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시/교통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거제시


1. 철도
2. 도로
3. 버스
3.1.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3.2. 시내버스
4. 택시
5. 해운.항구와 어항
6. 항공


1. 철도[편집]


없다. 그러나 남부내륙선이 계획되어 있어 철도가 지나지 않는 시와 군에서는 조만간 벗어날 예정. 부산광역시에 있는 거제역, 거제해맞이역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애초에 한자부터 巨濟(거제시)와 巨堤(부산 거제동)로 다르다.

2019년 1월에 김천 거제 간 서부경남고속철도(KTX)가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되었다. 완공되면 서울-거제 간 이동시간은 2시간 40분이 소요 될 예정이다.


2. 도로[편집]






파일:거가대교.jpg
거가대교[1]
파일:거제대교 전경.jpg
거제대교(좌) 신거제대교(우)[2]

결코 배 타고 들어가지 않는다.[3] 거가대교 개통 전 부산 시내에서 출발하려면 육로로는 빙 둘러가야 했고 배를 타면 45분이면 거제도에 입성하는지라 배편 수요가 꽤 많았다. 하지만 2010년 12월 13일 거가대교 개통 후 부산항 - 거제 간 운송사들은 2011년 06월 말 폐업을 하였으며, 거제와 육지를 잇는 마지막 도선이었던 진해 속천항 - 거제 실전항 노선도 2011년 8월 16일부터 차량 운송료를 무료로 하는 등의 노력을 해왔지만 결국 폐선되었다.[4]

거가대교는 자동차 전용도로이기 때문에 이륜차로 부산에서 거제까지 가려면 부산에서 출발해 창원 - 고성 - 통영을 경유해 거제에 도착하는 고행을 해야한다. 차라리 돈이 좀 들더라도 이륜차를 따로 거제로 보낸 다음 버스를 타는 게 빠르다.
만약 제주도에서 비행기로 육지에 가서 이륜차로 거제도를 방문할 생각이라면 김해국제공항이 아닌 사천공항으로 가는게 훨씬 빠르다.

한편 2008년에 노선지정령으로 공포된 국도 제5호선의 연장 구간으로, 거제시 장목면과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간 6.6㎞ 구간의 바다를 이을 다리가 건설 예정되어 있다. 2020년 1월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 들어가 있는 상태.

육지에서 진입할 수 있는 도로가 많이 생겼으므로 통상적인 의미의 도서지역과는 환경이 달라졌지만, 고속도로는 없어서 고속도로를 이용하려면 통영이나 부산으로 가야 한다. 주요 도로5번 국도, 14번 국도, 58번 지방도1018번 지방도가 있다. 서쪽 거제대교로 이어지는 14번 국도 거제대로와 북쪽 거가대교로 이어지는 58번 지방도 거가대로가 왕복 4차로로 고속화되어 양대 간선도로 역할을 한다.

산업단지가 없는 거제도 북쪽, 남쪽, 서남쪽으로는 거의 모든 도로가 해안가, 산골짜기를 따라 커브가 많은 왕복 2차로 도로이다. 거제도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5번 국도도 마찬가지이다. 고현 시내에서 거제도 서남쪽으로 접근하는 것이 불편했으나 명진터널 개통으로 많이 개선되었다.

3. 버스[편집]



3.1.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고현버스터미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장승포시외버스정류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고속버스는 경원여객고현시외버스터미널장승포시외버스정류장에서 서울남부 구간을 운행, 시외버스는 부산(서부), 부산(노포동) 등 구간을 운행한다. 배차간격이 서울은 30분, 부산은 20분 정도로 자주 다니는 편이다. 또 옥포는 장승포에서 출발한 시외버스들의 중간 경유지이기도 하며, 거제해금강과 학동에서도 통영행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천공항은 가지 않는다

또한 장목, 하청에서 부산행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외 인천공항 김해공항 통영 대전 세종 대구 창원 포항 평택 광주 등 30여 개의 노선이 있다.


3.2. 시내버스[편집]


거제시 시내버스 문서 참조. 10번, 11번14번 국도 라인 노선과 부산행 버스는 10~20분의 배차간격이지만 도심을 벗어난 지역은 1시간~2시간 마다 버스 운행을 하는 개막장 수준이다. 이로 인해 대중교통을 통해 거제도를 방문하려는 관광객들이 상당한 불편을 겪는 편.[5]

삼화여객세일교통 2개의 회사에서 운행하며, 부산광역시 시내버스거제시에 들어와서 운행 중이다.


4. 택시[편집]


파일:거제시 CI_White.svg경남 거제시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4,000원(2km)
추가(병산제) 100원(34초/133m)
심야 할증 20% / 시계 외 할증 30%
복합 할증 35%
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5. 해운.항구와 어항[편집]


‧ 운항 중인 여객선 및 유람선

장승포, 지세포, 구조라, 도장포, 와현 ↔ 외도 ‧ 해금강 / 구조라 ↔ 내도 / 장승포 ↔ 지심도 / 저구 ↔ 매물도 / 근포 ↔ 장사도 / 시방리 ↔ 이수도 / 궁농항 ↔ 저도

원래 거가대교가 개통되기 전에는 고현, 옥포, 장승포에서 부산으로 가는 여객선이, 실전, 구영에서 창원 진해로 가는 카페리를 운항하기도 했으나, 거가대교가 개통된 뒤 폐선되었다.




  • 무역항 : 고현항, 옥포항, 장승포항
  • 국가어항 : 구조라항, 능포항, 다대다포항, 대포근포항, 외포항, 지세포항(6개소)
  • 지방어항 : 거제항, 관포항, 농소항, 도장포항, 동호항, 물안항, 성포항, 송포항, 시장항, 쌍근항, 유교항, 유호항, 율포항, 이수도항, 장목항, 죽림항(16개소)
  • 어촌정주어항 : 가배항, 갈곶항, 견내량항, 계도항, 고개도항, 고당항, 곡촌항, 광리항, 구영항, 군령포항(사등면), 궁농항, 금곡항, 금포항(사등면), 내간항, 내도항(일운면), 내평항, 녹산항(둔덕면), 대계항, 대곡항(하청면), 대금항, 덕곡항(하청면), 덕포항, 두모항(장목면), 망치항(일운면), 면포항, 명사항, 미포항(둔덕면), 발포항, 법동항, 사곡항, 산전항, 산후항, 석포항, 성내항, 소계항, 소랑항, 송진포항, 송포항(둔덕면), 수산항, 술역항, 신교항, 신전항, 실리항, 실전항, 양지말항, 양화항(일운면), 어구항, 어온항, 여차항(남부면), 염막포항, 영북항, 영월항, 예구항, 오송항, 오수항, 옥계항(하청면), 옥림항, 와현항(일운면), 왜선포항, 장곶항, 저구항, 지석항, 탑포항, 학동항(동부면), 학산항, 함박항, 항도항, 호곡항, 황덕항, 황포항, 후포항, 흥남항, 하천항, 항내항(74개소)
  • 소규모어항 : 군항포항, 동진개항, 매동항, 신촌항, 실전항, 아지랑항, 와항항, 외간항, 임호항, 해안항, 홍포항(11개소)
총계 : 110개소(연안항 없음.)


6. 항공[편집]


현재는 거제시민들이 사천공항이나 김해국제공항에 가서 공항을 이용해야 하나, 2021년 2월 26일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2030년경 가덕도 신공항이 정상적으로 개항할 경우 거제시청 기준 공항접근성이 30분 내로 가까워지게 된다.(자차기준) 특히 거제시 장목면의 경우 10분내로 갈 수 있게 된다. 가덕도 행정구역은 부산광역시이나 사실상 거제신공항이나 다름없는 셈이다.

한편 거제시에서는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 통과를 환영하고 있고, 거마대교 및 대전통영고속도로 거제연장, 남부내륙선 가덕도 신공항 연결 등 가덕도 신공항 관련 광역교통망 구축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01:21:57에 나무위키 거제시/교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거제와 부산 가덕도를 연결하는 다리[2] 거제대교는 1971년에 개통된 (구)거제대교, 1999년에 개통된 신거제대교의 두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다.[3] 이미 옛날 얘기로 1971년 이후로 거의 육지와 매한가지로 보면 된다. PC통신 시절, 사는 곳이 거제라고 하면 '거기도 전화선 들어가요?'라는 충공깽스러운 반응을 심심치않게 볼 수 있었다. 오히려 현재 육지에서 거제로 가는 배편은 거의 끊긴 편이다. 거제 출신에게 배타고 들어가냐고 물으면 황당해하는 반응이 있을 수도 있다.[4] 거가대교의 통행료가 결코 저렴하진 않다고는 하지만 2008년 기준 부산-거제간 여객선요금 성인1인당 19,200원보다는 훨씬 저렴한 편이었다. 부산서부버스터미널 기준으로 2020년 기준 거제 고현행 버스요금이 성인 1인당 8,200원인데 2014년당시 5,000원대였음을 감안할 경우 비용적 측면에서 거가대교vs여객선을 놓고 비교경쟁을 하기가 어려웠다.[5] 이런 막장수준에 답답함을 느낀 학생들은 결국엔 버스정보앱을 스스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