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보베르데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Cape_Verde_FA_(2020).png
카보베르데 축구 국가대표팀
Seleção Cabo-Verdiana de Futebol
정식명칭Seleção Cabo-Verdiana de Futebol[1]
FIFA 코드CPV
FIFA 랭킹74위[2]
협회카보베르데 축구 연맹 (FCF)
연맹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지역연맹서아프리카 축구 연맹 (WAFU-UFOA)
감독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부비스타 (Bubista)
주장스토피라 (Stopira)
최다출전자히앙 멘드스 (Ryan Mendes) - 63경기
최다득점자엘돈 하무스 (Héldon Ramos) - 15골
홈 구장에스타디우 펠레 (Estádio Pelé, 15,000석)
첫 국제경기 출전VS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0:1 패)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cv_1975.gif 카보베르데 (1978년)
최다 점수차 승리VS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7:1 승)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2015년 6월 13일)
VS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6:0 승)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산 페드로 델 피나타르 (2022년 3월 23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1:5 패)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1981년 2월 12일)
VS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0:4 패)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2005년 10월 8일)
VS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0:4 패)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코나크리 (2007년 9월 9일)
VS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0:4 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
(2017년 11월 14일)
별칭Tubarões Azuis (파란 상어), Crioulos (크레올)
네이션스컵출전 3회, 8강 1회 (2013)

유니폼어웨이
상의파랑하양
하의파랑하양
양말파랑하양
1. 개요
2. 현재 선수 명단
3. 역대전적
4. 연령별 대표팀
4.1. U-20 대표팀
4.1.2. CAF U-20 축구 선수권 대회



1. 개요[편집]


카보베르데의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은 에스타디우 펠레[3]이며 감독은 부비스타이다. 푸른 상어들(Tubarões Azui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아프리카에서도 동네북으로 지내다가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드디어 첫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조예선에서도 앙골라를 1승 제물로, 모로코를 3위로 탈락시키고 남아공에 이어 조 2위로 8강 진출에 성공했다. 비록 8강에선 가나에게 0-2로 패하면서 탈락했지만 역사상 첫 아프리카네이션스컵 본선 및 8강 진출은 크나큰 기쁨일 듯. 그리고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지역예선 2라운드에서 튀니지를 제치고 조 1위로 최종 라운드 진출을 확정지으며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을 눈앞에 두게 되었다.

하지만 최종전이었던 튀니지전에서 부정선수를 출전시킨 것이 적발되었다. 레드카드에 의한 출장정지 징계가 다 끝나지 않았던 선수를 출전시켰던 것. 2-0으로 이겼던 해당 경기는 0-3 몰수패가 선언되었으며 이에 따라 순위도 뒤집히며 튀니지에게 최종예선 진출권을 내주고 말았다.

현재 대표팀에 있는 본토 출신 유명 선수로는 SC 파렌스에서 뛰는 제 루이스스포르팅 CP조반 카브랄, FC 크라스노다르케빙 레니니, AJ 오세르누누 다코스타가 있다. 그리고 해외 혼혈이나 이민자 출신 선수들을 받아들이며 전력 보강을 꾀했는데 대표적으로 과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활약한 바가 있는 베베가 있으며 그 외에도 개리 호드리게스, 자미로 몬테이로가 대표팀을 변경하면서 활약했다. 2020년대 들어선 브라이언 테세이라, 로건 코스타, 두크처럼 젋은 나이에 합류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모잠비크처럼 포르투갈에 건나간 인재들이 많은 곳이라, 나니홀란두처럼 카보베르데 태생으로 포르투갈로 건너가 포르투갈 대표팀에 선발된 선수들도 있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월드컵 예선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2포트 중 상위권에 드는 등 국가 면적을 보면 안 그럴 것 같지만 대륙 내에서도 얕볼 수 없는 팀으로 자리를 잡았다,

2013년에 포르투갈과의 원정 평가전을 승리해서 파란을 일으킨적이 있다.

2. 현재 선수 명단[편집]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GK보지냐Vozinha1986년 6월 3일590AEL 리마솔
마르시우 호사Márcio Rosa1997년 2월 23일60CDC 몬탈레그르
시스텡 몰린Sixten Mohlin1996년 1월 17일20외스테르순드 FK
엘베르 비냐Elber Binha1991년 6월 24일10GD 인테르클루브
켕 소우사Ken Sousa1994년 6월 6일00CS 민델렌스
DF스토피라Stopira1988년 5월 20일513MOL 페헤르바르 FC주장
스테벵 포르테스Steven Fortès1992년 4월 17일130KV 오스텐더
호베르투 로페스Roberto Lopes1992년 6월 17일130샴록 로버스 FC
스테브 푸르타두Steve Furtado1994년 11월 22일PFC 베로에 스타라 자고라
디네이Diney1995년 1월 17일90FAR 라바트
스테벵 페레이라Steven Pereira1994년 4월 13일80마리츠버그 유나이티드 FC
주앙 파울루João Paulo1998년 5월 26일70CD 페이렌스
로강 코스타Logan Costa2001년 4월 1일20툴루즈 FC
켈빙 피레스Kelvin Pires2000년 6월 5일20AS 트렌친
루도비크 소아르스Ludovic Soares1994년 5월 8일20PFC 슬라비아 소피아
클라우디우 타바르스Cláudio Tavares1997년 3월 23일20우니앙 드 산타헹
주앙 코헤이아João Correia1996년 9월 5일10GD 샤베스
MF자미루 몬테이루Jamiro Monteiro1993년 11월 28일141필라델피아 유니언
케니 호샤 산투스Kenny Rocha Santos2000년 1월 3일181KV 오스텐더
파트리크 안드라드Patrick Andrade1993년 2월 9일140가라바흐 FK
누누 보르즈스Nuno Borges1988년 3월 31일140카사 피아 AC
레안드루 안드라드Leandro Andrade1999년 9월 24일20가라바흐 FK
데로이 두아르트Deroy Duarte1999년 7월 4일20포르튀나 시타르트
케빙 피나Kevin Pina1997년 1월 27일10GD 샤베스
FW리안 멘드스Ryan Mendes1990년 1월 8일5812알 나스르 SC
가히 호드리게스Garry Rodrigues1990년 11월 27일397올림피아코스 FC
리산드루 세메두Lisandro Semedo1996년 3월 12일132포르튀나 시타르트
길송 타바르스Gilson Tavares2001년 12월 29일73GD 이스토릴 프라이아
파파렐레Papalélé1998년 5월 16일42CDC 몬탈레그르
베베Bebé1990년 7월 12일63라요 바예카노
조반 카브랄Jovane Cabral1998년 6월 14일51스포르팅 CP
바스쿠 로페스Vasco Lopes1999년 9월 2일30SC 파렌스
유리 타바르스Iuri Tavares2001년 3월 8일10비토리아 SC
[4]


3. 역대전적[편집]



3.1. FIFA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승점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포르투갈령 카보베르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불참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불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불참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불참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불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예선 탈락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예선 도중 실격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합계본선진출 없음0/21[5]


3.2.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25위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57
독립 이전
파일:시리아 국기.svg
1959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2
파일:가나 국기.svg
1963
파일:튀니지 국기.svg
1965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8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70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
1972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1974
파일:에티오피아 국기 (1975–1987).svg
1976
파일:가나 국기.svg
1978
불참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80
불참
파일:리비아 국기(1977–2011).svg
1982
불참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4
불참
파일:이집트 국기.svg
1986
불참
파일:모로코 국기.svg
1988
불참
파일:알제리 국기.svg
1990
불참
파일:세네갈 국기.svg
1992
불참
파일:튀니지 국기.svg
1994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96
기권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1998
불참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0
예선 탈락
파일:말리 국기.svg
2002
예선 탈락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4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6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2008
예선 탈락
파일:앙골라 국기.svg
2010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2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3
8강7위4121345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5
조별리그11위3030113
파일:가봉 국기.svg
2017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2019
예선 탈락
파일:카메룬 국기.svg
2021
16강15위4112244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2023
?????????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5
?????????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2027
?????????
합계8강(1회)3/20[6]112636912


4. 연령별 대표팀[편집]



4.1. U-20 대표팀[편집]



4.1.1. FIFA U-20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튀니지 국기.svg
1977년 튀니지
파일:일본 국기.svg
1979년 일본
파일:호주 국기.svg
1981년 호주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3년 멕시코
파일:소련 국기.svg
1985년 소련
파일:칠레 국기.svg
1987년 칠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9년 사우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991년 포르투갈
파일:호주 국기.svg
1993년 호주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5년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7년 말레이시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9년 나이지리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년 아르헨티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3년 아랍에미리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5년 네덜란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7년 캐나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9년 이집트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1년 콜롬비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3년 터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5년 뉴질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대한민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년 폴란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3년 아르헨티나 [7]
?????????
합계[8]



4.1.2. CAF U-20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아프리카 유스 챔피언십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79년 개최국 없음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81년 개최국 없음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83년 개최국 없음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85년 개최국 없음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87년 개최국 없음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89년 개최국 없음
African U-21 Championship
파일:이집트 국기.svg
1991년 이집트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1993년 모리셔스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5년 나이지리아
파일:모로코 국기.svg
1997년 모로코
파일:가나 국기.svg
1999년 가나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2001년 에티오피아
불참
African U-20 Championship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2003년 부르키나파소
불참
파일:베냉 국기.svg
2005년 베냉
불참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2007년 콩고
불참
파일:르완다 국기.svg
2009년 르완다
불참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1년 남아공
불참
파일:알제리 국기.svg
2013년 알제리
불참
파일:세네갈 국기.svg
2015년 세네갈
불참
Africa U-20 Cup of Nations
파일:잠비아 국기.svg
2017년 잠비아
불참
파일:니제르 국기.svg
2019년 니제르
불참
합계/22 [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21:19:45에 나무위키 카보베르데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포르투갈어[2] 2023년 10월 기준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CPV[3] 정식 명칭은 에스타디우 나시우날 드 카부 베르드(Estádio Nacional de Cabo Verde, 카보베르데 국립 경기장)[4] 2022년 3월 25일 기준.[5]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6]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7] 2021년 대회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8] FIFA U-20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9] African U-20 Championship 진출횟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