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군밤의 왕/회차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고종, 군밤의 왕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에피소드 일람



1. 개요[편집]


대체역사소설 고종, 군밤의 왕이 연재된 회차를 다루는 문서.

2. 에피소드 일람[편집]


화수 회차수 제목 연도 사건
1-서장1861
신유
21비틀림의 근원
31862
임술
4
52분란의 씨앗은 동백꽃과도 같구나1863
계해
6
7
8계해환국
93군밤장수 죽이기[1]
10철종 승하
114삐거덕대는 문돌쩌귀
12고종 즉위
131864
갑자
145가장 무서운 칼날
15서원 확충 · 익문사 설치
16
176푸른 하늘, 푸른 눈
18
19
207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2]1865
을축
21
22을축변법 시행
23[3]8연평 바다에 바람이 분다[4]
24
25을축양요 발발
26
279밤으로써 밤을 논하니
28조불수호조규 체결
29
3010가장 아름다운 이에게[5]1866
병인
통리기무아문 설치
31왕후 간택
32
3311한 줌의 흙도 버리지 않는다[6]
34
35
3612믿음을 고치는 사절단[7]1867
정묘
수신사 파견
37제너럴 셔먼호 사건
38
3913반짝이는 것이 모두 금은 아닐진대[8]1868
무진
40
41이광도감 설치
4214길이란 본래 굽은 것[9]
43
44참의원 설치
4515오랑캐의 도의
46
47조청일수호조규
4816경사스러운 복을 찾아서[10]1869
기사
참의원 개회
49도로 정비 사업
5017사냥개의 처세술[11]1870
경오
51
52
53간도 진출
5418갔다 오지 않은 자 말을 말라1871
신미
55
56연병법 시행
5719천하의 근심을 먼저 근심으로 삼다[12]
58
59코뮌 난민 망명
6020횃대에 또아리 튼 뱀[13]
61익정신보 창간
6221무너지는 하늘 아래서1872
임신
63조선적십자사 대만 파견
64
65
6622악의와도 같은 선의
67
68노비세습제 폐지
6923사슴이 머무는 섬[14]1873
계유
70조러수호조약 개정
71
7224노인을 위한 나라도 있다[15]
73
741874
갑술
최초 추거 실시
7525싸움으로써 평화를 얻어야 할 때
76만민공산당 창당
77지전보평군 파병
7826반역의 즐거움
79
80
8127철마는 누구를 위해 달리는가[16]
82
83동아철도회사 설립
8428가산이 없다하여 체통마저 없겠는가[17]
85
86도중 결성 허용
8729동쪽으로 던진 돌에 개구리 맞다1875
을해
88에조 공화국 독립
89
9030밝은 덕을 밝히다[18]
91
92화서 · 노사학원 설립
9331입은 화의 문이라[19]1876
병자
94반침략 연대 결성
95아시아개발은행 설립
9632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서생[20]
97
98
99
10033산의 짐승이 다하기 전[21]경인선 개통
1011877
정축
102
10334두 북벌
104정축년 북벌
105공친왕의 난
106
10735재액을 없애는 약
108노씨권학상 제정
10936은세계 요지경[22]1878
무인
무인년 은 소동
110
111
11237만세불변의 법도[23]
1131879
기묘
114국제 제정
11538달을 가리는 구름
116기묘년 경제불황
117
11839배우고 때로 익히면[24]
119
120고시제 실시
12140불장난의 재미와 위험에 관하여1880
경진
122
123조일동맹 체결
12441쇳소리에 놀란 제비 날아가고[25]
1251881
신사
126
127서태후 조선파천
12842나라 다스린 뒤의 일[26]
129
130
13143빛의 빚교린삼장 반포
132특허법 제정
1331882
임오
맥안공행 설립
13444이 글을 어지럽히는 이들[27]
135
136전우-골턴 토론회
13745승냥이의 탈1883
계미
138
139월남 고문단 파견
14046가운데 마음[28]
141
142유영복 국제사법재판
14347낡지 아니할 큰일[29]1884
갑신
144
145국문교정청 설치
14648사슬의 이치
147
148베를린 회담
14949세상을 절반쯤 노리고[30]1885
을유
150
151여학 설립 논의
15250무엇을 할 것인가[31]1886
병술
경복궁 중건
153
154
15551식후경 금강산
156육체사 설립
15752필부의 책임[32]
158
159강남 만인소 운동
160청 의회 설치 논의
16153근래 유생들은 풍속이 박하다1887
정해
162
163자유당 창당
16454경서와 칼[33]
165
166
16755강철과 피[34]1888
무자
168
169
17056새벽에 울리는 종소리[35]전국 추거 · 총리직선제
171신촌향약 시행
172
17357다투어 우짖게 하라[36]1889
기축
174백가쟁명백문제개 선포
175
17658국제적 문제의 국제적 해결
177만방노민단결 개최
178석전대제 개최
17959재투성이 처자[37]1890
경인
180축첩제 폐지
181
18260하늘 속이고 바다 건너기[38]
183
184
18561실밥 뜯어질 무렵
186
187유라시아 동맹
18862키 선생의 나라1891
신묘
189
190
19163대지의 저주받은 자들[39]
192
193의화단 운동
19464씁쓸한 힘[40]1892
임진
195
196복서의 반란
19765아버지의 죄
198
199
20066천하의 대세1893
계사
개국기원 도입
201
202
203계사황란
20467겨울밤 화롯가[41]1894
갑오
205
206경제개발오개년계획
20768오십 번째 쪽 셋째 줄[42]
208
20969에덴의 동쪽[43]1895
을미
210
211농협 창설
21270누룽지 한 덩이[44]
213
214
21571도끼를 들고
216을미정난
217
21872빛의 실마리[45]
219공화정부 수립
220
22173아시아의 사냥감[46]1896
병신
삼전도비 이전
222
223만국평화회의
22474가장 높은 자리
225
226
22775닭의 머리[47]1897
정유
228
229
23076하늘에 묻다[48]1898
무술
231
232한양 선언
23377돌이켜 함께[49]
234
235
23678푸른 산 맑은 물
237
238녹화회 발족
23979까마귀 검다 하여[50]
240
241
24280언덕 위의 도성[51]1899
기해
243
244
24581큰 같음으로 무리를 맺다[52]1900
경자
나가사키 아주대회
246
247
24882날아 오른 용 하늘에 있어[53]
249건비호 최초 비행
250
25183밤섬 나라 사람들[54]1901
신축
252
253
254
25584앵무는 포유류에 속하느니[55]
256
257
25885여든 여덟 번의 수고[56]1902
임인
259
260
26186움직이는 바큇살국사공론회
262
263
26487살피지 아니할 수 없는 일[57]1903
계묘
265
266
267
26888백성의 나라
269
270
27189작은 사람들의 사귐[58]1904
갑진
272평양 아주대회
273
27490두려움 없어라[59]1905
을사
275
276
27791심장은 왼쪽에서 뛴다[60]
278붉은 일요일
279
28092수레바퀴 굴리기[61][62]1906
병오
281
282
28393포성 소리 가까이 울리고1907
정미
284
28594과학자의 국경
286
287
28895떼지어 나는 기러기[63]1908
무신
289
290종횡학 창시
29196마지막 정거장1909
기유
292
293
29497빗자루 별[64]
295
2961910
경술
29798분노를 노래하소서[65]
298적백내전
299대전쟁 발발
300
3011911
신해
302
30399사람을 노래하소서옥음방송
3041912
임자
창의단 파견
305
306
307
308
309
310
311100이웃이 있으리
312
313제네바 강화회의
314만국연합 창설
3151913
계축
고종 퇴위
3161919
기미
317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하여[66]2013
계사
318
319
320
321-완결 소회
[1] 하퍼 리의 소설 '앵무새 죽이기'의 패러디이다.[2] 논어 태백의 구절 '천하에 도가 있으면 나아가고, 없으면 물러난다'에서 따왔다.[3] 해당 회차부터 유료분이다.[4] 군밤타령의 가사에서 따왔다.[5] 그리스 신화에서 파리스의 중재 하에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 세 여신들이 서로 갖겠다고 다투던 황금 사과의 이름에서 따왔다.[6] 사기 이사열전에서 이사가 한 것으로 알려진 말인 '태산은 한 줌의 흙도 버리지 않는다.'에서 따왔다.[7] 수신사의 훈을 풀어쓴 것이다.[8] 서양의 속담 'All that glitters is not gold'에서 따왔다.[9] 사기 유경숙손통열전에서 사마천이 숙손통을 평하며 남긴 말인 '참으로 곧은 것은 굽어보이며, 도는 원래 구불구불한 것이다.'에서 따왔다.[10] '경사스러운 복'은 경운궁(慶運宮)의 경복궁(景福宮)의 을 의미한다.[11] 제목의 '사냥개'는 토사구팽의 설화에 등장하는 사냥개에서 따왔다.[12] 범중엄의 악양루기에 나오는 구절인 '천하의 근심을 앞서서 근심하고 천하의 즐거움은 뒤로하여 즐거워한다'에서 따왔다[13]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를 나타낸다.[14] 북러 국경에 위치한 녹둔도(鹿屯島)의 훈을 풀어쓴 것이다.[15] 소설이자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패러디이다.[16] 경원선과 경의선의 철도중단점에 있는 글귀 '철마는 달리고 싶다'와 헤밍웨이의 소설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에서 따왔다.[17] 영화 베테랑의 대사로 유명한 '돈이 없지 가오가 없냐'의 패러디이다.[18] 대학의 3강령 중 첫째인 '明明德(명명덕)'에서 따왔다.[19] 풍도의 시 '설시'의 구절 '口是禍之門(구시화지문)'에서 따왔다.[20] 존 르카레의 냉전기 첩보 소설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의 패러디이다.[21] 토사구팽의 설화에서 따왔다.[22] 배우 신신애의 노래 '세상은 요지경'에서 따왔다.[23] 원 역사 대한제국의 헌법인 대한국 국제 제2조에서 따왔다.[24] 논어 학이편의 첫 구절 '배우고 때로 익히면 어찌 즐겁지 아니한가?'에서 따왔다.[25] 청의 수도 연경의 '연()'이 제비를 뜻하는 한자임을 봤을 때 제목의 '제비'는 연경의 서태후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26] 대학 8조목의 수신제가치국평천하에서 따왔다.[27] 사문난적의 훈을 풀어쓴 것이다.[28] 충성 충(忠) 한자를 파자하면 중(中)+심(心)이 된다.[29] 위문제 조비의 저서 전론(典論)의 내용에서 따왔다.[30] '세상의 절반'은 모든 인구의 절반인 여성과 변증법적 유물론 세계에 속하지 않은 아시아 세계로 해석할 수 있다.[31] 러시아의 사상가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의 저서 제목에서 따왔다.[32] 명말청초 학자 고염무가 남기고 양계초가 압축한 말 '天下興亡 匹夫有責(천하흥망 필부유책)'에서 따왔다.[33] 루스 베네딕트의 저서 국화와 칼의 패러디이다.[34] 독일 제국의 수상 비스마르크의 취임사와 그의 별명 '철혈 재상'에서 따왔다.[35] 새마을노래 가사의 첫 구절에서 따왔다.[36]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들이 자신들의 사상을 자유롭게 논쟁한 데에서 나온 고사성어 '백가쟁명(百家爭鳴)'에서 따왔다.[37] 동화 주인공 신데렐라의 이탈리아어 뜻을 풀어쓴 것이다.[38] 삼십육계에 등장하는 고사성어 '만천과해(瞞天過海)'에서 따왔다.[39] 인터내셔널가 가사의 첫 구절에서 따왔다.[40] 쿨리의 중국어 명칭 '苦力(고력)'의 훈을 풀어쓴 것이다.[41] 프랭클린 루스벨트의 노변정담(爐邊情談)의 패러디이다.[42] 세종실록지리지에 독도가 기록되어있는 위치이자 노래 독도는 우리땅의 가사에도 실려진 바 있다.[43] 창세기에 등장하는 지명으로, 존 스타인벡의 소설 제목이기도 하다.[44] 시경 소아 벌목의 구절 民之失德 乾餱以愆(민지실덕 건후이건)에서 따왔다.[45] 광서제의 연호(光緖)의 훈을 풀어쓴 것이다.[46] 아시안 게임에서 따왔다. 사냥감은 영어로 'game'이다.[47] 사기 소진열전에서 유래된 고사성어 '계구우후(鷄口牛後)'에서 따왔다.[48] 굴원의 시 '천문(天問)'의 훈을 풀어쓴 것이다.[49] 한자로 하면 반공(反共)으로도 읽을 수 있다.[50] 이직의 시조에 등장하는 구절 중 하나이다.[51] 존 윈스럽이 청교도를 이끌며 아메리카로 출항하기 전에 한 연설문에서 따왔다.[52] 대동단결(大同團結)의 훈을 풀어쓴 것으로, 불심으로 대동단결의 패러디이기도 하다.[53] 주역 건괘의 구절 飛龍在天 利見大人(비룡재천 이견대인)에서 따왔다.[54] 홍길동전에서 등장하는 가상의 국가 율도국에서 따왔다.[55] 이상의 시 오감도 시제6호에서 따왔다.[56] 쌀 미(米) 한자를 파자하면 팔(八)+십(十)+팔(八)이 된다.[57] 손자병법 시계편의 구절인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병자 국지대사 사생지지 존망지도 불가불찰야)에서 따왔다.[58] 명심보감의 구절인 君子之交 淡如水, 小人之交 感若醴(군자지교 담여수 소인지교 감약례)에서 따온 것으로 추측된다.[59] 영국의 전함 드레드노트(Dreadnought)에서 따왔다.[60] 독일 사민당 내 노선갈등을 다룬 오스카 라퐁텐의 저서 제목에서 따왔다.[61] 작가의 말에 따르면 운명을 끊임없이 순환하는 수레바퀴에 비유하는 것은 서구예술에 오랫동안 나타나왔던 모티프로, 운명을 자연스러운 순환이 아닌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는 변덕스럽고 때론 잔악한 것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들어있다고 한다.[62] 헤르만 헤세의 소설 '수레바퀴 밑에서'나, 학살의 몽골식 표현인 '수레바퀴를 굴리다'에서 따온 것이라고도 추측 가능하다.[63] 안행형태론의 플라잉기스(Flying Geese) 모델에서 따왔다.[64] 혜성(彗星)을 풀어쓴 말로 동양에서는 혜성을 '빗자루 별'로 불러왔다. 혜성은 오래 전부터 전쟁과 역병의 징조로 여겨졌다는 점에서 다음 이어질 내용을 암시한다.[65] 일리아스의 첫 구절인 '여신이여, 분노를 노래하소서.'에서 따왔다.[66] 논어의 구절 '자불어 괴력난신'과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저서인 논리-철학 논고의 구절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에서 따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22:37:36에 나무위키 고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