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H.

덤프버전 :

1. 개요
2. 미디어 믹스
2.1. 원작 소설
2.2. 영화
2.3. 드라마
4. 한국에 대한 묘사
5. 주제곡
6. 기타



1. 개요[편집]


M.A.S.H.

한국전쟁에 종군한 의료인들의 이야기를 코믹하게 그려낸 소설과 그를 기반으로 한 미국전쟁 영화와 전쟁 드라마.

한국전쟁 당시 의정부에 위치한 가공의 미 육군 이동외과병원[1] 소속 병사들의 애환을 그린 작품이다.

종군 의료인들의 이야기를 기초로 한 일종의 모험담인 원작과는 달리, 영화는 일부 캐릭터만 가져다 반전과 반 권위주의적인 메세지를 담은 풍자 코미디가 되었다. 드라마는 영화의 영향을 받아 슬랩스틱과 말장난을 주로 하는 반전 코미디로 시작하지만 시즌을 거듭할수록 코미디의 비중이 줄고 휴먼 드라마의 비중이 늘어난다.

원작 자체는 한국전쟁이 배경이지만 드라마는 베트남 전쟁 때 방영되어, 베트남 전쟁에 대한 비판 의식이 녹아들어 있다.[2]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는 등 좋은 평가를 받았고, 드라마는 11년간 방영하면서 큰 문화적 영향을 끼쳤지만 한국에서는 영화와 드라마 초반의 부실한 한국 묘사만 주목받는 경향이 있다.


2. 미디어 믹스[편집]



2.1. 원작 소설[편집]


1968년작으로 작가 리처드 후커는 코넬 대학교 의대를 마친 후 한국전쟁에 참전해 제8055 육군이동외과병원 의사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썼다.

원작 자체가 상당한 코믹극인데 배경은 의정부 북방 38선 부근에 위치한 4077 육군이동외과병원으로 1951년 11월부터 1953년 4월 까지 18개월간 여려 명의 군의관들 및 간호장교들이 엮어내는 15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단편 소설 모음집이다. 전쟁 그 자체를 다루기 보다는 병원에서 기이한 성격의 인물들이 만들어내는 장난과 해학으로 가득차 있다.

병원장 헨리 블레이크 중령의 요청으로 부임한 호크아이와 듀크 그리고 나중에 합류한 흉부외과 전문의 존 매킨타이어(일명 트래퍼 존) 3총사가 주인공. 당시 고지전으로 인해 부상자들이 쏟아졌고, 의사들은 하루에 12시간에서 20시간 동안 쉴새 없이 수술과 치료를 수행하지만 그 상황을 초월하여 쉬지 않고 웃겨주는 비극적인 코미디이다.


2.2. 영화[편집]


《매쉬》 (영화)의 수상 기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AFI 선정 100대 영화 (2007년)
파일:미국영화연구소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위시민 케인
2위대부
3위카사블랑카
4위레이징 불
5위사랑은 비를 타고
6위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7위아라비아의 로렌스
8위쉰들러 리스트
9위현기증
10위오즈의 마법사
11위시티 라이트
12위수색자
13위스타워즈
14위싸이코
15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16위선셋 대로
17위졸업
18위제너럴
19위워터프론트
20위멋진 인생
21위차이나타운
22위뜨거운 것이 좋아
23위분노의 포도
24위E.T.
25위앵무새 죽이기
26위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27위하이 눈
28위이브의 모든 것
29위이중 배상
30위지옥의 묵시록
31위몰타의 매
32위대부 2
33위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34위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35위애니 홀
36위콰이 강의 다리
37위우리 생애 최고의 해
38위시에라 마드레의 황금
39위닥터 스트레인지러브
40위사운드 오브 뮤직
41위킹콩
42위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43위미드나잇 카우보이
44위필라델피아 스토리
45위셰인
46위어느 날 밤에 생긴 일
47위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48위이창
49위인톨러런스
50위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51위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52위택시 드라이버
53위디어 헌터
54위M.A.S.H.
55위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56위죠스
57위록키
58위황금광 시대
59위내슈빌
60위인 더 수프
61위설리반의 여행
62위청춘낙서
63위카바레
64위네트워크
65위아프리카의 여왕
66위레이더스
67위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68위용서받지 못한 자
69위투씨
70위시계태엽 오렌지
71위라이언 일병 구하기
72위쇼생크 탈출
73위내일을 향해 쏴라
74위양들의 침묵
75위밤의 열기 속에서
76위포레스트 검프
77위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78위모던 타임즈
79위와일드 번치
80위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81위스파르타쿠스
82위선라이즈
83위타이타닉
84위이지 라이더
85위오페라의 밤
86위플래툰
87위12인의 성난 사람들
88위베이비 길들이기
89위식스 센스
90위스윙 타임
91위소피의 선택
92위좋은 친구들
93위프렌치 커넥션
94위펄프 픽션
95위마지막 영화관
96위똑바로 살아라
97위블레이드 러너
98위양키 두들 댄디
99위토이 스토리
100위벤허
같이 보기: 영화, 사랑 영화, 뮤지컬 영화, 영감을 주는 영화, 배우, 영화 음악, 명대사



>
[ 펼치기 · 접기 ]
※ 2017년 BBC는 52개국의 253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코미디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뜨거운 것이 좋아
2위닥터 스트레인지러브
3위애니 홀
4위사랑의 블랙홀
5위식은 죽 먹기
6위라이프 오브 브라이언
7위에어플레인
8위플레이타임
9위이것이 스파이널 탭이다
10위제너럴
11위위대한 레보스키
12위모던 타임즈
13위사느냐 죽느냐
14위그의 연인 프라이데이
15위몬티 파이튼의 성배
16위위대한 독재자
17위베이비 길들이기
18위셜록 주니어
19위레이디 이브
20위브레이징 새들스
21위시티 라이트
22위영 프랑켄슈타인
23위파티
24위위드네일과 나
25위황금광 시대
26위나의 삼촌
27위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28위어느 날 밤에 생긴 일
29위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30위윌로 씨의 휴가
31위투씨
32위아리조나 유괴사건
33위앵커맨
34위클루리스
35위사랑은 비를 타고
36위완다라는 이름의 물고기
37위설리반의 여행
38위필라델피아 스토리
39위오페라의 밤
40위프로듀서
41위보랏
42위이혼 소동
43위M.A.S.H.
44위내 여자친구의 결혼식
45위마돈나 거리에서 한탕
46위펄프 픽션
47위애니멀 하우스의 악동들
48위천국의 말썽
49위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50위신경쇠약 직전의 여자
51위일곱 번의 기회
52위마이 맨 갓프리
53위블루스 브라더스
54위해롤드와 모드
55위베스트 쇼
56위브로드캐스트 뉴스
57위퀸카로 살아남는 법
58위젤리그
59위토니 에드만
60위새벽의 황당한 저주
61위팀 아메리카: 세계 경찰
62위뱀파이어에 관한 아주 특별한 다큐멘터리
63위아세닉 엔 올드 레이스
64위스텝 브라더스
65위캐디쉑
66위뜨거운 녀석들
67위사막의 아들들
68위니노치카
69위사랑과 죽음
70위인 더 루프
71위로얄 테넌바움
72위총알탄 사나이
73위너티 프로페서
74위대역전
75위팜 비치 스토리
76위삶의 설계
77위이혼: 이탈리언 스타일
78위프린세스 브라이드
79위디너 게임
80위오피스 스페이스
81위메리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82위특급비밀
83위마침내 안전!
84위거프만을 기다리며
85위아마코드
86위친절한 마음과 화관
87위신사는 금발을 좋아한다
88위쥬랜더
89위데이지즈
90위뉴 리프
91위왓츠 업 덕
92위학살의 천사
93위사우스 파크: 비거 롱거 앤 언컷
94위맥스군 사랑에 빠지다
95위고스트버스터즈
96위귀여운 빌리
97위더 뮤직박스
98위행오버
99위바보 네이빈
100위레이디스 맨
코미디의 왕
출처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역대 칸 영화제
파일:cannespalmedor.png
황금종려상
제22회
(1969년)
제23회
(1970년)
제24회
(1971년)
만약매쉬사랑의 메신저

역대 골든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영화 작품상 - 뮤지컬·코미디
제27회
(1970년)
제28회
(1971년)
제29회
(1972년)
산타 비토리아의 비밀매쉬지붕 위의 바이올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MASHfilmposter.jpg



도널드 서덜랜드엘리엇 굴드 주연의 1970년 코미디 미국 영화. 한국전쟁에 강제 징집된 의사들의 막 나가는 기행을 주 소재로 삼았다. 감독 로버트 올트먼의 출세작으로 3백만 달러의 제작비로 8천만 달러가 넘는 흥행[3]을 거두고, 칸 영화제아카데미 시상식 등지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으며 선전했다. 이 성공으로 40세가 될 때까지 무명의 몸이었던 로버트 올트먼은 이후 메인스트림으로 진출하게 된다.

영화 자체는 반권위적인 블랙 코미디로, 성적이고 저급한 유머와 캐릭터들의 치기 어린 행동으로 정신없이 웃기면서도 보는 이를 조금 불편하게 만드는 영화다. 아메리칸 파이 등에 나오는 라디오로 생중계해주는 섹스씬의 원조.

주제가 Suicide is Painless는 나중에 드라마의 주제가로 더 유명해졌다. 영화의 성공으로 밑에 서술할 드라마까지 만들어졌지만, 올트먼 감독은 인터뷰나 DVD 코맨트 등지에서 드라마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꾸준히 드러내었다.[4]

미국 영화 최초로 "fuck"이 나오는 영화인데, 뉴할리우드 성행으로 검열이 완화되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큰 영화로 흥행 성공으로 인해 욕설 완화의 계기가 되었다.

역대 황금종려상 수상 영화 글로벌 흥행 TOP 10
순위영화개봉년도국가최종수익(달러)
1위기생충2019대한민국$269,169,009
2위화씨 9/112004미국$222,446,882
3위펄프 픽션1994미국$213,928,762
4위지옥의 묵시록1979미국$150,000,000
5위피아노1993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140,000,000
6위피아니스트2002독일, 영국, 폴란드, 프랑스$120,072,577
7위매시1970미국$81,600,000
8위어느 가족2018일본$67,998,954
9위트리 오브 라이프2011미국$61,700,000
10위올 댓 재즈1980미국$37,823,676


2.3. 드라마[편집]


M.A.S.H.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white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선정 역대 최고의 TV 쇼}}}
[ 펼치기 · 접기 ]
※ 2007년 미국 주간지 타임이 역대 최고의 TV 쇼(TV 드라마, TV 영화, 방송 프로그램, 코미디 쇼, 만화 등) 100개를 선정했고 하단은 선정된 TV 쇼들이다. 순서는 알파벳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애벗과 코스텔로 쇼ABC 와이드 월드 오브 스포츠앨프리드 히치콕 프리젠츠올 인 더 패밀리미국 가족
아메리칸 아이돌못말리는 패밀리배틀스타 갤럭티카비비스와 버트헤드밥 뉴하트 쇼
브라이즈헤드 리비지티드버팔로 빌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캐럴 버넷 쇼월터 크롱카이트의 CBS 이브닝 뉴스
찰리 브라운 크리스마스치어스코스비 가족 만세더 데일리 쇼댈러스
그 날 이후데드우드딕 밴다이크 쇼드라그넷에드 설리번 쇼
어니 코박스 쇼펠리시티프릭스 앤 긱스프랑스 셰프프렌즈
제너럴 호스피털조지 번스와 그레이시 앨런 쇼길모어 걸스건스모크힐 스트리트 블루스
살인: 길거리의 일생신혼여행자들클라우디우스 1세왈가닥 루시킹 오브 더 힐
래리 샌더즈 쇼레이트 나잇 위드 데이비드 레터맨비버에게 맡겨 둬로스트못말리는 번디 가족
메리 하트맨 메리 하트맨메리 타일러 무어 쇼M.A.S.H.몽키즈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블루문 특급MTV 1981-1992마이 소 콜드 라이프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별난 커플
더 오피스(미국)더 오피스(영국)오프라 윈프리 쇼피위의 플레이 하우스플레이하우스 90
그 가격이 맞아요프라임 서스펙트더 프리즈너더 리얼 월드록키와 불윙클 쇼
뿌리로잔느 아줌마샌포드와 아들새터데이 나잇 라이브세컨드 시티 텔레비전
시 잇 나우사인펠드세서미 스트리트섹스 앤 더 시티더 실드
심슨 가족싱잉 디텍티브식스 핏 언더60분소프
소프라노스사우스 파크네모바지 스폰지밥스포츠센터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세인트 엘스웨어슈퍼볼과 광고들서바이버택시투나잇 쇼 위드 조니 카슨
24환상특급트윈 픽스웨스트 윙왓 이스 마이 라인?
WKRP 인 신시내티더 와이어와이즈가이엑스파일유어 쇼 오브 쇼스
출처



롤링 스톤 선정 100대 시트콤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위심슨 가족
2위치어스
3위사인펠드
4위왈가닥 루시
5위올 인 더 패밀리
6위M.A.S.H.
7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8위허니무너스
9위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10위레리 샌더즈 쇼
11위딕 반다이크 쇼
12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13위프레이저
14위앤디 그리핀 쇼
15위못말리는 패밀리
16위코스비 가족 만세
17위택시
18위30 Rock
19위로잔느 아줌마
20위보잭 홀스맨
21위플리백
22위사우스 파크
23위더 오피스(미국)
24위커뮤니티
25위애틀란타
26위밥 뉴하트 쇼
27위루이
28위말콤네 좀 말려줘
29위필라델피아는 언제나 맑음
30위더 오피스(영국)
31위폴티 타워즈
32위골든 걸스
33위베러 씽즈
34위네모바지 스폰지밥
35위내 사랑 레이먼드
36위섹스 앤 더 시티
37위밥스 버거스
38위프렌즈
39위블랙키쉬
40위리뷰
41위킹 오브 더 힐
42위브록마이어
43위브루클린 나인-나인
44위부통령이 필요해
45위브로드 시티
46위굿 플레이스
47위더 프레시 프린스 오브 벨 에어
48위더 제퍼슨
49위바니 밀러
50위뉴스라디오
51위총알탄 사나이
52위나는 앨런 패트리치
53위스크럽스
54위버니 맥 쇼
55위별난 커플
56위머피 브라운
57위유어 더 워스트
58위게리 셴들링 쇼
59위스페이스드
60위굿 타임즈
61위카타스트로피
62위더 씩 오브 잇
63위디자이닝 우먼
64위뱀파이어에 관한 아주 특별한 다큐멘터리
65위피니와 퍼브
66위겟 스마트
67위잭 베니 프로그램
68위마우데
69위플라이트 오브 더 콩코즈
70위필 실버스 쇼
71위릭 앤 모티
72위더 컴백
73위트렌스페어런트
74위퓨쳐라마
75위블랙애더
76위뉴 걸
77위원 데이 앳 어 타임
78위핍 쇼
79위WKRP 인 신시내티
80위샌포드와 아들
81위윌 앤 그레이스
82위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
83위레터케니
84위모던 패밀리
85위조지 번스와 그레이시 엘런 쇼
86위리빙 싱글
87위수프
88위파티 다운
89위디퍼런트 월드
90위빅뱅 이론
91위버펄로 빌
92위다리아
93위《빅 마우스》
94위인시큐어
95위바스켓
96위블루이
97위나이트 코트
98위데리 걸즈
99위프랭크 플레이스
100위시트 크릭 패밀리
2021년 발표 / 출처



[ 펼치기 · 접기 ]
※ 2013년 미국 잡가 조합의 회원들인 미국의 각본가들이 선정한 역대 가장 잘 쓰여진 TV 시리즈 순위다.
1위소프라노스
2위사인펠드
3위환상특급
4위《올 인 더 패밀리》
5위M.A.S.H.
6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7위Mad Men
8위치어스
9위더 와이어
10위웨스트 윙
11위심슨 가족
12위왈가닥 루시
13위브레이킹 배드
14위《딕 반다이크 쇼》
15위《힐 스트리트 블루스》
16위《못말리는 패밀리》
17위더 데일리 쇼 위드 존 스튜어트
18위《식스 핏 언더》
19위《택시》
20위《래리 샌더즈 쇼》
21위30 Rock
22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23위프레이저
24위프렌즈
25위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26위엑스파일
27위로스트
28위ER
29위《더 코스비 쇼》
30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31위《더 허니무너스》
32위데드우드
33위스타 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34위모던 패밀리
35위트윈 픽스
36위《뉴욕경찰 24시》
37위《캐롤 버넷 쇼》
38위배틀스타 갤럭티카
39위섹스 앤 더 시티
40위왕좌의 게임
공동 41위《밥 뉴하트 쇼》
공동 41위《유어 쇼 오브 쇼스》
공동 43위다운튼 애비
공동 43위《떠스티썸팅》
공동 43위Law&Order
공동 46위《홈사이드》
공동 46위《St. Elsewhere》
48위홈랜드
49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공동 50위콜베어 르포
공동 50위더 오피스(영국)
공동 50위굿 와이프
53위《알래스카의 빛》
54위《케빈은 열두살》
55위《L.A. 로》
56위Sesame Street
57위형사 콜롬보
공동 58위폴티 타워즈
공동 58위《록포드 파일즈》
공동 60위블루문 특급
공동 60위《프릭스 앤 긱스》
62위《뿌리》
공동 63위사우스 파크
공동 63위내 사랑 레이먼드
65위《플레이하우스 90》
공동 66위덱스터
공동 66위더 오피스(미국)
68위《마이 소 콜드 라이프》
69위《더 골든 걸스》
70위《앤디 그리핀 쇼》
공동 71위24
공동 71위더 실드
공동 74위《머피 브라운》
공동 74위House M.D.
공동 76위《클라우디우스 1세》
공동 76위《바니 밀러》
78위《오드 커플》
공동 79위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
공동 79위앨프리드 히치콕 프리젠츠
공동 79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83위겟 스마트
공동 84위《디펜더스》
공동 84위《건스모크》
공동 86위트루 블러드
공동 86위저스티파이드
공동 86위《필 실버스 쇼》
88위밴드 오브 브라더스
89위《로완 & 마틴 쇼》
90위《프리즈너》
공동 91위The Muppet Show
공동 91위《앱솔루틀리 패뷸러스》
93위보드워크 엠파이어
94위윌 앤 그레이스
95위《패밀리 타이즈》
공동 96위《머나먼 대서부》
공동 96위《수프》
공동 98위도망자
공동 98위레이트 나잇 위드/쇼 데이비드 레터맨
공동 98위루이
공동 101위《오즈》
2013년 발표 / 출처



엠파이어 매거진 선정 100대 TV쇼
파일:엠파이어 매거진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1위브레이킹 배드
2위왕좌의 게임
3위소프라노스
4위더 와이어
5위프렌즈
6위웨스트윙
7위OA
8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9위LOST
10위닥터후
11위심슨 가족
12위트윈 픽스
13위매드맨
14위배틀스타 갤럭티카
15위데드우드
16위레프트오버
17위스타 트렉: 넥스트 제너레이션
18위밴드 오브 브라더스
19위피키 블라인더스
20위엑스파일
21위사인펠드
22위24
23위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24위체르노빌
25위셜록
26위30 Rock
27위베터 콜 사울
28위워킹 데드
29위더 실드
30위블랙애더
31위ER
32위M.A.S.H.
33위식스 핏 언더
34위프레이저
35위썬즈 오브 아나키
36위스타 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37위필라델피아는 언제나 맑음
38위파이어플라이
39위킬링 이브
40위한니발
41위오피스(미국)
42위기묘한 이야기
43위파울티 타워즈
44위플리백
45위아메리칸즈
46위스타 트렉: 딥 스페이스 나인
47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48위못말리는 패밀리
49위스페이스드
50위온리 풀 앤 호스
51위파고
52위오즈
53위프라임 서스펙트
54위웨스트월드
55위라인 오브 듀티
56위House M.D.
57위오피스(영국)
58위환상특급
59위힐 스트리트 블루스
60위트루 디텍티브
61위블랙 미러
62위핸드메이즈 테일
63위마인드헌터
64위파더 테드
65위릭 앤 모티
66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67위보드워크 엠파이어
68위노던 익스포저
69위스크럽스
70위사우스 파크
71위프린지
72위엔젤
73위치어스
74위익스팬스
75위보잭 홀스맨
76위덱스터
77위크래커
78위핍 쇼
79위섹스 앤 더 시티
80위레드 드워프
81위더 씩 오브 잇
82위굿 플레이스
83위저스티파이드
84위브루클린 나인-나인
85위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
86위뉴욕경찰 24시
87위나르코스
88위살인 사건: 길거리 생활
89위길모어 걸스
90위굿 와이프
91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92위커뮤니티
93위더 브릿지
94위사선을 넘어
95위나는 앨런 파트리지
96위라이프 온 마스
97위브로드처치
98위빅 리틀 라이즈
99위파스케이프
100위로마
2021년 발표 / 출처



{#white [[파일:The-Hollywood-Reporter-Logo.png
할리우드에서 가장 좋아하는 TV 쇼}}}
[ 펼치기 · 접기 ]
※ 2015년 미국 잡지 할리우드 리포터가 주최한 할리우드 업계에서 가장 좋아하는 TV 쇼다.
2,800명의 배우, 제작자, 감독 및 기타 업계 인사들이 뽑은 순위다.
1위프렌즈
2위브레이킹 배드
3위엑스파일
4위왕좌의 게임
5위사인펠드
6위소프라노스
7위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8위왈가닥 루시
9위Mad Men
10위심슨 가족
11위웨스트 윙
12위섹스 앤 더 시티
13위M.A.S.H.
14위모던 패밀리
15위로스트
16위못말리는 패밀리
17위환상특급
18위30 Rock
19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20위트윈 픽스
21위하우스 오브 카드
22위윌 앤 그레이스
23위치어스
24위워킹 데드
25위빅뱅 이론
26위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27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28위ER
29위식스 핏 언더
30위더 와이어
31위더 오피스(미국)
32위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33위셜록
34위사우스 파크
35위스타 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36위The Muppet Show
37위덱스터
38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39위《올 인 더 패밀리》
40위프레이저
41위《해피 데이즈》
42위캐슬
43위《캐롤 버넷 쇼》
44위다운튼 애비
45위홈랜드
46위Veep
47위《딕 반다이크 쇼》
48위《더 골든 걸스 》
49위《오펀 블랙》
50위《프릭스 앤 긱스》
51위길모어 걸스
52위트루 디텍티브
53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54위더 프레시 프린스 오브 벨 에어
55위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
56위《케빈은 열두살》
57위굿 와이프
58위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
59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60위《머피 브라운》
61위Roseanne
62위《아내는 요술쟁이》
63위《힐 스트리트 블루스》
64위House M.D.
65위패밀리 가이
66위《택시》
67위블루문 특급
68위파이어플라이
69위앙투라지
70위《내사랑 지니》
71위《베이사이드 얄개들》
72위《모크 앤 민디》
73위앨프리드 히치콕 프리젠츠
74위24
75위닥터후 (1963-1989)》
76위풀 하우스
77위스캔들
78위《못말리는 번디 가족》
79위세서미 스트리트
80위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81위Law&Order: SVU
82위《길리건의 섬》
83위겟 스마트
84위앨리어스
85위Law&Order
86위트루 블러드
87위스크럽스
88위필라델피아는 언제나 맑음
89위《록포드 파일즈》
90위애로우
91위디 아메리칸즈
92위《밥 뉴하트 쇼》
93위더 브래디 번치
94위페어런트 후드
95위배틀스타 갤럭티카
96위내 사랑 레이먼드
97위앨리 맥빌
98위패밀리 타이즈
99위폴티 타워즈
100위위기의 주부들
2015년 발표 / 출처



TV 가이드 선정 60대 TV 시리즈
파일:share_logo.png
[ 펼치기 · 접기 ]
1위소프라노스
2위사인펠드
3위왈가닥 루시
4위올 인 더 패밀리
5위환상특급
6위더 와이어
7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8위M.A.S.H.
9위브레이킹 배드
10위심슨 가족
11위치어스
12위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13위신혼여행자들
14위Law&Order
15위앤디 그리피스 쇼
16위명작 극장
17위캐럴 버넷 쇼
18위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19위오프라 윈프리 쇼
20위딕 밴다이크 쇼
21위매드맨
22위투나잇 쇼 위드 조니 카슨
23위힐 스트리트 블루스
24위60분
25위엑스파일
26위코스비 가족 만세
27위건스모크
28위프렌즈
29위ER
30위세서미 스트리트
31위에드 설리번 쇼
32위로잔느 아줌마
33위형사 콜롬보
34위월튼네 사람들
35위택시
36위로스트
37위유어 쇼 오브 쇼스
38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39위서바이버
40위섹스 앤 더 시티
41위레이트 나잇 위드/쇼 데이비드 레터맨
42위웨스트 윙
43위모던 패밀리
44위뉴욕경찰 24시
45위제퍼디!
46위바니 밀러
47위달라스
48위아메리칸 아이돌
49위밥 뉴하트 쇼
50위더 실드
51위세인트 엘스웨어
52위빅뱅 이론
53위더 데일리 쇼 위드 존 스튜어트
54위더 골든 걸스
55위살인: 길거리의 일생
56위래리 샌더즈 쇼
57위배틀스타 갤럭티카
58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59위굿 와이프
60위내 사랑 레이몬드
2013년 발표 / 출처



롤링 스톤 선정 100대 TV쇼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위소프라노스
2위더 와이어
3위브레이킹 배드
4위매드맨
5위사인펠드
6위심슨 가족
7위환상특급
8위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9위올 인 더 패밀리
10위더 데일리 쇼
11위프릭스 앤 긱스
12위왕좌의 게임
13위레이트 나잇 위드 데이비드 레터맨
14위래리 샌더즈 쇼
15위웨스트 윙
16위M.A.S.H.
17위트윈 픽스
18위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19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20위치어스
21위더 오피스(영국)
22위루이
23위데드우드
24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25위부통령이 필요해
26위프렌즈
27위못말리는 패밀리
28위엑스파일
29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30위투나잇 쇼 위드 조니 카슨
31위세서미 스트리트
32위왈가닥 루시
33위사우스 파크
34위30 Rock
35위마이 소 콜드 라이프
36위Law&Order
37위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38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39위로스트
40위더 실드
41위신혼여행자들
42위뉴욕경찰 24시
43위더 아메리칸즈
44위형사 콜롬보
45위배틀스타 갤럭티카
46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47위락포드 파일즈
48위더 오피스(미국)
49위택시
50위ER
51위파고
52위콜베어 르포
53위밥 뉴하트 쇼
54위머펫 쇼
55위식스 핏 언더
56위24
57위폴티 타워즈
58위뿌리
59위힐 스티리트 블루스
60위비비스와 버트헤드
61위유어 쇼 오브 쇼스
62위섹스 앤 더 시티
63위케빈은 열두살
64위샤펠 쇼
65위해피 데이스
66위다운튼 애비
67위별난 커플
68위더 스테이트(1993)
69위에드 설리번 쇼
70위로잔느 아줌마
71위미스터 쇼 위드 밥 앤 데이비드
72위걸스
73위트렌스페어런트
74위렌과 스팀피
75위아메리칸 크라임 스토리:사람들 vs OJ 심슨
76위레이트 나이트 위드 코난 오브라이언
77위워킹 데드
78위써티썸씽
79위인 리빙 컬러
80위도망자
81위댈러스
82위더 제퍼슨스
83위하우스 오브 카드
84위리얼 타임 위드 빌 마허
85위더 리얼 월드
86위굿 타임스
87위닥터 후
88위파티 다운
89위홈랜드
90위딕 밴다이크 쇼
91위브로드 시티
92위아메리칸 아이돌
93위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
94위제퍼디!
95위Key & Peele
96위건스모크
97위포틀랜디아
98위더 골든 걸스
99위오즈
100위이스트바운드 앤 다운
2016년 발표 / 출처



역대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코미디 시리즈 부문
제25회
(1973년)
제26회
(1974년)
제27회
(1975년)
All In the Family매쉬The Mary Tyler Moore Show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M%2AA%2AS%2AH_TV_title_screen.jpg

위 영화의 속편 제작 계획이 엎어지자 대신 만들어진 시트콤. 1972년부터 1983년까지 전 256부작에 걸쳐 11년간 방영했다. 한국에서도 AFKN으로 방영했다. 주연은 앨런 알다.

미국에서는 지금도 최고의 드라마 중 하나로 꼽히는 작품으로, 최종화는 미국 최고 시청률인 40%를 기록했다. 1983년의 시리즈 피날레의 시청자는 1억 600만 명으로 시청률 60.2%, 슈퍼볼을 넘어선 역대 최고 시청자수이자 시청률이라고 한다.


3.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A.S.H./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한국에 대한 묘사[편집]


사실 영화, 드라마 중 초기 시즌에선 당시의 유행인 베트남전 비판, 즉 아시아의 어떤 나라에서 싸우는 군과 높으신 분들을 비판하는 작품으로, 그러다보니 한국을 베트남처럼 묘사했다. 사실 한국 고증만 뭐라하긴 좀 그런 게, 애당초 배우들도 1950년과는 안 어울리는 외모이다. 미국에서 베트남 전쟁과 한국 전쟁의 이미지가 묘하게 뒤섞여 버린 탓이기도 하다. 이것 때문에 한국이 눈이 내리지 않는 아열대, 열대 국가인줄 아는 미국인들도 있다. 단, 드라마가 진행될 수록 한국스러움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추가되어, 정주행을 하면 현지인 복장 고증이 조금씩 나아지는게 눈에 띌 정도다. 기후 묘사는 다소 억울한 점이 있는게, 드라마에선 극 초반인 시즌 2 부터 화씨 온도 영하로 떨어지는 날씨를 묘사하는 에피소드가 나왔고, 그 후로도 잊을만 하면 꼭 한번씩 겨울 에피소드, 혹은 추워지는 날씨에 대한 묘사를 담은 에피소드가 등장했다. 다만 촬영장이 캘리포니아 남부라 눈이 내리는 묘사가 하나도 없을 뿐.

한국인이 베트남 삿갓이나 베트남 옷을 입고 나오고[5] 더구나 등장하는 한국인이 도둑이나 사기꾼같이 죄다 부정적으로 나온다. 이건 원작도 그렇지만 100% 비난이라고 하기도 어려운 게 전쟁 당시 하우스 보이나 양공주에 관한 이야기들을 보면 적어도 한국전쟁에 대한 이미지는 마찬가지이기는 했다. 원작이나 영화, 드라마 모두 기지촌을 얼쩡거리다 주인공들에게 구원받는 하우스 보이가 중심 인물이다. 묘사로는 베트남을 따라서 한국에서는 아이를 미스터라고 부른다느니, 한국에서 보면 도저히 이해 못할 상상으로 마음껏 한국이랍시고 이야기한다.

이처럼 매시의 한국 묘사는 미국인이 생각하는 한국 이미지를 좋지 않은 쪽으로 정형화하는 데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이로인해 LA 아리랑 각본을 쓴 재미 한국인 백현락은 1990년대에도 이 드라마 때문에 한국을 베트남 같은 동남아 국가로 아는 이들이 많다며 비판했으며, 2000년대 후반에 한국에 출간한 재미교포 강사가 쓴 미국 생활 책자에도 여전히 이 막장 드라마(라고 썼다.)가 인지도가 높아 한국을 왜곡하는 원흉이라고 울분을 쏟으며 비판했을 정도이다.[6]

이렇다보니 사정을 알지 못하는 한국 사람들은 한국을 베트남처럼 묘사한 것도 모자라 코미디물로 희화까지 했으니 평이 좋을리가 없다. 한국에서도 AFKN을 통해 방영은 했지만, 한국어 더빙은 안되었으며, 1990년대 추적 60분에서는 한국을 왜곡한 엉터리 드라마로 비난했다.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e0006522_57fe0ffe4d37f.jpg
게다가 "야전병원 매쉬"[7]란 제목으로 비디오로 나온 영화는 80분도 안되는 상영 시간으로 40분이 넘게 잘려나가 백인들이 베트남같은 곳이 한국이라고 나와 횡설수설하다 끝나는 쓰레기 영화가 되어버렸다. 1990년대 열려라 비디오 가이드 5000같은 비디오 소개 책자에서도 한국을 까는 쓰레기 영화로 로버트 올트먼의 유명세와 한국을 모르는 미국에서 그저 베트남전 대신 이런거라고 비하하며 지들끼리 웃으며 즐기며 칸 영화제 대상을 받았다고 악평했다.

월간 키노나 로드쇼같은 영화지에서도 호평을 하면서도 영화 속 한국 이미지와 드라마 속 한국인 이미지를 보면 한국인으로서 좋게 봐줄 수 없다고 선을 그었으니 말 다했다.

파일:external/s3cf.recapguide.com/MASH-Season-5-Episode-16-50-2ff3.jpg
파일:external/s3cf.recapguide.com/MASH-Season-8-Episode-15-39-a376.jpg
하지만 영화와 다르게 드라마는 극이 진행될수록 한국적 느낌을 살리기 위해 점점 노력한다.[8] 또한 제작진과 프로듀서들은 이례적으로 실제로 한국 내 미군 부대를 방문해 한국의 모습과 미군들의 생활상을 묘사하는데 집중하는 모습도 보였다. 그리고 단역들은 원래 죄다 중국인이나 아무 동양인들[9]로 캐스팅을 했는데 한 에피소드에 조연급으로 나온 한국 통역장교는 한국인 배우가 맡았고 한국어도 잘 구사한다.


5. 주제곡[편집]




감독 로버트 올트먼은 영화에서 주인공들이 가짜 장례식을 치르는 장면에 들어가는 곡의 작사를 자신의 15살 아들 마이크에게 맡겼는데, '멍청한'(stupid) 가사를 써야했는데 자기는 너무 나이가 들어 그러기 힘들었다는 이유였다. 그런데 막상 가사는 멍청하다고 보기 힘들 정도로 철학적이었고, 영화 개봉 후 노래가 성공을 거두고 TV 시리즈 주제가로도 쓰이며[10] 아들의 한 해 로얄티가 백만 달러를 능가해 올트먼의 영화 수익보다 더 많았다고 한다.

1절
Through early morning fog I see
Visions of the things to be
The pains that are withheld for me
I realize and I can see
-
이른 아침 안개 너머로 보여요
있을 일들의 모습이
아직 내게 오지 않은 고통이
나는 깨달았고, 이제는 알아요
(후렴)
That suicide is painless
It brings on many changes
And I can take or leave it
If I please
-
자살은 아프지 않다는걸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는걸
만약 내가 원한다면
선택할 수 있다는걸
2절
The game of life is hard to play
I'm gonna lose it anyway
The losing card I'll someday lay
So this is all I have to say
-
인생이라는 게임은 하기 어렵죠
전 어쨌든 질거에요
언젠가 꽝 카드를 뽑겠죠
그러니 제가 할 말은 이것 뿐이에요
(후렴)
3절
The sword of time will pierce our skins
It doesn't hurt when it begins
But as it works its way on in
The pain grows stronger, watch it grin
-
시간이라는 검이 우리 피부를 뚫겠죠
처음에는 아프지 않을거에요
하지만 깊이 들어가며 효과가 나와요
고통은 점점 더 커지죠, 그게 웃는걸 봐요
(후렴)
4절
A brave man once requested me
To answer questions that are key
"Is it to be or not to be?"
And I replied, "Oh, why ask me?"
-
한 용자가 제게 말했죠
중요한 문제에 대답해달라고
"죽느냐 사느냐?"
그래서 대답했죠 "아 왜 나한테 물어?"
(후렴)
And you can do the same thing
If you please
-
그리고 당신이 원한다면
당신도 할 수 있어요


6. 기타[편집]


도망자와 함께 가장 기억나는 최종화로 유명한 미국 드라마다.

소재를 위해 1970년대 주한미군 기지를 팀에서 방문한 적도 있고 한국전쟁 참전 미군들에게 왜곡 작품이라고 까인적도 있다.

이 작품의 세트는 머나먼 정글 시즌 2~3에서 빌려 썼다. 오프닝의 헬기 장면과 머나먼 정글에서의 특수부대 기지 장면이 비슷한 게 그런 이유 때문이다.

작품 캡처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즌 번호를 눌러 보자.

이외에도 스핀오프가 3개나 제작되었다.

1979년에 제작된 첫 번째 스핀오프 트래퍼 존(Trapper John, M.D.)은 본작의 초반 중요 인물인 트래퍼 존이 본작으로부터 28년 후에 샌프란시스코 수석 외과의로 나온다는 내용으로 1979년부터 1986년까지 총 7개 시즌으로 방영했고 본작이 종영하고 7개월 후에 나온 두번째 스핀오프 애프터 매시(AfterMASH)는 2개 시즌만 제작되었으며 종영 1년 후인 1984년에 세번째 스핀오프 월터(W.A.L.T.E.R)를 제작하였지만 파일럿만 제작하고 정규 편성은 되지 않았다.

1983년 토론토 저널리스트로 일하던 폴레트 부르주아가 임신을 했을 때 아기를 데리고 인터뷰를 하고, 오랜 시간 일하기 힘들기 때문에 동화를 쓰기로 결정한 후 아이디어를 찾던 중 이 드라마에서 밀실공포증이 있고 어둠을 무서워하는 캐릭터 호크아이 피어스를 보고 거북 껍질 속에 들어가기 싫어하는 거북에 대한 걸 떠올린다. 이후 1986년 동화 프랭클린을 쓰게 되고, 그 뒤 1997년부터 애니메이션화 되었다. 링크

[1] Mobile Army Surgical Hospital. 이 약자가 바로 M.A.S.H.다. 점 찍기 귀찮으면 그냥 MASH로도 쓴다. 여담으로 대한민국 육군에도 이동외과병원이 존재하였으나 대부분 1970년대에 해체되었으며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205, 208, 215이동외과병원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해체되었다. 즉, 현재 대한민국 육군에 이동외과병원은 존재하지 않는다.[2] 한국전을 다룬 수많은 미국 소설들은 한국전 자체에 대해서는 비판하지 않는다. 침략 전쟁에 맞선다는 정당성이 있어 비판할 이유가 없기 때문인 듯. 전쟁에 대한 비판은 베트남 전쟁 소설/수기에서 자주 나타난다.[3] 올트먼이 매시 이후 많은 작품을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흥행 수익에서 매시를 넘는 작품은 없었다.[4] 드라마와 영화 둘 다에 출연한 레이더 역의 게리 버고프는 단순히 영화가 드라마의 성공에 가려진 것에 대한 불만이라고 생각한다는 인터뷰를 남긴 바 있다.[5] 다만 세트는 캘리포니아 남부인지라 야자수는 잘 없다.[6] 한류열풍으로 한국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진 지금은 외국에 가서 한국인이라 하면 외국인들이 한국 가수나 드라마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꺼내는 편이나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외국에 가서 한국인이라고 하면 가난한 나라에서 왔다고 하거나 북한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다.[7] 이동외과병원이라는 용어가 낯설어 오역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야전병원은 Field Hospital이라고 하며 이동외과병원보다 상급의 군병원이고, 야전병원 다음의 후송단계로는 후송병원이 있다. 현재 대한민국 국군은 야전병원과 후송병원을 별도로 구별하지 않고 국군병원으로 운영한다. 굳이 따지자면 전방병원이 야전병원의 역할을, 후방병원이 후송병원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긴 하다.[8] 미군 부사관의 하인으로 등장하는 한국인 여자아이가 마과를 입고 존칭으로 을 붙여서 말하는걸 보면 드라마 초반부 한국 묘사는 절대 좋다고 할 수 없다.[9] 그 중 한명인 한국계 미국인 배우 바이런 정(Byron Chung)은 훗날 드라마 LOST에서 권진수의 장인 백 회장 역을 맡았다. 당시 드라마에서 맡은 역은 4화의 북한군 사병 역.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yron_Chung-dear_ma.jpg[10] 다만 가사없이 음악만 쓰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꼬마거북 프랭클린 문서의 r4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꼬마거북 프랭클린 문서의 r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03:54:05에 나무위키 M.A.S.H.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