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올스타전/2023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KBO 올스타전





1. 개요
2. 구단별 후보 명단
2.1. 드림 올스타
2.2. 나눔 올스타
2.3. 후보 관련 이야기
3. 베스트 12 투표
3.1. 팬 투표
3.1.1. 1차 중간집계
3.1.1.1. 드림 올스타
3.1.1.2. 나눔 올스타
3.1.2. 2차 중간집계
3.1.2.1. 드림 올스타
3.1.2.2. 나눔 올스타
3.1.3. 최종 집계
3.1.3.1. 드림 올스타
3.1.3.2. 나눔 올스타
3.2. 선수단 투표
3.2.1. 드림 올스타
3.2.2. 나눔 올스타
3.3. 베스트 12 결과
3.3.1. 드림 올스타
3.3.2. 나눔 올스타
4. 감독 추천선수
4.1. 드림 올스타
4.2. 나눔 올스타
5. 올스타전 출전 명단
5.1. 드림 올스타
5.2. 나눔 올스타
6. 올스타 프라이데이
6.1. 리틀야구 올스타전, 여자야구 홈런 레이스 (취소)
6.3. 홈런레이스
7. 올스타전
7.1. 썸머레이스
7.2. KBO 올스타전
7.2.1. 평가
7.2.1.1. 나눔 올스타 [{{{#blue 승리}}}]
7.2.1.2. 드림 올스타 [{{{#red 패배}}}]
7.2.2. 여담



1. 개요[편집]


파일:2023 KBO 올스타전 로고(가로형).svg

역대 41번째[1] KBO 올스타전으로 사직 야구장에서 개최한다.

사직 야구장에서의 올스타전 개최는 2007년 이후 16년 만이며 부산에서 올스타전이 열리는 것은 통산 10번째다.[2] 아울러 2025년 시즌 종료 후 사직 야구장의 철거 및 재건축이 예정된 만큼 현재의 사직 야구장에서 열리는 마지막 올스타전이 될 가능성이 크다.[3]

2030년 세계박람회 개최지 결정이 임박한 시점에 부산에서 행사가 열리는 만큼[4]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올스타전은 노란색보라색이 메인 컬러로 지정됐다. 나눔올스타는 치유를 상징하는 보라색, 드림올스타는 희망을 의미하는 노란색을 팀 컬러로 사용한다. 작년 올스타전 BI 통합과 매뉴얼 정립에 따라 팬톤 올해의 컬러를 올스타전 공식 BI 컬러로 활용하기로 했던 지침이 고작 도입 2년차부터 지켜지지 않은 점은 다소 아쉬운 부분.[5]

이번 올스타전의 주관방송사는 SPOTV가 맡는다. SPOTV는 2015년 KBO리그 중계를 맡은 이후 처음으로 올스타전 현장 제작을 맡았다. #


2. 구단별 후보 명단[편집]



2.1. 드림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드림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2023 KBO 올스타전
드림 올스타
구단별 후보 명단
}}}
포지션소속 구단
SSGkt삼성롯데두산
투수선발김광현고영표뷰캐넌박세웅알칸타라
중간노경은박영현우규민구승민정철원
마무리서진용김재윤이승현김원중홍건희
포수김민식장성우강민호유강남양의지
1루수오태곤박병호오재일고승민양석환
2루수최주환박경수김지찬안치홍이유찬
3루수최정장준원강한울한동희허경민
유격수박성한김상수이재현노진혁박계범
외야수한유섬알포드구자욱황성빈로하스
최지훈김민혁피렐라김민석정수빈
에레디아강백호이성규렉스양찬열
지명타자추신수문상철김태군[6]전준우김재환


2.2. 나눔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나눔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2023 KBO 올스타전
나눔 올스타
구단별 후보 명단
}}}
포지션소속 구단
키움LGKIANC한화
투수선발안우진플럿코양현종페디문동주
중간임창민박명근최지민김진호강재민
마무리김재웅고우석정해영이용찬박상원
포수이지영박동원한승택박세혁최재훈
1루수이원석오스틴황대인오영수채은성
2루수김혜성김민성김선빈박민우정은원
3루수김휘집문보경류지혁[7]서호철노시환
유격수러셀오지환박찬호김주원오선진
외야수이정후홍창기소크라테스권희동이진영
이형종박해민고종욱마틴이원석
박찬혁문성주이우성박건우유로결
지명타자임지열김현수최형우손아섭김인환


2.3. 후보 관련 이야기[편집]


  • 올스타전 후보 발표 시점과 맞물려 2023년 WBC 대표팀 음주 논란 사건이 터졌고, 여기에 언급된 선수 3명인 김광현, 정철원, 이용찬이 모두 구단별 후보 명단에 포함되면서 이들이 올스타전에 출전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기자가 정철우인 건 안비밀

  • 해당 선수들은 팬 투표 시작을 4일 앞둔 6월 1일 사죄의 기자회견을 진행하기도 했다. 김광현, 정철원, 이용찬

  • 이후 6월 7일 상벌위 결과 벌금과 사회봉사를 선고받아 출장정지까지는 가지 않았기 때문에 만약에 세 선수가 투표나 감독 추천으로 선발된다면 올스타전 출장이 가능하다. #

  • SSG 랜더스
  • 키움 히어로즈 : 이정후와 이형종을 제외한 마지막 외야 1자리에 마땅한 주전이 없는 상황이었는데, 의외로 박찬혁이 포함되었다. 임지열은 지명타자 후보군으로 이동. 또한 김재웅과 임창민은 5월 중에 서로의 보직을 변경하였지만 보직 변경 전 후보군으로 포함되어 있다.
  • LG 트윈스 : 고우석이 부상으로 올시즌 6경기밖에 출장하지 못했음에도 후보로 뽑혔다. 정작 고우석의 대체 마무리로 활약중인 박명근은 중간계투로 들어가 있다.
  • kt wiz : 3루수 후보군에 타율이 채 1할도 되지 않는[8] 장준원이 포함되어 있어 의문을 자아냈다.
  • KIA 타이거즈
  • NC 다이노스
  • 삼성 라이온즈 : 오승환이 제외된 점이 눈길을 끈다. 마무리투수 자리에는 임시 마무리였던 좌완 이승현이 뽑혔다. 중간계투 자리도 우완 이승현 등 더 좋은 성적을 거두는 불펜도 있으나 에이징커브가 온 우규민이 뽑혀 의문을 자아내는 팬들이 있다. 김현준과 김동엽의 경우 부상으로 인해 중간에 자리를 비워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포함되지 못했다.
  • 롯데 자이언츠 : 선발투수 후보군에 나균안이 더 좋은 성적을 기록 중이지만 박세웅이 후보군으로 선정되었다. 박세웅은 지난 시즌에도 찰리 반즈보다 성적이 좋지 않았음에도 포함된 적이 있다. 안권수의 경우 시즌 초 좋은 모습을 보여주였음에도 포함되지 못했다.[9]
  • 두산 베어스
  • 한화 이글스 : 선발투수 후보군에 문동주가 올라가면서 유일하게 외국인이 단 한 명도 후보군에 없는 팀이 되었다. 타자에 극심한 부진을 겪다가 5월 31일 웨이버 공시된 오그레디가 없는 것은 당연하다지만, 투수 쪽에서는 페냐도 그럭저럭 잘 해주고 있어서 페냐를 제외한 것은 의아하다는 반응이 있다.


3. 베스트 12 투표[편집]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신한은행 SOL 브랜드 로고.svg
KBO 홈페이지KBO 공식 앱신한 SOL 앱
PC모바일안드로이드iOS안드로이드iOS
2023년 6월 5일 10시 ~ 2023년 6월 25일 17시

투표 기간은 2023년 6월 5일 10시부터 2023년 6월 25일 17시이다. KBO 홈페이지와 KBO 공식 앱, 그리고 신한 SOL 앱까지 하루에 최대 3곳에서 투표할 수 있다.


3.1. 팬 투표[편집]



3.1.1. 1차 중간집계[편집]



3.1.1.1. 드림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드림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드림 올스타
1차 팬투표 집계 결과
}}}
구분선수소속 구단득표수비고
투수선발박세웅롯데393,621
중간구승민롯데403,069
마무리김원중롯데439,799
포수유강남롯데347,868
1루수고승민롯데337,883
2루수안치홍롯데461,977
3루수최정SSG416,309
유격수노진혁롯데440,942
외야수구자욱삼성389,354
김민석롯데394,835
렉스롯데301,873
지명타자전준우롯데478,173드림 최다 득표

  • 오랜만에 호성적을 달리고 있는 롯데가 3루수와 외야수 한자리를 제외한 전 부문을 석권했다. 롯데 외 선수 중에서는 홈런 2위 최정과 올스타로만 6회 출전한 구자욱이 올스타 중간 집계 1위를 달리고 있다. 이 두 포지션은 모두 롯데 팬들에게 민심이 안 좋은 선수들[10]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3.1.1.2. 나눔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나눔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나눔 올스타
1차 팬투표 집계 결과
}}}
구분선수소속 구단득표수비고
투수선발양현종KIA383,083
중간최지민KIA454,705
마무리정해영KIA377,569
포수박동원LG372,448
1루수채은성한화435,395
2루수김혜성키움397,913
3루수노시환한화384,478
유격수김주원NC366,323
외야수이정후키움502,241전체 최다 득표
소크라테스KIA451,854
박건우NC364,368
지명타자최형우KIA415,110

  • 지난 해에 이어 KIA가 나눔 올스타 1차 중간 집계에서 가장 많은 5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KIA 제외한 나머지 팀들은 한두자리씩 나눠먹기 구도로 가며 드림보다는 전체적으로 고른 1차 중간집계가 되었다. 이정후는 모든 선수 중에 유일하게 50만 표를 넘기며 전체 최다 득표를 기록했다.


3.1.2. 2차 중간집계[편집]



3.1.2.1. 드림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드림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드림 올스타
2차 팬투표 집계 결과
}}}
구분선수소속 구단득표수비고
투수선발박세웅롯데685,419
중간구승민롯데699,530
마무리김원중롯데762,570
포수양의지두산599,072
1루수고승민롯데588,201
2루수안치홍롯데803,857
3루수최정SSG762,846
유격수노진혁롯데770,572
외야수구자욱삼성712,181
김민석롯데683,114
피렐라삼성544,529
지명타자전준우롯데835,580드림 최다 득표

  • 롯데가 이번 집계에서도 가장 많은 8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롯데가 올스타 투표 개시 이후 3승 9패라는 최악의 성적을 기록, 그 영향으로 인해 롯데 팬들의 올스타 투표 참여가 주춤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양의지 만큼은 어떻게든 올스타전에 내보내겠다는 두산 팬들의 투표 성향으로 인해 양의지가 선두로 오르고, 지난 해에도 올스타에 선정된 피렐라도 선두로 진입했다. 다만 양의지와 피렐라 역시 2위권과 2~3만여표 차이로 초접전이기 때문에 3차 집계 결과는 롯데의 반등 여부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3.1.2.2. 나눔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나눔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나눔 올스타
2차 팬투표 집계 결과
}}}
구분선수소속 구단득표수비고
투수선발양현종KIA681,337
중간최지민KIA806,087
마무리정해영KIA671,379
포수박동원LG676,858
1루수채은성한화785,379
2루수김혜성키움728,397
3루수노시환한화703,273
유격수김주원NC654,313
외야수이정후키움913,000전체 최다 득표
소크라테스KIA807,202
박건우NC665,678
지명타자최형우KIA747,529

  • 변동이 있었던 드림 올스타와 달리 나눔 올스타는 1차 투표 때 베스트12 선수들이 2차 투표 역시 선두를 유지했다. 이정후는 유일하게 90만 표를 넘기며 여전히 전체 최다 득표를 차지하고 있다.


3.1.3. 최종 집계[편집]



3.1.3.1. 드림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드림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드림 올스타
최종 팬투표 집계 결과
}}}
구분선수소속 구단득표수비고
투수선발박세웅롯데931,274
중간구승민롯데946,981
마무리김원중롯데1,030,691
포수양의지두산842,726
1루수고승민롯데801,005
2루수안치홍롯데1,088,706
3루수최정SSG1,049,808
유격수노진혁롯데1,044,286
외야수구자욱삼성970,157
김민석롯데925,811
피렐라삼성751,460
지명타자전준우롯데1,129,737드림 최다 득표

  • 2차 팬 투표의 결과가 그대로 나왔다. 시즌 초반 롯데의 화력을 생각하면 타 팀 선수가 4명이나 들어간 것이 대단할 정도다.


3.1.3.2. 나눔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나눔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나눔 올스타
최종 팬투표 집계 결과
}}}
구분선수소속 구단득표수비고
투수선발양현종KIA927,045
중간최지민KIA1,092,133
마무리정해영KIA912,951
포수박동원LG931,193
1루수채은성한화1,066,247
2루수김혜성키움994,760
3루수노시환한화960,509
유격수김주원NC884,038
외야수이정후키움1,242,579전체 최다 득표
소크라테스KIA1,096,488
박건우NC906,450
지명타자최형우KIA1,021,304

  • 이정후가 데뷔 후 처음으로 올스타 팬 투표에서 전체 1위를 차지하였다.


3.2. 선수단 투표[편집]



3.2.1. 드림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드림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드림 올스타
선수단 투표 결과
}}}
구분선수소속 구단득표수비고
투수선발알칸타라두산102
중간박영현kt150
마무리서진용SSG165
포수양의지두산152
1루수박병호kt151
2루수김지찬삼성134
3루수최정SSG222드림 최다 득표
유격수박성한SSG108
외야수에레디아SSG173
피렐라삼성167
한유섬SSG151
지명타자전준우롯데156

  • 롯데가 대다수를 차지하던 팬 투표와는 달리 선수단 투표에서는 롯데가 전준우만 1위를 하였고 SSG는 5명이 선수단 투표 1위가 되었다. 팬 투표에서는 없었던 kt도 2명이 선수단 투표에서 1위를 하였다.


3.2.2. 나눔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나눔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나눔 올스타
선수단 투표 결과
}}}
구분선수소속 구단득표수비고
투수선발안우진키움164
중간박명근LG133
마무리고우석LG180
포수박동원LG221
1루수오스틴LG157
2루수김혜성키움231
3루수노시환한화181
유격수오지환LG169
외야수이정후키움276선수단 최다 득표
박건우NC151
소크라테스KIA148
지명타자최형우KIA168

  • 이정후가 선수단 투표에서도 1위를 차지함으로써 역대 최다 선수단 득표 및 득표율을 기록하였고 2018년 양의지에 이어 역대 2번째로 선수단과 팬 투표 모두 1위를 하였다.
  • 팬 투표와는 달리 LG가 1위를 5명이나 배출하면서 강세를 보였다.


3.3. 베스트 12 결과[편집]


KBO 리그의 10개 구단 체제 출범 이후 최초로 전 구단이 베스트 12에 포함되었지만, SSG의 유일한 베스트 12인 최정이 부상으로 낙마하면서 경기에는 뛰지 못하게 되었다.


3.3.1. 드림 올스타[편집]


#000,#e5e5e5 ||<-5><table bordercolor=#fff,#1f2023><bgcolor=#fff,#1f2023><table width=600><table align=center> [[파일:2023 KBO 드림 올스타 로고(가로형).svg|width=300]] || ||<-5><bgcolor=#fdd540> || ||<rowbgcolor=#fff,#1f2023><width=20%> {{{#!wiki style="background-color: #074ca1;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구자욱|{{{#fff '''구자욱'''}}}]]}}}}}} [br] {{{-3 [[외야수|{{{#000,#e5e5e5 OF}}}]] / [[삼성 라이온즈|{{{#000,#e5e5e5 삼성}}}]]}}} ||<width=20%> ||<width=20%> {{{#!wiki style="background-color: #074ca1;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호세 피렐라|{{{#fff '''피렐라'''}}}]]}}}}}} [br] {{{-3 [[외야수|{{{#000,#e5e5e5 OF}}}]] / [[삼성 라이온즈|{{{#000,#e5e5e5 삼성}}}]]}}} ||<width=20%> ||<width=20%> {{{#!wiki style="background-color: #041e42;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김민석(타자)|{{{#fff '''김민석'''}}}]]}}}}}} [br] {{{-3 [[외야수|{{{#000,#e5e5e5 OF}}}]] /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 ||<rowbgcolor=#fff,#1f2023> || {{{#!wiki style="background-color: #041e42;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노진혁|{{{#fff '''노진혁'''}}}]]}}}}}}[br] {{{-3 [[유격수|{{{#000,#e5e5e5 SS}}}]] /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 || {{{#!wiki style="background-color: #041e42;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안치홍|{{{#fff '''안치홍'''}}}]]}}}}}} [br] {{{-3 [[2루수|{{{#000,#e5e5e5 2B}}}]] /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 || ||<rowbgcolor=#fff,#1f2023> {{{#!wiki style="background-color: #ce0e2d;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최정|{{{#fff '''최정'''}}}]]}}}}}} [br] {{{-3 [[3루수|{{{#000,#e5e5e5 3B}}}]] / [[SSG 랜더스|{{{#000,#e5e5e5 SSG}}}]]}}} || || {{{#!wiki style="background-color: #041e42;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박세웅|{{{#fff '''박세웅'''}}}]]}}}}}} [br] {{{-3 [[선발 투수|{{{#000,#e5e5e5 SP}}}]] /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 ||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박병호|{{{#fff '''박병호'''}}}]]}}}}}} [br] {{{-3 [[1루수|{{{#000,#e5e5e5 1B}}}]] / [[kt wiz|{{{#000,#e5e5e5 kt}}}]]}}} || ||<rowbgcolor=#fff,#1f2023> {{{#!wiki style="background-color: #041e42;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전준우|{{{#fff '''전준우'''}}}]]}}}}}} [br] {{{-3 [[지명타자|{{{#000,#e5e5e5 DH}}}]] /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 || {{{#!wiki style="background-color: #13123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양의지|{{{#fff '''양의지'''}}}]]}}}}}} [br] {{{-3 [[포수|{{{#000,#e5e5e5 C}}}]] / [[두산 베어스|{{{#000,#e5e5e5 두산}}}]]}}} || {{{#!wiki style="background-color: #041e42;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구승민|{{{#fff '''구승민'''}}}]]}}}}}} [br] {{{-3 [[중간계투|{{{#000,#e5e5e5 RP}}}]] /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 {{{#!wiki style="background-color: #041e42;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김원중|{{{#fff '''김원중'''}}}]]}}}}}} [br] {{{-3 [[마무리 투수|{{{#000,#e5e5e5 CP}}}]] / [[롯데 자이언츠|{{{#000,#e5e5e5 롯데}}}]]}}} || ||<-5><bgcolor=#fdd540> ||

파일:2023 KBO 드림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2023 KBO 올스타전
드림 올스타 BEST 12
}}}
구분선수소속 구단총점팬 투표선수단 투표선정 횟수
투수선발박세웅롯데31.481위4위
중간구승민롯데31.601위3위★★
마무리김원중롯데39.371위2위★★
포수양의지두산37.501위1위★★★★★★★
1루수박병호kt31.752위1위★★★★★★
2루수안치홍롯데39.041위2위★★★★★★★
3루수최정SSG49.481위1위★★★★★★★
유격수노진혁롯데35.971위4위
외야수구자욱삼성40.901위4위★★★★★★★
피렐라삼성36.103위2위★★★
김민석롯데31.572위8위
지명타자전준우롯데46.241위1위★★★★
  • 이번에도 선수단 투표를 통해 박병호가 고승민을 꺾고 베스트 12에 선정되었다[11]. 다만 선수단 투표 1위를 한 다른 선수들은 압도적 화력을 보여준 팬 투표 결과로 인해 뽑히지 않게 되었으며, 처음부터 화력이 강력했던 롯데가 베스트12에서 7명을 배출하면서 10개 구단 최다를 기록했다.


3.3.2. 나눔 올스타[편집]


#000,#e5e5e5 ||<-5><table bordercolor=#fff,#1f2023><bgcolor=#fff,#1f2023><table width=600><table align=center> [[파일:2023 KBO 나눔 올스타 로고(가로형).svg|width=300]] || ||<-5><bgcolor=#381e83> || ||<rowbgcolor=#fff,#1f2023><width=20%> {{{#!wiki style="background-color: #570514;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이정후|{{{#fff '''이정후'''}}}]]}}}}}} [br] {{{-3 [[외야수|{{{#000,#e5e5e5 OF}}}]] / [[키움 히어로즈|{{{#000,#e5e5e5 키움}}}]]}}} ||<width=20%> ||<width=20%> {{{#!wiki style="background-color: #ea0029;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소크라테스 브리토|{{{#fff '''소크라테스'''}}}]]}}}}}} [br] {{{-3 [[외야수|{{{#000,#e5e5e5 OF}}}]] / [[KIA 타이거즈|{{{#000,#e5e5e5 KIA}}}]]}}} ||<width=20%> ||<width=20%> {{{#!wiki style="background-color: #315288;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박건우(1990)|{{{#fff '''박건우'''}}}]]}}}}}} [br] {{{-3 [[외야수|{{{#000,#e5e5e5 OF}}}]] / [[NC 다이노스|{{{#000,#e5e5e5 NC}}}]]}}} || ||<rowbgcolor=#fff,#1f2023> || {{{#!wiki style="background-color: #315288;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김주원(2002)|{{{#fff '''김주원'''}}}]]}}}}}}[br] {{{-3 [[유격수|{{{#000,#e5e5e5 SS}}}]] / [[NC 다이노스|{{{#000,#e5e5e5 NC}}}]]}}} || || {{{#!wiki style="background-color: #570514;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김혜성(야구선수)|{{{#fff '''김혜성'''}}}]]}}}}}} [br] {{{-3 [[2루수|{{{#000,#e5e5e5 2B}}}]] / [[키움 히어로즈|{{{#000,#e5e5e5 키움}}}]]}}} || || ||<rowbgcolor=#fff,#1f2023> {{{#!wiki style="background-color: #ff66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노시환|{{{#fff '''노시환'''}}}]]}}}}}} [br] {{{-3 [[3루수|{{{#000,#e5e5e5 3B}}}]] / [[한화 이글스|{{{#000,#e5e5e5 한화}}}]]}}} || || {{{#!wiki style="background-color: #ea0029;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양현종|{{{#fff '''양현종'''}}}]]}}}}}} [br] {{{-3 [[선발 투수|{{{#000,#e5e5e5 SP}}}]] / [[KIA 타이거즈|{{{#000,#e5e5e5 KIA}}}]]}}} ||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66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채은성|{{{#fff '''채은성'''}}}]]}}}}}} [br] {{{-3 [[1루수|{{{#000,#e5e5e5 1B}}}]] / [[한화 이글스|{{{#000,#e5e5e5 한화}}}]]}}} || ||<rowbgcolor=#fff,#1f2023> {{{#!wiki style="background-color: #ea0029;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최형우|{{{#fff '''최형우'''}}}]]}}}}}} [br] {{{-3 [[지명타자|{{{#000,#e5e5e5 DH}}}]] / [[KIA 타이거즈|{{{#000,#e5e5e5 KIA}}}]]}}} || || {{{#!wiki style="background-color: #c30452;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박동원|{{{#fff '''박동원'''}}}]]}}}}}} [br] {{{-3 [[포수|{{{#000,#e5e5e5 C}}}]] / [[LG 트윈스|{{{#000,#e5e5e5 LG}}}]]}}} || {{{#!wiki style="background-color: #ea0029;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최지민|{{{#fff '''최지민'''}}}]]}}}}}} [br] {{{-3 [[중간계투|{{{#000,#e5e5e5 RP}}}]] / [[KIA 타이거즈|{{{#000,#e5e5e5 KIA}}}]]}}} || {{{#!wiki style="background-color: #c30452;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1 [[고우석|{{{#fff '''고우석'''}}}]]}}}}}} [br] {{{-3 [[마무리 투수|{{{#000,#e5e5e5 CP}}}]] / [[LG 트윈스|{{{#000,#e5e5e5 LG}}}]]}}} || ||<-5><bgcolor=#381e83> ||

파일:2023 KBO 나눔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2023 KBO 올스타전
나눔 올스타 BEST 12
}}}
구분선수소속 구단총점팬 투표선수단 투표선정 횟수
투수선발양현종KIA29.071위4위★★★★★
중간최지민KIA42.691위2위
마무리고우석LG29.882위1위★★★
포수박동원LG45.921위1위★★★
1루수채은성한화42.191위2위★★
2루수김혜성키움48.631위1위
3루수노시환한화43.401위1위★★
유격수김주원NC35.081위2위
외야수이정후키움59.681위1위★★★★★★
소크라테스KIA44.592위3위★★
박건우NC39.283위2위★★
지명타자최형우KIA44.081위1위★★★★★★

  • 고우석이 선수단 투표를 통해 정해영을 꺾고 베스트 12에 선정되었다.[12] 이정후는 팬 투표와 선수단 투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최다 득표를 차지했다.

  • 한편 선발투수들은 최종 발표일 기준, sWAR 순위와 팬투표 득표 수 순위가 정확히 반대로 나타났다.

4. 감독 추천선수[편집]



4.1. 드림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드림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드림 올스타
감독 추천선수
}}}
포지션선수소속 구단비고
투수선발오원석SSG
고영표kt
뷰캐넌삼성
불펜노경은SSG
서진용SSG
박영현kt
홍건희두산
포수강민호삼성올스타전 최다출장
(14회)
유강남롯데
내야수김상수kt
이유찬두산
외야수김현준삼성
정수빈두산

  • 대부분 나올만한 선수들이 나올만 했다는 여론이 대다수다. 다만 시즌 최고의 활약을 하고 있는 에레디아가 포함되지 않았는데, 이후 기사에 따르면 미국 시민권 절차로 인해 미국에 다녀와야 하는 상황이라서 애초에 올스타전에 불참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강민호는 이번에도 올스타에 선정되며 최다 올스타 15회를 기록한 양준혁의 기록에 한걸음만을 앞두게 되었다.


4.2. 나눔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나눔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나눔 올스타
감독 추천선수
}}}
포지션선수소속 구단비고
투수선발안우진키움
페디NC
문동주한화
불펜김재웅키움
임창민키움
박명근LG
박상원한화
포수이지영키움
박세혁NC
내야수오지환LG
오스틴LG
외야수김현수LG
이우성KIA


5. 올스타전 출전 명단[편집]


드림, 나눔 올스타 통틀어서 처음 출전하는 선수들이 많이 나왔다. 명단을 보면 아래와 같다.

  • 베스트 12
    • 드림 올스타: 롯데 박세웅, 노진혁, 김민석, 한동희[13]
    • 나눔 올스타: KIA 최지민, 키움 김혜성, NC 김주원

  • 감독 추천 선수
    • 드림 올스타: SSG 노경은, 오원석, kt 고영표, 박영현, 두산 이유찬, 삼성 김현준
    • 나눔 올스타: LG[14] 오스틴, NC 페디, KIA 이우성, 한화 문동주, 박상원


5.1. 드림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드림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2023 KBO 올스타전
드림 올스타 출전 명단
}}}
포지션선수소속 구단비고
BEST 12
투수선발박세웅롯데
중간구승민롯데
마무리김원중롯데
포수양의지두산
1루수박병호kt
2루수안치홍롯데
3루수한동희[15]롯데
유격수노진혁롯데
외야수구자욱삼성
피렐라삼성
김민석롯데
지명타자전준우롯데
감독 추천선수
투수오원석SSG
고영표kt
뷰캐넌삼성
노경은SSG
서진용SSG
박영현kt
홍건희두산
포수강민호삼성
유강남롯데
내야수김상수kt
이유찬두산
외야수김현준삼성
정수빈두산
올스타 코칭스태프
감독김원형SSG
코치이강철kt
박진만삼성
서튼롯데
이승엽두산

  • 베스트 12 3루수에 뽑힌 최정이 부상으로 인해 끝내 올스타전에 불참하며, BEST 12 선수가 부상 등으로 인하여 출전할 수 없을 경우 해당 위치의 최다 점수 2위 선수를 대체 출전선수로 선발한다는 2023 KBO 리그 규정 제53조에 의거하여 드림 올스타 3루수 부문 총점 2위인 한동희가 대체 선수로 출전한다. 이로서 롯데에서만 무려 9명이 올스타전에 출전한다.


5.2. 나눔 올스타[편집]


파일:2023 KBO 나눔 올스타 로고(화이트).svg 2023 KBO 올스타전
나눔 올스타 출전 명단
}}}
포지션선수소속 구단비고
BEST 12
투수선발양현종KIA
중간최지민KIA
마무리고우석LG
포수박동원LG
1루수채은성한화
2루수김혜성키움
3루수노시환한화
유격수김주원NC
외야수이정후키움최다득표[16]
소크라테스KIA
박건우NC
지명타자최형우KIA
감독 추천선수
투수안우진키움
페디NC
문동주한화
김재웅키움
임창민키움
김진성[17]LG
박상원한화
포수이지영키움
박세혁NC
내야수오지환LG
오스틴LG
외야수김현수LG
이우성KIA
올스타 코칭스태프
감독홍원기키움
코치염경엽LG
강인권NC
김종국KIA
최원호한화

  • 감독 추천으로 뽑힌 박명근이 팔꿈치 불편 증세로 올스타 출전이 불가함에 따라 같은 팀 소속 김진성이 추가 발탁되었다.


6. 올스타 프라이데이[편집]


방송사퓨처스 올스타전홈런레이스
파일:SPOTV 로고.svg[[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주관방송사)
캐스터 조주영
해설 양상문
리포터 장민지, 노윤주
캐스터 김민수
해설 이대형, 손건영
파일:SPOTV2 로고.svg[[파일:SPOTV2 로고 화이트.svg
파일:KBS N SPORTS 로고.svg캐스터 이호근 / 해설 장성호, 김태균
파일:SBS Sports 로고.svg캐스터 윤성호 / 해설 이종열
파일:MBC SPORTS+ 로고.svg캐스터 김수환 / 해설 박재홍


6.1. 리틀야구 올스타전, 여자야구 홈런 레이스 (취소)[편집]


우천으로 취소되었다.

6.2. 2023 KBO 퓨처스 올스타전[편집]


2023 KBO 퓨처스 올스타전, 부산
2023 KBO FUTURES ALLSTAR GAME IN BUSAN

━━━━━━━━━━━━━━━━━━━━━━━━━
7.14(금) 18:15 ~ 20:57[18] 사직 야구장 · 관중: 10,032명
중계방송사: 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파일:SPOTV2 로고 화이트.svg | 캐스터: 조주영 | 해설: 양상문[19]
선발123456789RHEB
남부이승민00030040071403
북부김유성00205020-91004
심판: 이민호[20], 장호석, 박지민, 전준영 | 애국가: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 | 시구: 김동희[21]
[ 출장자 명단 ]
2023 KBO 퓨처스 올스타전 명단
북부 올스타 명단구분남부 올스타 명단
이름소속이름소속
2023 KBO 퓨처스 올스타전 코칭스태프 명단
김성갑한화감독박치왕상무
황병일LG코치공필성NC
설종진고양김재걸삼성
이대수SSG배영수롯데
이정훈두산김기태kt
-손승락KIA
2023 KBO 퓨처스 올스타전 선수 명단
북부 올스타 명단구분남부 올스타 명단
선수소속선수소속
정이황한화투수이승민상무
성재헌LG정우준
조원태한재승NC
윤석원고양장재혁삼성
이종민김창훈롯데
서상준SSG석상호
김유성두산김영현kt
이원재곽도규KIA
최지강황동하
허관회한화포수서동욱롯데
김성우LG이준희kt
윤준호두산김선우KIA
김건이[1]SSG-
김건한화내야수구본혁상무
이민준천성호
양경식고양박주찬NC
류효승SSG김영웅삼성
전진우[2]양우현
-정대선롯데
유로결한화외야수김범준NC
이주형LG박한결
박찬혁고양김병준kt
주성원정준영
김정민SSG한승연KIA
김범석LG지명타자조민성삼성
[1] 김건웅의 대체선수. 아나운서가 명단 소개에서 내야수로 호명하였지만, 공식적으로는 포수로 등록되어 있다.[2] 최유빈의 대체 선수
[ 선발 라인업 ]
남부 올스타 타순북부 올스타
포지션소속선수명선수명소속포지션
좌익수kt김병준1이주형LG2루수
지명타자NC박주찬2김정민SSG우익수
3루수상무천성호3유로결한화중견수
포수롯데서동욱4김범석LG지명타자
유격수상무구본혁5박찬혁고양1루수
중견수NC박한결6류효승SSG좌익수
1루수삼성김영웅7허관회한화포수
우익수KIA한승연8양경식고양3루수
2루수롯데정대선9이민준한화유격수
투수상무이승민SP김유성두산투수
[ 주요 기록 ]
결승타김건이 (7회 1사 3루서 우전안타)
홈런김범석 (5회3점 한재승), 구본혁 (7회2점 최지강)
3루타정대선 (4회), 김병준 (7회)
2루타이민준 (3회), 김병준 (4회), 조민성 (7회), 김선우 (7회), 이주형 (7회)
병살타구본혁 (5회), 이준희 (9회)
도루이민준 (5회), 양경식 (5회), 김건이 (7회)
도루자김정민 (1회), 구본혁 (2회), 김성우 (5회)
주루사김병준 (4회)
보크황동하 (3회)
폭투조원태 (4회), 한재승 (5회)
[ 투수 기록 ]
북부 올스타 투수기록
이름소속기록이닝타자투구수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
김유성두산-1313001100
정이황한화-147201200
성재헌LG-1512200100
조원태LG-1619400133
이종민고양-1417101000
이원재두산-1313000200
윤석원고양-412200022
최지강두산W1⅓728211222
서상준SSGS1311100000
남부 올스타 투수기록
이름소속기록이닝타자투구수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
이승민상무-2627100100
황동하KIA-522201022
김영현kt-1⅓416000200
석상호롯데-312201022
한재승NC-417112033
장재혁삼성-1⅓520100100
김창훈롯데L1624300122
곽도규KIA-29000000
정우준상무-16000001

경기 영상 다시보기
[ 풀영상 ]

시상 부문수상자기록
선수명소속팀
MVP
북부}}} 김범석
LG4타수 2안타 1홈런 4타점 1득점
감투상
남부}}} 구본혁
상무4타수 2안타 1홈런 2타점 1득점
우수타자상
남부}}} 김병준
kt4타수 3안타 1타점 1득점 1볼넷
우수투수상
북부}}} 서상준
SSG1이닝 1피안타 무실점

선공인 남부리그는 상무의 이승민, 후공인 북부리그는 두산의 김유성이 선발로 등판했다. 선취점은 3회말에 나왔는데 3회말 북부리그는 황동하를 상대로 1사 1루에서 이민준이 사직구장 펜스를 때리는 1타점 2루타로 선취점을 뽑는데 성공했다. 이민준은 이후 이주형의 1루 땅볼 때 3루로 간 후 김정민 선수 타석에서 황동하가 보크를 저질러 득점에 성공하면서 북부가 2점을 뽑는데 성공했다. 하지먄 남부리그의 반격도 만만치 않았다. 남부리그는 곧바로 이어진 4회초 2사 1,2루에서 정대선의 밀어친 타구가 사직구장 조명에 들어가면서 우익수 김정민이 공을 빠트려 2타점 3루타가 만들어져 동점이 됐고 김병준의 1타점 2루타까지 터지며 3득점에 성공하며 경기를 뒤집었다.

그러자 북부리그는 5회말 공격에서 빅이닝을 만들어냈는데 1사 만루에서 김정민의 2루 땅볼로 1점, 이어진 1,3루에서 한재승의 폭투로 3루 주자가 들어와 다시 경기를 뒤집었고, 이어진 1,2루에서 김범석이 좌중간 담장을 넘기는 3점 홈런을 작렬시키며 대거 5점을 뽑았다.[22] 이후 6회는 소강상태였으나 7회초에 남부리그에서 다시 한 번 반격에 나섰다. 남부리그는 7회초 공격에서 1사 후 김병준의 3루타, 조민성의 1타점 2루타로 추격을 시작해 2사 후 김선우의 1타점 2루타 그리고 구본혁의 동점 투런 홈런이 터지며 4득점에 성공해 승부는 7:7 원점으로 돌아가게 된다.

승부는 이어진 7회말에 갈렸는데 북부리그의 이주형의 타구를 좌익수와 유격수가 서로 미루다 타구가 떨어졌고, 이주형은 곧바로 2루까지 전력 질주했다. 그 뒤 1사 3루에서 김건이가 전진수비를 뚫고 우전 안타로 균형을 깼다. 김건이는 이후 2루 도루에 성공했고 김범석의 적시타 때 홈을 밟았다. 김범석은 이 날 4타점 경기를 펼쳤다. 이후로는 더 이상 점수가 나지 않았고, 마무리로 올라온 서상준이 선두 타자 안타를 허용했으나 내야 땅볼과 병살타로 경기를 끝내며 북부리그가 2011년 이후 처음으로 퓨처스 올스타전을 승리했다.

개인 시상에서 우수 타자상은 남부리그의 1번 타자로 나와 안타 3개와 볼넷 1개로 4출루 경기를 펼친 kt의 김병준이 가져갔고, 우수 투수상은 북부리그 마무리 투수로 등판해 안타 한 개를 내줬으나, 최고 구속 151km/h을 기록하며 1이닝을 3타자로 끝낸 SSG의 서상준이 차지했다. 감투상에는 7회초 동점 홈런의 주인공 남부리그의 상무 구본혁이 받았고 영예의 퓨처스 올스타전 MVP는 홈런 포함 4타점 경기로 맹활약을 펼친 북부리그의 LG 김범석이 차지했다. 김범석은 고졸 신인으로는 최초로 퓨처스 올스타전 MVP로 선정되는 기쁨을 누렸다.

6.3. 홈런레이스[편집]


파일:2023 KBO 컴투스프로야구 홈런레이스 로고.jpg
2023 KBO 올스타전 컴투스프로야구 홈런 레이스
순서선수소속홈런결과
1오스틴LG1개
2노시환한화0개
3박동원LG3개비거리상 수상(130m)
4채은성한화5개{{{#ffd700 우승}}}
비거리상 수상(130m)
5박병호kt4개준우승
6한동희롯데0개

경기 영상 다시보기
[ 풀영상 ]

  • 이번 올스타전 홈런 레이스는 원래는 단체전 형식으로 제한시간 20분 동안 양 팀이 릴레이로 홈런 레이스를 진행해 많은 홈런을 때려낸 팀이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방식이었지만, 부상 선수들이 생각보다 많이 발생해 결국 이전의 7아웃제 개인전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참가 선수는 오스틴 딘, 박동원, 박병호, 노시환, 채은성, 한동희 총 6명으로 비가 내리는 가운데에서 진행한 결과 예상을 깨고 채은성이 5개의 홈런을 기록하면서 우승을 차지했다[23]. 박병호는 초반에 홈런이 나오며 우승의 기대가 있었으나 막판 뒷심이 떨어지며 4개로 머무르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 최장 비거리상은 130m를 기록한 박동원과 채은성이 차지했다.[24]



7. 올스타전[편집]


방송사썸머레이스올스타전
파일:SPOTV 로고.svg[[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주관방송사)
캐스터 김민수
해설 이대형, 손건영
캐스터 김민수
해설 이대형, 윤석민
파일:SPOTV2 로고.svg[[파일:SPOTV2 로고 화이트.svg
파일:KBS N SPORTS 로고.svg캐스터 이동근
해설 박용택, 나지완
파일:SBS Sports 로고.svg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김태형
파일:MBC SPORTS+ 로고.svg캐스터 김선신
해설 정민철, 김선우
캐스터 한명재
해설 정민철, 김선우


7.1. 썸머레이스[편집]


파일:2023 KBO 올스타전 로고(가로형).svg
2023 KBO 올스타전 신한은행 SOL 썸머 레이스
출전 선수
SSGkt삼성롯데두산
서진용
오원석
박영현
김상수
뷰캐넌
김현준
김민석
김원중
이유찬
정수빈
키움LGKIANC한화
안우진
임창민
김진성
오스틴
이우성
최지민
김주원
페디
문동주
박상원
코스 구성
낙하산 레이스(선수) ➜ 점핑디딤돌(어린이 팬) ➜ 터널탈출(남성 팬) ➜ 오뚜기허들(마스코트) ➜ 고지탈환(선수) ➜ 퍼펙트피처(여성 팬)

대진표
준준결승준결승결승
KT
KIA
NC
KIA
KIA}}}
준우승
LG
삼성
두산
LG
SSG
키움
한화
SSG
롯데}}}
우승
롯데


7.2. KBO 올스타전[편집]


파일:2023 KBO 올스타전 로고.svg2023 신한은행 SOL KBO 올스타전, 부산
2023 KBO ALLSTAR GAME IN BUSAN
━━━━━━━━━━━━━━━━━━━━━━━━━━━━━━━
7월 15일 18:07 ~ 20:34 (2시간 27분)
경기장: 사직 야구장 · 관중: 22,990명 [매진]
중계 방송사: 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파일:SPOTV2 로고 화이트.svg · 캐스터: 김민수 · 해설위원: 이대형, 윤석민[타사중계]
선발123456789RHEB
파일:2023 KBO 드림 올스타 로고(화이트).svg박세웅00001000341201
드림 올스타
파일:2023 KBO 나눔 올스타 로고(화이트).svg양현종40040000-81002
나눔 올스타
양팀 선발 라인업
[ 펼치기 · 접기 ]
드림 올스타 타순나눔 올스타
포지션소속선수명선수명소속포지션
우익수삼성구자욱1김혜성키움2루수
좌익수삼성피렐라2이정후키움중견수
포수두산양의지3채은성한화1루수
1루수kt박병호4최형우KIA지명타자
지명타자롯데전준우5소크라테스KIA좌익수
2루수롯데안치홍6노시환한화3루수
유격수롯데노진혁7박건우NC우익수
3루수롯데한동희8박동원LG포수
중견수롯데김민석9김주원NC유격수
투수롯데박세웅SP양현종KIA투수
주요 기록
[ 펼치기 · 접기 ]
미스터 올스타채은성(3타수 2안타 1홈런)(4회 그랜드슬램)[1]
결승타채은성(1회 1사 1루서 우중간 2루타)
홈런소크라테스 1호(1회 3점 박세웅), 채은성 1호(4회 4점 구승민)
2루타채은성(1회), 소크라테스(3회), 안치홍(5회), 노진혁(7회), 정수빈(9회)
병살타전준우(6회)
심판김정국, 윤상원, 김성철, 전일수, 박종철, 이계성
[1] 1982년 김용희 이후 41년만의 올스타전 그랜드슬램.
투수 기록
[ 펼치기 · 접기 ]
드림 올스타 투수 기록
선수소속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사사구삼진실점자책점당일 ERA
박세웅롯데패배1827741104436.00
홍건희두산131130001000.00
노경은SSG141441000000.00
구승민롯데1721631104436.00
오원석SSG141041000000.00
고영표kt2820001000.00
서진용SSG1510000000.00
박영현kt13630001000.00
김원중롯데141741001000.00
나눔 올스타 투수 기록
선수소속결과이닝타자투구타수안타홈런사사구삼진실점자책점당일 ERA
양현종KIA승리13630000000.00
임창민키움13830000000.00
김진성LG151652001000.00
박상원한화13730000000.00
김재웅키움151052000119.00
페디NC141142000000.00
안우진키움141341001000.00
문동주한화14941000000.00
최지민KIA417420002227.00
고우석LG412320001127.00
타자 기록
[ 펼치기 · 접기 ]
드림 올스타 타자 기록
타순선수소속포지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
1구자욱삼성우익수포파좌비
결과2타수 0안타
1-1[1]김현준삼성우익수유땅투땅
결과2타수 0안타
1-2[2]뷰캐넌삼성우익수중안
결과1타수 1안타 1타점
2피렐라삼성좌익수포파삼진
결과2타수 0안타 1삼진
2-1[3]정수빈두산좌익수우안3비중2
결과3타수 2안타 1타점
3양의지두산포수2비
결과1타수 0안타
3-1[4]강민호삼성포수유땅중비
결과2타수 0안타
3-2유강남롯데포수우중안2비
결과2타수 1안타
4박병호kt1루수좌비유땅
결과2타수 무안타
4-1[4회]이유찬두산2루수중안중비
결과2타수 1안타
5전준우롯데지명타자포파우비유병좌안
결과4타수 1안타 1득점 1병살
6안치홍롯데2루수·1루수좌비좌중2
결과2타수 1안타 1득점
6-1김상수kt1루수삼진우안
결과2타수 1안타 1득점 1삼진
7노진혁롯데유격수·3루수좌비우안중22땅
결과4타수 2안타
8한동희롯데3루수·1루수중안3땅2땅2땅
결과4타수 1안타 2타점
9김민석롯데중견수우중안좌비1직고4
결과3타수 1안타 1볼넷 1득점
나눔 올스타 타자 기록
타순선수소속포지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
1김혜성키움2루수1땅좌비1직삼진
결과4타수 0안타 1삼진
2이정후키움중견수우안1땅4구
결과2타수 1안타 2득점 1볼넷
2-1[5]이우성KIA중견수3땅
결과1타수 0안타
3채은성한화1루수우중21비좌홈
결과3타수 2안타 1홈런 5타점 2득점
3-1[6]이지영키움1루수유비
결과1타수 0안타
4최형우KIA지명타자사구좌비
결과1타수 무안타 1사구 1득점
4-1[4회]김현수LG지명타자·좌익수투땅삼진
결과2타수 0안타 1삼진
5소크라테스KIA좌익수우홈우중2유땅우비
결과4타수 2안타 1홈런 3타점 1득점
6노시환한화3루수2비3직3땅삼진
결과4타수 0안타 1삼진
7박건우NC우익수좌안중안
결과2타수 2안타 1득점
7-1[7]오스틴LG우익수좌안좌안
결과4타수 2안타
8박동원LG포수유땅좌안
결과2타수 1안타 1득점
8-1[5회]박세혁NC포수2직좌비
결과2타수 0안타
9김주원NC유격수삼진좌비
결과2타수 0안타 1삼진
9-1오지환LG유격수1땅우비
결과2타수 0안타
[1] 3회 대수비[2] 8회 대수비[3] 6회 대타[4] A B C 대타[5] A B 대수비[6] 7회 대타[7] 5회 대타
득점 루트
[ 펼치기 · 접기 ]
이닝득점 올스타득점 루트스코어
1회말나눔채은성 우중간 2루타 → 1루 주자 이정후 홈인드림 올스타 0:1 나눔 올스타
소크라테스 우익수 뒤 3점 홈런드림 올스타 0:4 나눔 올스타
4회말나눔채은성 좌익수 뒤 만루홈런드림 올스타 0:8 나눔 올스타
5회초드림한동희 3루수 앞 땅볼 → 3루 주자 안치홍 홈인, 1루 주자 노진혁 태그 아웃드림 올스타 1:8 나눔 올스타
9회초드림한동희 2루수 땅볼 아웃 → 3루 주자 전준우 홈인
뷰캐넌 중견수 왼쪽 안타 → 3루 주자 김상수 홈인
정수빈 중견수 왼쪽 2루타 → 2루 주자 김민석 홈인
드림 올스타 4:8 나눔 올스타

올스타전 영상 다시보기
[ 풀영상 ]
[navertv()]
[ 네이버 H/L ]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 카카오 H/L ]

시상 부분수상자기록
MVP
나눔}}} 채은성 (한화)
3타수 2안타 1홈런 5타점
우수타자상
나눔}}} 소크라테스 (KIA)
4타수 2안타 1홈런 3타점
우수투수상
드림}}} 박영현 (KT)
1이닝 1K
우수수비상
드림}}} 안치홍 (롯데)
4회말 김혜성 타석 직선타 호수비
퍼포먼스상
드림}}} 김민석 (롯데)


7.2.1. 평가[편집]


오직 롯데만을 위한 올스타전이라는 평가. 그러나 베스트 12에 뽑힌 롯데 투수 둘이 8점을 방화하며[25], 결국 나눔이 이겼다.

퍼포먼스상에서 기자단의 이상한 투표로 인해 팬들의 예상과 달리 김민석이 수상을 하면서 상을 받고도 즐기지 못하는 씁쓸한 상황이 발생했는데, 팬들 역시 롯데를 포함한 10개 구단팬 모두가 뷰캐넌이 퍼포먼스 상을 받지 못한 것에 의아함을 감추지 못했다. 투표 결과를 보면 김민석이 24표 중 12표를 받았고 뷰캐넌은 4표에 그쳤는데, 실제 경기를 지켜본 팬들의 생각과는 완전히 괴리감이 있던 수상 결과에 대해 모든 야구 커뮤니티에서 모든 팬들의 큰 반발과 분노를 불러 일으켰으며, 지난 수년간의 스포츠 기자들의 만행과 더불어 과연 기자단이 투표를 할 만한 자격이 있는지와 기자단 투표로 수상이 결정되는 근본적인 선정 방식에 대한 반발도 생겨나게 되었다.

가장 큰 문제는 롯데 편애 논란으로, 드림팀의 팬들에 따르면 롯데 자이언츠 응원가의 재생 비율은 과반을 넘는데 비해 타 팀 응원가는 터무니 없이 적은 횟수만 재생했고, 이 중에서도 SSG의 팀 응원가는 단 한 차례도 나오지 않았다는 증언들이 쏟아지고 있다. 예전부터 모든 응원단장이 참여했던 지난 올스타전과는 달리 이번에는 롯데의 조지훈 단장 홀로 응원을 진행했는데, 그 동안 올스타전 응원이 모든 팀 응원가가 나온다는 것을 조지훈 단장이 모를리는 없었을텐데 이러한 일이 터졌다는 것은 사실상 조지훈 단장의 준비 부족으로 볼 수 밖에 없다. 어찌보면 조지훈 단장의 가장 큰 단점인 타 팀에 대한 배려가 너무 없다는 점이 제대로 부각된 셈인데, 나눔팀 응원을 맡았던 NC 이범형 응원단장도 혼자서 나눔 팀의 모든 응원을 소화했음에도 불구하고 5개 팀 응원가가 골고루 나왔지만[26] 조지훈 단장은 오직 롯데 응원가만 반복해서 틀었으며[27], 결국 나눔 이범형 응원단장이 보다 못해 9회초에 뷰캐넌과 정수빈의 이름을 대신 연호해 주기까지 했다. 조지훈 단장 역시 최악의 올스타전이라는 평가에 지분이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올스타전 자체에 대한 논란이 끊임없이 나왔는데, 경기 종료 후 진행된 불꽃놀이는 마치 동네 문방구에서 파는 것 같은 조악한 폭죽을 쓴 듯한 낮은 퀄리티를 보였고, 롯데의 응원가[28] 메들리 기획은 흥을 돋우지 못하고 분위기를 오히려 처지게 만든 잘못된 선곡이었다는 혹평과 오히려 부산에서 열리는 올스타전다운 선곡이었다는 호평이 명확히 갈린다. 그나마 사직 야구장 근처의 전경을 보이는 방송사의 연출에 대해서는 호평이 대다수이다.

결과적으로 이번 올스타전은 드림과 나눔 모든 선수들은 열심히 하면서 재미있는 경기[29]를 보여주었으나, 부실한 이벤트 기획, 드림팀의 롯데 편향의 불공정한 응원가 분배, 또한 기자단 투표 이슈로 인한 KBO 역대 최악의 올스타전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다만 전술했듯 선수단은 굉장히 열심히 임해주었다는 평이 대다수다.


7.2.1.1. 나눔 올스타 [{{{#blue 승리}}}][편집]

투타 양쪽에서 그야말로 올스타스러운 퍼포먼스를 보이면서 낙승했다.
우선 1회부터 채은성의 선취 1타점 2루타와 최고 타자상을 수상한 소크라테스(4타수 2안타 1홈런 3타점)의 3점 홈런으로 앞서나갔으며 4회에는 채은성이 전날 홈런 레이스 우승에 이어 41년만의 올스타전 만루홈런으로 승리에 쐐기를 박았다.

투수들 역시 각 팀의 내로라하는 투수들이 총 출동하여[30] 제 몫을 다해주었다. 그 중 백미는 리그를 대표하는 강속구 투수인 안우진문동주가 연달아 1이닝씩 책임지던 모습으로 안우진이 158, 문동주가 159km/h의 속구를 뿌리며 큰 인상을 남겼다.

퍼포먼스 면에서도 충실하여 팬들을 즐겁게 만들었다. 우선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응원가를 모형 트럼펫으로 연주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었으며, 김주원은 스위치 히터라는 자신의 특징을 살려 1구마다 타석을 바꾸었고[31], 페디는 경남 방언으로 '마 함 치봐라'를 외치고 등판한 후, 이닝을 정리한 후 여권을 불태우는 화끈한 퍼포먼스를 보여줬다.[32] 또한, 마무리 투수 고우석을 등판시킬 때 처남인 이정후가 코치로 나오는 모습을 보여주며 깨알같은 웃음까지 주었다. 특히 가장 뜨거웠던 드림 뷰캐넌의 퍼포먼스를 훌륭하게 뒷받침 해줬는데 의도치는 않았겠지만 우익수로 나선 뷰캐넌 쪽으로 타구를 날려 풋아웃을 기록하게 해주었으며 9회에는 뷰캐넌이 타석에 설 수 있도록 앞 선 타자 김민석을 고의4구로 거르는 센스를 보여주었다.

한편 한화의 채은성은 그야말로 이번 올스타전의 주인공급 활약을 해주었는데 앞서 말한 41년만의 만루홈런부터 시작하여 7회에 김민석의 강습타구를 다이빙 캐치로 잡아내는 호수비를 보여주었고, 퍼포먼스 측면에서 클리닝 타임 해군 의장대 공연 때, 자신의 의장대 복무 경험을 살려 배트로 총 돌리기를 보여주는 등. 공·수·퍼포먼스 모두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며 압도적인 투표로 미스터 올스타(MVP)에 선정되는 영광[33]을 누렸다.


7.2.1.2. 드림 올스타 [{{{#red 패배}}}][편집]

위에 상술되었듯 '롯데만을 위한 올스타전'이었으나 정작 모든 실점은 롯데 투수들이 기록했다. 선발로 나선 박세웅은 소크라테스의 3점 홈런을 포함해 1이닝 4피안타(1피홈런) 1볼넷 4실점을 기록했고, 뒤이어 4번째로 등판한 구승민도 올스타전 최초 만루홈런 기록 보유자인 김용희 앞에서 채은성 상대로 41년만의 2번째 만루홈런 기록의 허용투수가 되었다.

그래도 퍼포먼스 측면에서 많은 준비를 해와 야구팬들을 즐겁게 해주었는데, 첫 타자인 구자욱부터 여장 퍼포먼스[34]를 했고, 노진혁은 자신의 별명인 '노검사'에 맞춰 검사복을 입고 타석에 입장한 후 출루에 성공할 때마다 '영장발부' 종이를 꺼내들고, 김민석은 마스코트와 블랙핑크 제니의 춤을 추는 등 팬서비스에 충실한 모습을 보였다.

그 중 백미였던 것은 삼성 뷰캐넌의 활약으로 투수로 올스타에 출전했지만 마지막 경기에서 4일 휴식 후 119구 완투승이라는 빡센 스케줄을 소화한 탓에 등판은 못했지만 그 외에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보여줬다. 우선 8회말에 우익수로 출장하여 오지환의 뜬공을 안정적으로 포구하여 풋아웃을 기록했으며, 9회초 2사 1, 3루 상황 1번 타자[35]로 나와 고우석151.9km 직구를 정타로 받아치며 1타점 적시타까지 때려냈다. 거기에 퍼포먼스 측면에서 나눔의 오스틴과 댄스배틀을 벌이고 탑건의 파일럿 코스프레를 하는 등. 다소 초반부터 경기가 넘어간 상황에서도 팬들을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기자단의 농락으로 퍼포먼스 상 수상에 실패했다.


7.2.2. 여담[편집]


  • 이번 올스타전에서는 본 행사때에는 본 소속팀의 유니폼을 입고 뛴다는 기존의 관례를 깨고 MLB 올스타전처럼 올스타전 전용 유니폼을 입고 경기하였다.[36] 다만, 퓨처스 올스타전에서는 각 팀 유니폼을 입었다.


  • 한편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묘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NC의 박건우가 팀내 불화로 인하여 2군에 내려간 상황에서 올스타전에 출전했는데[37] 여기서 2안타를 치며 활약했다. 문제는 안타를 치고 나간 1루에 있는 사람은 1루 작전코치 역할로 나선 NC 강인권 감독(...). 그래도 1루에서 강인권 감독에게 장비를 건네며 90도 폴더인사를 하는 등 공손한 모습을 보여주고 활짝 웃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갈등이 어느정도 해결된 듯한 모습을 보였다. 참고로, 박건우가 강인권 감독에게 폴더인사를 한 것은 사전에 이미 계획된 퍼포먼스였다고 한다.

  • 한편, 중계를 하고있던 김태형[38] 전 두산 감독은 여기에 대해 "안타를 안 치는게 나을텐데 자꾸 치고 나가네요."라는 뼈있는 농담을 하며 전후 사정을 아는 팬들의 실소를 터지게 만들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2 22:22:26에 나무위키 KBO 올스타전/2023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KBO 리그는 역대 42번째 시즌이지만 2021년 올스타전은 리그 구단 내 코로나19 확진자 다수 발생의 영향으로 완전 취소됐기에 2023년 올스타전이 41번째 행사가 된다.[2] 그동안 구덕 야구장에서 2회, 사직 야구장에서 7회에 걸쳐 열렸다.[3]사직 야구장에서 올스타전은 2029 시즌 또는 2030 시즌이 될 가능성이 높다.[4] 2023년 연말에 열리는 BIE 총회를 통해 개최지 발표가 이뤄질 예정이다.[5] 매뉴얼대로라면, 올해 BI 컬러는 Pantone Viva Magenta(Pantone 18 - 1750) 가 되었어야 했다.[6] 2023년 7월 5일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7] 2023년 7월 5일 삼성 라이온즈로 트레이드.[8] 6월 3일 기준 0.036[9] 다만 이후 팔꿈치 수술을 받음에 따라 설령 포함되었어도 출전하지 못 했을 것이다.[10] 한동희황성빈이 이에 해당하는데 두 선수 모두 2023시즌 내내 부진한 상황이다.[11] 하지만 고승민은 손가락 골절 부상을 당하면서 선정 되었어도 못 나갔을 것이다.[12] 표 차이는 40만표 가량 차이가 났지만, 선수단 투표에서 고우석이 정해영을 상대로 180 : 33이라는 압도적인 수치로 0.38점 차로 뒤집기에 성공했다.[13] 원래 베스트 12에 뽑힌 최정이 부상으로 빠지면서 차점자인 한동희가 선정됨.[14] 박명근도 감독 추천 선수로 처음 출전할 예정이었지만, 부상으로 빠지고 김진성으로 대체됨.[15] 부상으로 빠진 최정 대신 출전[16] 생애 첫 올스타전 최다득표이자 사상 첫 부자(父子) 올스타전 팬 투표 최다득표 기록이다. 아버지 이종범1994년 올스타전 팬 투표에서 최다득표자로 선정된 바 있다.[17] 부상으로 빠진 박명근 대신 출전[18] 우천으로 인한 그라운드 정비로 인해 15분 지연 시작했다.[19] 타사중계: KBS N SPORTS - 캐스터: 이호근 | 해설: 장성호, 김태균 / MBC SPORTS+ - 캐스터: 김수환 | 해설: 박재홍 / SBS Sports - 캐스터: 윤성호 | 해설: 이종열[20] 1989년생[21] 화재에서 위협을 무릅쓰고 노인을 구한 형사[22] 여담이지만, 이 홈런은 2017년 이후 무려 7년만에 나온 퓨처스 올스타전 홈런이다.[23] 한화 선수로는 김태균(2005, 2007, 2012), 윌린 로사리오(2017)에 이어서 세 번째로 받은 것이다.[24] 주관방송사인 SPOTV가 채택하고 있는 트랙맨 데이터 상으로는 박동원이 133.7m로 129.9m의 채은성 보다 더 먼 비거리를 기록하긴 했다. 하지만 KBO리그는 트랙맨이 아닌 PTS 데이터를 공식 기록으로 채택하고 있어 KBO 공식 비거리상 기록으로 공동수상.[타사중계] KBS N SPORTS - 이동근, 박용택, 나지완/MBC SPORTS+ - 한명재, 정민철, 김선우/SBS Sports - 정우영, 이순철, 김태형 [25] 이날 드림 올스타의 모든 실점이었다.[26] 심지어 멜로디가 같은 키움 <승리를 위한 함성>과 LG <서울의 아리아>를 따로 두 번 재생하는 등 세심함이 돋보였다.[27] SSG는 이번에 타자가 1명도 없었다고는 하나, 그건 개인 응원가가 안 나올 이유지 팀 응원가가 안 나올 이유는 전혀 아니다. 그리고 나머지 3팀 역시 안 나오지만 않았을 뿐 몇 차례 들을 수 없었다.[28] 돌아와요 부산항에, 부산갈매기[29] 대표적으로 뷰캐넌의 대수비와 타자 등판 + 하입보이(feat. 오스틴), 채은성의 만루 홈런과 배트 돌리기 퍼포먼스, 소크라테스의 쓰리런과 트럼펫 세리머니, 구자욱의 여장, 김주원의 스위치 타자 헬멧과 양타석 왔다 갔다, 페디의 사투리와 여권 불태우기 퍼포먼스, 고우석 등판에 이정후 투수코치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었고, 롯데 역시 선수들은 노진혁의 검사 복장과 영장발부, 김민석의 제니 퍼포먼스, 김원중의 리 신 코스프레 등 많은 걸 준비해왔다.[30] 드림 올스타에 비하면 많은 투수들이 등판했는데, 20개 넘게 던진 투수들이 있었던 드림 올스타에 비해서 20개 이상 공을 던진 투수들이 없었다. 가장 많이 던진 최지민이 17개로 드림 올스타 선발 박세웅의 27개보다 10개 적었다.[31] 다만, 야심차게 쓰고나온 전구가 달린 헬멧은 심판에게 제지당하며 벗고 퍼포먼스를 보여줬으나 알고 보니 심판이 제지한 것 마저 퍼포먼스의 일환이였음이 친누나의 인스타를 통해 밝혀졌다. 하지만 이걸 몰랐던 팬들은 심판을 비난하는 상황이 연출되었고 이 사실을 알게 된 팬들은 심판에게 미안해하는 반응을 보여줬다. 그리고 김주원은 팬들이 이것도 퍼포먼스인걸 모르는것에 의아했다고.[32] 여권을 불태우는 퍼포먼스는 마침 한국을 방문한 페디의 남동생이 제안한 아이디어였다고 한다.[33] 한화 선수로는 전신 빙그레 시절 포함 통산 5번째이면서 2022년 미스터 올스타를 받은 정은원에 이어서 2년 연속으로 수상했다.[34] NewJeans민지를 따라했다고 한다. 타석에 들어서며 양현종에게 손키스를 날렸고, 초구 파울플라이를 쳤는데 잡으려고 하는 박동원을 따라가며 오빠 잡지마를 연발[35] 야쿠르트 시절 지명타자가 없는 세리그에서 타석에 선 적이 많다.[36] 다만, 색상 등 일부 디자인은 공유하고 중앙의 로고는 소속팀의 로고를 사용하였다.[37] 불화가 터지기 전에 투표까지 마치고 출전이 확정된 상황이었다.[38] 참고로, 본인과 박건우가 두산에서 함께 있을 때도 불화설로 2군에 내려보낸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