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용균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헌
신익희 김약수 윤치영
김동원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장택상 김동성
조봉암
조봉암
윤치영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최순주 조경규
곽상훈
조경규
황성수 이재학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이재학
한희석 임철호
김도연
이재형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이영준
서민호
소선규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나용균
장경순
이상철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윤제술
장경순
정성태
제8대
장경순
정해영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김진만
이철승
구태회
이민우
제10대
민관식
고흥문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채문식
김은하
윤길중
고재청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최영철
김녹영 조연하
공석
장성만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노승환
김재광
김재광
조윤형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황낙주
허경만
이춘구 이한동
홍영기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오세응
김영배
신상우
김봉호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홍사덕 김종하
김종호
김태식
조부영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김덕규
박희태
이용희
이상득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이윤성
문희상
정의화
홍재형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이병석
박병석
정갑윤
이석현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심재철
박주선
이주영
주승용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김상희
정진석
김영주
정진석 정우택

역대 국회의장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6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나용균
羅容均 | Na Yong-gyun


파일:나용균.jpg

출생
1896년 2월 25일[1]
전주부 고부군 북부면 운학동[2]
(現 전라북도 정읍시 영원면 운학2길 14-6)
사망
1984년 7월 6일 (향년 88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33-58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1가)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제1유공자묘역 25호[3]
본관
나주 나씨[4]

백봉(白峰)
재임기간
제6대 보건사회부 장관
1960년 9월 12일 ~ 1961년 1월 29일
제6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963년 12월 17일 ~ 1965년 12월 16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나도진
형제자매
형 2명
배우자
박귀례
자녀
슬하 6남 1녀
학력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부 (정치학 / 중퇴)
의원 선수
4
의원 대수
1, 4, 5, 6
경력
제헌 국회의원 (정읍군 갑)
제4,5대 민의원 (정읍군 갑)
제6대 보건사회부 장관
제6대 국회의원 (정읍군)
제6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서훈
건국포장 수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그의 장남 라종일김대중 정부 때 국가정보원 차장을 역임하였다.

2. 생애[편집]


1895년 전라도 고부군 북부면 운학동(현 전라북도 정읍시 영원면 운학리)에서 건릉참봉을 지낸 나도진(羅燾珍)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본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부 정치학과에 유학하고 있던 중인 1918년, 미국 대통령 토머스 우드로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원칙 발표와 제1차 세계대전 종결로 인한 식민지 국가의 독립분위기에 따라 도쿄에서 김도연 등 다른 유학생들과 3.1 운동 직전에 2.8 독립선언을 발표하였다. 같은 해 4월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속하여 독립운동을 하였다.

1945년 8.15 광복 이후 귀국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전라북도 정읍군 갑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국민당 후보로 전라북도 정읍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신석빈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국민당 후보로 전라북도 정읍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김창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전라북도 정읍군 갑 지역구에 출마하여 자유당 김창수 후보에 설욕하고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 구파에 속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뒤이어서 대한민국 국회에서 대통령 간선제에 따라 치러진 제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같은 해 9월부터 1961년 1월까지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전라북도 정읍군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3년부터 1965년까지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1967년 신민당을 탈당하고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다.#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수여되었으며, 그의 사후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호 백봉을 따서 대한민국 국회에서 백봉신사상이 수상되고 있다.

3. 기타[편집]


원래 성은 인데, 두음법칙 때문에 사전에는 씨로 나오는 것이다. 이분의 아들들은 본인의 성을 씨로 표기한다. 장남 라종일 교수와 통일문화연구원 이사장인 라종억 씨가 대표적. 또한 위에 언급된 백봉신사상의 수여단체 정식 명칭 또한 '백봉라용균기념사업회'이다. 라미란의 경우에도 과거 데뷔 초 언론에서 '나미란''이라고 표기한 적이 많았다. 2007년 법이 개정되어 대법원이 호적예규 변경을 통해 두음법칙을 적용하는 성씨(姓)에 예외를 둠에 따라 '라'씨로 정정신청을 할 수 있게 되어서 신청한 사람들이 있지만 실제로 신청할 때 아버지 호적까지 라씨로 바꿔야 하는 규정이 있어 행정상 복잡한 부분도 있고 하기에 대부분의 라씨들이 안 하는 걸로 알려져 있다. 라미란의 경우에는 이를 신청하여 이후 언론에서 나미란이 아닌 라미란으로 표기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북 5[A]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

무투표 당선
당선(1위)
초선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13[A]


15,786표 (34.77%)
낙선(2위)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9,613표 (22.73%)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15[A]


26,356표 (54.24%)
당선(1위)
재선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25,950표 (53.46%)
3선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8[5]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20,876표 (28.36%)
4선


5.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01:43:27에 나무위키 나용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음력 1895년 11월 25일.[2] #[3] 현충원에는 라용균이란 이름으로 안장되어 있다.[4] 금양군파(錦陽君派) 25세 균(均) 규(圭) 기(基) 항렬. 아버지 나도진은 24세 도(燾) 항렬.[A] A B C 정읍군 갑[5] 정읍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