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裵}}}성 배
부수
나머지 획수
, 8획
총 획수
14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ハイ
일본어 훈독
たちもとお-る
}}}
표준 중국어
pé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裵는 '성 배'라는 한자로, 한국과 중국의 성씨인 '배씨(裴氏)'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원래는 '옷이 긴 모양', '옷이 치렁치렁한 모양'이라는 뜻이다. 설문해자에서는 아닐 비(非)가 가운데로 들어가는 裵를 표준으로 쓰고 강희자전에서는 아닐 비가 위로 올라가는 裴(U+88F4)를 표준으로 쓰는데, 한국에서는 주로 裵를 쓰고 중국에서는 간체자·정체자 모두 裴를 쓴다.

유니코드에는 U+88F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中一女(YLMV)로 입력한다.

강희자전에는 1119페이지 2번째 글자로 수록되어 있다.

뜻을 나타내는 (옷 의)와 소리를 나타내는 (아닐 비)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출전원문
설문해자長衣皃。从衣非聲。薄回切〖注〗臣鉉等案:《漢書》“裵回”用此。今俗作徘徊,非是。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長衣皃。此卽子虚賦裶字也。若史記子虚賦。弭節裵回。漢郊祀志。神裴回若畱放。乃長衣引伸之義。後漢書蘇竟傳注云。裴回謂縈繞淹畱是也。俗乃作俳佪、徘徊矣。从衣。非聲。薄回切。按當芳非切。十五部。舊在褺篆之後。今移此。
강희자전《篇海》同裴。


3. 용례[편집]



3.1. 인명[편집]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400,641명, 전체 성씨 중 26위로 주요 본관으로는 성주(星州/성산), 분성(盆城/김해), 달성(達城/대구) 등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배(성씨) 문서 참조.


3.2. 지명[편집]




3.3. 기타[편집]




4.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곤룡포 곤)
  • (쌀 과)
  • (속 리)
  • (모을 부)
  • (더러울 설)
  • (쇠할 쇠)
  • (슬플 애)
  • (도울 양)
  • (우거질 유, 소매 수)
  • (옷 의)
  • (속마음 충)
  • (기릴 포)
  • (겉 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3:29:05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