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FC

(♥ 0)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구단의 20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강원 FC/2024년 문서
강원 FC/2024년번 문단을
강원 FC/2024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리그1 로고(가로형/흰색).svg
2024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height=80><width=25%> [[강원 FC|[[파일:강원 FC 엠블럼.svg|height=50]]]][br]
[[강원 FC|{{{#ffffff '''강원'''}}}]]
||<width=25%> [[광주 FC|[[파일:광주 FC 엠블럼.svg|height=50]]]][br]
[[광주 FC|{{{#5c100c '''광주'''}}}]]
||<width=25%> [[김천 상무 FC|[[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height=50]]]][br]
[[김천 상무 FC|{{{#ffffff '''김천'''}}}]]
||<width=25%> [[대구 FC|[[파일:대구 FC 엠블럼.svg|height=50]]]][br]
[[대구 FC|{{{#ffffff '''대구'''}}}]]
|| || [[대전 하나 시티즌|[[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height=50]]]][br]
[[대전 하나 시티즌|{{{#ffffff '''대전'''}}}]]
|| [[FC 서울|[[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height=50]]]][br]
[[FC 서울|{{{#ffffff '''서울'''}}}]]
|| [[수원 FC|[[파일:수원 FC 로고.svg|height=50]]]][br]
[[수원 FC|{{{#eb0028 '''수원'''}}}]]
|| [[울산 HD FC|[[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height=50]]]][br]
[[울산 HD FC|{{{#ffffff '''울산'''}}}]]
|| || [[인천 유나이티드 FC|[[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50]]]][br]
[[인천 유나이티드 FC|{{{#ffffff '''인천'''}}}]]
||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height=50]]]][br]
[[전북 현대 모터스|{{{#ffdd00 '''전북'''}}}]]
|| [[제주 유나이티드 FC|[[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50]]]][br]
[[제주 유나이티드 FC|{{{#ffffff '''제주'''}}}]]
|| [[포항 스틸러스|[[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height=50]]]][br]
[[포항 스틸러스|{{{#ffffff '''포항'''}}}]]
|| ||<-2><bgcolor=#eb49a3> [[틀:WK리그|{{{#ffffff ●}}} [[파일:WK리그(2022).png|height=15]]]] ||<-2><bgcolor=#001c48> [[틀:K리그2|[[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height=30]] {{{#ffffff ▶}}}]] || ||<-2><bgcolor=#ee3224> [[틀:K리그1/2023년|{{{#ffffff ◀ 2023년 참가 구단}}}]] ||<-4><bgcolor=#001c48> [[틀:K리그1/2025년|{{{#ffffff 2025년 참가 구단 ▶}}}]] || ||<-2><bgcolor=#001a58> [[틀:코리아컵(축구) 참가 구단|{{{-2 {{{#f7c626 코리아컵 참가 구단}}}}}}]] ||<-2><bgcolor=#444444> [[틀:K리그1/과거 참가 구단|{{{-2 {{{#ffffff 과거 참가 구단}}}}}}]] || ||<-4><colbgcolor=#ffffff,#1f2023> [[틀:K리그1|[[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K리그1]]|[[틀:J1리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J1리그]]|[[틀:중국 슈퍼 리그|[[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슈퍼 리그]][br][[틀:홍콩 프리미어 리그|[[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부류축구련맹전|[[파일:북한 국기.svg|width=20]] 1부류축구련맹전]][br][[틀:대만 풋볼 프리미어 리그|[[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몽골 내셔널 프리미어 리그|[[파일:몽골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br][[틀:리가 드 일리트|[[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리가 드 일리트]] || ||<-4>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
Gangwon FC
정식 명칭강원특별자치도민프로축구단
영문 명칭Gangwon Football Club
법인명(주)강원특별자치도민프로축구단
창단2008년 12월 18일(16주년) #
구단 형태도민 구단
소속 리그K리그1
연고지강원특별자치도
홈구장 변천강릉종합운동장 (2009~2016, 2020~ / 21,416석)[1]
춘천송암스포츠타운 (2009~ / 20,000석)
원주종합운동장 (2013~2016 / 20,796석)
속초종합운동장 (2015 / 10,000석)
평창알펜시아경기장 (2016~2017 / 8,500석)
운영 법인주식회사 강원특별자치도민프로축구단 (2008~ )
구단주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대표이사김병지
총괄단장정철환
운영사업단장김태주
감독윤정환
주장한국영
부주장김영빈, 이광연, 황문기
상징색주황색, 노란색, 청록색, 암록색
웹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파일:강원 FC 엠블럼.svg [2]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3]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4]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5]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공식 온라인 스토어
팬 커뮤니티강원FC 서포터즈 나르샤 |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 오렌지하우스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다 출장김오규 - 222경기[기준]
최다 득점김영후 - 39득점[기준]
최다 도움김대원 - 22도움[기준]
최다 공격 포인트김영후 - 54개 (39득점 14도움)[기준]
최다 무실점송유걸 - 15경기[기준]
유현 - 15경기[기준]
최다 이적료 지출가브리엘 - 120만 달러 (약 15억 원)
최다 이적료 수익양현준 - 275만 유로 (약 39억 원)
구단 최초 득점윤준하 - 2009년 3월 8일 (vs 제주 유나이티드)
구단 최초 도움김영후 - 2009년 3월 8일 (vs 제주 유나이티드)
최연소 출장양민혁 : 17세 10개월 15일 - 2024-03-02 (vs. 제주 유나이티드 FC K리그1)
최연소 득점양민혁 : 17세 10개월 23일 - 2024-03-10 (vs. 광주 FC K리그1)
최고령 출장박호진 : 36세 10개월 2일 - 2013-08-24 (vs. 대전 시티즌 K리그 클래식)
최고령 득점이을용 : 35세 9개월 24일 - 2011-07-02 (vs. 제주 유나이티드 K-리그)

[기준] A B C D E F K리그, 리그컵, 코리아컵, ACL, CWC 합산 기록. 2023 시즌 종료 기준.
구단 수상
[ 펼치기 · 접기 ]

2009 K리그 페어플레이상
2010 K리그 페어플레이상
2021 FA컵 페어플레이상
2022 K리그 페어플레이상
2023 K리그 페어플레이상

개인 수상
[ 펼치기 · 접기 ]

K리그1 신인상
(3회)
김영후 (2009 27경기 13득점 8도움)
김지현 (2019 27경기 10득점 1도움)
양현준 (2022 36경기 8득점 4도움)
K리그1 베스트 11
(2회)
1회
이근호 (2017)
김대원 (2022)
K리그2 도움왕
(1회)
최진호 (2014 32경기 9도움)
K리그2 베스트 11
(4회)
1회
최진호 (2014)
알렉스 (2014)
정승용 (2016)
이한샘 (2016)

유소년 체계
[ 펼치기 · 접기 ]

18세 이하
(U-18)
강릉제일고등학교
15세 이하
(U-15)
주문진중학교
12세 이하
(U-12)
강원 FC U-12


강원특별자치도의 힘, 강원 FC!

GREAT UNION 2008

1. 개요
2. 시즌별 일람
3. 역사
3.1. 강원 FC 이달의 선수상
4. 선수 명단
5. 스태프
6. 역대 구단주
7. 역대 대표이사
8. 역대 감독
9. 역대 주장
10. 역대 부주장
11. 레전드
12. 마스코트
13. 팬덤
13.1. 인기
13.2. 서포터즈
13.3. 네임드 팬
13.4. 홍보대사
14. 유니폼
15. 홈구장
15.1. 축구전용구장 건설 계획
15.1.1. 후보 1. 강릉시
15.1.2. 후보 2. 춘천시
15.1.3. 후보 3. 원주시
16. 클럽 하우스
17. 타 구단과의 관계
18. 캐치프레이즈
20. 여담
2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08년강원특별자치도를 연고로 창단한 K리그1 소속의 프로 축구단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넓은 지역을 연고로 하는 프로 구단이다. 엠블럼의 GREAT UNION은 영서와 영동의 대화합을 의미한다.


2. 시즌별 일람[편집]




파일:강원 FC 엠블럼.svg강원 FC
시즌별 일람
||
시즌리그코리아컵ACLCWC
디비전리그순위경기승점
20091부K-리그132877144257-152816강--
2010K리그122886143650-143032강--
2011K리그163036211445-31158강--
2012K리그1444147235768-114916강--
2013K리그 클래식1238812183764-273616강--
20142부K리그 챌린지437166154851-3548강--
2015K리그 챌린지7401312156456+85116강--
2016K리그 챌린지342219125334+196632강--
20171부K리그 클래식6381310155965-64916강--
2018K리그18381210165660-44632강--
2019K리그1638148165658-2508강--
2020K리그172797113641-5348강--
2021K리그111381013154051-11434강--
2022K리그1638147175052-24916강--
2023K리그11038616163041-11348강--


3. 역사[편집]


파일:강원fc창단.jpg
파일:강원fc창단2.jpg
2008년 12월 18일 춘천 호반체육관에서 진행된 구단 창단식
창단 당시 KBS 뉴스 영상

구단의 창단식 소개

파일:강원fc창단과정.jpg
2008년 4월 28일 당시 강원도지사였던 김진선이 강원도민구단 창단을 선언했다. 당시 김진선 도지사의 일문일답 보도 자료 보도 자료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강원 FC/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 강원 FC 이달의 선수상[편집]


한 달 간 팀 내에서 가장 좋은 활약을 보인 선수에게 구단에서 선정해서 주는 상이다.
2022년에 시작 됐으며 2022년엔 휠라의 후원을, 2023년은 강원한우의 후원을 받았다. 2024년은 뉴랜드올네이처의 후원을 받는다.
투표는 구단 공식 유튜브에서 할 수 있다.
강원 FC 역대 이달의 선수상 수상자
년도이름국적포지션기록비고
2022년3월디노 이슬라모비치몬테네그로FW5경기 2득점[7]#
2022년4월양현준대한민국FW3경기 1득점 1도움#
2022년5월김동현대한민국MF6경기 1도움#
2022년6월김대원대한민국FW3경기 3득점 2도움#
2022년7월김대원대한민국FW5경기 2득점 5도움#
2022년8월김진호대한민국DF5경기 2득점#
2022년9월김영빈대한민국DF4경기 2득점#
2022년10월유상훈대한민국GK5경기 1PK선방 5실점#
2023년4월이광연대한민국GK3경기 2실점#
2023년5월김영빈대한민국DF5경기#
2023년6월박상혁대한민국FW4경기 2골#
2023년7월한국영대한민국MF5경기 1득점#
2023년8월강투지몬테네그로DF4경기 1득점#
2023년9월가브리엘브라질FW3경기 1득점#
2023년10월가브리엘브라질FW4경기 2득점#
2024년3월이상헌대한민국FW4경기 3득점#
2024년4월황문기대한민국MF5경기 2득점#

4. 선수 명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이광연Lee Gwang-Yeon1999.09.11184cm, 82kg부주장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영빈Kim Yeong-Bin1991.09.20181cm, 74kg부주장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지솔Lee Ji-Sol1999.07.09182cm, 65kg
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조현태Jo Hyun-Tae2004.10.27184cm, 75kg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이석Kim Yi-Seok1998.06.19180cm, 70kg
9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FW코바체비치Franko Kovacevic1999.08.08186cm, 80kg임대
10파일:브라질 국기.svgFW가브리엘Vitor Gabriel Claudino Rego Ferreira2000.01.20187cm, 80kg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기혁Lee Gi-Hyeok2000.07.07184cm, 76kg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대우Kim Dae-Woo2000.12.02180cm, 79kg
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진준서Jin Jun-Seo2005.02.01182cm, 72kg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우석Kim Woo-Seok1996.08.04189cm, 74kg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유인수Yoo In-Soo1994.12.28177cm, 71kg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강국Kim Kang-Guk1997.01.07181cm, 72kg
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경민KIM Kyung-Min1997.01.22186cm, 81kg
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윤석영Yun Suk-Young1990.02.13183cm, 75kg주장
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박청효Park Cheong-Hyo1990.02.13190cm, 78kg
22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이상헌Lee Sang-Heon1998.02.26178cm, 67kg
24파일:호주 국기.svgFW헨리Henry Hore1999.08.17180cm, 67kg임대
26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박경배Park Gyeong-Bae2001.02.15182cm, 70kg
2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홍성무Hong Sung-Moo2003.05.22173cm, 67kg
28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조진혁Cho Jin-Hyuk2000.08.12181cm, 73kg
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신민하Shin Min-Ha2005.09.15187cm, 76kg
3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조민규Cho Min-Kyu2003.04.30194cm, 82kg
32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상현Park Sang-Hyoun2005.10.14191cm, 83kg
3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송준석Song Jun-Seok2001.02.06174cm, 68kg
3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정한민Jeong Han-Min2001.01.08183cm, 78kg임대
4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김유성Kim Yoo-Sung2005.11.16190cm, 81kg
42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동현Kim Dong-Hyun1997.06.11182cm, 75kg
43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해승Kim Hae-Sung2003.02.06185cm, 80kg
4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양민혁Yang Min-Hyeok2006.04.16170cm, 61kg
66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류광현Ryu Kwang-Hyun2003.11.18179cm, 67kg
74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DF강투지Marko Tuci1998.12.04190cm, 83kg
77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태랑Park Tae-Rang2002.09.04190cm, 85kg
88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황문기Hwang Mun-Ki1996.12.08176cm, 70kg부주장
90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형진Kim Hyeong-Jin2006.11.19175cm, 73kg준프로 계약
97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유현Lee Yoo-Hyun1997.02.08179cm, 74kg임대
99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FW하지치Irfan Hadzic1993.06.15192cm, 84kg
구단 정보
대표이사: 김병지 / 감독: 윤정환 / 홈구장: 춘천송암레포츠타운, 강릉종합운동장
출처:강원 FC 웹 사이트



구단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비고
김천 상무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대원Kim Daewon1997.02.10171cm, 65kg2025.06.17 전역
김천 상무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서민우Seo Minwoo1998.03.12184cm, 75kg2025.06.17 전역
김천 상무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박상혁Park Sanghyeok2002.06.13182cm, 75kg2025.10.26 전역
김천 상무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승원Lee Seungwon2003.03.06173cm, 66kg2025.10.26 전역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권석주Kwon Seokjoo2003.06.12178cm, 63kg임대
파주시민축구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동진Lee Dongjin2000.12.17186cm, 78kg임대
강릉시민축구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최성민Choi Seongmin2003.6.12179cm, 75kg임대




5. 스태프[편집]


강원 FC 2024시즌 보드진
직책성명국적생년월일
구단주김진태대한민국1964.10.13
대표이사김병지대한민국1970.05.12
총괄단장정철환대한민국1966.??.??
운영사업단장김태주대한민국1973.??.??
강원 FC 2024시즌 코칭 스태프
직책성명국적생년월일
감독윤정환대한민국1973.02.16
수석 코치정경호대한민국1980.05.22
코치최효진대한민국1983.08.18
코치송창호대한민국1986.02.20
골키퍼 코치전상욱대한민국1979.09.22
피지컬 코치정문호대한민국미상
강원 FC 2024시즌 지원 스태프
직책성명국적생년월일
의무트레이너김범수대한민국미상
의무트레이너손용관대한민국미상
물리치료사함성원대한민국미상
전력분석관김용신대한민국미상
키트매니저유형준대한민국미상
통역김승현대한민국미상
'''{{{#fff 출처: 강원FC 홈페이지
마지막 편집: 2024년 2월 20일}}}'''



6. 역대 구단주[편집]


강원 FC 구단주는 강원특별자치도지사가 당연직으로 겸직한다.
강원 FC 역대 구단주
대수이름재임 기간
초대김진선2008년 12월 18일~2010년 6월 30일
2대이광재2010년 7월 1일~2011년 1월 27일
3대강기창2011년 1월 28일~2011년 4월 27일
4대최문순2011년 4월 28일~2022년 6월 30일
5대김진태2022년 7월 1일~


7. 역대 대표이사[편집]


강원 FC 역대 대표이사
대수이름재임 기간
초대김병두2008년 7월 18일~2008년 11월 13일
(2008~2008)
2대김원동2008년 11월 14일~2011년 7월 22일
(2008~2011)
3대남종현2011년 8월 22일~2012년 12월 13일[8]
(2011~2012)
4대김덕래2012년 12월 14일~2013년 5월 29일
(2013~2013)
5대임은주2013년 5월 29일~2015년 12월 31일
(2013~2015)
7대최중훈2016년 1월 7일~2016년 3월 22일
(2016~2016)
8대조태룡2016년 3월 23일~2018년 10월 30일
(2016~2018)
9대한원석2018년 10월 30일~2018년 12월 28일
(2018~2018)
10대박종완2019년 1월 1일~2020년 12월 31일
(2019~2020)
11대이영표2021년 1월 1일~2022년 12월 31일
(2021~2022)
12대김병지2023년 1월 1일~
(2023~)


8. 역대 감독[편집]


||
[ 펼치기 · 접기 ]

1대2대3대4대5대
최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2011)
김상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2)
김학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3)
김용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알툴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
5대6대7대8대
감독 대행
박효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최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감독 대행
박효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송경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8)
김병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21)
8대9대10대
감독 대행
김현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최용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2023)
윤정환
(윤정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K리그1 우승 / : 코리아컵 우승 / :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우승



강원 FC 역대 감독[필독]
대수이름재임 기간성적비고
초대최순호2008. 12. 18.2011. 4. 6.71전 17승 14무 40패 승률: 23.94%
2대김상호2011. 4. 7.2012. 7. 1.48전 8승 8무 32패 승률: 16.67%
3대김학범2012. 7. 9.2013. 8. 10.47전 11승 14무 22패 승률: 23.4%
4대김용갑2013. 8. 14.2013. 12. 10.18전 7승 3무 8패 승률: 38.89%K리그 챌린지 강등
5대알툴2013. 12. 23.2014. 9. 18.27전 11승 6무 10패 승률: 40.74%구단 최초의 외국인 감독
대행박효진2014. 9. 19.2014. 12. 24.10전 5승 0무 5패 승률: 50%
6대최윤겸2014. 12. 252017. 8. 14.110전 44승 30무 36패 승률: 40%K리그 클래식 승격
대행박효진2017. 8. 15.2017. 11. 1.12전 3승 3무 6패 승률: 25%
7대송경섭2017. 11. 2.2018. 8. 11.23전 7승 6무 10패 승률: 30.43%
8대김병수2018. 8. 12.2021. 11. 4.116전 37승 30무 49패 승률: 31.9%구단 역대 최다 경기 지휘
대행김현준2021. 11. 6.2021. 11. 15.1전 0승 1무 0패 승률: 0%
9대최용수2021. 11. 16.2023. 6. 15.57전 17승 14무 26패 29.82%
10대윤정환2023. 6. 15.


9. 역대 주장[편집]


파일:강원 FC 엠블럼.svg강원 FC
역대 주장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5대
이을용
(2009)
정경호
(2010~2011.04)
서동현
(2011.04~2011.08)
이을용
(2011.08~2011.11)
김은중
(2012)
6대7대8대9대10대
전재호
(2013.01~2013.08)
배효성
(2013.09~2013.11)
김오규
(2014)
황교충
(2015.공동주장)
백종환
(2015.공동주장~2017)
11대12대13대14대15대
정조국
(2018.02~2018.08)
오범석
(2018.08~2020.06)
임채민
(2020.07~2021)
김동현
(2022)
임창우
(2023.02~2023.06)
16대17대18대19대20대
한국영
(2023.06~2024.06)
윤석영
(2024.06~)




10. 역대 부주장[편집]


강원 FC 역대 부주장
기간이름국적비고
2012년배효성대한민국#
2014년최요셉대한민국#
2016년이한샘대한민국#
2017년이근호대한민국#
2018년이근호, 김승용, 김오규대한민국#
2019년~2020년 6월김오규대한민국2019, 2020
2020년7월~2021년한국영대한민국2020 2021
2022년임창우대한민국#
2023년2월~2023년6월서민우대한민국#
2023년6월~2023년12월김대원, 김대우, 윤석영대한민국#
2024년황문기, 이광연, 김영빈대한민국#


11. 레전드[편집]


127경기 39득점 14도움.
2023시즌 끝나고 성남으로 완전 이적 하였다


12. 마스코트[편집]


파일:강원 FC 마스코트.svg


13. 팬덤[편집]



13.1. 인기[편집]


사실 강원도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단이 창단한다는 발표가 나왔을 때부터 "강원도에서 무슨 프로 축구를 한다고? 관중석 텅텅 비는 거 아냐?" 라고 걱정하던 축구 팬이 많았다. 이는 남녀 농구단인 원주 DB 프로미춘천 우리은행 한새를 제외하고는 강원도를 연고로 하는 프로 스포츠 구단이 아예 없었고[9] '강원도=하계 스포츠 불모지' 라는 오랜 선입견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강원도의 축구 열정을 모르는 타지인들의 시각이다. 일단 창단 당시 도민들의 지원금만으로 모인 돈이 무려 60억이다. 그래서 붙은 슬로건이 '구도 강원'이다.

특히 강릉 축구의 역사에서도 유명한 것은, 국내의 축구 더비 매치 중에서 가장 전통이 깊은 강릉 정기전(구 농상전/상농전)의 무대가 바로 강릉이다. 어느 정도나 하면 1970년대고교 축구 대항전 주제에 시가전이 벌어지고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이후 20년 가까이 대회가 중단되었을 정도였다.[10] 다만 강릉제일고가 강원 FC의 정식 유스 팀이 되면서 어느 정도 갭이 생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중일전 정기전을 계속 해야 하냐?" 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한다.

어찌 되었건 강원도의 인구는 프로 스포츠단 운영이 제대로 될 것인가도 의구심이 들 정도로 적어서 "응원하는 사람이 있기나 할까?"하는 반응이 많았지만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개막전 첫날부터 뜨거운 열기로 팬들과 구단 관계자들의 걱정을 한방에 날렸다. 게다가 더 놀라운 건 창단한 지 1년도 안 된 신생 구단, 그것도 연고 지역의 인구가 고작 22만밖에 안되는 조그만한 지역[11]에 위치한 구단이 그해 K리그 누적 관중 수 3위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운 것이다. "강원도에서 무슨 프로 축구를 해?" 하던 사람들의 비아냥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평균 관중이 약 1만 5천 명 수준으로 강원의 열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높은 열기에다 강릉시청의 행정 지원까지 한몫 더해져서 경기가 있는 날이면 조례를 살짝 눈감아 주면서까지 홍보와 경기 진행을 지원해 준다고 한다. 제대로 민관이 일체된 좋은 사례다.

홈구장인 강릉종합운동장에서는 기존 클럽들의 유럽식 서포팅뿐만 아니라 한국 전통식의 구수한 응원을 들을 수 있다. 특히 70대 할머니들의 열띤 응원은 강원 FC의 자랑이다. 실제로 몇몇 산골마을 노인회가 구단과 자매결연 형태로 이어져있다. 강릉시청 또한 강릉시 교향단을 통한 응원을 자주 전개했으므로 이런 식의 응원이 익숙한 강릉 시민들에게 나쁜 반응은 아니다. 다만 강릉종합운동장 리모델링으로 인해 강릉을 2년 가까이 비웠다가 복귀한 지금도 이 충성도가 이어질 지는 뚜껑을 열어 봐야 알 수 있다.

2023시즌 후반기는 홈경기를 강릉종합운동장에서 했는데 이때 평균관중은 약 8664명으로 창단 이래 역대 최다기록이다.

팬들의 충성도가 워낙 높아 공짜표 같은 건 하나도 안 뿌렸는데도 이미 첫 시즌도 시작하기 전에 연간권 판매분으로 10억 넘게 재정을 확보해놨다고 한다.


13.2. 서포터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나르샤(서포터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983319_423845_4011.jpg

서포터즈명 "나르샤"는 "날다"의 순우리말 극존칭 옛 표현 "날으셔"에서 따왔다. 연예인 나르샤와 동명인 까닭에 브라운 아이드 걸스가 축하 공연을 한 적이 있고, 나르샤 본인이 나르샤에 응원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13.3. 네임드 팬[편집]



13.4. 홍보대사[편집]


이을용 2023년 2월 9일 위촉
정경호 2023년 2월 9일 위촉
김도근 2023년 2월 19일 위촉
꾸티뉴 2023년 4월 6일 위촉
임선비 2023년 4월 6일 위촉
김흥국 2023년 7월 7일 위촉

14. 유니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강원 FC/유니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 홈구장[편집]


강원 FC 홈구장
2009~2016, 2020~2009~
강릉종합운동장춘천송암스포츠타운
2013~20162016~2017
원주종합운동장알펜시아 스키점프 센터
2015
속초종합운동장



15.1. 축구전용구장 건설 계획[편집]


강원 FC가 도내에서 강릉시, 춘천시, 원주시, 속초시, 평창군 등을 돌아가며 가장 사용구장이 많았던 축구단 타이틀을 가졌던 것도 옛말이고 현재는 강릉시에 있는 강릉종합운동장춘천시에 있는 송암스포츠타운 주경기장을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기장들은 접근성도 좋지 않고, 종합운동장이라 육상트랙 탓에 시야도 나빠 가변석을 도입할 정도였다. 또한 강원 도내에 전문적인 축구 인프라를 마련해야할 필요성 또한 제시되었고, 이런 연유로 강원 FC가 입주할 새로운 축구전용구장을 건설하는 계획이 시작되었다.

2020년 3월 전용구장 용역 입찰이 시작되었고,# 8개월 후인 2020년 11월 6일자 기사에 따르면, 축구전용구장 건립이 가시화되어 18개 시,군을 대상으로 입지 공모를 추진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한다. 강원도는 6일 오후 강원연구원 대회의실에서 '강원도 축구전용구장 건립 타당성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하며, 도는 이날 보고회를 통해 전용경기장 건립 계획을 더욱 구체화하기로 했다.

이번 연구 용역 결과, 축구전용구장 신축 계획 총 사업비는 540억 원 규모로 추산됐는데 이는 부지 매입비를 제외한 것이라고 한다. 보조경기장 신축은 200억 원, 기존 종합운동장 리모델링은 90억 원으로 각각 추산됐다.[12] 전면 신축 계획 외에 도는 기존 종합운동장 리모델링, 보조경기장 신축 등 2개 방안도 함께 검토하기로 했고, 이에 따라 각 시군의 공모 응모에 따라 경기장 건립 계획이 전면 신축 또는 리모델링 등으로 수정될 가능성도 있다.#

이 같은 전용구장 조성에 대해서는 도민들도 대체로 호의적이라고 한다. 강원일보에서 도민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도민의식 조사' 결과#, 축구전용구장 건립에 대해 52%는 대체로 찬성, 38%는 매우 찬성하는 등 찬성 비율이 90%에 이르렀다고 한다. 대체로 반대는 9%, 매우 반대는 단 1%였다. 전용구장 건립 방식으로는 신축이 58.6%로 기존 시설 리모델링 41.4%보다 약간 높았다고. 일단 강원도는 연구용역을 완료하고 18개 시, 군을 대상으로 2021년 말까지는 입지를 확정할 계획이라고 한다. 하지만 축구전용구장 유치지 선정열기가 너무 과열되면서, 2021년 9월 기준 이미 타당성 용역까지 끝난 상태지만 2022년 6월에 예정되어있는 지방선거를 의식해 빠르게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사업이 차기 도정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생기며 완공은 빨라야 2025년 전후에 가능할 전망이다.#

그러나 2022년 9월 15일, 강원도측에서 최종적으로 계획 백지화를 발표했다.# 정광열 경제부지사는 강원도의 재정 건전성 문제로 전용구장 건축이 당장은 어려운 상황이고, 도민 일체감 조성과 지역 화합이라는 강원 FC 창단 취지에 따라 홈경기를 기존처럼 순회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15.1.1. 후보 1. 강릉시[편집]


강원의 클럽하우스오렌지하우스가 위치한 강릉시도 이에 참전했다. 김한근 강릉시장은 2021년 1월 4일 이 대표에게 올림픽파크에 축구전용구장을 지을 수 있다는 의견을 전달했고, 축구 인프라, 넓은 주차장, 강원 FC 클럽하우스 확보 등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기본적으로 지역 내 고교간 더비매치로 인해 축구 열기가 높은 도시이고[13], 이러한 높은 축구 분위기 때문에 강원 FC가 창단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제는 경강선 KTX도 뚫려서 이제 교통도 나쁘지 않으며, 현재 클럽하우스가 강릉에 위치하고 있기에, 새로 클럽하우스를 지어야 하는 타 지역과는 달리 가장 적은 예산으로 최적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관광 도시인 특성상 택시 문화가 발달한 만큼 타 지역에 비해 버스 배차 간격이 좋은 상황이 아니라는 점이 흠이다. 김진태 강원도지사 당선인은 2018 평창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으로 쓰였던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을 축구전용경기장으로 리모델링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한다.#

최근 구단 사무국이 춘천에서 강릉으로 이전하면서 클럽하우스와 사무국이 모두 강릉에 위치하게 되어 전용구장 경쟁에서 매우 유리한 위치에 올라서게 되었다.

15.1.2. 후보 2. 춘천시[편집]


2021년 1월 6일자 강원도민일보 기사에 의하면, 새로 취임한 이영표 강원 FC 대표이사가 이재수 춘천시장과 만나 구 주한미군 부지 캠프 페이지를 직접적으로 지목하였다고 한다.# 춘천역에서 춘천시청을 비롯한 시내쪽으로 들어가는 길목 바로 앞에 자리한 이 부지는 2005년 철거되어 토지오염 수복 후 2013년부터 춘천평화생태공원이라는 이름으로 민간에 공개된 곳인데, 이것은 일부일 뿐이고 여전히 그 3배 가량 되는 넓은 땅이 미사용되는 상태로 함석가림판을 통해 격리된 채 남아있다. 이 대표이사는 전용구장이 지어진다면 위치가 가장 중요한데, 걸어서 올 수 있어야 하고[14], 경기장 안에 대형마트를 들여와 근처 사람들이 먹고 마실 수 있게 해야 한다며[15] 캠프 페이지 부지가 가장 최적지임을 강조했다. 심지어 이 대표이사는 이 자리에서 손흥민춘천시 출신의 토트넘 홋스퍼 FC 소속 선수이고, 자신도 토트넘에서 뛴 만큼 관계자들을 잘 안다며 전용구장이 세워지면 토트넘을 초대해 강원 FC와 개장 경기를 가지겠다는 놀랄 만한 제안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수 시장 또한 춘천은 수도권과도 가깝고 축구와 인연이 깊은 만큼 축구전용구장이 들어서는데에는 최적지라는 의견을 같이 했는데, 부지 선택 면에 있어서는 캠프 페이지가 아닌, 춘천역에서 남쪽으로 약 700m 가량 떨어진 근화동 하수처리장을 포함한 공지천 인근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알려졌다. 캠프 페이지와 달리 토양오염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것도 어드밴티지인데다, 물론 접근성 면에서는 근소하게 밀리지만 근화동 하수처리장도 송암스포츠타운에 비하면 말도 안 되게 좋은 위치이다보니 어디가 되었든 간에 축구 팬들의 입장에서는 만족스럽다.

동년 1월 15일자 기사에 따르면 춘천시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축구전용구장 유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재수 춘천시장은 14일 "춘천에 강원FC 전용구장을 건립, 축구 붐 조성에 나설 것"이라며 "춘천시 차원의 조성방안을 마련,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신도훈 춘천시축구협회장 또한 15일에 이 시장과 면담을 가져 건립을 위한 대책을 논의한다고 한다. 그러나 후보 부지를 춘천시만 노리는게 아니다보니 과연 부지를 가져올 수 있을지가 큰 장애물이다.


15.1.3. 후보 3. 원주시[편집]


한편 원주시는 모 시의원의 주도 아래 원주종합운동장을 리모델링 하거나 근처에 신축하는 방안을 제의하고 있으며, 경기장 자체도 도심에 위치한데다 강원 지방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교통의 요지여서 지리적 면에서도 좋고, 원주는 이미 원주 DB 프로미라는 농구단이 강세를 띄는 도시이다 보니 스포츠에 대한 시민들의 열정도 좋은 편이다. 강원 경기가 열린 게 마지막으로 2016년이었기에 전용구장을 지으면 현지에서 팬들의 프로 축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영표 대표이사는 2021년 1월 19일 원주시청을 방문해 원창묵 원주시장을 접견하였고, 이곳에서 원 시장은 교통의 요지인 원주가 강원FC 전용구장의 최적지라며 전용구장 유치에 대한 열의를 보였다고 한다.# 이 대표이사 또한 구장이 어느 지역에 유치되든 경기장을 갖는 도시는 발전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강원도에 축구붐이 일어날 수 있도록 협력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2021년 9월 13일에는 원주시의원들이 강원도에 강원 FC 축구전용경기장 유치 대상지 공개를 촉구하기도 했다. 장영덕, 곽희운, 류인출, 김정희, 이용철, 문정환, 조상숙, 이숙은, 황기섭 시의원은 이날 의회 모임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접근성과 예산문제,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모두 고려했을 때 강원 FC 축구전용경기장의 최적지는 원주시”라며 “하지만 도는 강원 FC 전용 경기장 건립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나 유치 대상지 관련 추진 경과 등 어떠한 것도 전혀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2021년 12월 1일, 원창묵 원주시장은 봉산동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찾아가는 시장실'에서 원주교도소 이전과 함께 봉산동 번재마을에 조성하는 대규모 체육시설단지에 강원FC 전용경기장을 유치할 생각이고, 공모가 시작되면 바로 후보지로 신청할 계획이라며 강한 의지를 표출했다.#

그러나 과거 원주종합운동장에서 경기를 했을 때, 조명을 켜주지 않아 밤 경기가 불가했기에 팬 여론은 그다지 좋지 않다.


16. 클럽 하우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오렌지하우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img_clubhouse.jpg
강원 FC 오렌지하우스
이름오렌지하우스
설립일2010년 7월 30일
주소강원도 강릉시 노암동 산35번지 강남축구공원 내 오렌지하우스
대지면적2,731.11m² (717.26평)
연면적1,939.56m² (568.71평)
구성선수 숙소, 식당, 회의실, 의무실, 웨이트트레이닝장


K리그 시도민구단 최초 클럽하우스


17. 타 구단과의 관계[편집]



17.1. 대전 하나 시티즌[편집]


과거 대대강광이라 불리며 승강제 이전까지 늘 리그 꼴찌 다툼을 벌이기도 했으며, 2013년에는 대전과 강원 둘 다 2부 리그로 강등을 당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으며 이후 강원은 2016년 1부 리그로 승격을 하지만, 대전은 계속해서 승격에 실패하면서 두 구단 간 접점이 없었다. 그러나 2021년 강릉종합운동장에서 펼쳐진 대전과 강원의 승강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강원의 볼보이들이 고의적으로 경기를 지연시키는 행동을 저질렀고, 경기 후 이영표 강원FC 대표이사가 이 사건을 옹호하는 인터뷰를 하면서 대전의 강원에 대한 반감이 최고조로 치달았다. 대전 구단은 이후 SNS를 통해 공식적으로 이 사건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는 등 이 사건을 계기로 양 구단 간 사이는 급격히 나빠졌다.

2021 시즌 종료 후 대전의 이웅희가 강원으로 이적했는데, 이적이 발표되고 나서 자신의 SNS에 대전 팬들에게 자신의 심경을 전하는 글까지 올린 것을 보면 당시 대전 팬들의 강원에 대한 반감이 얼마나 컸는지를 짐작하게 한다. 이후 2022년 대전 하나 시티즌 B강원 FC B의 대전 홈경기에서는 평소보다 많은 대전 팬들이 B팀 경기에 찾아와 강원을 상대로 강한 야유를 보내며 악감정이 아직 남아있음을 보여주었다.

자세한 내용은 강원 FC 볼보이 시간 지연 논란 문서 참고.


17.2. 성남 FC[편집]


후술할 사건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딱히 라이벌 관계도 없고 그냥저냥 무난한 사이였으나, 2016년 승강 플레이오프에서의 논란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는 악감정이 남게 되었다.

2016년 여름 이적시장, 당시 K리그 챌린지(현 K리그2)에 참가하던 강원 FC는 브라질-시리아 이중국적의 세르징요라는 선수를 영입하였다. 세르징요는 15 시즌까지 브라질 단일국적으로 대구 FC에서 뛰던 선수였는데, 갑자기 본인의 조부모중에 시리아 난민 출신이 있었다며 시리아 국적을 보유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당시만 해도 딱히 이상하게 느껴질 부분은 없었기에, 연맹은 세르징요를 강원의 새 아시안쿼터 용병으로 인정해주었다. 그렇게 세르징요는 루이스와 함께 16 시즌 후반기 동안 팀의 핵심으로서 활약했다.

그러나 같은해 10월 19일, 세르징요가 연루된 다른 사건을 조사하던 중 그가 보유한 시리아 여권이 위조되었다는 혐의가 나오면서 경찰 조사를 받게 되었다. 그리고 당시 강원 측에서는 판결이 날 때까지[16] 세르징요를 경기에서 제외시키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후 무죄추정의 원칙에 의거해서 세르징요를 투입시키겠다고 상황이 달라졌다.

언제부터인가 강원이 세르징요의 빈자리가 느껴져서 10월 30일 경남전부터 투입시켰다고 주장되고 있다.[17] 그러나 공식 발표로는 세르징요가 변호사를 대동해 노동의 권리, 부당하게 출전을 제외당하고 있다는 것[18], 무죄추정의 원칙을 주장하였기 때문에 강원 FC는 세르징요를 선발 라인업에 포함시켰다.

반대로 출전 자격이 없는 선수가 뛴 경기에서 강원에 원정 다득점이 밀려 2부 리그로 강등된 성남 FC는 그 경기가 무효라며 몰수패로 정정해야 한다는 소송을 걸었으나 2018년 5월 재판부에 의해 각하됐다.

파일:unnamed_SNGW(2).jpg
그 이후 바로 다음해인 2017년 강원과 성남은 다시 FA컵에서 만나게 되었고, 성남은 강원에게 승리하고 이런 포스터를 내보이며 강원구단에 대한 디스를 하였으며 이후 2018년 성남이 K리그1으로 승격함으로써 드디어 강원과 성남은 같은 리그에서 만나게 되었다.

파일:FFC8425E-5A44-45BE-817F-5DAF2C89BD12.jpg
파일:D3DEC2A5-79A4-4016-9727-282D039A2683.jpg
그리고 2021 시즌 최종전을 앞두고 강원은 K리그1 정규리그 11위를 기록하면서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로 떨어지게 되었고, 5년전 사건을 기억하는 성남팬들은 자신들은 이미 10위로 잔류를 확정지은 시점에서 강원 홈구장에 와 나름 복수의 의미를 담은 걸개를 내걸었다.

앙금과는 별개로 2022 시즌 강원 팬들이 경기장에 해체 위기에 빠진 성남 FC를 지지하는 걸개를 걸어 타 구단 팬들과 연대를 했고 성남 팬들이 강원에게 고마워하기도 했다.


18. 캐치프레이즈[편집]


2020년 이후로 캐치프레이즈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2024시즌을 앞두고 구단 공식 온라인 스토어를 열었는데 거기 메인 화면에 GREAT ONE TEAM이 적혀있는데 이것이 구단 공식 캐치프레이즈인지는 불명.
2020년 캐치프레이즈
파일:2020강원fc캐치프레이즈.jpg
2019년 캐치프레이즈
파일:2019강원fc.jpg
2018년 캐치프레이즈
파일:2018강원fc.jpg
2017년 캐치프레이즈
파일:2017강원 캐치프라이즈.jpg
2009년~2016년 캐치프레이즈
파일:external/www.gangwon-fc.com/catchphrase_2016.jpg




19. 사건 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강원 FC/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 여담[편집]










주 주 명소유 주식 수지 분 율
강원특별자치도866,50047.62%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21]40,0002.20%
(주) 그래미[22]20,0101.10%
(주) 태영건설20,0001.10%
하이트진로(주)20,0001.10%
대한건설협회20,0001.10%
기타833,18845.78%
합계1,819,698100.00%


21. 둘러보기[편집]


파일:강원도 휘장_White.svg
||


파일:K리그2 로고.svgK리그2
과거 참가 구단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8 22:47:35에 나무위키 강원 F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으로 인해 강릉 종합 운동장이 보안 유지 지역이 되면서 2017년부터는 강릉 종합 운동장 사용 금지. 2020년부터 강릉 종합 운동장, 춘천송암스포츠타운과 홈경기를 나누어서 진행 중.[2] 2008년 12월 11일 개설[3] 2015.11.06 이후 운영 중단.[4] 2012년 2월 9일 개설[5] 2016년 4월 22일 개설[6] 2011년 6월 29일 개설[7] 2월 기록도 합산[8] 사퇴 선언은 9월 12일에 했지만 강원 FC 이사회에서 사표 수리한 날짜는 12월 14일이다.[필독] 시즌 정규 리그 기록만 서술해 주시기 바랍니다.[9] 과거 울산 현대가 1987년부터 1989년까지 강원도를 연고지로 삼은 적이 있었지만 명목상으로만 연고지 제도를 운영했을 뿐이었던 시절이었다. 다른 실외 종목 리그인 KBO 리그는 강원도를 제1 연고지로 삼은 구단이 없었으며 삼청태현의 광역 연고권 안에 들어가기는 했으나 1988년 이후 강원도에서 프로야구 1군 경기가 열린 적은 없다.[10] 요즘도 단오제에 맞춰서 치뤄지는 농일/일농 더비는 응원단의 카드섹션이나 그 흥행성면에서 강릉 최고의 축제 중 하나. 자세한 내용은 더비 매치 항목 참고. 워낙 유명한 사건이라 그 때의 광경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는 어르신 분들도 많다. 어르신들의 입을 통해 지금까지 이 사건이 언급될 정도다.[11] 인구 22만 명의 강릉시 외에 자동차와 버스, 철도로 1시간 정도인 10만 정도의 동해시, 약 8만의 삼척시, 약 8만의 속초시, 약 4만의 양양군 주민들도 경기를 보는 경우가 있으므로 약 52만 명의 가수요가 있다. 그러나 강원도는 면적이 넓고 도로가 발전하지 않은 데다 지형이 험준한 관계로 도내 다른 시군, 특히 춘천시, 원주시영서에서 강릉까지 직관을 하러 가는 것은 좀 힘이 든다.[12] 참고로 한국에서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축구전용구장 중 하나라 불리는 DGB대구은행파크의 건설 비용이 515억 원이었다. 인천축구전용경기장은 1,120억 원이었는데 대구의 케이스와는 다르게 홈플러스를 입점시킬 공간을 넣었다.[13] 사실 축구 열기만 따지자면 강릉이 춘천, 원주를 훨씬 앞서긴 한다.[14] 실제로 2019년 완공된 대구 FC의 홈구장 DGB대구은행파크만 봐도, 기존에 시내에서 멀리 떨어지고 규모도 과도하게 컸던 대구스타디움을 사용할 때에 비해 상전벽해의 수준으로 달라진 대구 구단의 연이은 매진 및 흥행 행진에 크게 한 건 했다는 평이다.[15] 전용구장은 경기를 하지 않을 때는 수익을 내기 어렵기 때문에, 부가수익을 창출해내기 위해 인천축구전용경기장홈플러스 인천숭의점을 들여온 것처럼 대형마트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면 경기장 주변 주민들에게도 건설에 대해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16] 감독이 아닌 프런트의 결정이다.[17] 시간이 흐르며 어느새인가 일각에서는 세르징요로 인해서 강원이 승격하게 된 것, 또는 강원이 승격하고 싶은 욕심에 후달려서 세르징요를 기용한 것처럼 얘기하고 있으나 강원은 3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세르징요가 출전하지 않았을 때도 강원의 중원은 루이스, 한석종, 허범산으로 구성되어 1부에서도 뛰어난 선수 혹은 2부에서 준척급인 선수로 주전 라인업이 되어 있었고 경찰청을 4:0으로 제압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장혁진, 서보민, 오승범, 박희도 등 2부에서 준척급인 선수들로 교체멤버를 꾸릴 수 있었다. 또한 세르징요가 출전하지 않은 4경기에서 강원의 성적이나 경기력이 급격히 추락했거나 흔들렸으면 모르겠으나 강원은 앞서 말했던 중원 멤버들을 바탕으로 4경기에서 3승 1패를 거두었으므로 딱히 후달릴 이유도 없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세르징요가 없으면 허전한 전력이었던 것은 사실이나 언제부터인가 퍼지는 얘기와 당시의 상황은 많이 다르다. 또한 당시 경기 양상으로 봐도 엄청난 격전이 펼쳐졌던 부천전에서, 만약 세르징요가 없었다면 떨어졌을 것이라고 말한다면 반박하기 어려우나 성남은 말이 다득점 진출이지 당시 1차전 무실점, 2차전 다득점 승부라는 강원의 큰 전략을 저지하지 못했고 경기 세부에서도 김현 황의조의 뻥축과 세트피스 외에는 위협적인 기회가 없어서 무난하게 떨어진 편이다. 이 사건만 얽히면 세르징요 때문에 떨어졌다는 식으로 말이 많으나 연맹이 3:0으로 몰수패를 주더라도 마찬가지로 부천, 부산도 몰수승을 얻을 것이기에 성남은 부천이나 부산과 다시 싸웠어야 했을 것이다. 성남은 내분에 빠져서 감독대행의 대행이 지휘하고 있었는데 어떤 팀이 올라와도 쉽게 저지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는지는 정말 미지수다.[18] 성남FC가 이후 다른 선수를 부당하게 차별 대우하다가 잘못된 것이라고 법의 판결을 받은 것처럼 법의 판결이 나지 않았는데 부당하게 차별대우를 할 경우 오히려 법에 걸리게 된다.[19] 본인이 그 영상의 댓글을 통해 침대에 누워서 보다가 이불킥했고 팀원들에게도 욕을 바가지로 먹었다고 밝혔다.[20] 강원도의 지역 신문인 강원일보에도 이 사건이 실렸다고 한다.[21] 현대건설 산하 공익 재단.[22] 숙취해소 음료로 유명한 여명808의 제조사.[23] SNS 주소[24] 2대 주훈진 감독이 2024년 3월 25일 감독을 그만뒀고 최경진 감독이 3대 감독이 되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