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항공우주군

최근 편집일시 :





러시아 연방 항공우주군
Воздушно-космически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КС России)

Aero-Cosmic Forces of the Russian Federation
파일:러시아 항공우주군기.svg파일:러시아 항공우주군 휘장.svg
깃발엠블럼
창설일2015년 8월 1일
기념일8월 12일(항공우주군의 날)
지휘체계파일:러시아 연방 국방부 휘장.svg 러시아 국방부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
소속러시아 연방군
병력165,000명(2020년)
주임무공중작전, 방공작전, 우주작전, 위성 관리
전신파일:러시아 공군기.svg 러시아 공군[1]
러시아 항공우주방위군[2]
참전2018년 케르치 해협 위기
2019년 시베리아 산불
시리아 내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총사령관빅토르 아프잘로프 상장
웹사이트파일:러시아 항공우주군 휘장.svg

Мы рождены, чтоб сказку сделать былью,
реодолеть пространство и простор,
Нам разум дал стальные руки-крылья,
А вместо сердца - пламенный мотор.
공간과 광활을 초월하여 이야기를
진실로 만들기 위하여 우리는 탄생했다.
우리에게 이성이 강철의 날개를 주었고,
마음은 열렬한 엔진을 대신한다.
Бросая ввысь свой аппарат послушный
Или творя невиданный полёт,
Мы сознаём, как крепнет флот воздушный,
Наш первый в мире пролетарский флот!
자신의 충직한 기체를 상공으로 날리면서,
혹은 놀라운 비행을 행하면서,
공군이 어떻게 강대해 지는가를 우리는 알게 되리라,
우리 세계 최초의 프롤레타리아 편대가!
- 러시아 항공우주군 대표 군가 중 일부 (항공행진곡)

1. 개요
2. 예하 조직
2.1. 러시아 공군
2.2. 러시아 우주군
4. 전력
5. 러시아 연방 항공우주군 총사령관
5.1. 역대 총사령관
7. 외부 링크
8. 관련 문서
9. 둘러 보기



1. 개요[편집]


러시아의 공군 장거리 공군 연합, 전선 공군 연합, 군사수송항공군연합, 공군예비군, 방공군, 우주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련 공군과 방공군의 후신으로서, 두 군종을 통합시켜 계승했다.[3] 또한, 육군 항공대가 보유하고 있던 헬기 전력도 2003년부터 공군으로 통합되었다.

2015년 8월 1일부로 독립 군종이던 우주군공군 예하로 통합되었고, 공군의 정식 명칭도 항공우주군(Воздушно-космическими силами)으로 변경되었다. 따라서 현재 항공우주군은 공군, 방공군, 우주군 3개 군종이 통합된 거대한 조직이 되었다.


2. 예하 조직[편집]



2.1. 러시아 공군[편집]


러시아 연방 공군
Военно-воздуш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ВС России)[4]
Military-Aviation Force of the Russian Federation
파일:external/ad71d43975621cc4967741728942a88d632f66971e68ceb07f3684d51f8782d3.png
러시아 연방 공군 엠블럼
파일:러시아 공군기.svg
러시아 연방 공군기
창설년도1992년 5월 7일
기념일8월 12일(항공우주군의 날)
국가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명령
체계
러시아 국방부
임무제공권 확보, 공중정찰, 지상지원
소속파일:러시아 항공우주군기.svg 러시아 항공우주군
군종공군
전력148,000명
행진곡<Всё выше и выше!>
모두 높이 더 높이!
전신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공군
파일:attachment/소련군/sov_f.jpg 소비에트 연방 공군
파일:attachment/소련군/sov_f.jpg 소비에트 연방 방공군
참전타지키스탄 내전
제1차 체첸 전쟁
타게스탄 무장세력 전쟁
제2차 체첸 전쟁
남오세티야 전쟁
북캅카스 반란
크림 위기
시리아 내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지휘
총사령관세르게이 드로노프(Сергей Дронов) 중장
러시아 연방공군 홈페이지(러시아어)

2.2. 러시아 우주군[편집]


러시아 우주군
Космические войска России(КВР)
Russian Space Forces
파일:러시아 우주군 중형 엠블럼.svg
러시아 우주군 중형 엠블럼
파일:러시아 우주군 군기.svg.png
러시아 우주군기
파일:러시아 우주군 대형 엠블럼.svg
러시아 우주군 대형 엠블럽
창설년도2001년 1월 1일~ 2011년 12월 1일
2015년 8월 1일 ~ 현재
기념일10월 4일(우주군의 날)
국가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명령
체계
러시아 국방부
임무우주작전 및 위성관리
소속파일:러시아 항공우주군기.svg 러시아 항공우주군
전신파일:러시아 우주군 군기.svg.png 러시아 항공우주방위군
군종우주군
지휘
총사령관알렉산드르 골로프코(Александр Головко) 대장



3. 라운델[편집]


러시아 제국 공군초기 소련 공군소련 공군, 러시아 공군러시아 항공우주군경찰 및 세관 항공기
파일:Imperial_Russian_Aviation_Roundel.svg.png파일:1235px-Red_star.svg.png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912010).svg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파일:Russian_police_aircraft_insignia.svg
1910년 ~ 1918년1918년 ~ 1943년1943년 ~ 2010년2010년 ~ 현용2010년 이후
2010년 이후로 4번째 라운델을 사용하다가 2013년에 3번째 라운델로 바꿨었다. 3색 포기 지금은 다시 1943년부터 소련시절부터 사용하다 개조한 3번째 별모양으로 돌아온 것으로 보이나 아직도 4번째 라운델을 표시한 채 비행하는 기체들도 적지 않다.


4. 전력[편집]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러시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회전익기다목적 헬기Mi-2R, Mi-6R, Mi-8(MT/MTV/PP), Ka-27/29/32, {Ka-60}
수송헬기Mi-26, Mi-38
공격헬기Mi-24, Mi-24(D/K/P/R/VP), Mi-35, Mi-28N, Ka-50/52, 카잔 ANSAT
대잠헬기Mi-14(BT/PL)
전투기
레시프롭기I-15bisR, DITR
4세대 / 4.5세대MiG-29(A/C/S/UB/M/M2/SMT/K)/MiG-35, MiG-31(M/BM), Su-27(SM/UB)해·공, Su-30(M2/SM)해·공, Su-33, Su-35S, Su-47, MiG-MFI
5세대Su-57/{Su-57K}, MiG-LMFS?, {Su-75}
6세대{MiG-41}
공격기Su-24(M/MP/MR)해·공, Su-25(SM/SM3/UB해·공), Su-32FN, Su-34
폭격기전략폭격기3MSN-1R, Tu-16R, Tu-95MS/MSM, Tu-22M3/MR, Tu-160, {PAK-DA}
수송기An-12해·공, An-12BP, An-22, An-24해·공, An-26,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PAK-TA}
지원기조기경보기A-50, {A-100}
해상초계기Be-12, Tu-142, Il-38. A-40 알바트로스
정찰기Su-24MR, Il-20, Il-24, Tu-214(R/ON)
공중지휘기Il-22, Tu-214(PU/SR)
통신중계기Tu-214SUS
공중급유기Il-78M
인명구조 및 소방용 항공기Be-200ES
무인기UAV오리온, Grusha, 옐레론-3, 그라나트-4, 오를란-2, 오를란-10, 포르포스트, S-100, 란쳇-1, 란쳇-3, GSV-37 Breeze, Korsar, Fazan, BPV-500 VTOL, Ka-137, 게란-1, 게란-2, 샤헤드-129, 샤헤드-191
UCAV미코얀 스카트, {오를란-E}, {S-70 아호트니크}
훈련기프롭Yak-152
제트L-39, Yak-130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도입여부가 불확실한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우주군







4.1. 전투기[편집]


기종 구분 제조국 보유 계획 기타
전투기/전폭기
파일:Cy57-2.jpg
Su-57
스텔스전투기러시아10기72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Sukhoi_Su-35S_in_2009.jpg
Su-35S
전폭기러시아120기[5]22기
파일:4666843.jpg
MiG-35
전투기러시아8기
파일:360114_800.jpg
Su-27계열
전폭기소련, 러시아359기(2014년 기준) Su-27S: 38기
Su-27UB: 110기
Su-27SM: 47기
Su-27SM3: 24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Su-30SM_Russian_Air_Force.jpg
Su-30계열
전폭기러시아97기Su-30SM: 78기[6]
Su-30M2: 19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MiG-29SMT_on_the_MAKS-2009_%2801%29.jpg
MiG-29계열
전투기소련, 러시아최소 240기MiG-29UBT: 4기
MiG-29SMT: 50기
MiG-29S: 70기 [7]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Russian_Air_Force_MiG-31_inflight_Pichugin.jpg
MiG-31계열
전투기소련130기[8]MiG-31B/S: 45기[9]
MiG-31BM: 130기
파일:498984.jpg
Su-34
전폭기러시아124기[10]
파일:54404_1566571802.webp
Su-24계열
전폭기소련110기[11]Su-24M/M2: 69기
Su-24MR: 50기
파일:65486.jpg
Su-25계열
공격기소련, 러시아164기[12]Su-25SM/SM3: 139기
Su-25UB: 15기
Su-25: 40기

4.2. 폭격기[편집]


기종 구분 제조국 보유 계획 기타
폭격기
파일:1298265.jpg
Tu-160M
전략폭격기소련, 러시아6기Tu-160M2를 50기를 구입할예정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Tu-160_at_MAKS_2007.jpg
Tu-160
전략폭격기소련, 러시아10기
파일:external/www.airlinereporter.com/Russian_Bear_H_Aircraft_MOD_45158140.jpg
Tu-95MS
전략폭격기소련, 러시아44기[13]
파일:2582476[1].jpg
Tu-95MSM
전략폭격기소련, 러시아16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Russian_Air_Force_Tupolev_Tu-22M3_Beltyukov.jpg
Tu-22M3
장거리초음속폭격기소련, 러시아58기[14]2012년 Tu-22M3 30기를 Tu-22M3M현대화 계약채결
파일:3331859.jpg
Tu-22M3M
장거리초음속폭격기소련, 러시아1기
파일:1269541.jpg
Tu-22MR
장거리초음속폭격기소련, 러시아1기[15]전투불가판정되어 점검중


4.3. 정찰기, 공중급유기[편집]


기종 구분 제조국 보유 계획 기타
특수항공기
IL-78M급유기소련, 러시아10기14기2025년 IL-78M-90A 14기 구매예정이다.
운용중인 IL-78M을 현대화 계획이다.
IL-78급유기소련, 러시아5기
A-50U공중조기경보통제기소련, 러시아6기
A-50공중조기경보통제기소련, 러시아3기
IL-80공중지휘소소련2기
IL-82공중지휘소소련1기
IL-22M통신지휘소소련, 러시아12기
IL-22통신지휘소소련, 러시아5기[16]
IL-22PP전자전기소련, 러시아3기
IL-20M시긴트항공기소련, 러시아14기
Tu-214R정찰기러시아2기
Tu-214ON정찰기러시아2기
Tu-214SR공중지휘소러시아4기
Tu-214PU-SBUS공중지휘소러시아1기
An-30정찰기소련4기


4.4. 수송기[편집]


기종 구분 제조국 보유 계획 기타
수송기 / 여객기
An-124-100수송기소련11기
An-22A소련3기
IL-76MD-90A소련, 러시아7기40기 보관중이다.
IL-76MD-M소련, 러시아3기
IL-76MD소련, 러시아99기
An-12BK소련65기
An-26소련114기[17]
An-26D소련
An-26KPA소련
An-26M소련
An-26Sh소련
An-76소련25기
An-76P소련
IL-62M여객기소련, 러시아7기
Tu-154B-2소련, 러시아17기
Tu-154M소련, 러시아
Tu-134소련54기
IL-18D소련8기
An-148-100E우크라이나, 러시아15기
An-140-100우크라이나, 러시아5기5기
L-410다목적수송기체코, 러시아27기


4.5. 훈련기[편집]


기종 구분 제조국 보유 계획 기타
특수항공기
Yak-130전투훈련기러시아107기
L-39전투훈련기체코120기
Tu-134UB-L훈련기소련33기
Tu-134UB-KM훈련기소련


4.6. 헬기[편집]


기종 구분 제조국 보유 계획 기타
헬기
Mi-26/T대형수송헬기소련, 러시아33기
Mi-8T/MT다목적헬기소련, 러시아100기
Mi-8AMTSh다목적헬기소련, 러시아60기
MiAMTSH-VA다목적헬기소련, 러시아5기
Mi-8MTV-5-1다목적헬기소련, 러시아135기
Mi-38T수송헬기러시아2기
Mi-24D/V/BP/P/PN전투헬기소련, 러시아95기[18]
Mi-28N공격헬기러시아82기이상[19]
Mi-28UB공격헬기러시아12기이상
Mi-35M공격헬기러시아56기이상[20]
Ka-52공격헬기러시아98기[21]
Mi-8PPA전자전헬기소련, 러시아20기[22]
Mi-8MTPR-1전자전헬기소련, 러시아7기
Ka-225U다목적헬기러시아20기
Ansat-U다목적헬기러시아52기


5. 러시아 연방 항공우주군 총사령관[편집]


파일:러시아 항공우주군 휘장.svg러시아 연방 항공우주군 총사령관
Главнокомандующий воздушно-космическими силам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성명 빅토르 무사비로비치 아프잘로프
생년월일 1968년 6월 9일
출생지 소련
국적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군복무
국가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복무기간 -
근무 파일:800px_Soviet Army-Communist_star_with_golden_border_and_red_rims.png
참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최종계급 상장

5.1. 역대 총사령관[편집]


러시아 연방 항공우주군 총사령관
Главнокомандующий воздушно-космическими силам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대수성명생년월일임기계급이후
제 1대빅토르 니콜라예비치 본다레프
Виктор Николаевич Бондарев
1959년 12월 7일2015년 8월 1일~2017년 9월 26일상장2017년 9월 군전역
2017년 9월 러시아 연방평의회(국방안보) 위원장
임시파벨 파블로비치 쿠라첸코
Павел Павлович Кураченко
1961년 11월 3일2017년 9월 26일 ~ 2017년 11월 22일상장2018년 7월 군전역
제 2대세르게이 블라드미로비치 수로비킨
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Суровикин
1966년 10월 11일2017년 11월 22일 ~ 2023년 8월 23일대장바그너 그룹 반란 사건과 연루돼 6월 구금설, 8월 해임.
제 3대빅토르 무사비로비치 아프잘로프
Виктор Мусавирович Афзалов
1968년 6월 9일2023년 10월 21일~현재상장8월 23일부터 취임일까지 권한대행 수행.

6. 편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 항공우주군/편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외부 링크[편집]




8. 관련 문서[편집]




9. 둘러 보기[편집]


파일:800px_Soviet Army-Communist_star_with_golden_border_and_red_rims.png 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소비에트 군대
Советская армия
소비에트 함대
Советская флота
파일:붉은 군대 깃발.svg파일:소련 공군기.svg파일:Roundel_of_the_Soviet_Union_(1945–1991).svg파일:USSR_Missile_forces_and_artillery_emblem.jpg파일:소련 해군기.svg
[[소련 육군|소비에트 지상군
{{{-1

Сухопутные войска СССР
]]
[[소련 공군|소비에트 공군
{{{-1

Военно-воздушные силы СССР
]]
[[소련 방공군|소비에트 방공군
{{{-1

Войска ПВО СССР
]]
[[소련 전략로켓군|소비에트 전략로켓군
{{{-1

Ракетные войска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ССР
]]
[[소련 해군|소비에트 해군
{{{-1

Военно-морской флот СССР
]]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소련군(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소련경찰(Милиция) · 소련 내무군 · 비밀경찰(체카(펠릭스 제르진스키) · NKVD · KGB
경제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민족 · 언어 · 종교
역사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냉전(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외교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독소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문화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소련 요리
우주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헌정위기
지리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하위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하위지역) · 볼가 연방관구(하위지역) · 북서 연방관구(하위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하위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하위지역 · 노보시비르스크(하위지역)) · 우랄 연방관구(하위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하위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 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 호 · 한카호 · 돈 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 산맥 · 스타노보이 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 산 · 시베리아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 반도 · 타이미르 반도 · 캄차카 반도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 섬 · 콜라 반도 · 축치 반도 · 크림 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마천루 · 초르노젬
문화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국가두마)
경제경제 전반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안보 조약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철도 환경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러시아계 한국인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러시아계 독일인 · 러시아계 영국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계 폴란드인 · 러시아계 스페인인 · 러시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캐나다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러시아계 중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러시아계 일본인 · 러시아계 호주인
음식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러시아 연방군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편제) · 해군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브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러시아 국가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FSB
기타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불곰국



[1] 방공군과 통합[2] 공군과 통합[3] 다만 소련 시절에 이미 공군보다 방공군의 규모가 더 컸기 때문에 방공군이 공군으로 통합된 지금도 러시아 공군 내에서 방공군으로서의 성격이 매우 강하다. 형식상으로는 방공군이 공군으로 통합되었지만 실상은 방공군에 공군이 통합되어 간판만 공군으로 바뀌었다는 이야기도 있다[4] 보옌나-바즈두시늬 실릐 라시이스코이 폐데라치이[5] 최소 5기를 손실했다.[6] Su-35S와 동급의 수준으로 Su-30SM 전투기를 현대화할 예정이다. 그리고 91대중 12기를 전쟁에서 손실했고 1기는 사고로 손실했다.[7] MiG-29S가 MiG-35로 대체된다.[8] 2대를 사고로 손실, 1대를 전쟁중 손실[9] 2023년까지 MiG-31BM 수준으로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다.[10] 기존 146기였으나 22기를 전쟁에서 손실했다.[11] 120기중 최소 10기가 전쟁중 손실됐다.[12] 194기중 최소 30기가 전쟁중 손실[13] 1기 파손으로 인해 수리중[14] 2기 전소됨[15] 1기 파손으로인해 수리중[16] 1기 파손으로 인해 수리 중[17] 1대 전쟁 중 손실[18] 기존 100기였으나 5기를 손실했다.[19] 기존 90기였으나 8기를 손실했다.[20] 기존 63기였으나 7기를 손실했다.[21] 기존 133기였으나 35기를 손실했다.[22] 아군오사로 2대 손실, 러시아 쿠데타로 2대 손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7:34:29에 나무위키 러시아 항공우주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