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FC/2021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김포 FC

파일:김포 FC 엠블럼(2013~2021).svg
김포 FC 역대 시즌
2020년2021년2022년

파일:김포 FC 엠블럼(2013~2021).svg
김포 FC 2021시즌
구단주정하영
대표이사서영길
감독고정운
수석코치손현준
주장한종우
경과
(시즌 종료)
파일:K3리그 로고.svg정규리그 2위
(28전 14승 10무 4패 35득점 20실점)
파일:K3CS.jpg최종 우승
(3전 2승 1무 0패 5득점 2실점)
파일:FA컵(대한민국) 심볼.svg2라운드 탈락
(2전 1승 0무 1패 2득점 1실점)
합산 성적[1]33전 17승 11무 5패 42득점 23실점
최다 득점[2]손석용, 정의찬(9골)
최다 도움[3]정의찬(4도움)

1. 2021시즌의 이야깃거리
2. 코칭 스태프
3. 선수단
4. 이적 시장
4.1. 겨울 이적 시장
4.1.1. 영입
4.1.2. 방출
4.2. 여름 이적 시장
4.2.1. 영입
4.2.2. 방출
5. 프리시즌
6. 시즌
6.2.1. 2라운드 (VS FC 목포, 홈 2:0 승)
6.2.2. 3라운드
6.2.2.1. 1차전 (VS 천안시 축구단, 홈 1:0 승)
6.2.2.2. 2차전 (VS 천안시 축구단, 원정 2:2 무)
7. 시즌 종료 후



1. 2021시즌의 이야깃거리[편집]


이 시즌부터는 김포종합운동장의 재개발로 인한 폐쇄로 솔터체육공원에 새로 조성된 1,000석 규모의 축구전용경기장인 김포솔터축구장을 홈으로 사용한다. 또한 법인화도 완료되어 팀명이 법인명인 "김포 FC"로 변경되었다.

새 시즌을 맞아, 김포우리병원과 구단 공식 지정병원 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을 통해 병원측은 김포 홈에서 개최하는 모든 경기에 선수들의 부상 등 비상상황에 대비한 응급 구조인력과 응급 구조차량을 지원할 예정이며, 뿐만 아니라 김포 FC 소속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료 혜택 및 전문 진료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차별화된 의료서비스도 제공할 것이라고 한다.#

새로운 홈구장인 솔터체육공원 개장 미디어데이를 통해 구단주인 정하영 시장이 김포시민들의 정주의식 뿐만 아니라 시의 브랜드화를 위해 김포 FC를 출범했다고 밝혔으며, 2023년에 1~4부 직결의 승강제가 새로 도입되는데, 2부리그이자 프로리그인 K리그2 승격을 위해 재단을 운영할 생각이라고 한다.#

홈경기 당일인 4월 17일에는 출범 기념식을 했다.#

파일:6235235325243.jpg

김포 FC에서만 6년을 활약한 한종우의 은퇴식이 있던 11월 6일의 K3리그 29라운드 울산시민축구단 전에서는 김포솔터축구장을 가득 채운 만원 관중들이 자리해 분위기를 더했다.#


2. 코칭 스태프[편집]


김포 FC 2021 시즌 코칭스태프 명단
직책이름로마자 이름국적생년월일
감독고정운Ko Jeong-Woo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6년 6월 27일
수석코치손현준Son Hyeon-j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2년 3월 20일
코치조한범Cho Han-bum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3월 28일
GK코치정성진Jeong Seong-ji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4년 7월 6일
의무트레이너박상현Park Sang-hy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력분석관문창민Moon Chang-min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 선수단[편집]


파일:김포 FC 엠블럼(2013~2021).svg 김포 FC
2021 시즌 스쿼드[주의]
}}} ||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rowbgcolor=#1d8b44> '''{{{#white 등번호}}}''' || '''{{{#white 포지션}}}''' || '''{{{#white 한글 성명}}}''' || '''{{{#white 로마자 성명}}}''' || '''{{{#white 생년월일}}}''' ||<width=6%> '''{{{#white 국적}}}''' || '''{{{#white 비고}}}''' || || 1 || GK || [[이상욱(축구)|이상욱]] || Sang-uk Lee || 1990년 3월 9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2 || DF || [[전상훈]] || Sang-hun Jeon || 1989년 9월 10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3 || DF || [[박경록]] || Kyeong-rok Park || 1994년 9월 30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4 || DF || [[김태한(축구선수)|김태한]] || Tae-han Kim || 1996년 2월 24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5 || DF || [[이용(1989)|이용]] || Yong Lee || 1989년 1월 21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6 || MF || [[윤상혁]] || Sang-hyeok Yun || 1997년 2월 2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7 || MF || [[이강연]] || Kang-yeon Lee || 1991년 1월 2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8 || MF || [[김대협]] || Dae-hyeop Kim || 1992년 10월 27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9 || FW || [[손석용]] || Suk-yong Son || 1998년 9월 4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10 || MF || [[홍창오]] || Chang-oh Hong || 1995년 12월 1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12 || GK || [[김진영(축구선수)|김진영]] || Jin-young Kim || 1992년 3월 2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13 || MF || [[민현홍]] || Hyeon-hong Min || 1995년 8월 28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14 || MF || [[이재권]] || Jae-Kwon Lee || 1987년 7월 30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15 || DF || [[강신명(축구선수)|강신명]] || Shin-myeong Kang || 1997년 2월 12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16 || MF || [[이성재(1995)|이성재]] || Seong-jae Lee || 1995년 5월 7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17 || MF || [[조익성]] || Ik-seong Jo || 1997년 6월 11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18 || FW || [[정의찬(축구선수)|정의찬]] || Ui-chan Jeong || 1996년 12월 18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19 || FW || [[안병훈(2000)|안병훈]] || Byeong-hun Ahn || 2000년 8월 22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20 || DF || [[한종우]] || Jong-uh Han || 1986년 3월 17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21 || MF || [[윤민호(축구선수)|윤민호]] || Min-ho Yoon || 1999년 10월 17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22 || FW || [[이중호(1998)|이중호]] || Jung-ho Lee || 1998년 5월 1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23 || MF || [[송진규(축구선수)|송진규]] || Jin-gyu Song || 1997년 7월 12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24 || DF || [[안성민(축구선수)|안성민]] || Seong-min Ahn || 1999년 8월 9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25 || GK || [[송민혁]] || Min-hyeok Song || 2001년 4월 1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26 || MF || [[박시원(1999)|박시원]] || Park Si-Won || 1999년 4월 1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29 || DF || [[이슬찬]] || Lee Seul-chan || 1993년 8월 15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30 || DF || [[백승우(1999)|백승우]] || Seung-woo Baek || 1999년 4월 27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32 || FW || [[윤민호(1995)|윤민호]] || Min-ho Yun || 1995년 12월 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33 || FW || [[이민규(1996)|이민규]] || Min-kyu Lee || 1996년 2월 9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34 || DF || [[조향기(축구선수)|조향기]] || Jo Hyang-Gi || 1992년 3월 23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71 || FW || [[성문경]] || Sung Mun-Gyeong || 1998년 7월 7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 73 || FW || [[타치바나 아유무|아유무]] || Ayumu Tachibana || 1995년 11월 4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 || 80 || FW || [[한의혁]] || Han Ui-Hyeok || 1995년 1월 23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7><bgcolor=#1d8b44> '''[[정하영|{{{#fff 구단주 : 정하영}}}]]''' '''[[고정운|{{{#fff | 감독 : 고정운 | 홈구장 :}}}]]''' '''[[솔터체육공원|{{{#fff 솔터체육공원}}}]]''' ||


4. 이적 시장[편집]



4.1. 겨울 이적 시장[편집]


시즌 시작 전 박수창김동찬, 김동철, 김도엽이 은퇴를 선언했고, 강민재가 원소속팀 수원 FC로 복귀, 박한근충남 아산 FC로 이적했다. 다른한편, 전상훈부산교통공사에서 자유계약으로, 백승우제주 유나이티드에서 임대로 영입했다. 또한 김양우를 같은 리그의 울산시민축구단으로 떠나보냈고, 대전 하나 시티즌에서 골키퍼 김진영, 서울 이랜드에서 윙어 손석용, 경주시민축구단에서 2020년 K3리그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한 미드필더 윤민호를 영입해왔다. 이 외의 여러 영입/방출 상황은 후술.

프리시즌에 외국인 선수 영입과 관련하여 진통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2월 10일자 기사#에 따르면, FC 바르셀로나 유스 출신이자 스페인 3부 리그에서 활동하던 만 24세의 아드리아 아르조나(Adrià Arjona)는 1월 15일 한국에 입국해 자가격리를 완료하고 김포의 동계훈련에 합류했다. 이미 사전계약을 맺고 세부적인 급여를 논의하던 단계였으나, 사장과 코치는 만족했음에도 구단주인 김포시장의 반대로 계약을 맺을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아르조나는 김포가 제공한 시설과 한국의 환경에 매우 만족하여 계약을 체결하기를 고대하고 있었으나 그렇게 되지 못하여 매우 실망하였다고 한다. 한편 김포는 대신 일본인 공격수인 타치바나 아유무를 영입했다.


4.1.1. 영입[편집]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전 구단방식
백승우MF제주 유나이티드임대이적
전상훈DF부산교통공사 축구단자유계약
김진영GK대전 하나 시티즌자유계약
손석용FW서울 이랜드 FC자유계약
이민규FW서울 이랜드 FC자유계약
윤민호MF경주시민축구단자유계약
김태한DF대구 FC자유계약
김대협MF춘천시민축구단자유계약
정의찬FW춘천시민축구단자유계약
안병훈FW포천시민축구단자유계약
홍창오MF평택 시티즌 FC자유계약
안성민DF안산 그리너스자유계약
민현홍DF수원 FC자유계약
강신명DF수원 FC자유계약
이용DF경주 한수원자유계약
이성재MF무소속자유계약
이재권MF강원 FC자유계약
송민혁GK무소속자유계약
아유무FWSC 사가미하라자유계약
이정호FW청주대학교신인계약
이고형DF송호대학교신인계약
박시원MF열린사이버대학교신인계약


4.1.2. 방출[편집]


방출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적 구단방식
박수창FW-은퇴
김동찬FW-은퇴
김동철DF-은퇴
김도엽FW-은퇴
강민재FW수원 FC임대복귀
손호준FW울산 현대임대복귀
발레아MF안산 그리너스임대복귀
박한근GK충남 아산 FC자유계약
이풍범MF청주 FC자유계약
김양우FW울산시민축구단자유계약
우제욱FW양평 FC자유계약
박준필DF고양시민축구단자유계약
이재용DF고양시민축구단자유계약
강지용DF강릉시민축구단자유계약
김상근DF서울 노원 유나이티드자유계약
김기림FW여주 FC자유계약
김종헌FW여주 FC자유계약
강수병DF무소속자유계약
강형민FW무소속자유계약
고윤철MF무소속자유계약
김요한DF무소속자유계약
김현성GK무소속자유계약
좌준협MF무소속자유계약
고민성MF무소속자유계약


4.2. 여름 이적 시장[편집]


전반기를 무려 1위의 성적으로 마치고 여름 이적시장이 개시되자마자 대어급 보강을 서두르고 있다. FC 안양에서 한의혁을, 서울 이랜드에서 조향기, 대전 하나 시티즌에서 이슬찬을 데려오는 등 선수단이 점점 2부리그에 꿇리지 않을정도로 호화스러워지는 중이다.


4.2.1. 영입[편집]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전 구단방식
한의혁FWFC 안양자유계약
조향기FW서울 이랜드 FC자유계약
성문경FWTNT 핏투게더 FC자유계약
이슬찬DF대전 하나 시티즌임대이적
송진규MF안산 그리너스임대이적


4.2.2. 방출[편집]


방출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적 구단방식
김예성DF안산 그리너스자유계약
이고형DF무소속자유계약
이혁주FW무소속자유계약


5. 프리시즌[편집]


김포 FC 2021시즌 동계 전지훈련
차수지역전지훈련 개시전지훈련 종료
1차파일:남해군 CI.svg 경상남도 남해군2021년 1월 11일2021년 2월 20일
1월 11일부터 39박 40일 일정으로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동계 전지훈련을 진행한다.# 고강도 체력단련, 전술완성도 향상 및 팀 조직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며, 전지훈련 기간 중 각종 테스트를 통해 안정적이고 수준 높은 실력을 보유한 선수를 중심으로 선수단 구성을 마무리한다는 입장이다.

동계훈련이 막바지에 접어드는 2월 10일에 대구 FC와 연습경기를 가졌는데, 2:0으로 승리했다.


6. 시즌[편집]



6.1. K3리그[편집]


}}} ||
라운드일시상대팀장소점수순위비고
12021.03.13-14ROUND OFF15위
22021.03.20 15:00FC 목포원정목포국제축구센터1 : 110위H/L전체
32021.04.03 15:00창원시청 축구단원정창원축구센터2 : 35위H/L
42021.04.10 15:00경주 한수원원정경주시민운동장0 : 06위H/L
52021.04.17 15:00부산교통공사 축구단솔터체육공원1 : 210위H/L
무관중 경기
62021.04.24 15:00대전 한국철도 축구단원정한밭종합운동장2 : 012위H/L
72021.05.01 15:00강릉시민축구단솔터체육공원0 : 013위H/L
무관중 경기
82021.05.09 15:00천안시 축구단원정천안종합운동장0 : 110위H/L
92021.05.15 15:00청주 FC솔터체육공원2 : 06위H/L
102021.05.22 15:00파주시민축구단원정파주스타디움0 : 15위H/L
112021.05.29 15:00양주시민축구단솔터체육공원2 : 04위H/L
122021.06.04 19:00화성 FC원정화성종합보조구장0 : 1 2위H/L
132021.06.09 19:00평택 시티즌 FC솔터체육공원3 : 0 1위H/L
142021.06.12 19:00울산시민축구단원정울산종합운동장0 : 1 1위H/L
152021.06.19 17:00김해시청 축구단솔터체육공원1 : 2 1위H/L
162021.06.26-27ROUND OFF 1위
172021.06.30 19:00FC 목포솔터체육공원2 : 1 1위H/L
182021.07.23 19:00창원시청 축구단원정창원축구센터2 : 2 2위H/L
192021.08.13 19:00경주 한수원솔터체육공원1 : 0 2위H/L
202021.08.20 19:00부산교통공사 축구단원정구덕운동장0 : 0 2위H/L
212021.08.27 19:00대전 한국철도 축구단솔터체육공원1 : 1 2위H/L
222021.09.03 19:00강릉시민축구단원정강릉종합운동장0 : 2 1위H/L
232021.09.10 19:00천안시 축구단솔터체육공원3 : 2 1위H/L
242021.09.15 19:00청주 FC원정청주종합운동장0 : 0 1위H/L
252021.09.25 19:00파주시민축구단솔터체육공원3 : 1 1위H/L
262021.10.02 14:00양주시민축구단원정양주고덕구장0 : 0 2위H/L
282021.10.29 19:00평택 시티즌 FC원정소사벌레포츠타운1 : 0 2위H/L
292021.11.06 15:00울산시민축구단솔터체육공원2 : 2 2위H/L
27[연기]2021.11.09 19:00화성 FC솔터체육공원1 : 0 2위H/L
302021.11.13 14:00김해시청 축구단원정김해운동장1 : 1 2위H/L
최종 성적: 2위 (14승 10무 4패 35득점 20실점 +15골)
마지막까지 천안시 축구단과 승점 동률의 치열한 1위 경쟁을 펼쳤으나, 30라운드에서 천안이 강릉을 상대로 승리한데 반해 김해시청 축구단을 상대로 무승부를 거둬버리면서 정규리그 2위를 기록했다. 이제 K3리그 챔피언십으로 이동해 최종우승을 차지할 여정에 나선다.


6.2. K3리그 챔피언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3리그 챔피언십/2021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1. 2라운드 (VS FC 목포, 홈 2:0 승)[편집]


파일:K3CS.jpg
2021 K3리그 챔피언십 2라운드
2021. 11. 20.(토) 14:00(UTC+9)
김포솔터축구장 (김포)
주심: 서동진, 부심: 장기진/김수현, 대기심: 우병훈 (대한민국)
관중: 500명
파일:김포 FC 엠블럼(2013~2021).svg
2 : 0
파일:FC 목포 엠블럼.svg
김포 FCFC 목포
35', 78' 손석용파일:득점 아이콘.svg-
7' 이강연
45' 이재권
63' 윤민호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21' 주영재
40' 박선용
87' 김유성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경기 하이라이트
1라운드에서 정규리그 4위 경주 한수원과 1:1로 비기고 리그 상위순위 우선원칙에 의해 2라운드 진출에 성공한 리그 3위 FC 목포를 상대로 홈에서 2:0의 깔끔한 승리를 거두며 3라운드로 진출했다. 이제 정규리그 1위를 기록한 천안시 축구단과 최종우승을 두고 홈-원정에 이은 두번의 승부를 가질 전망이다.


6.2.2. 3라운드[편집]



6.2.2.1. 1차전 (VS 천안시 축구단, 홈 1:0 승)[편집]

파일:K3CS.jpg
2021 K3리그 챔피언십 3라운드 1차전
2021. 11. 24.(수) 14:00(UTC+9)
김포솔터축구장 (김포)
주심: 신용준 , 부심: 서영규/주현민/설태환/박정호 , 대기심: 최규현 (대한민국)
관중: 120명
파일:김포 FC 엠블럼(2013~2021).svg
1 : 0
파일:천안시 축구단 엠블럼.svg
김포 FC천안시 축구단
84' 윤민호(정의찬)파일:득점 아이콘.svg-
22' 손석용
34' 윤민호
73' 이슬찬
76' 이용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8' 조주영
13' 조재철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경기 하이라이트
김포 FC의 홈인 김포솔터축구장에서 펼쳐진 K3리그 챔피언십 3라운드(결승) 1차전에서 정규리그 1위를 기록한 천안시 축구단을 2위 김포가 1:0으로 꺾어버리는 일이 벌어졌다. 치열하게 전개되던 양팀의 승부 도중 84분에 윤민호가 크로스를 침착하게 머리로 반대편을 향해 돌려준 정의찬의 패스를 헤더로 꽂아넣으며 선제골이자 결승골을 챙겨온 것으로, 이로써 김포는 천안에서 펼쳐질 2차전에서 조금 더 유리한 위치를 잡았으며 2021년에 K3리그 최종우승을 차지하고 내년에 K리그2로 승격한다는 꿈에 한발짝 더 가까워졌다.


6.2.2.2. 2차전 (VS 천안시 축구단, 원정 2:2 무)[편집]

파일:K3CS.jpg
2021 K3리그 챔피언십 3라운드 2차전
2021. 11. 27.(토) 14:00(UTC+9)
천안종합운동장 (천안)
주심: 최규현, 부심: 김형관/신재환/우병훈/최일우, 대기심: 설태환 (대한민국)
관중: 641명
파일:천안시 축구단 엠블럼.svg
2 : 2
파일:김포 FC 엠블럼(2013~2021).svg
천안시 축구단김포 FC
28' 조주영
58' 이예찬(감한솔)
파일:득점 아이콘.svg90+2 정의찬
90+4 심동휘(OG)
18' 이용혁
21' 윤용호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Man of the Match: 선수명
경기 하이라이트
전반전 28분, 김포의 패널티 박스 안에서 벌어진 혼전 상황에서 수비수 이용이 골키퍼 이상욱에게 패스하려던 것인지 짧게 헤딩을 한걸 조주영이 그대로 가로채 선제골을 넣는다. 그리고 후반전에 천안의 이예찬이 추가골까지 넣으며 2점까지 점수차를 벌리며 우승에 한걸음 더 다가간다.

정의찬이 패널티 박스 내 혼전상황을 뚫고 만회골을 넣었지만 경기시간은 이미 후반 추가시간 5분 중 2분이 되었을 때였다. 해설진들도 "조금만 더 빨리 나왔다면..."이라며 말할만큼 우승은 이미 천안으로 사실상 확정된 분위기였다. 그러나....

파일:5c23dc8d6e8a75b1a60acf12155f4429.gif

90+4분 경 김포의 진영에서 이상욱의 롱 프리킥을 받은 정의찬이 헤딩으로 받아내고, 이를 박경록이 돌파를 하며 가슴 트래핑 후 슛을 한다. 천안의 골키퍼 제종현이 나와 막았으나, 심동휘의 몸에 맞고 도로 골대 안으로 공이 들어가며 동점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얼마 안 지나 경기 종료가 선언되며, 김포 FC의 우승이 확정된다.

6.3. FA컵[편집]


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 2021 하나은행 FA컵
경기일시상대팀/원정점수비고
1라운드2021.03.07 14:00서울 중랑 축구단원정[4]0 - 2H/L
2라운드2021.03.27 16:00FC 목포원정1 - 0H/L
최종 성적: 2라운드 탈락
1라운드에서 K4리그서울 중랑 축구단을 상대로 2점차 승리를 거두고 2라운드로 진출, 김포와 같은 K3리그에 참가중인 FC 목포와 대결하게 되었다. 하지만 1점차로 아까운 패배를 당하고 발걸음을 돌리게 되었다.


7. 시즌 종료 후[편집]


K3리그에서의 마지막 시즌을 우승으로 마무리한 김포 FC는 이제 2022년부터 프로화를 통해 K리그2에서 더 강한 팀들과 자웅을 가리게 될 전망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포 FC 문서의 r4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김포 FC 문서의 r4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3:34:21에 나무위키 김포 FC/2021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합산성적에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2] 다만, 팀 내 최다 득점에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3] 다만, 팀 내 최다 도움에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연기] [4] 고덕생활체육공원에서 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