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吾}}}나 오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7획
중학교
-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わ-が, われ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지명
5. 고사성어
6. 유의자
7. 상대자
8. 吾가 들어가는 한자



1. 개요[편집]


吾는 '나 오'라는 한자로, ''를 뜻하며, 한문에서 1인칭 대명사로 사용된다. 사용 빈도는 (나 아)와 함께 쌍벽을 이룬다.

친하지 않을 , 땅 이름 [1]라는 명칭도 존재하나 거의 항상 나 오로 사용된다.

주음부호로는 ㄨˊ라고 쓴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543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MR(一一口)로 입력한다.

음을 나타내는 (다섯 오)와 뜻을 나타내는 (입 구)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며, '나'라는 1인칭 대명사를 나타낸다.

본래 상나라~서주 시대 때는 '나'라는 '1인칭 단수 대명사'를 나타내는 한자는 또는 였으나 , 동주~전국시대부터 吾를 쓰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한(漢)대 때부터는 를 쓰기 시작하였다.

현재 한자문화권에서 이것을 구어에서 활용하는 경우는 드물다.[2] 일본어의 와가하이(吾(が)輩)가 있긴 하지만 이는 현재 사멸한 표현으로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3] 한국에서는 오등(吾等)이라는 표현이 사용된 기미독립선언서와 같은 옛 문헌이 아니면 보기 힘든 글자이며 我 쪽이 비교적 더 알려져 있으니 모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다만 앞서 언급한 기미독립선언서삼민주의가 등의 문어체에서는 자주 활용된다.

이 글자가 '콤'처럼 보일 때가 가끔 있다. 또한, 아날로그 문서의 OCR 인식 오류로 '품'이라는 글자가 이 글자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도 있다. 예: 제吾(제품), 상吾(상품) 등.

3. 용례[편집]




3.1. 인명[편집]




4. 지명[편집]


한국의 지명

중국의 지명

일본의 지명


5. 고사성어[편집]


  • 부생아신모육오신(父生我身母育吾身)
  • 선악개오사(善惡皆吾師)
  • 오비삼척(吾鼻三尺)
  • 오설상재(吾舌尙在): 전국시대(중국)의 정치가 장의의 명대사.


6. 유의자[편집]




7. 상대자[편집]




8. 吾가 들어가는 한자[편집]


  • (말씀 어)
  • (깨달을 오)
  • (오동나무 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4:32:2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吾를 "아"로 읽는 지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옛 지명 중에서 금성군 윤아현(현 란저우시)이라는 지역명을 쓸 때 유일하게 사용된다.[2] 표준중국어의 1인칭은 我(wǒ)이고, 일본어의 1인칭으로는 주로 와타시(私), 보쿠(僕), 혹은 남자가 자신과 동급이거나 하급인 사람 앞에서 하는 오레(俺)가 있다.[3]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인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같은 근대 이전 문학이나, 여러 서브컬처에서나 간간히 사용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