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11호선/역 목록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서울 지하철 11호선

1. 개요
2. 역 목록


1. 개요[편집]


  • 서울연구원의 PDF파일[1]을 참조한 것인데, 1105은 목동운동장역, 1108은 마포구청역, 1114은 시청역, 1117은 녹사평역, 1120은 신사역, 1121은 논현역, 1122은 신논현역, 1123은 강남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 파란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하는 것.
  • 환승 예정인 역을 제외하면 역명과 위치 모두 언론기사나 주변지역명을 고려해 가칭으로 지은 것이다.
  • 각 역 승강장 구조도 문의해서 확인해서 작성된 것이며 급행 계획도 있었다고 한다.
  • 급행도 문의해 본 결과 대부분의 환승역은 정차하지만 일부 환승역을 급행을 무정차 통과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2. 역 목록[편집]


역번역명승강장등급급행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1101-.-신 월[2][목동선] 新 月│■│(지상1층)[3]



양천구
1102-.-신트리[목동선] 新 機■││■(지하 2층)[4]X
1103-.-양천구청[목동선][5]陽川區廳■││││ ■(지하 2층)[목동]X
1104-.-오목교[목동선][6]梧木橋■││■(지하 2층)[7] 5호선
1105-.-목동운동장[목동선] 木洞運動場■││││ ■(지하 2층)[목동]X
1106-.-월 촌[목동선] 月 村■││■(지하 2층)[목동]X
1107-.-신목동[8]新木洞■││■(지상 2층)[9]X 9호선
1108-.-마포구청麻浦區廳■│(지하 1, 2층)[10] 6호선마포구
1109-.-가 좌加 佐■│(지하 2, 3층)[11] 경의·중앙선서대문구
1110-.-남가좌南加佐■│(지하 2, 3층)[12]X
1111-.-연 희[서부선] 延 禧││■││(지하4층)[13]X
1112-.-독립문獨立門│■│(지하 4층)[14]X 3호선
1113-.-서대문(강북삼성병원)西大門■││■(지하 3층)[15] 5호선종로구
1114-.-시 청市 廳│■│(지하 5층)[16] 1호선
2호선
중구
1115-.-중앙우체국[17]中央郵遞局│■│(지하 6층)[18] 4호선
10호선
1116-.-후 암厚 岩││■││(지하5층)[19]X용산구
1117-.-녹사평(용산구청)綠莎坪(龍山區廳)│■│(지하 5층) 6호선
1118-.-보 광普 光│■│(지하 7층)[20]X
1119-.-한 남漢 南│■│(지하 7층)[21]X 경의·중앙선
1120-.-신 사[신]新 沙■││■(지하 4층)X 3호선
위례신사선
강남구
1121-.-논 현[신]論 峴│■│(지하 4층) 7호선
1122-.-신논현[신]新論峴■││■(지하 5층) 9호선
1123-.-강 남[신]江 南■││■(지하 4층) 2호선
1124-.-양재(서초구청)[신]良才(瑞草區廳)■││■(지하 4층) 3호선서초구
1125-.-시민의숲市民의숲■││││ ■(지하 4층)[22]X
1126-.-양재시민의숲
(매헌)
[신]
良才市民의숲
(梅 軒)
■││■(지하 3층)X
1127-.-우 면[23] 牛 眠│■│(지상 1층)[2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42:53에 나무위키 서울 지하철 11호선/역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20페이지 인근[2] 주소지는 신정동인데, 5호선상의 신정역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가까운 동네의 지명을 차용한 것으로 추정된다.[목동선] A B C D E F 서울 경전철 목동선 정차역으로 계획 중.[3] 역사주변이 차량기지여서 지상 1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 그리고 문의해본 결과 분당선 보정역처럼 처음은 지상이다가 까치울 연장시 지하역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4] 지하 2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5]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의 현 양천구청역보다 실제 양천구청에서 훨씬 더 가까운 만큼, 현 양천구청역은 다른 이름으로 바꾸었을 것이다.[목동] A B C 목동 구간은 지하 수위가 높기 때문에 승강장은 목동역처럼 지하 2층으로 얕게 지었을 가능성이 높다.[6] '목동운동장앞'이란 부역명은 아래의 목동운동장역이 개통됐다면 폐지됐을 가능성이 높다.[7] 지하 2층 양 옆에 빈 공간이 있는데 이를 11호선 승강장으로 활용했을 가능성이 있다.[8] 한강을 지하 하저 터널이 아닌 청담대교처럼 복층교량으로 건너는 것이 검토되었기에 3기 지하철 중 유일한 고가역으로 되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았을 것이다.[9] 복층교량으로 한강을 횡단하는 특성상 승강장은 높지 않게 지상 1~2층에 위치했을 것이다.[10] 이 역부터 남가좌역까지는 홍제천 바로 옆을 따라가는 선형이기 때문에 단선 복층으로 계획되었다. 상행과 하행이 각각 어느 층에 정차했을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11] 경의중앙선 가좌역이 홍제천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환승 편의를 위해 마포구청역처럼 단선 복층 승강장으로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다.[12] 남가좌역도 홍제천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마포구청역처럼 단선 복층 승강장으로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서부선] 서울 경전철 서부선 정차역으로 계획 중.[13] 주변에 무악산이 있고 하부를 통과하기때문에 지하 4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14] 3호선 승강장이 지하 3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11호선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복정역처렴 복층 환승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15] 지하 3층에 환승 대비를 위해 남겨둔 걸로 추정되는 빈 공간이 있다.[16] 승강장은 1호선이 지하 2층, 2호선이 지하 3층이라 최소 지하 4층에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지만 도심 구간이기 때문에 더 깊게 팠을 수도 있다. 만약 개통되었다면 지하 5층. 또한 덕수궁 밑을 지나가기 때문에 진동이 적은 TBM 공법을 사용해야 하므로 섬식 승강장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7] 일단 회현사거리에서 10호선과 만난다고 되어있는데, 위치상 막장환승이 되더라도 회현역과 통합했을 가능성이 크다. 11호선은 여기 아니면 4호선과 만날 수가 없다.[18] 지하 통신 케이블선과 각종 지장물이 있으며 4호선이 지하 4층에 있고 10호선이 11호선보다 먼저 개통예정이기 때문에 10호선은 그전역이 서울역이고 공항철도 서울역이 지하 7층이기 때문에 그 밑 지하 8층 회현과 가까워서 구배비율안전으로 해서 10호선은 지하 7층, 11호선은 환승편의를 위해서 10호선 위에층 지하 6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19] 주변에 남산3호터널을 지나가야 되기 때문에 지하 5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20] 건물 하부를 통과해야 되기 때문에 지하 7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21] 한강을 하저터널로 통과하기 때문에 지하 7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신] A B C D E F 신분당선 정차역으로 영업 중.[22] 신분당선 구간이기 때문에 지하 4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23] 1126번 역이 보다시피 양재시민의숲 위치인지라, 차량기지 인근에 역이 생기는 건 사실상 확정이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24] 차량기지 인근이라 노포역이나 문양역, 장암역처럼 지상 1층의 역사로 지었을 수도 있겠지만, 과천방면으로 연장할 여지도 있기에 건설이 됐어야 확실히 알 수 있을듯 보인다. 중전철은 지상-지하를 들락날락하기가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