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3217 (r5판)

편집일시 :

>
서울특별시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color: #ffc600"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30113212321432163217
32203313331433153316
33173318331933213322
33233411341234133414
34163417342034223426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1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5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7권역
]]


파일:IMG_0375(3217_8893).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21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복정역환승센터)종점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건대입구역사거리·건대병원)
종점
첫차04:00기점
첫차05:10
막차22:45막차23:55
평일배차8~13분주말배차토요일 11~14분 / 공휴일 14~16분
운수사명한서교통인가대수23대(예비 1대)[1]
노선복정역환승센터 - 송파꿈에그린아파트 - 스타필드시티 위례 - 위례포레샤인18단지 - 거여역 - 개롱역 - 가락쌍용아파트 - 문정1동주민센터.로데오거리 - 가락시장역 - 석촌역 - 잠실역.롯데월드 - 잠실새내역 - 잠실종합운동장 - 삼성역 - 봉은사역.삼성1파출소 - 청담역.경기고교 - 영동대교 - 노룬산시장 → 건대입구역사거리.건대병원 → 어린이대공원역·화양천주교회 → 화양사거리 → 경수중학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한서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2.6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65번 도시형버스(거여동 - 화양리)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3217번으로 바뀌었다.

  • 2018년 시내버스 정기노선조정안에서 3313번과 노선을 통합하되 '거여동 - 위례신도시 - 복정역' 구간을 연장하고 '삼성역 - 화양리' 구간을 단축해 '복정역 - 삼성역' 간 3418번으로 운행하는 안이 검토되었다. 하지만 이는 취소되고 3217번만 '거여동 - 위례신도시 - 복정역' 구간을 단순 연장하는 형태로 조정안이 변경되었다.

  • 2021년 2월 25일 3317과 통합은 부결되고 3217만 단독으로 위례포레샤인18단지, 스타필드시티위례, 송파위례아이파크, 꿈에그린24단지, 위례자이 경유 송파차고지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수정 가결되었다.관련 변경안

  • 본래 3월 중에 위 연장안을 실행하는 것이 목표였으나, 경기도와의 협의가 늦어짐에 따라 지연되다가 경기도와의 협의가 완료됨에 따라 2021년 5월 22일을 기해 실행되었다. 이번 노선 연장과 함께 첫/막차시각이 04:30/23:15에서 04:00/22:45로 앞당겨졌고, 이와 동시에 350번, 3313번, 3322번에서 1대씩 감차하여 이노선에 증차가 이루어지며 평일/토요일/공휴일 모두 운행댓수가 3대 증가 되었다. 하지만 인가 운행소요시간도 130분에서 180분으로 크게 늘고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 모두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22회/14회/9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노선연장 및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배차간격은 평일 7~11분/토요일 8~14분/공휴일 12~14분에서 평일 8~12분/토요일 9~14분/공휴일 11~14분으로 조정되었다. 관련 공문 이번 연장으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최초로 위례 스타필드시티를 경유하게 된다. 추가로 하남시와 마천동을 경유하는 유일한 한서교통 노선이 되며[2], 한편 이번 노선연장으로 한서교통의 모든 노선들이 송파공영차고지에 입성하게 되었다.[3]

  • 2021년 7월 5일을 기해 평일 최대 배차간격이 12분에서 13분으로 늘어났다.(단,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개편 전에는 68번, 69번[4] , 69-1번과 같이 거여2동을 깊숙이 들어갔으나, 개편 후에는 이 노선과 3313번만 남아 고정적인 수요는 꽤 있는 편.

  • 개편 전에는 5분 간격을 유지했으나 현재는 7~18분 간격으로 다니며, 영동대교와 화양리 구간 때문에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해진다. 화양고가차도 철거, 위례신도시 연장 때문에 더 심해진 편.




  • 송파공영차고지로 연장된 이후로는 송파위례~거여역, 오금동 수요를 독점하고 있다. 다만 3313번보다는 조금 돌아가기 때문에 시간을 좀 잡아먹지만, 그래도 3313번을 타기 위해 위례서로까지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없는 게 장점. 또한 231번이 송파구 위례동 안쪽 구간을 철수함에 따라 수요가 더 늘었다.

  • 송파꿈에그린아파트나 위례아이파크아파트에서 복정역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 50번보다 소요시간이 더 단축된다. 다만, 출퇴근시간대는 50번을 이용할 것을 추천하는데, 위례중앙로와 송파대로가 출퇴근시간 상습 정체구간이라 시간을 더 잡아먹기 때문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217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1,202명-
2014년11,081명▽ 121
2015년10,561명▽ 520
2016년9,795명▽ 766
2017년9,466명▽ 329
2018년9,022명▽ 444
2019년8,540명▽ 482
2020년6,610명▽ 1,930
2021년7,479명△ 869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217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화양리
05250
어린이대공원역.화양천주교회
05234
화양사거리
04207
종점건대입구역사거리.건대병원
05232
성수초등학교
04208
건대입구역
05217
이상 회차 구간
경수중학교
04190
노룬산시장
05216
영동대교북단
04189
영동대교북단
05220
영동교입구
23169
영동교입구.청담자이아파트
23168
청담역.경기고교
23170
우리은행청담지점.청담삼익아파트
23171
-
청담역.경기고교
23188
봉은사.삼성1파출소앞
23189
봉은사역3번출구.삼성1파출소
23192
무역센터
23198
삼성역7번출구
23197
강남경찰서.강남운전면허시험장
23243
강남경찰서면허시험장
23196
잠실종합운동장
24154
잠실종합운동장
24144
종합운동장사거리
24157
종합운동장사거리
24143
잠실새내역4번출구
24158
잠실엘스아파트앞
24142
잠실트리지움아파트앞
24145
잠실새내역.잠실2동주민센터
24141
-
잠실5단지
24139
잠실역.롯데월드
24146
잠실역.롯데월드
24138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4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3
석촌역
24006
석촌역
24005
송파역
24008
송파역
24007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10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09
-
문정로데오거리입구
24364
문정1동주민센터.로데오거리
24319
문정1동주민센터.로데오거리
24365
문정현대아파트
24329
가락동미륭아파트
24344
가락동쌍용아파트
24345
가락동쌍용아파트앞
24358
가락동극동아파트
24357
송파중학교
24346
개롱역3번출구
24348
오금동상아아파트
24251
삼환아파트
24349
보인고교.오금동삼성아파트
24252
거여역현대아파트
24271
거여역
24270
거여역종점
24276
거여역종점
24277
한서교통종점
24402
-
종점
24279
한서교통종점
24278
-비호아파트
24287
위례포레샤인18단지
24321
위례포레샤인18단지
24320
위례포레샤인17단지정문
24238
위례포레샤인17단지정문
24336
스타필드시티.위례스타힐스
28533
위례포레샤인 17단지정문
24321
서울위례별초교
24337
스타필드시티.위례지엘푸르지오
24292
송파꿈에그린아파트
24495
위례아이파크아파트
24292
위례포레샤인,위례31단지후문
24439
위례31단지위례포레샤인후문
24440
복정역 · 복정역환승센터 3번 승강장
24658 · 24503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잠실새내역, 종합운동장역[5], 삼성역, 건대입구역[6]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가락시장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마천역[7], 거여역, 개롱역[8]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청담역, 건대입구역[9], 어린이대공원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 서울 지하철 8호선: 복정역, 가락시장역[10], 송파역, 석촌역, 잠실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석촌역, 종합운동장역[11], 봉은사역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복정역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과천/안양/군포/의왕>

과천/안양/군포
541

안양/군포>
안양시 단독
152교대
6515교대
>

500석수

5618석수

과천시 단독>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의왕시 경유 노선은 군포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1] 토요일 19대 / 공휴일 16대 운행[2] '스타필드시티' 정류장이 하남시, '비호아파트' 정류장이 마천동 소재이다.[3] 복정역 연장 이전에도 한동안 야간주박 및 가스충전을 송파공영차고지에서 실시해왔다. 그래서 송파공영차고지~거여동 간 공차회송이 있었는데 이것 역시 자연히 사라졌다.[4] 65번 버스와 69번 버스는 송파구 거주 학생들이 8학군경기고등학교로 배정받았을 때 많이 이용하는 버스였다.[5] 잠실종합운동장 정차[6] 건대입구역 정차[7] 비호아파트 하차[8] 건대입구역 방향 오금동상아아파트 정차, 복정역 방향 개롱역 3번 출구 정차[9] 건대입구역사거리.건대병원 정차[10] 가락시장.가락시장역 정차[11] 종합운동장사거리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