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Нацыянальная зборная Беларусi па футболе
정식 명칭Нацыянальная зборная Беларусi па футболе[1]
Сборная Белоруссии по футболу[2]
FIFA 코드BLR
협회벨라루스 축구 연맹 (BFF)
연맹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카를로스 알로스 (Carlos Alós)
주장예브게니 야블론스키 (Яўген Яблонскі)
최다 출전알략산드르 쿨치 (Аляксандр Кульчы) - 102경기
최다 득점막심 로마첸코 (Максім Рамашчанка) - 20골
홈 경기장디나모 내셔널 올림픽 스타디움 (Нацыянальны Алімпійскі стадыён Дынама)
첫 국제경기 출전VS 우크라이나 (1:1 무), 벨라루스 민스크 (1992년 10월 28일)
최다 점수차 승리VS 리투아니아 (5:0 승), 벨라루스 민스크 (1998년 6월 7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벨기에 (0:8 패), 벨기에 뢰번 (2021년 3월 30일)
올림픽진출 1회 (2012)
FIFA 랭킹100위(2023년 10월 26일 기준 / #)
Elo 랭킹89위(2023년 11월 29일 기준 / #)

유니폼 컬러어웨이
상의
파일:macron_logo_black.png파일:벨라루스 국장.svg
10

파일:macron_logo_white.png파일:벨라루스 국장.svg
17

하의1017
양말

1. 개요
3. 현재 선수 명단
4. 역대 전적
5. 연령별 대표팀
5.1. U-23 대표팀
5.1.1. 올림픽



1. 개요[편집]


홈 경기장은 디나모 스타디움이며 감독은 알략산드르 카츠케비치이다. 1992년 대회 이전은 소련의 일원이었다. 소련 시절 성적으로 보려면 여기로.

축구의 인기는 높은 편이지만 월드컵 본선은 한 번도 가지 못한 유럽의 중하위권 팀이다. 유로 본선도 한 번도 가지 못하였다. 과거 아스날 FCFC 바르셀로나를 거친 알렉산드르 흘렙이 이끌던 대표팀으로 유명했다. 물론 이때도 메이저 대회 본선과는 거리가 멀었다. 연령별 대회로 범위를 넓혀도 2012년 런던 올림픽 남자 축구[3] 본선(10등)에 오른 것이 유일한 메이저 대회 본선 진출 기록.

2002 한일 월드컵 예선에서 폴란드, 우크라이나, 노르웨이, 웨일스, 아르메니아와 함께 E조에 배정되어 폴란드를 잡으면서 4승 3무 3패 승점 15점을 기록하였지만 21점 폴란드, 17점 우크라이나에게 밀리며 조 3위로 탈락하였다. 벨라루스로서는 우크라이나에게 2패가 아닌 1무 1패만 했어도 플레이오프 진출이라는 상황이었기에 더욱 아쉬운 상황이 되었다. 그리고 이게 벨라루스가 월드컵 예선에서 거둔 최고의 성적이다.

2014년에는 홈에서 멕시코라는 거함을 3대2로 이긴적도 있다.

유로 2012 예선에서 알바니아와 룩셈부르크를 밀어내고 조 4위를 기록했다. 3위 루마니아와 승점 차가 1점이라는 걸로 위안을 해야할듯? 프랑스 원정에서 1:0으로 이기는 이변을 만들었다. 그리고 홈에서도 프랑스와 1:1로 비기며 프랑스에 1승1무를 거두었다.[4]

2014 브라질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는 H조에 스페인, 프랑스, 핀란드, 조지아와 같은 조가 되었는데 조지아를 안방에서 2-0으로 이기고 핀란드를 안방에서 1:1로 비긴 걸 빼고 나머진 모두 지면서 1승 1무 6패로 조 꼴지로 탈락했다. 그래도 스페인과 원정에서 1:2로 선전하기도 했다. 반대로 안방에선 스페인에게 0-4로 설욕적(?)으로 털렸지만.

유로 2016 예선에서도 룩셈부르크와 마케도니아를 제치고 4위로 예선을 마무리했다. 최약체는 아니지만 중약체 정도 모습을 보인 셈.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못지 않게 메이저 대회 예선에서 대진운이 없는 나라인데, 특히 월드컵 예선 대진운이 정말이지 끔찍하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예선에서는 전 대회에서 8강까지 간 잉글랜드와 우크라이나, 크로아티아까지 한 번에 만나 4위로 탈락했고,[5]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예선에서는 디펜딩 챔피언 스페인에 프랑스까지 동시에 만나는 바람에 일찌감치 광탈해버렸다. 가장 최근이라 할 수 있는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예선에서는 전 대회 3위 네덜란드와 유로 2016 준우승국 프랑스, 거기에 스웨덴까지 동시에 만나는 바람에 그야말로 비명횡사하고 말았다.[6]

유로 2020 예선 사정도 정말 좋지 않았는데, 네덜란드와 독일을 동시에 만나버렸기 때문이다. 결국 유럽예선 조 최하위로 룩셈부르크에게도 승점으로 밀리며 광탈.

10여년 전부터 UEFA 클럽 대항전에 모습을 드러내던 바테 보리소프 주축 선수들이 그대로 국가대표 주축으로 활약했는데, 이들이 모두 30을 넘긴 나이에 접어들자 자연스레 국대에도 노쇠화가 왔다. 세대교체도 매끄럽게 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라 알렉산드르 흘렙 시절보다는 전력이 많이 약화된 상황. 국내 리그팀 디나모 민스크와 디나모 브레스트의 유망주들을 중심으로 새 판을 짜보려 하나 가시적인 성과를 보려면 아직 시간이 필요한 듯. 다만 2021년 벨라루스가 러시아에 병합되는 것을 시도하면서 어쩌면 국가대표팀이 다시 분해되고 유망주들은 러시아 국가대표로 출전해야 할 가능성도 있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에레아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일으킨 러시아에 대하여 FIFA와 UEFA가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아예 퇴출시킨 상황에 이 전쟁에서 노골적으로 러시아를 편들고 협조한 벨라루스도 같이 퇴출될 것으로 보였으나 실제로 퇴출되지는 않았다.[7] 대신 벨라루스 대표팀은 홈 경기를 제3국[8]에서 무관중 경기로 치러야 한다. 사실, 벨라루스는 러시아와는 달리 월드컵이나 유로 본선에 진출하기에는 실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다만 앞으로 대진 추첨 시에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 국가대표팀의 맞대결 및 벨라루스 리그 소속팀과 우크라이나 리그 소속팀과의 맞대결은 2022년부터 조 및 대진 추첨 시에 배제된다.

2.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rowbgcolor=#ff0000><rowcolor=#fff><width=10%> '''순서''' ||<width=40%> '''선수 이름''' ||<width=10%> '''출전 횟수''' ||<width=20%> '''첫 경기''' ||<width=20%> '''마지막 경기''' || || 1 || 알렉산드르 쿨치 || '''101회''' || 1996.2.14 || 2012.9.11 || }}}




3. 현재 선수 명단[편집]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키릴 문자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GK파벨 파울류첸카Pavel PavlyuchenkoПавел Паўлючэнка1998년 1월 1일70브루크베트 테르말리차 니에치에차
야호르 하트케비치Yegor KhatkevichЯгор Хаткевіч1988년 4월 9일60FC 디나모 민스크
막심 플로트니카우Maksim PlotnikovМаксім Плотнікаў1998년 1월 29일20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DF쟈니스 팔랴코우Dzyanis PalyakowДзяніс Палякоў1991년 4월 17일491FC 아스타나
샤르헤이 팔리체비치Syarhey PalitsevichСяргей Паліцевіч1990년 4월 9일321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키릴 퍄체닌Kiryl PyacheninКірыл Пячэнін1997년 3월 18일110FC 오렌부르크
막심 시뱌초우Maksim ShvyatsowМаксім Швяцоў1998년 4월 2일100FC 디나모 민스크
흘렙 샤우첸카Gleb ShevchenkoГлеб Шаўчэнка1999년 2월 17일80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라만 베후노우Roman BegunovРаман Бегуноў1993년 3월 22일70FC 디나모 민스크
루슬란 유쟌코우Ruslan YudenkovРуслан Юдзянкоў1987년 4월 28일60FC 막타랄
루슬란 하다르케비치Ruslan KhadarkevichРуслан Хадаркевіч1993년 6월 18일30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다닐라 냐차예우Danila NechayevДаніла Нячаеў1999년 10월 30일30FC 바테 보리소프
자하르 볼카우Zakhar VolkovЗахар Волкаў1997년 8월 12일20FC 힘키
MF울라지슬라우 크리모비치Vladislav KlimovichУладзiслаў Клiмовiч1996년 6월 12일211기르모트 FC 죄르
야우헨 야블론스키Yevgeny YablonskyЯўген Яблонскі1995년 5월 10일203아리스 리마솔 FC
막스 에봉Max EbongМакс Эбонг1999년 8월 26일202FC 아스타나
이반 바하르Ivan BakharІван Бахар1998년 7월 10일171FC 디나모 민스크
아르툠 비카우Artyom BykovАрцём Быкаў1992년 10월 12일171FC 디나모 민스크
파벨 샤즈코Pavel SedkoПавел Сядзько1998년 4월 3일101FC 토르페도 모스크바
알략산다르 샬랴바Aleksandr SelyavaАляксандар Сялява1992년 5월 17일50FC 로스토프
발레리 흐라미카Valery GromykoВалерый Грамыка1997년 1월 23일41FC 바테 보리소프
즈미트리 뱌스메르트니Dmitry BessmertnyДзмітрый Бяссмертны1997년 1월 3일40FC 바테 보리소프
쟈니스 흐라치하Denis GrechikhoДзяніс Грачыха1999년 5월 22일00FC 디나모 민스크
발레리 바차로우Valery BocherovВалерый Бачароў2000년 8월 10일00FC 바테 보리소프
울라지슬라우 말케비치Vladislav MalkevichУладзіслаў Малькевіч1999년 12월 4일00FC 바테 보리소프
FW즈미트리 파드스트렐라우Dzmitry PadstrelawДзмітрый Падстрэлаў1998년 9월 6일121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안드레이 살라베이Andrey SoloveyАндрэй Салавей1994년 12월 13일62FC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9]

4. 역대 전적[편집]



4.1. FIFA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승점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소련의 일부)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불참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예선 탈락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예선 탈락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합계본선 진출 없음0/20[10]


4.2. 올림픽[편집]


  • 2012 런던 올림픽/축구(남자)[11] - 10위(1라운드)


4.3. UEFA 유로[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1960년
독립 이전(소련의 일부)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4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68년
파일:벨기에 국기.svg
1972년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1976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0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4년
파일:독일 국기.svg
1988년
파일:스웨덴 국기.svg
1992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96
예선 탈락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0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4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8년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2년
예선 탈락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6년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20년
파일:독일 국기.svg
2024년
?????????
합계본선 진출 없음0/16


4.4. 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편집]


1차례 맞붙어 1승을 거뒀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을 대비한 평가전으로 대한민국이 벨라루스와 맞붙었고, 여기서 0-1로 지면서 굉장히 불안함을 노출했다. 당시 유럽 클럽대항전 단골이던 바테 보리소프의 주축들이 벨라루스 국대에 대거 포함되던 시절이라 은근히 탄탄한 전력을 자랑했던 벨라루스는 이 경기에서도 단단한 모습으로 대한민국 대표팀과 대등한 경기를 펼쳤고, 후반 7분 키슬랴크의 선제골을 끝까지 잘 지켜 대한민국을 잡는 작은 이변을 연출했다. 이후 대한민국이 2010월드컵에서 16강 15위까지 기록한 것을 생각해보면 당시 벨라루스가 유럽의 복병이라 불릴만했던 것. 이후에는 맞대결이 없다.

전체적으로 아시아 국가에 강한 편이다. 2013년에는 일본도 이겼고 이란과도 1승 2무로 전적 우위, 무패이다. 유일한 아시아 상대 패배는 1990년 아랍에미리트 원정 패배이다. 아랍에미리트는 원정에서 2대3으로 이긴적도 있기 때문에 1승 1패로 동률이니 전체적으로 아시아 킬러라고 자부해도 된다.

날짜장소스코어벨라루스 득점대한민국 득점비고
2010년 5월 30일쿠프슈타인 스타디움 (오스트리아)1:0
(0:0)
세르게이 키슬랴크X친선경기
총 전적1전 1승


5. 연령별 대표팀[편집]



5.1. U-23 대표팀[편집]



5.1.1. 올림픽[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1992년 대회 부터 u-23세로 나이 변경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2 바르셀로나
예선 탈락
파일:미국 국기.svg
1996 애틀란타
파일:호주 국기.svg
2000 시드니
파일:그리스 국기.svg
2004 아테네
파일:중국 국기.svg
2008 베이징
파일:영국 국기.svg
2012 런던
조별리그10위3310236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2020 도쿄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4 파리
파일:미국 국기.svg
2028 로스엔젤레스
파일:호주 국기.svg
2032 브리즈번
합계조별리그 (1회)1/9[12]331023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4:25:47에 나무위키 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벨라루스어[2] 러시아어[3]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4] 다만 2010 월드컵 이전 한국과의 평가전에서 1-0으로 이기기도 했으며, 예선 방식이 조금 바뀐 덕이 있다지만 바테 보리소프라는 벨라루스 클럽이 2010년대 들어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에 올라오기도 했다. 물론 승점 은행을 벗어나지 못해 2011-12 시즌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에서 FC 바르셀로나 유망주들에게 0:4로 참패당하기도 했지만... 2012-13 시즌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에서 바이에른 뮌헨을 3:1으로 이겨버렸다! 하지만 나머지 경기에선 고전을 면치 못했고 결국 조별 리그 3위로 UEFA 유로파 리그 진출을 얻는 걸로 만족해야 했다. 그리고 유로파 리그 32강에선 페네르바흐체에게 1무 1패로 탈락했다.[5] 크로아티아 역시 잉글랜드와 우크라이나에 밀려 3위로 탈락하고 말았다.[6] 네덜란드 역시 프랑스와 스웨덴에 밀려 3위로 탈락하고 말았다.[7] 참고로 IOC에서는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벨라루스도 퇴출되었다. [8] 주로 폴란드, 헝가리.[9] 2022년 5월 31일 기준.[10]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11]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12] 올림픽 본선 진출 비율(1992년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