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버스 서울호남-광주

덤프버전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각표
4.2. 운임표
5. 연계 철도역
6. 기타


1. 노선 정보[편집]


고속버스 서울호남 - 광주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호남_광주종합.png

기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센트럴시티)
종점
광주광역시 서구 광천동(광주종합버스터미널)
광주행
첫차
05:30
서울행
첫차
04:00[월]
막차
01:00(화~금)
02:00(토~월)
막차
00:45(화~금)
01:00(토)
02:00(일~월)
배차간격
수시운행[1][2]
운수사명
금호고속, 중앙고속
인가대수
166대[3]
상세 노선
센트럴시티 - 잠원IC/반포IC- 경부고속도로 - 천안JC - 정안알밤휴게소[4] - 논산천안고속도로 - 논산JC - 호남고속도로 - 비아[5] - 동림IC - 빛고을대로 - 무진대로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2. 개요[편집]


서울특별시광주광역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금호고속중앙고속에서 운행하고 있다.

소요시간은 휴게소 15분 휴식을 포함하여 약 3시간 30분[6], 거리는 터미널에서 터미널 기준 약 291km. 주로 상행선은 이인휴게소, 하행선 탄천휴게소에서 쉬며, 심야시간대는 상행 천안삼거리휴게소, 하행 이서휴게소에서 쉬거나 무정차로 운행할 때도 있다. 매 시간대에 30분에 출발한 우등고속버스는 정안알밤휴게소로 들어간다.

3. 역사[편집]


  • 1967년에 금호고속이 '광주여객[7]'의 사명으로 광주-서울 직행버스 운행을 시작한 것이 이 노선의 시초이며, 동시에 금호고속의 시초이기도 하다. 지금도 금호고속의 최고 주력 노선이다. 금호고속 홈페이지[8]

  • 1970년 6월 19일 일부시간대에 한해 공주경유했다.[9]




  • 1992년부터 우등고속버스를 도입, 운행을 개시하였다.

  • 같은 해에 광주측 터미널이 현재의 유스퀘어로 변경했다.




  • 프리미엄 버스 도입 당시 서울 ↔ 부산 노선과 함께 프리미엄 버스 시범운행 노선으로 지정되었고, 이에 따라 2016년 11월 25일부터 프리미엄 버스를 투입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4. 특징[편집]


운행계통
서울호남
정안알밤[10]
비아(광주행)
광주
고속




  • 금호고속과 중앙고속의 주력/간판 노선으로, 고속버스 노선 중에서 인가대수가 제일 많은 노선이다. 한편 전국 시내버스 중에서 인가대수가 제일 많은 노선은 부천 버스 88이다. 한 마디로 이 노선은 고속버스계의 부천 88번, 서울 9401번, 옛 19번, 옛 1005-1번[11] 같은 존재.

  • 전국 고속버스 노선 중 운행횟수가 가장 많으며, 고속버스 치고는 어마어마한 배차간격으로 유명하다.[12] 그만큼 수요가 잘 나오는 노선인지라 신차 투입 1순위이긴 하지만 금호고속 비중이 훨씬 높다보니 차급 복불복이 다소 심하다. 구형차, 중간차, 특A급 신차가 골고루 있는 편. 반면, 중앙고속은 대부분 시간대의 차급이 좋은 편이다. 금호고속이 훨씬 횟수가 많지만, 차급은 금호고속보단 중앙고속이 더 좋은 편이다.[13]

  • 상술한 것처럼 많은 운행 횟수로 인한 혼잡 발생 및 차량 오인승차 우려로, 일부 시간대만 정안알밤휴게소를 경유한다. 정안알밤휴게소를 경유하지 않는 차량은 이인휴게소(서울행), 탄천휴게소(광주행), 이 두 휴게소에서 주로 쉬었다 간다.

  • 한때 비아정류소에서 중간 하차하였으나, 지금은 명목상으로 모든 차량이 비아에 정차한다. 비아행으로 발권이 따로 되는 것은 아니고, 똑같이 광주행을 발권하고 타야 한다. 일부 차량만 경유했을 때에는 정안알밤휴게소와 마찬가지로 전부 다 경유하면 혼잡해지기 때문에 이렇게 하였으나, 지금은 출발 전에 비아 하차 승객을 확인하고 해당 인원이 없으면 무정차 통과하기 때문에 굳이 그렇게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 광주발은 24시간 운행을 했으나, 코로나19의 창궐 후에는 임시로 배차간격이 길어졌다.[14]

  • 예나 지금이나 고속/시외버스를 통틀어 엄청난 수요로 유명한 노선이지만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조금 시들해져서 1분 배차는 명절때가 아니면 옛말이 되었고[15] 현재 이용객 1위는 시외버스 서울 ↔️ 천안 노선에 1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하지만 3시간이 넘는 장거리 노선 중에서는 여전히 독보적이며, 특히 논산천안고속도로가 개통되었지만 KTX호남고속선 1단계가 개통하기 전인 2003년 ~ 2015년 3월말 까지가 이 노선의 최대 전성기였다. 호남고속선 1단계 개통 전까지의 호남선 KTX는 가격 대비 시간 단축효과가 너무 떨어져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 총 거리는 291km[16]이고, 호남선 고속버스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노선이다. 수요가 전국 고속버스 가운데 압도적 1위인 장거리 노선인 만큼 앞으로도 전국 고속/시외버스 매출 1위 노선 자리는 확고하게 지킬 것이다.

  • 총 루트는 주로 경부 - 천안논산 - 호남 순으로 타는데 경우에 따라 경부 - 호남지선 - 호남[17] 순으로 가는 일도 있다.

  • 배차가 많은데다 광주터미널이 호남 지역 전체의 교통 허브 역할도 하다 보니 목적지가 광주가 아닌 다른 목적지로 환승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인 데가 장성, 담양, 나주, 화순, 장흥, 강진, 해남, 완도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 2022년 8월 기준 비아정류소 건너편에 기존 졸음쉼터를 비아정류소 승차홈 공사가 거의 마무리되었고 간판 또한 새겨져있다. 추후 비아정류소 승차홈이 정식으로 이용 가능 시 이 노선은 중간 경유지 노선에 합류하게 된다.[18] 완공되고 정식 개장한 현재는 08시~17시 출발시간대 일부 차량들이 중간정차하여 승객을 받는다.[19]

  • 논산천안고속도로 개통 전까지는 여산휴게소를 경유하였다.[20]

4.1. 시각표[편집]


코버스 상으로는 3시간 20분[21]으로 되어있는데 이 소요시간은 단 한번도 안 막히고 신호도 한번도 안막히고 완전 논스톱으로 주행 시 기준이고, 사실상 3시간 30분 ~ 4시간이라고 보면 된다.[22](정체구간 발생 시 최소 4시간 이상 소요) 이는 상행선도 마찬가지다.[23]

4.2. 운임표[편집]



일반
우등
프리미엄
심야일반
심야우등
심야프리미엄
할증일반
할증우등
할증프리미엄
성인
19,000원
28,100원
36,500원
20,900원
30,900원
40,100원
22,800원
33,700원
43,800원
아동
9,500원
14,100원
18,300원
10,500원
15,500원
20,100원
11,400원
16,900원
21,900원

5. 연계 철도역[편집]



6. 기타[편집]


  • 2017년 한국시리즈 5차전 당시 전 편이 매진된 사례가 있다.[24]관련 사이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5:57:33에 나무위키 고속버스 서울호남-광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월] 03:00[1] 보통은 5 ~ 20분, 명절 등 수요 폭등 시에는 사람 다 차는 대로 출발 2020년도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거리두기 여파로 평일에는 일 50 ~ 60회 주말에는 일 100 ~ 110회 가량만 운행하였다. 2023년 현재는 단계적 일상회복 시대로 도래함에 따라 배차간격이 코로나 이전 시절로 다시 좁혀졌다.[2] 이에 견줄만한 노선은 줄서서 탑승하는 시외버스 부산서부-창원·마산시외버스 부산서부-김해장유 정도 뿐이다. 이들 노선도 승객들이 붐비는 피크시간대에는 배차간격이 5분 이내로 좁혀진다.[3] 금호 133대중앙 33대로 구성된다. 금호고속의 제1노선인 만큼 자사 인가차량이 압도적으로 많을 수 밖에 없는데, 놀랍게도 중앙고속 역시 자사 인가차량이 제일 많은 노선이다.[4] 매 시간 30분에 출발한 버스만 이 휴게소로 들어오고 나머지 시간대 차량들은 주로 이인휴게소(서울행), 탄천휴게소(광주행)에서 들어간다. 심야시간대는 여산휴게소에서 쉴 때도 있다.[5] 광주행은 희망시 정차. 하차만 가능. 상행선 일부 차량 정차.[6] 코버스에는 3시간 20분으로 나와있다.[7] 광주고속으로 바뀐것은 대한민국에 고속버스라는 개념이 처음 생긴 1970년부터다.[8] 처음부터 금호고속 독점인줄아는데... 처음부터는 아니였고, 중앙,한진,동양,금호 4개사 공배였다... 접차 금호가 인수하면서 금호/중앙 2개사 공배체제로 바뀐것이다. 즉, 중앙시간분은 그대로 다니고 금호시간대는 기존 동양,한진인수분이여서 횟수가 많아진것뿐이다.[9] #[10] 호남지선 경유 시 옥산(하행)/신탄진(상행)휴게소 정차. 심야시간대에는 여산휴게소에 정차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이서휴게소에 정차하기도 하였다. 사실상 기사 마음인 듯.[11] 다만 이 노선은 신흥 강자 등장의 영향으로 20대 가량으로 감차당했다.[12] 서울 ↔️ 부산 고속버스 노선의 인가대수도 40여대 정도밖에 안된다. 이는 부산 거리가 광주보다 더 멀어서(광주 291km, 소요시간 3시간 30분 ~ 4시간. 부산 380km, 소요시간 4시간 10분 ~ 4시간 40분.) 경부고속철도김포국제공항항공기 이용 비중이 버스에 비해 압도적이기 때문이며, 버스 자체적으로도 서부산행 고속버스나 시외버스 등의 대체재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부산역김해국제공항,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의 접근성이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 비해 좋기 때문이기도 하다. 경부고속선은 선형이 전세계에서 수준급에 들어갈 정도로 일직선 구간이 대부분이고, 경부선 철도도 선형이 중부내륙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와 차이가 없을 정도로 비교적 우회 코스가 적어 이용객이 많다. 반면 광주의 경우 서대전을 거쳐 가는 호남선 철도는 논산천안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에 비해 돌아가며, 호남고속철도경부고속철도에 비하면 선형이 좋은 편이 아니고, 광주공항에서 김포로 오가는 항공편은 편도 기준 아시아나항공 하나만으로 1일 2회 밖에 안된다. 게다가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의 접근성이 광주송정역광주공항에 비해 나은 편이며, 호남권은 여객열차 편수가 영남권보다 적다. 소요시간과 거리를 생각해본다면, KTX 개통 이전의 서울 ↔️ 동대구 노선이 5분 배차였던 관계로 광주, 대구와 함께 장기군림하긴 했다.[13] 금호고속의 배차가 압도적 이어서 잘 알지 못하는 사실 인데 중앙고속에서도 제일 많이 배차 되어 있는 노선이 서울 - 광주 노선이다. 서울 - 부산 배차 대수의 2배 이상 배차되어 있다.[14] 원래 5 ~ 20분 배차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평일은 1일 50 ~ 60회로 크게 줄었고, 주말에는 1일 100 ~ 110회 정도 운행하고 있다. 금~월 광주발의 경우, 1시 반차와 더불어 3시에 심야할증 우등/프리미엄 임시차를 편성하여 24시간 운행이 간혹 보이기도 한다. 그러다가, 방역 완화로 인해서 다시 코로나 이전 배차간격으로 되돌아왔다![15] 물론 명절이 아니더라도 휴가철만 되면 1분까지 줄어들기도 한다.[16] 호남지선 경유 시 300 ~ 320km. 산악지형+동고서저 지형을 지닌 우리나라 특성상 서쪽인 서울에서 동쪽인 경상도/강원도로 가는 경부, 영동선은 소백산맥을 비롯하여 내륙의 험준한 산지를 뚫고 가야 하다보니 대부분의 노선들이 구불구불한 루트로 되어있다. 반면 호남선은 지형이 비교적 험하지 않은 경로로 남쪽으로만 쭉 내리꽂는 일직선에 가까운 구간이라 경부선보단 낫다.[17] 주로 명절연휴 시에 이와 같은 루트 이용. 심지어 명절연휴 아니어도 천안 분기점 정체 시 회덕 분기점 에서 빠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호남지선 유성 나들목까지 서울 ↔ 유성 고속버스와 운행구간이 완전히 겹친다.[18] 다만 공간은 그렇게 넓지 않은데다 고속도로에 위치한 특성 상 승차 후 곧바로 출발해야 하는 관계로 모든 시간대에 경유할 지 일부 시간대에만 경유할 지는 향후 지켜봐야 한다.[19] 취급노선은 서울, 동서울, 의정부, 수원, 인천, 용인, 대전, 유성, 청주, 원주, 춘천, 전주행이다. 천안행과 안산 경유 시흥시화행은 중간승차가 불가능하며, 두 노선은 정안휴게소에서 환승해야한다.[20] 심야 시간대나 일부 프리미엄 버스는 여산을 아직도 경유한다.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호남선 장거리 노선의 중간 휴게소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중.[21] 루트가 경부 - 천안논산 - 호남 가는 경우만 해당. 호남지선으로 간다면 최소 3시간 40 ~ 50분, 거리는 300 ~ 320km이며 이것도 한번도 막히지 않고 최고전속력으로 주행 시 얘기고 호남지선 경유 시 평소에는 3시간 50 ~ 4시간이다.[22] 단, 심야 시간대에는 최소 2시간 50분 ~ 3시간 20분 소요(휴게소 정차 시간이 10분 미만일때와 신호도 한번도 빨간불이 아닐때와 최고전속력으로 주행 시 기준)[23] 심야시간에는 휴게소 정차 시간이 3분 미만일때 2시간 50분 ~ 3시간 10분만에 도착할 때도 있다. 왜냐하면 새벽시간대에는 정체구간이 하나도 없고 최고전속력으로 달리기 때문.[24] 계속된 증편으로 배차 간격이 2분까지 줄어드는 일까지 생겼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