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남역 (r39판)

편집일시 :

(거북市場)驛 / Seongnam(Geobuk Market) Station

석 남(거북시장)
파일:Incheon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
Seongnam(Geobuk Market)
한자
石南(거북市場)
중국어
石南(龟市场)
일본어
ソンナム
주소
인천광역시 서구 가석로 257 (석남동 600번지)
운영 기관
인천 2호선
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
7호선
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개업일
인천 2호선
2016년 7월 30일
7호선
2021년 5월 22일
역사 구조
지하 2층(인천 2호선)
지하 5층(7호선)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인천 2호선, 7호선)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1. 개요[편집]


인천 도시철도 2호선 I213번, 서울 지하철 7호선 761번.

인천광역시 서구 가석로 257 (석남동 600번지) 소재. 인천 2호선은 인천교통공사, 7호선은 서울교통공사에서 운행 중이다.


2. 역 정보[편집]


파일:attachment/석남역/I213.jpg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석남역 조감도[1]

지하역으로 2층 구조다. 지상인 1층에서 대합실인 지하 1층을 지나 지하 2층에 승강장이 마련되어 있지만 대합실로 내려가는 계단 높이가 상당하다.[2] 그래서 이 역의 엘리베이터는 24시간 가동되고 있으며, 교통약자가 아닌 일반 고객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된 것은 역 위로 인천대로(공사당시 경인고속도로)가 지나가는데, 교통 정체를 우려해 도로를 파서 공사하는 개착식 공법으로 건설할 수 없었기 때문. 인천대로 아래에 있는 다른 역들(서부여성회관역, 인천가좌역)도 이렇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의 경우 2014년 10월 30일 기공식을 열고 착공에 들어갔으며 2021년 5월 22일에 개통되었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이후 약 5년만에 환승역이 되었다. 평일에는 장암행 52회, 도봉산행 53회, 토요일과 공휴일에는 장암행 26회, 도봉산행 62회다.

이 역에서 7호선의 청라연장선이 착공할 계획이 있다.[3] 총 10.6km 구간에 7개 역이 신설되며, 연장에 1조 2300억이 가량이 들 예정이다. 2022년 착공, 2027년 완공이 될 예정이다.

"석남"을 소리나는 대로 적으면 [성남]이므로, 로마자로는 Seongnam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성남시로 가려는 외국인들에게 혼동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또한, 근 미래에 개통될 성남역[4]과의 혼동을 피할 수가 없게 된다. 대전대구 도시철도의 Guam역(구암역(대전), 구암역(대구)) 혹은 서울에 있었던 시흥역과 비슷한 문제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석남동의 각 주민센터에서는 Seoknam으로 홈페이지 주소를 잡았으나 실제로 로마자표기법에 맞지 않게 홈페이지 주소를 정한 지자체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석남동에서 성남과의 혼동 방지를 위해 의도적으로 Seoknam이라고 틀리게 적는다는 판단을 할 수 없다. 국립국어원에서도 Seongnam을 올바른 표기로 논란을 정리한 바 있다.[5] 이에 맞추어 로마자 역명은 Seongnam으로 확정되었다. 인천2호선 개통 초기에는 스크린도어 위의 전광판에 로마자 역명이 Seoknam으로 나왔으나 지금은 수정됐다.

헷갈리는 것은 외국인뿐만 아니다. '성남'과 '석남'의 발음이 같기 때문에, 안내방송만 듣는 상태에서는 한국인도 '성남 방면'인지 '석남 방면'인지 구분이 불가능하다. 석남이라는 지명보다 성남이라는 지명이 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성남역 개통 이후, 특히 비수도권 거주자라면 충분히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다.

파일:99733FE1-A3DE-419C-82B6-37001AEA1D3B.png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초기
오표기 되어있는 스크린도어 위 전광판
(2016년 8월 8일 촬영)

부역명으로 '거북시장'이 정해졌는데, 정작 이 역에서 거북시장과는 제법 거리가 있고 오히려 서부여성회관역거북시장과 도리어 더 가깝다. 그리고, 같은 인천교통공사 관할이라, 7호선에서도 이 부역명이 사용되고 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 1번 출구: 석남3동행정복지센터, 석남초등학교
  • 2번 출구: 석남3동행정복지센터, 석곶체육공원
  • 3번 출구: 천마초등학교, 인천보건고등학교
  • 4번 출구: 석남2동행정복지센터, 천주교석남동성당, 거북시장
  • 5번 출구: 석남도시녹지숲
  • 6번 출구: 석남도시녹지숲, 신석체육공원
  • 7번 출구: 서구노인복지관, 석남1동행정복지센터, 석남지구대
  • 8번 출구: 석남1동행정복지센터, 석남체육공원

역세권 지역에 있는 석남고가사거리 주변은 인천 서구 주변의 몇 안되는 유흥가가 형성되어 있다. 의외로 야간 유동인구가 많은 편. 부역명인 '거북시장'은 서부여성회관역에서 더 가깝다. 인근에 석남3동 행정복지센터와 석남초등학교, 가좌여자중학교, 아파트 단지 등이 있다. 추후 주변 지역의 아파트 값이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되며, 도시가스 방식의 개별난방 아파트들도 지역난방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하거나 재개발, 재건축까지 호재를 얻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Incheon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총합
비고
2016년
6,573명
미개통


2017년
7,518명

2018년
7,768명

2019년
8,220명

2020년
6,359명

2021년
6,031명
7,980명
14,011명
[6]
  •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7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2021년 자료는 개통일인 5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22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인천교통공사 자료실

2016년 인천 2호선 개통 후 2021년 서울 7호선 개통 전까지는 딱히 이렇다할 특징이 없었던 역이었다. 하루 평균 이용객도 7,500여 명 정도로 인천 2호선 전체 평균 수준이었고, 주변 역세권은 현재도 평범한 주거 지역이다. 게다가 역세권의 범위도 석남동 구역과 거의 정확히 일치한다. 굳이 특이한 점을 따지자면 구 경인고속도로 밑에 있는 첫 번째 역이라는 점이다. 고속도로 양 옆에는 1차선 일방통행 골목길이 둘러싸고 있는데, 하필 그 좁은 길을 따라 출구를 내는 바람에 인천 2호선 측 두 개의 출입구가 에스컬레이터는커녕 한 명이 겨우 들어갈 만큼 매우 비좁고 찾기가 어려운 위치에 있다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 게다가 고속도로 밑이라 개착식 공사가 불가능했다는 점으로 인하여 심도까지 깊다. 에스컬레이터가 없고 깊은 곳에 위치해 있어 겨울철에도 땀이 날 정도로 걸어올라가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다. 다행히 엘리베이터가 출구당 2대씩 있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역 구조가 이렇기 때문에 교통약자가 아니어도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결국 이 문제점이 기사화 되었다.

인천 2호선 개통 이후 오르내리는 것이 굉장히 불편해서 주변 주민들이 역을 이용하기를 꺼려하는 분위기가 있고, 그래서 석남역의 승객 증가에 큰 제약이 되었었다. 7호선 연장 개통이 이루어지고 나서 6개의 추가 출입구가 생기고 나서는 수요가 다소 증가한다. 또한 광명, 서울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어 일종의 나비 효과를 얻을 것으로 여겨진다.[7][8] 또한 이후 청라로 연장될 경우 종점 수요는 없어지지만 청라국제도시, 루원시티~인천시청, 남동구간의 인천 수요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청라 연장선의 커낼웨이역은 인천 서구에서 빠르게 발달하고 있는 상권 한 가운데[9]에 지어지기 때문에 석남 주민들의 상업시설 이용 편의성 증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5. 승강장[편집]


파일:석남역.jpg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파일:seongnam_stn_761_pf.jpg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
파일:13 석남.png
역이용안내도 인천 도시철도 2호선 크게보기
파일:Screenshot_20210529-132816_Samsung Internet.jpg
역이용안내도 서울 지하철 7호선
파일:석남역 역명판.jpg
역명판
8번 출구는 본래 출구 번호가 2번이었지만 7호선 개통 전임에도 불구하고 8번으로 출구 번호가 변경되었다.

인천 2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이지만 승강장 끝의 환승통로를 통해 연결되는 7호선 대합실은 지하 3층이므로 이용 시 주의를 요한다.


5.1. 인천 도시철도 2호선[편집]


가정중앙시장




서부여성회관



5.2. 서울 지하철 7호선[편집]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었다. 깊이는 약 지하 50m로, 지하 55.4m의 산성역과 맞먹으며 7호선에서 가장 깊은 역인 숭실대입구역 지하 42m 기록을 경신하였다. 다만 동선이 잘 짜여있어 체감상 그리 깊지는 않다. 환승통로에는 인천에 있는 전철 노선 중 최초로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산곡




신현


이 역과 신현역의 스크린도어는 다른 역의 스크린도어와는 달리 개폐될 때 매우 낮은 톤의 목소리로 안전문이 열립니다(닫힙니다)라고만 나오고, 열차의 출입문이 열리고 난 뒤 스크린도어가 열린다.


[1]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을 지을 때 사용했던 CAM 공법을 사용했다.[2] 지하 1층에 있는 대합실이 타 역에서는 지하 2층에 해당하는 깊이에 위치해있다.[3] 「서울지하철 7호선 인천 청라까지 연장된다.」, 2017-12-29, 아주경제[4] 물론 미정이므로 추후 개통 시 명칭은 '성남역'이 아닐 수도 있다.[5]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09932[6] 7호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5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22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7] 주변의 역들과는 달리 이 역은 향후 7호선의 개통으로 인해 인천 2호선 쪽 출구보다는 에스컬레이터가 있고 상권이 인접한 7호선 쪽의 출구를 이용해 전철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크다. 단 버스 환승은 도보시 신호등을 한 번 거쳐야 한다.[8] 7호선은 석남역에서 부천 중심지(10분), 광명 중심지(30분), 강남(58분), 광진구 최고 번화가(72분), 중랑구의 교통 중심지(84분)까지 두루 이어 준다.[9] 이미 거의 다 개발된 상업지구 중심에 역을 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