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선수/A매치 국적 변경 선수/2009년 6월 이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축구 선수/A매치 국적 변경 선수


1. 개요
2. 변경 유형
2.1. 유형 1: 선천적 복수 국적자의 경우
2.2. 유형 2: 국가 형성 또는 소멸로 인한 국적 변경의 경우
2.2.2.1. 일본 제국의 패망 후 식민지 독립
2.2.2.2. 동독, 서독으로의 독일 분단과 자를란트의 소멸
2.2.2.3. 이탈리아 제국의 패망 후 식민지 독립
2.2.3. 아프리카 국가들의 대거 독립 시기
2.2.3.2. 대영제국에서의 독립
2.2.5. 21세기 이후 독립협회 성립
2.3. 유형 3: 정치적 망명 혹은 일반적 귀화의 경우
2.3.1. 정치적 망명
2.3.2. 일반 귀화 요건 충족



1. 개요[편집]


축구 선수복수 국적 혹은 귀화를 통해 얻은 제2 국적의 대표팀에서 활약하는 경우 중 2009년 6월 이전의 과거 규정 하에서 일어난 국적 변경 사례를 따로 정리한 문서.


2. 변경 유형[편집]


20세기에만 해도 국제축구계에서 국적 변경은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니었고, 두 국가 이상의 대표를 지내는 일은 프로축구의 이적처럼 매우 자유로웠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본 문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대체로 3가지 경로를 들 수 있다.

  • 선천적으로 복수 국적자인 경우
  •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면서 국적이 변경되는 경우
  • 정치적 망명 혹은 일반적 귀화요건을 충족해 새로운 국적을 얻고 귀화한 경우

따라서 과거에는 한 국가의 국가대표팀에 뛰려면 그냥 그 나라의 국적만 가지고 있으면 별 제한없이 국가대표로 선발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이 규정을 이용한 귀화 선수가 국가대항전이 발달함에 따라 점점 늘어나기 시작했고, FIFA가 의도한 것과 달리, 한 국가의 축구 인프라 개선과 유소년 육성은 등진 채 비싼 돈으로 일회성 귀화선수만 사 모으는 국가가 늘었다. 때문에 극단적으로 클럽팀과 다름없게 국가대표를 운영하려는 시도도 잦아졌다. 이 문서는 과거 이런 국적 이적이 허용되었던 시기의 국적변경 선수들을 모아서 설명한 문서다. 이들을 위에서 분류한 3가지 경로로 세분화해 기재한다.


2.1. 유형 1: 선천적 복수 국적자의 경우[편집]


여기서 말하는 복수 국적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적법에서의 정의와는 사뭇 다르다. 어디까지나 축구의 세계에서 대표팀을 나누는 것이기 때문에 본국 - 속령간의 관계도 FIFA에선 일종의 복수 국적과 같이 여겨진다. 때문에 이 경우 부모의 혈통과 출신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국가에 따라 다르지만, 혈통만 입증한다면 그 즉시 국적을 발급해주는 국가들도 많기 때문에 필리핀같이 해외 필리핀계 선수들을 싹쓸이해서 귀화시켜 대표팀 전력으로 삼는 국가도 종종 있다.


2.2. 유형 2: 국가 형성 또는 소멸로 인한 국적 변경의 경우[편집]


FIFA가 1904년 조직된 이후 수많은 국제 분쟁과 전쟁이 있었고, 이 때문에 여러 나라가 생기거나 없어지는 변화가 있어왔다. 이런 사건이 생길때마다 FIFA에도 새로운 국가대표팀이 생기고 없어지는 일이 일어났고, 이 때문에 선수 의지와는 상관없이 국적이 바뀌어 새로운 대표팀에 참여하게 되는 사례가 발생한다. 여기서는 굵직한 사건을 중심으로 분류한다.

2.2.1. 전간기 시기[편집]



2.2.1.1.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해체[편집]


2.2.1.2. 오스만튀르크 해체[편집]


2.2.1.3. 나치 독일의 인접국 합병[편집]


선수이전 국적바꾼 국적기록
국가대표팀 기록국가데뷔전
에른스트 빌리모프스키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22경기 21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루마니아 (평가전 / 1941-06-01)8경기 13골
한스 페서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8경기 3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잉글랜드 (평가전 / 1938-05-14)12경기 2골
프란츠 바그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18경기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루마니아 (평가전 / 1938-09-25)3경기
슈테판 스쿠말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4경기 1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루마니아 (평가전 / 1938-09-25)3경기
빌리 슈마우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15경기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루마니아 (평가전 / 1938-09-25)10경기
한스 우르바네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15경기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크로아티아 (평가전 / 1941-06-15)1경기
카를 세스타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44경기 1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크로아티아 (평가전 / 1941-06-15)3경기
루돌프 라프틀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6경기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스위스 (월드컵 본선 / 1938-06-04)6경기
한스 모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12경기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스위스 (월드컵 본선 / 1938-06-04)5경기
빌헬름 하네만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9경기 2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스위스 (월드컵 본선 / 1938-06-04)23경기 16골
요제프 슈트로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17경기 4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스위스 (월드컵 본선 / 1938-06-09)4경기 1골
레오폴트 노이머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4경기 2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스위스 (월드컵 본선 / 1938-06-09)1경기
페터 플라처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31경기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벨기에 (평가전 / 1939-01-29)2경기
프란츠 빈더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19경기 16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벨기에 (평가전 / 1939-01-29)9경기 10골
요제프 페카레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5경기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슬로바키아 (평가전 / 1939-08-27)1경기
마티아스 카부레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4경기 2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슬로바키아 (평가전 / 1939-08-27)1경기
프란츠 한라이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6경기 2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vs 유고슬라비아 (평가전 / 1940-04-14)7경기

2.2.1.4. 소비에트 연방의 성립[편집]



2.2.2. 제 2차 세계대전 종전[편집]



2.2.2.1. 일본 제국의 패망 후 식민지 독립[편집]


2.2.2.2. 동독, 서독으로의 독일 분단과 자를란트의 소멸[편집]




선수이전 국적바꾼 국적기록
국가대표팀 기록국가데뷔전
하인츠 볼머파일:자르 보호령 국기.svg 자를란트4경기 4골파일:독일 국기.svg 서독vs 스웨덴 (평가전 / 1956-06-30)12경기 3골
게르하르트 지들16경기 4골vs 네덜란드 (평가전 / 1957-04-03)6경기 3골
카를 링겔2경기 1골vs 이집트 (평가전 / 1958-12-28)1경기

2.2.2.3. 이탈리아 제국의 패망 후 식민지 독립[편집]


2.2.2.4. 인도 분단[편집]



2.2.3. 아프리카 국가들의 대거 독립 시기[편집]



2.2.3.1. 프랑스 식민제국에서의 독립[편집]


선수이전 국적바꾼 국적기록
국가대표팀 기록국가데뷔전
무스타파 지투니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4경기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vs 이집트 (평가전 / 1963-07-04)8경기
마히 케난2경기3경기 1골
라시드 메클루피4경기 2골?11경기 5골
압델라만 마주브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7경기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vs 스페인 (월드컵 대륙간 PO / 1961-11-12)4경기 1골


2.2.3.2. 대영제국에서의 독립[편집]



2.2.4. 탈냉전 시기[편집]



2.2.4.1. 독일 재통일[편집]


선수이전 국적바꾼 국적기록
국가대표팀 기록국가데뷔전
마티아스 자머파일:동독 국기.svg 동독23경기 6골파일:독일 국기.svg 독일vs 스위스 (평가전 / 1990-12-19)51경기 8골
안드레아스 톰51경기 16골10경기 2골
토마스 돌29경기 7골vs 소련 (평가전 / 1991-03-27)18경기 1골
하이코 숄츠7경기vs 멕시코 (평가전 / 1992-10-14)1경기
울프 키르스텐49경기 14골51경기 20골
올라프 마르샬3경기vs 헝가리 (평가전 / 1994-10-12)13경기 3골
디르크 슈스터4경기3경기
다리우시 보시7경기vs 이스라엘 (평가전 / 1997-02-26)17경기 1골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2.2.4.2. 소련 해체[편집]


선수이전 국적바꾼 국적기록
국가대표팀 기록국가데뷔전
세르게이 고츠마노프파일:소련 국기.svg 소련31경기 2골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vs 우크라이나 (평가전 / 1992-10-28)3경기 1골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73경기 6골
4경기[CIS]
4경기
안드레이 지기만토비치36경기 3골9경기
이하르 후리노비치1경기vs 노르웨이 (유로 예선 / 1994-11-16)3경기 1골
카카베르 트스카다제파일:소련 국기.svg 소련6경기 1골[CIS]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vs 리투아니아 (평가전 / 1990-05-27)25경기 1골
겔라 케타쉬빌리3경기1경기
이반 헤츠코파일:소련 국기.svg 소련6경기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vs 헝가리 (평가전 / 1992-04-29)4경기 1골
올렉 루즈니8경기52경기
세르히 시마토발렌코2경기8경기
올렉 프로타소프68경기 28골vs 리투아니아 (유로 예선 / 1994-09-07)1경기
올렉 쿠즈네초우58경기 1골
5경기[CIS]
vs 벨라루스 (평가전 / 1992-10-28)3경기
올렉세이 미카일리첸코36경기 9골
5경기[CIS]
2경기
옌나디 리토우첸코57경기 14골vs 미국 (평가전 / 1993-10-16)4경기
발다스 이바나우스카스파일:소련 국기.svg 소련5경기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vs 조지아 (평가전 / 1990-05-27)28경기 8골
뱌체슬라브스 수크리스토바스4경기26경기 2골
올레흐 시린베코프파일:소련 국기.svg 소련3경기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vs 대한민국 (평가전 / 1997-08-24)1경기
발레리 브로신파일:소련 국기.svg 소련3경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vs 아제르바이잔 (평가전 / 1997-04-25)11경기 1골


2.2.4.3. 러시아 연방 단독 팀 구성[편집]


선수이전 국적바꾼 국적기록
국가대표팀 기록국가데뷔전
안드레이 퍄트니츠키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2경기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vs 프랑스 (평가전 / 1993-07-28)10경기 2골
발레리 케치노프3경기vs 페로 제도 (유로 예선 / 1995-04-06)6경기 2골
일리야 침발라르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2경기vs 터키 (평가전 / 1994-04-20)28경기 4골
올레크 살렌코1경기vs 그리스 (월드컵 유럽예선 / 1993-11-17)8경기 6골
유리 니키포로프3경기vs 헝가리 (월드컵 유럽예선 / 1993-09-08)55경기 6골
무흐신 무하마디예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1경기 2골vs 페로 제도 (유로 예선 / 1995-04-06)1경기 1골

2.2.4.4. 유고슬라비아 전쟁 후 연방 해체[편집]


선수이전 국적바꾼 국적기록
국가대표팀 기록국가데뷔전
조니 노바크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4경기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vs 키프로스 (평가전 / 1992-11-18)71경기 3골
다르코 밀라니치5경기42경기
마르코 엘스네르14경기2경기
스레츠코 카타네츠31경기 5골vs 조지아 (몰타 4개국 친선대회 / 1994-02-08)5경기 1골
체도미르 야네프스키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2경기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vs 슬로베니아 (평가전 / 1993-10-13)5경기 1골
다르코 판체프27경기 17골6경기 1골
드라기 카나틀라로프스키1경기9경기 2골
보반 바분스키2경기23경기 1골
일리야 나이도스키11경기 1골10경기
보슈코 쥬로프스키4경기vs 슬로베니아 (평가전 / 1994-03-23)7경기 3골
토니 사네프스키2경기vs 스페인 (유로 예선 / 1994-10-12)9경기 1골
밀코 쥬로프스키6경기 2골3경기
부야딘 스타노이코비치21경기 1골vs 덴마크 (유로 예선 / 1994-09-07)7경기
알료사 아사노비치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3경기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vs 미국 (평가전 / 1990-10-17)62경기 3골
드라젠 라디치2경기59경기
마르코 믈리나리치5경기1경기
발도 카살로1경기2경기
즐라트코 크란차르11경기 3골vs 루마니아 (평가전 / 1990-12-22)2경기
스레츠코 보그단11경기2경기 1골
다보르 수케르2경기 1골69경기 45골
즈보니미르 보반7경기 1골49경기 12골
조란 불리치25경기 1골vs 슬로베니아 (평가전 / 1991-06-19)3경기
로베르트 야르니7경기 1골vs 멕시코 (평가전 / 1992-10-22)81경기 1골
알렌 보크시치0경기[1]vs 우크라이나 (평가전 / 1993-06-25)40경기 10골
로베르트 프로시네츠키15경기 4골vs 스페인 (평가전 / 1994-03-23)49경기 10골
마리오 스타니치2경기vs 에스토니아 (유로 예선 / 1995-09-03)49경기 7골
고란 유리치4경기vs 그리스 (월드컵 지역예선 / 1997-04-30)16경기
후스레프 무세미치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1경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vs 알바니아 (평가전 / 1995-11-30)1경기
메호 코드로2경기vs 알바니아 (평가전 / 1996-04-24)13경기 3골
파흐루딘 오메로비치3경기3경기
아드미르 스마이치5경기vs 그리스 (월드컵 유럽예선 / 1996-09-01)2경기
메흐메드 바디자레비치54경기 4골2경기

2.2.4.5.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편집]


선수이전 국적바꾼 국적기록
국가대표팀 기록국가데뷔전
블라디미르 바이스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19경기 1골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vs 슬로베니아 (평가전 / 1993-11-16)12경기 1골
빌리암 휘라비11경기6경기 1골
두샨 티텔11경기44경기 7골
라디슬라프 몰나르1경기24경기
루보미르 루호비2경기9경기
야로슬라프 팀코3경기vs 아랍에미리트 (평가전 / 1994-02-02)18경기 7골
블라디미르 킨데르1경기39경기 1골
미할 히프5경기5경기 1골
알렉산데르 벤첼2경기19경기
페테르 피에버3경기2경기
페테르 두보프스키14경기 6골vs 몰타 (평가전 / 1994-03-30)33경기 12골
루보미르 모라브치크42경기 7골38경기 6골
밀로시 글로네크13경기12경기
온드레이 크리슈토피크6경기 1골vs 프랑스 (유로 예선 / 1994-09-07)7경기
미로슬라프 치빌라1경기vs 루마니아 (유로 예선 / 1994-11-12)1경기 1골
라디슬라프 페츠코11경기 1골vs 아제르바이잔 (유로 예선 / 1995-08-16)6경기


2.2.5. 21세기 이후 독립협회 성립[편집]



2.2.5.1. 동티모르 독립[편집]


2.2.5.2. 몬테네그로 독립[편집]


선수이전 국적바꾼 국적기록
국가대표팀 기록국가데뷔전
미르코 부치니치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세르비아 몬테네그로3경기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vs 헝가리 (평가전 / 2007-03-26)46경기 17골
이고르 부르자노비치1경기8경기 2골
브랑코 보슈코비치12경기 1골29경기 1골
시몬 부크체비치5경기45경기 2골
요반 타나시예비치3경기13경기
부카신 폴렉시치1경기38경기
드라간 보가바츠1경기vs 스웨덴 (평가전 / 2007-09-12)7경기
데얀 오그냐노비치2경기vs 노르웨이 (평가전 / 2008-03-26)5경기
마르코 바사3경기vs 이탈리아 (월드컵 유럽예선 / 2009-03-28)39경기 2골[2]


2.3. 유형 3: 정치적 망명 혹은 일반적 귀화의 경우[편집]


혈통과 아무 관련 없는 후천적인 귀화가 여기에 해당된다.

꼭 국가가 생성되거나 멸망되지 않더라도, 정변이나 쿠데타가 일어날 경우 특정 정치적 구호를 외치다가 본국에서 쫒겨나거나 더 이상 살기 힘들어져 망명을 택하는 선수들도 발생한다. 이런 선수들이 새로운 국가에 정착해 국적을 따고 해당국의 국가대표로 다시 활약하는 경우가 1950~60년대 꽤나 많았다.

또한 세계 프로축구가 발전하면서 각 국의 프로축구에 외국인 선수들이 많아지고, 이들 중 외국 리그에서 오래 활약한 선수가 해당 국가의 국적을 따고 그 국가의 대표팀으로 전격 합류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축구인구가 많고 대표팀 경쟁이 매우 치열한 축구 강국 국적의 선수들 중 외국 귀화를 선택하는 선수들이 꽤나 많으며 이 중에는 국가대표 출전 경력도 있던 선수들도 존재한다.


2.3.1. 정치적 망명[편집]



2.3.2. 일반 귀화 요건 충족[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6:23:49에 나무위키 축구 선수/A매치 국적 변경 선수/2009년 6월 이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CIS] A B C D [1]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대회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최종명단에는 포함되었으나 한 경기도 뛰지 못했다.[2] 몬테네그로가 독립하기 전 연합 국가였던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대표팀으로 친선전 3경기를 소화했다. 공식 대회에 출전한 적이 없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두 국가 모두 대표팀에 승선할 자격이 주어졌고, 선수는 본래 세르비아 대표팀 합류를 희망했다. 그러나 2년 후 마음을 바꿔 몬테네그로 대표팀에 합류해 뒤늦은 공식전 데뷔를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