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 버스 G9311

덤프버전 :




파일:G9311 대광위 도색.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양평군 CI_White.svg 양평군 직행좌석버스 G93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양평 G9311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다문리(용문버스터미널)종점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잠실광역환승센터)
종점행첫차평일 06:00
주말 07:00
기점행첫차평일 07:30
주말 08:30
막차평일 19:00
주말 18:00
막차평일 20:30
주말 19:30
평일배차1일 8회(60~180분 간격)주말배차1일 6회
운수사명(주)비티에스인가대수3대[1]

경유 정류장
양평서울(잠실)
용문버스터미널잠실광역환승센터
(GATE 24)
구.용문터미널
양평시외버스터미널[2]
양평시장입구
군청사거리.농협
고읍교차로
아신역입구
아신대학교
국수리.양평전자과학고
신원역[3]
양수파출소
양수리지석묘[4]


2. 개요[편집]


(주)비티에스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09.6km다.현재 버스위치 확인


3. 역사[편집]


  • 2019년 2월 24일에 새경기 준공영제 시범사업 우선 검토 대상으로 선정된 20개 노선들 중 하나로, 소외지역 배려노선이다.

  • 운송사업자 모집 결과, 금강고속과 (주)양평리무진, (주)비티에스 등 세 회사가 입찰했으며, 최종적으로 (주)비티에스가 선정되었다.

  • 2020년 3월 20일에 개통했다. 본래 2020년 3월 1일에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파로 차량 출고가 지연됨에 따라 연기되었다.

  • 2020년 7월 13일부터 구.용문터미널과 아세아연합신학대학(정문)을 경유하게 된다. 방학기간은 구.용문터미널만 경유한다.

  • 2022년 4월 2일부터 동년 11월 13일까지 주말, 공휴일에 용문에서 14시, 15시 정각에 출발하는 버스는 양수리지석묘를 경유하지 않고 신양수대교를 경유하여 바로 서울로 간다.


  • 2023년 3월 25일부터 동년 11월 26일까지 주말, 공휴일에 용문에서 14시, 15시 정각에 출발하는 버스는 양수리지석묘를 경유하지 않고 신양수대교를 경유하여 바로 서울로 간다. 운행사 비티에스에서 양평군에 보낸 공문

4. 특징[편집]


  • 대광위 준공영제가 적용된 노선이며 양평 내부에서 유일하게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


  • 2000-2번과 거의 전구간이 겹친다.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이 노선은 용문터미널에서 출발하고, 양평 내부에 일부 정류장에만 정차하는 급행의 성격을 띄고 있다고 보면 된다.

  • 2020년 10월 1일부터 2000-2번이 1일 1회로 감축됨에 따라 양평에서 잠실을 갈 땐 무조건 이 노선을 이용하거나 도심역, 덕소역에서 1670번이나 1700번으로 환승하는 방식이 권장된다.

  • 현재는 어느 정도 수요가 정착해, 출퇴근 시간대에 절반을 채우는 경우도 있고, 무엇보다도 양수리에서 용문까지 한번에 가는 노선이라는 메리트가 존재하여 양평군 내에서의 구간수요도 창출되고 있다. 이외에도 양수리에서 아신리까지 가는 구간수요 등 매우 다양하다.

  • 주말 및 공휴일에 도로정체로 악명높은 6번 국도(경강로)와 미사대로를 경유하는 노선이라 파행운행이 심각하다. 주말 및 공휴일에 정체가 하도 극심해서 서울에서 출발한 버스가 용문에 도착하지 못해 특히 14:00, 15:00, 18:00 시간대가 결행되거나 양수리 일대를 무정차 통과하는 일이 잦았다.[5] 이로 인해 민원이 쇄도하자 결국 주말과 공휴일에 한해 14시, 15시에 양평에서 출발하는 차량은 양수리 지석묘 및 양수리파출소 구간을 무정차 통과하기로 했다.

  • 잠실역에서 용문터미널 방향 3, 4회차 차량은 강동공영차고지에서 CNG 충전 후 양평으로 복귀한다. 충전 중에는 승객들한테 잠시동안 가스충전한다고 말한 뒤 내려서 기다렸다가 5~10분 후에 출발한다.[6]


  • 지나가는 도로의 풍경이 꽤 좋다. 버스에 타면 남한강 절경은 꼭 감상하자.


4.1. 시간표[편집]


  • 주말과 공휴일에는 1회차와 8회차를 운행하지 않는다.
  • 용문터미널 출발 후 약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며, 교통정체 등 변수에 따라 회차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 주말 및 공휴일 14:00/15:00/18:00 시간대의 경우, 교통정체로 인해 결행될 수 있다.

양평 버스 G9311번 운행시간표
횟수용문터미널잠실광역환승센터비고
106:0007:30주말.공휴일 미운행
207:0008:30
310:0011:30용문행 가스충전[7]
411:0012:30
514:0015:30주말, 공휴일 양수리 미정차
신양수대교 경유
615:0016:30
718:0019:30
819:0020:30주말.공휴일 미운행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양평역, 아신역[8], 국수역[9], 용문역[A], 신원역[10]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양평역(KTX-이음, ITX-새마을, 무궁화호), 용문역(ITX-새마을, 무궁화호)[A]

6. 둘러보기[편집]


파일:GROK_ICON.png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현재 노선 펼치기 · 접기 ]
광역급행>
직행좌석
1101양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3.4%"3000김포

3002광명

4101용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3.4%"
6501시흥

[ 예정 노선 펼치기 · 접기 ]
>
광역급행>
직행좌석
3401이천
9006성남
번호 임시부여
1102의정부
1401포천
>

3301광주

6502시흥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3.4%"
7101파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9:25:13에 나무위키 양평 버스 G931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비 1대[2] 승차: 양평버스터미널 입구 정류장 / 하차: 양평버스터미널 건너편 정류장[3] 6번 국도의 정체가 극심한 경우 신원역에서 양수리 가는 손님을 내려주고, 양수리를 무정차 통과한다.[4] 주말, 공휴일의 14시, 15시 용문출발 차량은, 양수리를 경유하지 않고 신양수대교로 운행한다.[5] 이 경우에는 왕십리로 우회하거나 또는 도심역에서 1670번이나 1700번을 타면 잠실로 갈 수 있다.[6] 충전소를 확보하지 못해 운행 중 충전을 하기 위해 노선을 이탈하는 등 불법 운행을 하고 있다는 논란이 있었으나, 경기도에서 불법 없이 공정하게 운영하고 있다는 해명 자료를 내놓았다.##[7] 양평에는 가스충전소가 없기 때문에 잠실에서 비교적 가까운 강동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하고 간다.[8] 아신리입구 하차.[9] 국수리.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정류장 하차 후 도보.[A] A B 구 용문터미널 하차.[10] 정식 인가된 정류소는 아니고, 교통 정체가 너무 심할 때 전철 타고 가라며 내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