주방송지사'란 부서명으로 직제상 총무국에 속했으나, 1996년 보도부문을 거쳐 기획국 관계회사부(1998~2001), 사업국(2001~2005), 글로벌사업본부 콘텐츠사업팀(2005~2009)을 거쳐 2009년 법인화되었다.

과거

  • MBC경인: MBC 경인지사의 사업 확대를 위해 상품협찬 대행업무 등을 맡던 회사. 2015년 청산.
  • MBC미디어텍: 2011년 MBC프로덕션에 합병됨.
  • MBC애드컴: 구 한국연합광고. 2006년 류경산업에 매각됨. 현 크리컴.
  • MBC예술단: 2000년 MBC프로덕션에 합병됨.
  • (구)MBC플러스: 2009년 MBC드라마넷에 합병됨.
  • MBC게임: 2009년 MBC드라마넷에 합병됨.
  • MBC플러스골프: 골프 포털사이트 운영업체로, 2013년 청산됨.
  • MBC스포츠: 2014년 MBC플러스미디어에 합병됨.
  • MBC나눔: 2020년 청산됨.
  • MBC아카데미: 방송과 관련된 교육사업 운영업체로, 2021년 MBC C&I에 합병됨.[45]


8.3. 관계사[편집]



9. 정기간행물[편집]



10. 노동조합[편집]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2노조 및 3노조 명칭에 취소선 적용 금지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제1노조): 민주노총 소속.
  • MBC노동조합(제3노조): 미가맹.[46][47]

11. 교통편[편집]



11.1. 상암동 본사[편집]


지하철

거리 상 수색역이 MBC 본사와 더 가깝다. 그런데 수색역에서 내리면 상암동 쪽으로 바로 연결통로가 있는 것은 아니고, 역을 나와 수색치안센터를 한바퀴 돈 다음 지하보도로 내려가야 한다. 참고로 지하보도가 좁고 꽤 음침하다. 찾아가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역 출구에 안내판이 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추가적으로 DMC역에서 걸어가려면 인천국제공항철도쪽 출구를 이용하는게 좋다. 9번 출구로 나와서 11분만 걸어가면 도착한다.

버스

[ 펼치기 · 접기 ]
누리꿈스퀘어.MBC(14307)
월드컵파크5단지 방면
서울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171(대덕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470(내곡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710(월드컵파크7단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771(대화동)}}}||
서울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6715(신월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7711(덕은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7730(은평공영차고지)}}}||
서울심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N72(은평공영차고지)}}}||
서울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9711(일산동부경찰서)}}}||}}}

상암DMC홍보관.YTN(14287)
월드컵경기장 방면
서울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171(국민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271(서일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710(수유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771(DMC역)}}}||
서울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6715(DMC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7715(동명여고)}}}
서울심야
서울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9711(양재시민의숲)}}}||
경기직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red; font-size: .95em"
7101(혜화동)}}}||}}}

MBC(14362)
DMC첨단산업센터 방면
서울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7013A(은평공차고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7737(은평공영차고지)}}}||
경기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730(지축지구)}}}||}}}

MBC(14363)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방면
서울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7013A(남대문시장)}}}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7737(독립문역)}}}||
경기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730(디지털미디어시티역)}}}||}}}


11.2. 일산 MBC 드림센터[편집]


지하철


버스

[ 펼치기 · 접기 ]
일산동구청(중)(20224경기, 36694서울)
파주, 대화역 방면
서울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760(대화동)}}}
서울지선
서울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9701(가좌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9711(일산동부경찰서)}}}
경기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11(성석동)}}}
66(교하)}}}
75(대화동)}}}
88B(고양종합운동장)}}}
95(식사동)}}}
97(김포대학)}}}
경기일반좌석
경기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200(교하)}}}
1100(고양공영차고지)}}}
3300(대화동)}}}
경기순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8109(킨텍스)}}} ||
광역급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5em"
M7106(킨텍스)}}}
M7412(중산동)}}}
일산동구청(중)(20227경기, 36695서울)
서울, 백석역 방면
서울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760(영등포역)}}}
서울지선
서울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9701(을지로1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9711(양재시민의숲)}}}
경기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11(행신역)}}}
33-1(풍무동)}}}
66(가좌역)}}}
75(신촌)}}}
88A(백석역)}}}
95(고양이케아)}}}
97(행신역)}}}
경기일반좌석
경기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200(홍대입구)}}}
1100(서울역)}}}
3300(인천국제공항)}}}
광역급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5em"
M7106(서울역)}}}
M7412(강남역)}}}
일산호수공원관리사무소(20655)
호수공원, 킨텍스 방면
경기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050(일산동구청)}}}||
경기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33(양촌)}}}

일산호수공원관리사무소(20652)
마두역 방면
시외.공항버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800ff; font-size: .95em"
3000(인천터미널)}}}



12.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문서 참조.


13. 관련 문서[편집]



14. 관련 문헌[편집]



15. 둘러보기[편집]





[1] '문화방송'에서 '문화'는 상표 이름, 다시 말해 고유명사로 취급하므로 Culture라고 쓰지 않는다. CBC[2] 다만 이메일 주소에는 mbc.co.kr로 표기한다.[3] 2018년 12월 18일부터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저화질에 한해 무료로 3분 이상 시청이 가능하고, 고화질 이상은 이용권을 구입하여 시청이 가능하며 국내용이며 해외에서 접속시에는 지역국으로 접속을 해야 한다. 단, 모바일 이용자는 전 채널 로그인 없이 이용가능하며 서프라이즈, 무한도전, 라디오스타, 나 혼자 산다, ALL THE K POP, 장애인 서비스는 PC에서도 로그인 없이 볼 수 있다.[4] 여의도 스튜디오(1982~1985), 여의도 사옥(1986~2007), 여의도 방송센터(2008~2014)[5] 다른 지역은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들이 담당한다.[6] KBS, EBS와 같은 다른 공영방송은 공기업 형태로, MBC만 혼자 법인 형태가 '주식회사'이다. 그런데 MBC는 대주주가 방송문화진흥회라는 특수법인이고, 이 법인은 국회와 방통위의 추천을 받아 이사회를 구성하기 때문에 공직유관단체로 분류되어 국회 국정감사의 대상이 된다. 즉 민영방송의 형태를 띈 공영방송이라는 것. 방문진 처럼 정부관련 특수법인이 운영하는 영국의 "채널 4" 또한 MBC와 비슷한 구조로, (신문과 방송 2021년 8월호 "정부의 여섯 번째 채널4 민영화 시도 반대 여론 만만찮아" 기사 참고) 세계적으로 드물진 않은 형태이지만, 이런 지배구조를 가진 방송국이 만들어진건 MBC 창사 이후 지금까지 겪었던 풍파가 누적되어 이런 묘한 형태를 만든 것이다. 일단 MBC는 자신들이 '공영방송'임을 내세우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역사 문단 참조.[7] 1963년부터 대구, 광주, 대전, 전주, 마산에도 방송(정확하게는 MBC AM 라디오)이 개국되었으나, 계열사가 아니라 한국문화방송 소속의 직할국 차원으로 설립하여서 문화방송(현 부산문화방송)과는 다르다.[8] 문화방송의 주식 70%를 민간기업이 소유하게 된 까닭은 문화방송이 경영난에 빠졌을 때 박정희 정권이 문화방송의 주식을 대기업에게 강매했기 때문이다. 대기업들은 문화방송의 주식을 소유하게 되었지만 배당금을 받을 수도, 경영에 참여할 수도 없었다. 이건 문화방송의 주식을 KBS가 인수한 뒤에도 마찬가지여서 KBS는 주식을 소유했을 뿐 문화방송의 경영에 참여할 수 없었다. [9] 분리 후에도 한동안 합병 흔적이 남아 있었는데, 90년대 초반까지 경향신문에 MBC 지면광고가 실리기도 했고 TV편성표에는 1991년까지 첫 번째 순서로 나왔다.(MBC-KBS1-KBS2) 신입사원 공채 합격자 명단은 1994년까지, 성우 공채 합격자 명단 발표도 10기(1985년)까지는 경향신문에 광고가 각각 실리기도 했다. 그리고 경향신문 앞 문화체육관에서 1990년대 초까지 공개 녹화가 열리곤 했다.[10] KBS가 소유하던 문화방송 주식을 포기하면서 문화방송과 KBS의 이름뿐인 관계가 완전히 청산된 것은 엉뚱한 데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는데, KBS PD 출신으로 방송에 쓰일 동요를 많이 작곡하기도 했던 한용희가 MBC창작동요제에 1983년 제1회 대회부터 1987년 제5회 대회까지 심사위원으로 초대되었는데, 문화방송의 주식이 KBS의 손을 떠난 1988년 제6회 MBC창작동요제부터는 아예 초대받지 못 했다. [11] 물론, 이전에도 문화방송과 부산문화방송 주식의 대부분을 정수장학회(당시 명칭은 5.16 장학회)에서 가지고 있긴 했다. 강탈한 형태라 그렇지...[12] 현 MBC C&I 산하 MBC 아카데미. 정확히는 프로야구단 운영사이던 MBC 청룡 법인을 업종만 바꾼 것이다.[13] 개국 이래 정동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4, 5층을 사용했다. 밑의 리모델링 후 현재 사진을 보면 인사동길에 바로 접한 낮은 건물이 아니라, 뒤쪽의 네모 두 개가 튀어나온 건물이다.[14] 흔히들 문화방송 라고 인식할 정도다.[15] 1974년에 경향신문과 합병, 80년 말에 언론통폐합으로 인한 법인분리. 82년 TV파트가 여의도로 이전, 라디오와 FM 방송, 뉴스 제작부서(보도국)는 1986년 4월에 증축 공사 후 완전 이전.[16] 1-2층 공개홀(현 경향 아트홀)외 2개 스튜디오.[17] 당시 사옥건축 자금이 부족해서 외자를 유치해야 하는데 방송사업은 외자유치가 금지되어 있었지만 호텔사업은 외자 유치가 가능해서 호텔을 지었다고... 관련기사 1972년 객실 87개로 개업하여 1977년 시설 노후화와 운영난을 이유로 폐업했지만 당시 객실의 흔적은 일부 남아 있으며, 호텔 자리는 현재 임대 사무실로 사용되고 있다.[18] 다만 정동 사옥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 빈도수가 점차 낮아지기는 했다.[19] 현재의 CGV, 메가박스 등에서 선보이는 심야상영 회차 개념이 아니라 아예 3개 영화를 묶어서 새벽 12시경부터 5~6시경까지 쉬는 시간을 끼워가며 연속으로 틀어줬다.[20] 여의도 스튜디오(1982~1985), 여의도 사옥(1986~2007), 여의도 방송센터(2008~2014)[21] 위 사진의 모습은 현 MBC 로고에 레드 박스가 존재하는 걸 보아 2005년~2010년 때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레드 박스가 사라진 2012년부터 상암동 신사옥 시대까지는 MBC 로고에서 레드 박스가 사라지고 사진 왼쪽에 보이는 레드 박스 구조물은 2010년 즈음에 초록색으로 바뀌었다. MBC 로고에서 빨간 네모가 없어짐과 동시에 초록색으로 바뀌었다고 착각할 수 있는데 2010년 로드뷰나 2010년 11월 6일 뉴스데스크 오프닝을 보면 구조물은 초록색이다. 그리고 사진을 저장하면 2005년 3월 29일로 나온다.[22] 관련 자료 1 관련 자료 2 관련 자료 3 관련 자료 4[23] 정확히는 내부 공간 부족으로 인근 건물에 입주하였으며 상암 이전 이후에는 통합 사옥에 있다.[24] 파일:1985년 MBC.jpg[25] 파일:1989년 MBC.jpg[26] 파일:2006년 MBC.jpg[27] 파일:2014년 MBC.jpg[28] 2016년 9월 10일 방송된 무한상사 2부 촬영 뒷 이야기에서 촬영을 마친 후 밥차에서 삼계탕을 배식받아 함께 식사를 하는 배우들의 모습이 공개되었는데, 야외에 세워져있던 이 밥차 뒤로 건너편 여의도 콘래드 호텔이 보인다.[29] 일산호수공원이 바로 길 건너편이라 걸어서 갈 수 있을만한 위치에 있다. 게다가 일산 최대의 번화가인 라페스타웨스턴돔이 바로 코앞에 있다. 그래서 유동인구가 늘 많다.[30] 음원유통 및 케이팝 플랫폼 Mubeat의 제작을 담당하며, 이달의 소녀버스터즈도 여기서 음원유통을 맡고 있다. 현재는 SBS 프리즘타워로 이전.[31] 신영, NH투자증권, GS건설 등이 세운 특수목적법인.[32] 2023년 입주 예정인 지웰 브라이튼(Gwell brighten)[33] 위에 언급되어 있지만, 인사동 사옥은 개축을 통해 갤러리로, 정동 사옥은 경향신문 사옥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고, 드림센터는 MBC플러스 계열에서 사용 중이기 때문이다.[34] 이들 중 MBC프로덕션과 MBC미디어텍은 1991년 설립 시부터 서울 송파구 잠실동 198번지에 있었다가, 1996년부터 12년간 여의도 율촌빌딩을 쓰기도 했다.[35] 남은 여유 부지에는 오피스텔이 들어섰다. 당시 MBC는 ‘협력사를 위한 선택’이라고 했지만 단순 오피스가 아닌 오피스텔이 들어서 분양 이익금을 노린 것 이란 비판이 있었다. 이에 따라 SK 엠시티가 건설되었다.[36] 일산 드림센터 내부에는 건물이 완공된 시기인 2007년 당시에 방영 중이던 MBC 인기 예능 프로그램들(무한도전, 공감토크쇼 놀러와, 경제야 놀자, 개그야 등)의 사진들과 2007년까지의 역대 MBC 드라마들(대장금, 태왕사신기, 이산 등)의 사진들이 걸려있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이나 프로그램 종영 여부와는 상관없이 그대로 놔두는 듯하다.[37] 마이 리틀 텔레비전복면가왕은 파일럿 시절부터 일산에서 녹화를 진행하고 있다.[38] 종영되긴 했지만, 마리텔의 경우는 혼자서 스튜디오를 4면이나 쓰는 프로그램이었다. 이러다보니 시즌2에서는 아예 방송국 외부에 주택형 세트를 하나 빌려서 진행했다.[39] 예시로 여의도 시절 잠실구장까진 약 18km 정도였는데, 일산 이전 후엔 약 40km로 2배 이상 늘어났다. 심지어 목동구장은 6km 정도밖에 안 떨어져 있었지만, 일산 이전 후엔 약 23km로 무려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유일한 이득이라면 고양체육관이 가까워졌단 건데, 이쪽은 여의도 시절엔 약 28km였지만 일산 이전 후엔 약 4km로 엄청나게 이동 거리가 줄어들었다.[40] 마이 리틀 텔레비전 MLT-31에서 탁재훈의 아바타 소개팅 장소로 쓰였던 그 카페다. 무한도전 웨딩 싱어즈 1부 때 황광희, 이준, 윤두준, 정용화가 모여서 곡 컨셉을 회의했던 카페도 바로 이곳이다.[41] 해당 주주들은 민주화 이후 국가에 손해배상 신청을 냈으나 1991년에 기각당했다.[42] 당시 KBS도 지금과 같이 공식적으로는 공영방송임에 따라 MBC도 공식적으로 공영방송이 되었다. 그러나 땡전뉴스 등으로 인해 방송 내용은 거의 국영방송과 다름이 없었다.[43] 전무이사 겸직.[DMB] 2020년 5월 기준으로 TV의 정규방송이 끝난 후 자체 프로그램이나 재방송을 편성하기도 하나 대부분은 TV방송을 그대로 수중계한다.[44] 원래 DAB 채널이었으나 V-Radio로 송출 방식을 변경한 후 지방국의 송출이 중단되었다.[45] 등기상 이 회사는 1985년에 설립된 MBC 청룡 법인이 야구단의 매각 이후 1991년에 사명을 변경한 것이다.[46] 강경 보수 성향의 노조이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2017년 파업 당시 경영진을 노골적으로 비호하며 진보 세력으로부터 어용노조 소리를 들으며 지탄을 받기도 했다. 최승호 체제 출범 이후 한직으로 밀려난 옛 간부들 등이 이곳에 속하거나 합류하기도 했고, 2020년 6월 기준으로 전체 취재기자들 중 29% 안에 속하기도 한다(뉴데일리 자료).[47] 2013년 김세의, 최대현이 공동위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설립되었다. 이후 MBC 공정방송노동조합(2노조)과 2017년 통합되었다.[48] 이 때문에 MBC에서 LG 트윈스 선수단 문자테러 사건을 보도할 때 피의자가 MBC 청룡 드립을 쳤다.[49] 2018년부터 주최사가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MBC 문서의 r22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MBC 문서의 r2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1 18:53:25에 나무위키 문화방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