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 (r1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2024 파리 올림픽/축구






파일:2024 파리 올림픽 로고 블랙.svg
올림픽 남자 축구
파일:2024 파리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png파일:2024 파리 올림픽 축구 흰색 픽토그램.svg
본선 진출국16개국
우승
파일:올림픽 금메달.svg
준우승
파일:올림픽 은메달.svg
3위
파일:올림픽 동메달.svg
득점왕
이전·이후 대회
2020년
도쿄
[1]
2024년
파리
2028년
로스앤젤레스

1. 개요
2. 경기장
3. 본선 진출국
4. 조 추첨
4.1. 시드 배정
4.2. 조 편성 결과
5. 선수 명단
6. 개막 직전 평가전
7. 중계
8. 대회 진행
9. 최종 순위
10. 팀별 리뷰
10.1. 조별리그 팀[16강]
10.1.1. 16위
10.1.2. 15위
10.1.3. 14위
10.1.4. 13위
10.1.5. 12위
10.1.6. 11위
10.1.7. 10위
10.1.8. 9위
10.2. 준준결승 팀[8강]
10.2.1. 8위
10.2.2. 7위
10.2.3. 6위
10.2.4. 5위
10.3. 4위 팀
10.4. 동메달 팀
10.5. 은메달 팀
10.6. 금메달 팀



1. 개요[편집]


2024 파리 올림픽축구 종목 중 남자 축구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다.


2. 경기장[편집]



  • 개최 경기장의 상세 소재지, 명칭, 규모 등은 다음과 같다.

2024 파리 올림픽 남자 축구는 개최지인 프랑스 파리를 포함하여 총 7개 도시에서 열린다. 이 중, 니스 스타디움을 제외한 나머지 6개 경기장은 지난 1998 FIFA 월드컵을 치른 경기장이기도 하다.


3. 본선 진출국[편집]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기간티켓 수
개최국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2017년 9월 13일[2]1
유럽
(UEFA)
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2023 UEFA U-21 챔피언십 루마니아·조지아[3]2023년 6월 21일 ~ 7월 8일3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우크라이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
오세아니아
(OFC)
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2023 OFC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대회 뉴질랜드2023년 8월 27일 ~ 9월 9일1
아프리카
(CAF)
파일:말리 국기.svg말리2023 CAF U-23 네이션스컵 모로코2023년 6월 24일 ~ 7월 8일3.5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
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
아시아
(AFC)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2024년 4월 15일 ~ 5월 3일3.5
파일:일본 국기.svg일본
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
남미
(CONMEBOL)
파일: 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2024 CONMEBOL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대회 베네수엘라2024년 1월 20일 ~ 2월 11일2
파일: 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
북중미
(CONCACAF)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도미니카 공화국2022 CONCACAF U-20 챔피언십 온두라스[4]2022년 6월 18일 ~ 7월 3일2
파일:미국 국기.svg미국
대륙간 PO
(AFC-CAF)
파일:기니 국기.svg기니AFC-CAF 올림픽 플레이오프[5]2024년 5월 9일1

대륙국가통산 진출 횟수연속 진출 횟수최근 진출최고 기록
개최국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14회2회2020금메달(1984)
유럽
(UEFA)
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12회2회2020금메달(199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우크라이나1회첫 출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3회1회1976[6]8강(1968, 76)
오세아니아
(OFC)
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4회2회20208강(2020)
아프리카
(CAF)
파일:말리 국기.svg말리2회1회20048강(2004)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8회1회20128강(1972)
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13회2회20204위(1964)
파일:기니 국기.svg기니2회1회1968조별리그(1968)
아시아
(AFC)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1회첫 출전-
파일:일본 국기.svg일본12회8회2020동메달(1968)
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6회1회20164위(2004)
남미
(CONMEBOL)
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3회1회2004은메달(2004)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9회3회2020금메달(2004, 08)
북중미
(CONCACAF)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도미니카 공화국1회첫 출전-
파일:미국 국기.svg미국14회1회20084위(2000)

  • 2024 파리 올림픽 축구(남자) 아시아 지역예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문서를 참고바람.
  • 북중미 예선은 이례적으로 FIFA U-20 월드컵 지역예선과 겸해서 열렸는데 당시 돌풍을 일으킨 도미니카공화국이 대회 결승까지 진출하며 U-20 월드컵은 물론 올림픽 티켓까지 획득하는 겹경사를 누렸었다. 또한 미국이 16년만에 올림픽 본선에 복귀한다.
  • 오세아니아 예선은 이변없이 절대 1강 뉴질랜드의 올림픽 티켓 획득으로 마무리되었다. 지난 대회 8강과 첫 승을 달성했고 이번에도 만만한 전력은 아니라는 평가다.
  • 유럽 예선인 UEFA U-21 챔피언십에서부터 이변이 속출했다. 지난 FIFA U-20 월드컵 3위 돌풍의 이스라엘이 본선 티켓을 획득한 데 이어 유럽의 다크호스 우크라이나도 비록 대회 준결승에선 대패했지만 올림픽 출전이 불가능한 잉글랜드의 대회 우승의 수혜를 입어 올림픽 본선에 사상 처음으로 진출하는 경사를 누렸다. 또한 유럽에서 올림픽에 진심인 몇 안되는 국가로 유명한 스페인은 이번에도 본선 티켓을 확보하며 다시 한 번 올림픽 금메달에 도전한다.
  • 아프리카 지역예선은 올라올 팀들이 올라왔다는 평가다. 우승후보로 꼽힌 모로코와 이집트가 나란히 결승에 진출해 연장 혈투 끝에 모로코가 승리를 거두고 대륙 챔피언에 올랐고, 3위 결정전에선 말리가 기니를 제압하고 마지막 한 장의 티켓을 따냈다. 모로코는 2022 카타르 월드컵 4강 진출 이후 유럽계 유망주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이 연령대에서도 무시 못할 팀으로 거듭났고, 국내파가 탄탄한 이집트, 항상 FIFA U-20, U-17 월드컵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말리도 강한 전력을 가졌다는 평가다.
  • 이번 대회에서 디펜딩 챔피언이자 2회 연속 금메달의 주인공이었던 브라질이 본선 진출에 실패하는 이변이 일어났다. 1차 조별예선에서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으나, 파라과이와 아르헨티나에게 내리 패배하고 1승 2패로 3위를 기록하며 결국 상위 2개 팀에까지 주어지는 본선 티켓을 획득하지 못했다. 참고로 브라질이 올림픽 남자 축구 본선 진출에 실패한 건 지난 2004 아테네 올림픽 이후 20년 만이며, 공교롭게도 당시 올림픽에서 남미 예선을 통과한 두 팀 역시 파라과이와 아르헨티나였다.[7]
  • 여기에 더해 유일하게 올림픽 남자 축구 종목 최다 연속 출전 기록을 보유 중이자 아시아 지역의 대표적 강호인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도 인도네시아에게 승부차기 끝에 가로막혀 40년만에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하는 초대형 이변까지 발생했다.[8] 즉, 파리 올림픽 남자 축구에서는 2012 런던 올림픽 금메달국인 멕시코, 은메달국인 브라질, 동메달국인 대한민국 팀이 그라운드를 누비는 모습을 볼 수 없다.

4. 조 추첨[편집]


올림픽 남녀 축구 조추첨식은 3월 20일 20시(한국시간 3월 21일 4시) 프랑스 파리에서 열렸다.

남자 축구의 경우, 아시아 지역과 아시아-아프리카 올림픽 플레이오프 1자리까지 총 4자리의 출전국이 정해지기 전에 조 추첨식이 열리므로 해당 빈자리의 추첨은 1, 2, 3, 4처럼 임시 배정을 하고 향후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대회 최종 결과와 AFC-CAF 올림픽 플레이오프 최종 결과에 따라 해당 국가들이 그 자리에 들어간다.


4.1. 시드 배정[편집]



순번시드 1시드 2시드 3시드 4
1프랑스 (개최국)스페인
미국
도미니카 공화국
2일본
뉴질랜드
이집트
이스라엘
3우즈베키스탄
파라과이
이라크
우크라이나
4아르헨티나
모로코
말리
기니

4.2. 조 편성 결과[편집]


순번A조B조C조D조
1프랑스 (개최국)아르헨티나우즈베키스탄일본
2미국모로코스페인파라과이
3기니이라크이집트말리
4뉴질랜드우크라이나도미니카 공화국이스라엘

한국 시간으로 3월 21일 프랑스 생드니에서 조 추첨이 완료되었다.

본래 AFC 가맹 진출국들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제외하고 지난 도쿄 올림픽 순위에 따라 본선 조가 정해지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것은 FIFA 측의 일반적 주장이였던것으로 밝혀졌고, 후에 IOC 측에서는 예선 대회인 AFC U-23 아시안컵 성적에 따라 조를 정하겠다고 해서 혼란이 잠시 빚기도 했었다. 결국 FIFA가 한 발 물러나면서 최종적으로 도쿄 올림픽 성적과 관계 없이 2024 AFC U-23 아시안컵에서의 성적에 따라 조 편성이 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따라서 U-23 아시안컵 우승국이 D조, 준우승은 C조, 3위로 올라갈 경우 B조에 편성되는 상당히 간단한 경우의 수로 압축되었고, 플레이오프 끝에 본선에 진출하면 A조에 편성되는 것은 처음에 알려졌던 방식과는 변함이 없게 되었다.

만약 황선홍 감독이 이끌던 U-23 대표팀이 지난 대회처럼 8강 이전에 탈락해 버리거나 대회 4위를 차지하고 기니와 플레이오프 끝에 패배하면 한국의 10회 연속 올림픽 진출은 그대로무산, 36년 만에 올림픽 축구 진출에 실패하며 전술한 모든 시나리오들은 전부 소멸하게 되는 것이었고, 아울러 5인 이상의 남자 구기종목은 한 종목도 올림픽 무대를 밟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었다.[9] 그런데 그 우려했던 상황이 결국 실제로 일어나게 되었다.


5. 선수 명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참가팀 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개막 직전 평가전[편집]


  • 본선 최종 엔트리 발표 이후에 치러진 경기만, 참고 목적으로 기재한다.

일시(UTC+9)홈팀결과원정팀장소비고



7. 중계[편집]





8. 대회 진행[편집]



8.1. 조별리그[편집]



8.1.1. A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A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
2파일:미국 국기.svg미국
3파일:기니 국기.svg기니
4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
결선 진출 | 탈락


8.1.2. B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B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
2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
3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
4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우크라이나
결선 진출 | 탈락


8.1.3. C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C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2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
3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
4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도미니카 공화국
결선 진출 | 탈락


8.1.4. D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D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일본 국기.svg일본
2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
3파일:말리 국기.svg말리
4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
결선 진출 | 탈락


8.2. 토너먼트[편집]


파일:2024 파리 올림픽 로고 블랙.svg
2024 파리 올림픽 결선 토너먼트 대진표
8강4강결승
8강 1경기 (2024.08.03 05:00)
파일:국기.svg A조 1위0
파일:국기.svg B조 2위0
||<|2>

||<|3>

||
||
||<|2>

4강 2경기 (2024.08.06 02:00)
파일:국기.svg 2경기 승자0
파일:국기.svg 4경기 승자0
||
8강 4경기 (2024.08.03 01:00)
파일:국기.svg D조 1위0
파일:국기.svg C조 2위0
||

3위 결정전 (2024.08.09 01:00)
파일:국기.svg 1경기 패자0
파일:국기.svg 2경기 패자0
||


8.2.1. 8강전[편집]





8.2.2. 준결승전[편집]





8.2.3. 동메달 결정전[편집]





8.2.4. 금메달 결정전[편집]





9. 최종 순위[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10]비고
1파일:올림픽 금메달.svg 금메달
2파일:올림픽 은메달.svg 은메달
3파일:올림픽 동메달.svg 동메달
44위
58강
6
7
8
9조별리그
10
11
12
13
14
15
16

2024 파리 올림픽 축구 우승국
우승 국가
n번째 우승


10. 팀별 리뷰[편집]



10.1. 조별리그 팀[16강][편집]



10.1.1. 16위[편집]





10.1.2. 15위[편집]





10.1.3. 14위[편집]





10.1.4. 13위[편집]





10.1.5. 12위[편집]





10.1.6. 11위[편집]





10.1.7. 10위[편집]





10.1.8. 9위[편집]





10.2. 준준결승 팀[8강][편집]



10.2.1. 8위[편집]





10.2.2. 7위[편집]





10.2.3. 6위[편집]





10.2.4. 5위[편집]





10.3. 4위 팀[편집]





10.4. 동메달 팀[편집]





10.5. 은메달 팀[편집]





10.6. 금메달 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0:03:38에 나무위키 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코로나-19로 인한 대회 1년 연기[16강] A B 조별리그[8강] A B [2] 파리 올림픽 개최 확정일[3] 유럽은 예선 참가일 기준으로 대회 연령을 표기한다.[4] 이번 대회부터 U-20 대회가 U-20 월드컵과 올림픽 예선을 함께 겸하게 되었다.[5] 본래 올림픽 축구의 경우대로 출전권을 분배할 경우 개최국이 유럽인 프랑스인지라 유럽이 5장이나 독식할 수 있었기에 유럽 출전권을 4장에서 3장으로 줄이고 그 1장을 플레이오프로 나누게 되었다. 플레이오프는 2024 AFC U-23 아시안컵 4위 팀인 인도네시아와 2023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4위 팀인 기니가 올림픽 개최지인 프랑스에서 중립지 단판으로 펼쳐 승자가 올림픽 티켓을 가져간다.[6] 1968년과 1976년에는 아시아 대표로 올림픽에 출전하였으므로, 유럽 대표로 출전하는것은 첫 출전이다.[7] 그리고 아르헨티나와 파라과이는 나란히 대회 결승까지 진출해 각각 아르헨티나가 금메달, 파라과이가 은메달을 수확했다.[8] 참고로 한국은 1988 서울 올림픽 시절부터 축구 종목으로만 계속 나왔으므로 한국이 올림픽 축구에 못나온다는 것은 21세기의 한국인들에겐 매우 충격적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9] 이 경우 단체 구기종목은 여자 핸드볼 1종목만 파리 올림픽에 출전하게 되어 선수단 규모도 급감하고 대한민국 내에서의 올림픽 열기도 크게 식을 것이 우려된다. 2008 베이징 대회와 2012 런던 대회의 열기가 대한민국 내에서도 뜨거웠던 것은 이 두 대회에서 모두 13개씩의 금메달을 따낸 성과도 있었지만 각각 인기 종목인 야구 금메달과 축구 동메달로 올림픽 열기를 주도했기 때문이었다.[10] 승부차기 승리 및 패배는 무승부로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