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파주시/정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파주시 을 >
금촌동, 문산읍, 적성면, 파평면 등
坡州市 乙
Paju B
파일:국회선거구 파주시 을.svg
선거인 수178,244명 (2020)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파주시 일부
금촌1동, 금촌2동, 금촌3동, 문산읍, 법원읍, 파주읍, 월롱면, 적성면, 파평면, 장단면[A]
[A] 군내면, 진동면, (장단면, 진서면) 공직선거법 별표로 지정된 공식 선거구에는 주민 미거주구역인 장단면과 진서면이 빠져있다. 인구가 0명이므로 선거구도 없는 것.
신설년도2012년
이전 선거구파주시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정



1. 개요[편집]


파주시의 북부 지역, 접경지역으로 구성된 선거구이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박정 의원.

과거 행정구역 기준으로 보면 옛 교하군 중심지인 금촌동과 옛 파주군 대부분[1], 그리고 옛 장단군의 휴전선 이남 지역 대부분[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엄밀히 말해 인구가 없는 장단면, 진서면은 공직선거법 선거구 구역표에서 빠져 있는데, 상식적, 실무적으로는 이 2개 면도 파주시 을에 속해 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3] 파주의 원도심과 북쪽에 휴전선을 접하고 있어서 보수 정당의 세가 강한 편인데, 오죽하면 별칭이 경기도의 TK로 불릴 정도였다.

하지만 산업단지들의 입주로 LG산업단지가 있는 월롱면에서는 민주당계 정당의 세가 강한 편이다.[4] 그 외 지역은 여전히 보수 정당이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금촌 2, 3동과 문산읍 정도가 꾸준한 개발로 민주당 세가 올라오고 있는 듯.

결국 20대 총선에서 금촌동이 민주당 지지세로 바뀌며, 금촌동, 문산읍, 월롱면에서 압도적으로 이기면서 박정이 당선되었고, 21대 총선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2. 선거구 조정 역사[편집]


파주군 시절에는 단독 선거구였다가, 고양군과 합치거나 아니면 양주와 의정부와 합친 선거구로 구성되는 등 변동이 심했다가, 13대 총선부터 파주군 단독으로 고정되었다.

제18대 총선까지 단일 선거구로 유지되다가 교하지구의 인구 증가로 인해 선거구 상한선을 돌파하였고 제19대 총선에서 갑/을로 분구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헌김웅권
[[무소속|
무소속
]]
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파주군
제2대이동환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제3대정대천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제4대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제5대황인원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제6대
[[민정당|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고양군·파주군
제7대신윤창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제8대박명근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파주군
제9대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의정부시·양주군·파주군
이진용
[[무소속|
무소속
]]
제10대박명근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김형광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제11대이용호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고양군·파주군
이영준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제12대이용호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이영준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제13대최무룡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파주군
제14대박명근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이재창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파주시
제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황진하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파주시 을
제20대박정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2020년 5월 30일 ~
소선거구제 개편 이후로 줄곧 보수성향(민주자유당, 신민주공화당 → 자유민주연합)의 정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배우 최민수의 아버지 최무룡도 이곳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3.1. 파주군 (13~14대)[편집]



3.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파주군
파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용호(李龍鎬)33,9532위
41.47%낙선
2김현수(金顯洙)5,6344위
6.88%낙선
3윤승중(尹承重)5,9083위
7.21%낙선
4최무룡(崔戊龍)34,2191위
41.80%당선
5박영석(朴英錫)2,1455위
[include(틀:한겨레민주당)]2.62%낙선
선거인 수107,565투표율
76.89%
투표수82,707
무효표수848

3.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파주군
파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명근(朴命根)40,1971위
47.34%당선
2이준희(李俊熙)16,8853위
19.88%낙선
3윤승중(尹承重)1,9795위
2.33%낙선
4박영석(朴英錫)2,1864위
2.57%낙선
5우종림(禹鍾淋)23,6472위
27.85%낙선
선거인 수112,759투표율
76.25%
투표 수85,981
무효표 수1,087

3.2. 파주시 (15~18대)[편집]



3.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파주시
파주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명근(朴命根)25,1372위
32.76%낙선
2김병호(金炳浩)9,6323위
12.55%낙선
3박영석(朴英錫)4,2654위
5.55%낙선
4이재창(李在昌)31,1961위
40.66%당선
5조근만(趙根晩)1,3057위
1.70%낙선
6남궁준(南宮준)2,8435위
3.70%낙선
7윤승중(尹承重)2,3406위
3.05%낙선
선거인 수119,875투표율
65.44%
투표 수78,441
무효표 수1,723


3.2.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파주시
파주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재창(李在昌)28,9641위
37.20%당선
2이재달(李在達)27,6502위
35.51%낙선
3김윤수(金允秀)15,7423위
20.21%낙선
4표대성(表大成)1,2996위
1.66%낙선
5윤승중(尹承重)1,6135위
2.07%낙선
6조근만(趙根晩)2,5904위
3.32%낙선
선거인 수130,845투표율
60.20%
투표 수78,769
무효표 수911
한나라당에서는 지역구 현역인 이재창의원이 출마하였고, 새천년민주당에서 이재달 후보가 출마하였다. 또한 자유민주연합의 김윤수, 민주국민당에서 표대성, 희망한국신당에서 윤승중 후보가 출마하였다. 무소속의 조근만 후보까지 포함하여 6명의 후보가 나왔으며 결과는 이재창 의원이 1200여표차의 접전 끝에 재선에 성공하였다.


3.2.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파주시
파주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재창(李在昌)47,2291위
[include(틀:한나라당)]47.01%당선
2남궁준(南宮준)3,8734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3.85%낙선
3박정(朴釘)39,7162위
[include(틀:열린우리당)]39.53%낙선
4윤승중(尹承重)1,2926위
1.28%낙선
5표대성(表大成)6907위
0.68%낙선
6김남현(金南鉉)1,7505위
1.74%낙선
7우춘환(禹春煥)5,8963위
5.86%낙선
선거인 수175,232투표율
57.98%
투표 수101,608
무효표 수1,16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파주시)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창박정
득표수
(득표율)
47,229
(47.01%)
39,716
(39.53%)
+ 7,513
(△7.48)
101,608
(57.98%)
문산읍48.09%36.65%△11.4458.19
파주읍49.98%34.80%△15.1857.14
법원읍42.39%30.56%△11.8355.23
교하읍49.19%42.39%△6.8060.90
조리읍45.34%41.82%△3.5257.56
월롱면49.54%36.65%△12.8957.20
탄현면51.91%36.71%△15.2055.57
광탄면50.12%35.56%△14.5653.07
파평면51.95%34.69%△17.2663.88
적성면47.71%36.46%△11.2556.41
군내면54.64%37.14%△17.5072.90
진동면67.82%25.29%△42.5380.91
금촌1동43.69%45.64%▼1.9554.85
금촌2동46.47%41.87%△4.6054.72
후보이재창박정격차
부재자투표37.65%40.07%▼2.42
한나라당에서는 지역구 현역인 이재창 의원이 출마하였고, 새천년민주당에서는 남궁준 후보, 열린우리당에서는 박정어학원의 원장인 박정 후보가 출마하였으며, 자유민주연합의 윤승중, 민주국민당에서 표대성 후보가 출마하였다.

그외에 무소속 후보로 김남현, 우춘환 후보가 출마하여 총 7명 후보가 난립하게 되었다.

선거 결과는 현역 이재창 의원이 2위 박정 후보를 7천 5백여표(약 7.5%)차로 제치고 3선에 성공하였다.

3.2.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파주시
파주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후덕(尹厚德)27,7642위
28.73%낙선
2황진하(黃震夏)56,9831위
58.97%당선
4안소희(安少姬)9,9873위
10.33%낙선
6김석찬(金石贊)1,8824위
1.94%낙선
선거인 수229,631투표율
42.54%
투표 수97,682
무효표 수1,06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파주시)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윤후덕황진하안소희
득표수
(득표율)
27,764
(28.73%)
56,983
(58.97%)
9,987
(10.33%)
- 29,219
(▼30.24)
97,682
(42.54%)
문산읍21.22%69.34%7.46%▼48.1243.03
파주읍20.95%68.24%8.09%▼47.2943.72
법원읍17.58%70.66%8.69%▼53.0843.62
교하읍37.10%53.20%8.38%▼16.1041.96
조리읍27.81%61.36%9.02%▼33.5540.74
월롱면25.54%46.69%26.07%▼20.6249.05
탄현면26.04%62.72%9.22%▼36.6840.43
광탄면21.42%68.86%7.33%▼47.4441.26
파평면18.94%69.63%8.39%▼50.6954.41
적성면19.94%68.73%8.39%▼48.7946.88
군내면18.02%74.71%4.94%▼56.6967.05
진동면25.77%67.01%4.12%▼41.2471.85
금촌1동32.26%55.98%9.87%▼23.7236.87
금촌2동34.01%53.14%10.95%▼19.1337.91
후보윤후덕황진하안소희격차
부재자투표27.14%45.01%25.86%▼17.87
통합민주당에서는 참여정부 국무총리비서실장 윤후덕 후보가 공천되었으며, 한나라당에서는 지역구 현역인 이재창의원과 황진하 의원(당시 비례)이 공천을 신청했고, 그결과 황진하가 후보로 결정되었다.

그외에 민주노동당 안소희 후보, 평화통일가정당 김석찬 후보가 출마하였다.

결과는 한나라당황진하 후보가 여유롭게 당선 되었다.


3.3. 파주시 을 (19대~)[편집]



3.3.1.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파주시 을
문산읍, 파주읍, 법원읍, 파평면, 적성면, 월롱면,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 진서면, 금촌1동, 금촌2동, 금촌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진하(黃震夏)35,4081위
53.78%당선
4김영대(金榮大)-사퇴
-
6박정(朴釘)30,4282위
46.21%낙선
선거인 수148,717투표율
48.69%
투표 수72,415
무효표 수6,579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파주시 을)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황진하박정
득표수
(득표율)
35,408
(53.78%)
30,428
(46.21%)
+ 4,980
(△7.57)
72,415
(48.69%)
문산읍57.08%42.92%△14.1646.86
파주읍64.63%35.37%△29.2648.65
법원읍59.45%40.55%△18.9048.83
월롱면41.60%58.40%▼16.8042.85
파평면63.38%36.62%△26.7658.78
적성면68.54%31.46%△37.0849.88
군내면60.34%39.66%△20.6869.44
진동면65.59%34.41%△31.1868.67
금촌1동54.29%45.71%△8.5843.37
금촌2동43.46%56.54%▼13.0851.39
금촌3동49.06%50.94%▼1.8848.11
후보황진하박정격차
국외부재자투표70.00%30.00%△40.00
국내부재자투표66.91%33.09%△33.82
파주시가 인구 상한선을 넘어 갑, 을로 분구되었다. 새누리당에서는 현역 의원인 황진하 후보가 공천을 받아 출마를 하였다. 지난 선거에 통합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윤후덕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은 파주시 갑에 공천을 받았다.

야권에서는 민주통합당박정 후보가 공천되었고, 통합진보당김영대 후보[5]가 공천 되었는데 박정 후보의 공천이 공천확정 3시간만에 파주을 선거구가 야권연대지역으로 결정되면서 공천이 취소되었다.

박정 후보는 이에 반발 하여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를 감행하였고, 이후 김영대 후보가 제안한 재경선을 통해 선거일 하루 전인 4월 10일 다시 야권단일후보로 선출되었지만 투표용지가 이미 인쇄되는 등 사표를 방지하지 못했다.

선거 결과는 현역인 황진하 의원이 수성에 성공하며 3선의원이 되었다. 하지만 무효표가 제법 많이 나와서 제대로 경선을하여 단일화를 했다면 야권에서 승리 할 수 있었지만 지도부의 실책으로 의석을 하나 헌납하게 되었다.

3.3.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파주시 을
금촌1동, 금촌2동, 금촌3동, 문산읍, 법원읍,
파주읍, 월롱면, 적성면, 파평면, 장단출장소[A]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진하(黃震夏)33,9892위
40.32%낙선
2박정(朴釘)39,7021위
47.10%당선
5류화선(柳和善)10,6003위
12.57%낙선
선거인 수153,624투표율
55.73%
투표 수85,613
무효표 수1,322

20대 총선 경기 파주시 을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황진하박정류화선
득표수
(득표율)
33,989
(40.32%)
39,702
(47.10%)
10,600
(12.57%)
- 5,713
(▼6.78)
85,613
(55.73%)
문산읍42.39%47.32%10.28%▼4.9353.91
법원읍49.67%36.57%13.76%△13.1053.13
파주읍50.20%36.51%13.29%△13.6952.35
월롱면26.35%61.61%12.04%35.2651.12
적성면54.19%32.79%13.02%△21.4056.38
파평면56.27%34.74%8.99%△21.5363.01
군내면45.89%36.80%17.32%△9.0976.09
진동면58.09%32.35%9.56%25.7480.23
금촌1동42.74%44.20%13.06%▼1.4647.61
금촌2동32.71%53.90%13.39%▼21.1958.59
금촌3동36.77%48.61%14.62%▼11.8454.62
후보황진하박정류화선격차
거소·선상투표50.75%32.12%17.13%18.63
관외사전투표35.10%52.21%12.69%▼17.11
국외부재자투표29.08%63.83%7.09%34.75
새누리당에서는 현역 의원인 황진하 후보(당시 사무총장)와 민선 3, 4기 파주시장인 류화선 후보가 공천을 신청하였다. 이때 막말 파문으로 류 후보가 공천을 받기 어려워지게 되자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박정 후보가 단수공천으로 다시 출마였으며, 2여 1야의 구도로 진행되었다.

국민의당은 김상환 후보를 공천했으나 후보등록을 하지않았다

류화선 후보가 보수 유권자의 표를 잠식하여 여권 지지자의 표를 분산시켰으며, 결국 황진하 후보와 함께 동반으로 낙선되었다. 한편 박정 후보는 사전투표, 금촌1, 2, 3동과 월롱면, 문산읍에서 앞서면서 여권표 분열과 합쳐 3번째 도전 끝에 당선되었다.

소선거구제 개편이후로 민주당계 정당이 파주시 을 지역에 당선자를 배출 한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2008년 18대 총선 이래의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사무총장 낙선 징크스가 이 지역구를 통해서 또 실현되어 버렸다. 2008년 18대 총선이방호, 2012년 19대 총선권영세에 이은 3연속.

3.3.3.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파주시 을
금촌1동, 금촌2동, 금촌3동, 문산읍, 법원읍,
파주읍, 월롱면, 적성면, 파평면, 장단출장소[A]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정(朴釘)48,5691위
54.33%당선
2박용호(朴龍鎬)39,5882위
44.29%낙선
7변지해(邊志晐)1,2243위
1.36%낙선
선거인 수151,068투표율
59.96%
투표 수90,578
무효표 수1,197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파주시 을 선거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정박용호
득표수
(득표율)
48,569
(54.33%)
39,588
(44.29%)
+ 8,981
(△10.05)
90,578
(59.95%)
금촌1동[6]49.92%48.65%△1.2651.91
금촌2동[7]60.91%38.08%△22.8362.83
금촌3동[8]57.01%41.65%△15.3659.44
문산읍54.69%44.00%△10.7056.26
파주읍46.70%51.72%▼5.0156.06
법원읍46.22%52.22%▼6.0057.47
월롱면53.50%44.69%△8.8153.40
적성면39.90%58.66%▼18.7658.83
파평면41.59%57.15%▼15.5666.37
군내면53.18%45.41%△7.7783.14
진동면51.95%46.36%△5.5990.04
후보박정박용호격차
거소·선상투표59.74%37.01%△22.73
관외사전투표63.83%34.49%△29.34
재외투표71.65%28.34%△43.31
현역 박정 의원은 단수공천을 받으면서 재선에 도전한다. 예비후보가 박정 말곤 없었는데, 이는 전방 지역이 보수 성향을 지니는 특성상, 현역 의원을 공천하는 게 민주당 입장에서도 수성에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래통합당에서는 다수의 예비 후보가 출마하였으며, 경선 끝에 옆 지역구인 파주시 갑에서 활동했던 박용호 전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위원장(장관급)이 공천을 받았다.

자유공화당에서는 위의 미래통합당 예비후보 출신 서창연 전 자유한국당 중앙당 중앙위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미래통합당을 지지하며 실제 후보등록은 하지 않았다.

선거 결과 박정 후보가 약 10% 차로 승리하면서 재선에 성공한다.

세부적으로 결과를 살펴보면 박정 후보는 모든 동 지역과 문산읍, 월롱면, 군내면, 진동면 지역[9]과 적성면을 제외한 관내사전투표와 관외사전투표에서 승리하였다.

박용호 후보는 법원읍, 파주읍, 파평면, 적성면에서 승리하였다. 적성면에서는 박용호 후보가 관내사전투표까지 이겼다.[10] 금촌동에서 80표 차이로 진 1동을(그나마도 제1, 제6에선 패했으며, 제5투표소에서는 단 3표 차이로 이겼다.) 제외하면, 2, 3동에서만 5,000여 표 차이로 패배했다.

3.3.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파주시 을
금촌1동, 금촌2동, 금촌3동, 문산읍, 법원읍,
파주읍, 월롱면, 적성면, 파평면, 장단출장소[A]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조리읍, 광탄면은 갑구에 속해있다.[2] 연천군 관할인 장남면 및 매현리, 항동리, 포춘리 제외.[3] 국회의원 선거구로는 이 곳이 유일하고, 타 휴전선 인근 지자체는 모두 'OO군 일원'으로만 되어 있어 티가 나지 않지만, 지방의회 선거구에선 이 곳과 마찬가지로 휴전선 인근의 인구 0명인 강원 철원군 근동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 고성군 수동면 지역도 구역표에서 누락되어 있다.[4] 하지만 그마저도 LG디스플레이가 있었던 구미시의 영향을 받아 보수성향도 강하다.[5] 민주노총 부위원장 출신이자 대통합민주신당에서 17대 국회의원(비례)을 지냈던 참여계... 였지만 5년 뒤 19대 대선 국면에서 정의당을 탈당하고 더불어민주당으로 가며 천호선을 위시로 한 정의당의 기존 참여계와는 결별했다.[A] A B C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 진서면.[6] 금촌동(일부) · 아동동(일부)를 관할하며, 군부대가 있는 동네이자 금촌역앞 상권과 파주시청이 있는 파주의 중심지[7] 금촌동(일부) · 금릉동을 관할하는 금촌의 택지지구[8] 금촌동(일부) · 아동동(일부) · 야동동 · 검산동 · 맥금동을 관할하는 동네[9] 군내면과 진동면은 일반적인 파주시의 행정구역과는 달리 전역이 민통선 이북 지역으로, 장단출장소 산하로 별도 분류되어 있으며 인구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내사전투표에서 압도적으로 이기면서 승리했다.[10] 인구가 적은 걸 떠나서, 적성면 자체가 상당히 낙후되었기 때문에(60대 이상 거주민이 제일 많다. 하다 못해 여긴 19대 대선에서도 홍준표의 손을 들어준 파주의 TK다.) 민주당이 이기는 것은 어려웠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