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합포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행정동
법정동
가포동
가포동
교방동
교방동
교원동
상남동
합포동
산호동
산호동
문화동
문화동
대외동
대창동

두월동1가


두월동2가


두월동3가

신창동

월남동1가


월남동2가


월남동3가


월남동4가


월남동5가

유록동

창포동1가


창포동2가


창포동3가

청계동
평화동
홍문동
화영동
월영동
월영동
대내동
해운동

반월동

대성동1가


대성동2가

신월동
구청
중앙동3가

완월동
장군동4가
장군동5가
오동동
오동동
남성동
동성동
부림동
서성동
성호동
수성동
신포동1가

신포동2가

중성동
창동
추산동
자산동
자산동
현동
현동
덕동동
예곡동
우산동



창원시일반구


마산합포구
馬山合浦區
Masanhappo-gu






구청 소재지
3.15대로 210 (중앙동3가)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
창원시
하위 행정구역
4 11
면적
241.16㎢
인구
179,040명[1]
인구밀도
725.16명/㎢
구청장
김선민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최형두 (초선)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석[2]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석[3]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석[4]
지역번호
055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지역 특징
3.1. 주요 시설
4. 경제
5. 교육
7. 하위 행정구역
8. 기타
9.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masanhp.changwon.go.kr/map.gif

파일:external/www.gnynews.co.kr/225606_34076_5250.jpg

경남대학교

파일:attachment/masanhappogu.png

마산합포구청[5]
창원시의 서남부에 위치한 일반구. 조선시대 중기 대동법 시행에 따라 조창이 설치되면서 발달하기 시작했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1899년 개항 이래 쭉 마산시의 중심부였던 곳이다.[6]

지리적으로 일본과의 직선거리가 매우 가까운 편이라서 일본인 중심 상업, 무역이 자연스레 발달했기 때문에 창원시 5개구 중에서 가장 먼저 도시화가 이루어진 지역이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일본과의 교류가 활발했다. 하지만 경전선 마산역 구간 이설 및 마산시외버스터미널회원구 이전, IMF 외환위기 및 2000년대 초중반 창원시, 김해시 장유면의 아파트 택지개발로 인한 인구유출로 과거 대비 존재감이 많이 희석된 지역이다. 그나마 도시재생 및 노후주택단지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잠시 증가 추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다시 감소세가 시작되어 2022년 10월부로 18만이 다시 붕괴되었다.[7]

창원시 5개구는 물론 전국의 일반구 중에서도 인구수가 가장 적다.[8] 반면 5개구 중에서 면적은 가장 넓고 읍면지역을 가장 많이 보유[9]하고 있어 인구밀도도 낮다.[10] 다만 내서읍까지 도시화가 완료되어 미개발 부지가 내서읍 감천리 일대나 회성동 지역의 마산교도소 일대 정도밖에 남아있지 않은 마산회원구에 비하면 개발의 여지는 많이 남아있다. 현동 일대에는 택지개발지구가 조성되었고, 읍면 지역 가운데에서도 사실상 포화상태에 다다른 내서읍 다음으로 진동면의 개발 가능성이 꽤 높다.


2. 역사[편집]


1980년대 한일합섬으로 대표되는 섬유산업으로 인해 마산시의 최전성기를 구가하던 무렵 마산시의 인구증가에 따라 1990년 마산시에 설치된 2개 구 중 합포구가 마산합포구의 전신이다. 합포는 마산의 옛 이름. 사실 합포라는 이름은 현재의 마산합포구 권역 중에는 산호동 끝자락밖에 해당되지 않는다. 현재의 어린교 인근에서 다섯 개의 물줄기가 바다로 흘러드는 형국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재미있게도 합포구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 합포성터는 오늘날의 마산회원구에 있고, 거꾸로 회원구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 회원현 성터는 오늘날의 마산합포구에 있다.

1995년에는 창원군이 마산, 창원시로 각각 분리 흡수됨에 따라 진동, 진북, 진전, 구산의 4개면이 합포구에 편입된다. 그러나 이후 섬유산업의 몰락으로 인해 마산시의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결국 2000년 구제가 폐지되고 합포구는 국회의원 선거舊 마산 갑으로 그 흔적만 남게 되었다.[11] 그러다가 2010년 통합이 확정되면서 5개 구로 분리하는 계획이 확정되었고, 이에 따라 마산시도 원래의 합포구와 회원구로 다시 분구되기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마산이란 지명이 사라지는 것을 우려한 마산시민들의 요구에 따라, 합포구와 회원구에는 각각 마산이란 명칭이 붙어 현재에 이르게 된다.

  • 1958년 8월 15일: 행정동인 가포동·월영동·창포동·월남동·반월동·완월동·중앙동·자산동·서성동·동성동·중성동·부림동·추산동·성호동·교원동·교방동·오동동·산호동·상남동 설치.
  • 1963년 4월 15일: 월영동이 월영1동과 월영2동으로, 상남동을 상남1동과 상남2동으로, 산호동을 산호1동과 산호2동으로 분리.
  • 1973년 7월 1일: 창원군 구산면 예곡리·우산리·현동리·덕동리가 마산시에 편입, 해당지역에 현동 설치.
  • 1989년 1월 1일: 함안군 여항면 산서출장소 관할지역 진전면에 편입. (여양리·고사리·평암리·금암리)
  • 1989년 5월 10일: 합포출장소 설치
  • 1990년 7월 1일: 합포출장소가 합포구로 승격.
  • 1995년 1월 1일: 창원군 구산면·진동면·진북면·진전면을 편입.
  • 1997년 5월 12일: 행정동 통폐합 및 개칭.
    • 문화동 = 월영1동 + 월남동 + 창포동
    • 월영동 = 월영2동
    • 동서동 = 부림동 + 동성동 + 서성동
    • 오동동 = 오동동 + 중성동
    • 성호동 = 성호동 + 추산동
    • 노산동 = 상남1동 + 교원동
    • 합포동 = 상남2동 + 산호2동
    • 산호동 = 산호1동
  • 2000년 12월 31일: 합포구 폐지.
  • 2010년 7월 1일: 폐지된 합포구 지역에 마산합포구 설치.
  • 2017년 1월 1일: 동서동·성호동이 오동동에, 반월동·중앙동이 반월중앙동으로 통합.
  • 2020년 1월 1일: 노산동이 교방동에 통합.


3. 지역 특징[편집]





앞서 소개한 대로 개항 이래 거의 한 세기 가까이 마산시의 중심부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전형적인 구시가지의 모습을 보여준다. 좁은 길이 이리저리 얽혀있고 건물은 후줄근하다. 일제강점기 건물도 찾아보면 가끔 눈에 띌 정도다. 터가 좁아 산기슭에도 주거지역이 형성되어 있어 부산과 함께 산복도로라는 용어가 쓰이는 곳으로[12], 고운로와 무학로가 있다. 흔히 고운로를 산복도로, 무학로는 신산복도로라 한다. 보통 시내버스에서 산복도로라 함은 전자를 가리킨다.[13]

동서동 일대는 예로부터 마산시의 중심 상권 역할을 해왔다. 25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어시장을 비롯하여 부림시장, 창동거리, 오동동 통술거리 등이 모여 최대 상권을 자랑했지만, 1970년대 후반 마산역마산시외버스터미널이 회원구의 석전동, 합성동으로 이전하면서 점점 상권이 합성동으로 옮겨지면서 비틀거리기 시작하더니, 마산시의 쇠퇴, 대형마트들의 진입[14] 등과 맞물리며 쇠락했다. 지금은 어시장만이 예전의 위용을 유지하고 있다. 통합 이후 창원시에서 지역 균형 발전 차원에서 여러 가지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외에 산호동에는 신세계백화점 마산점[15]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월영동 일대에도 경남대학교 주위로 댓거리라고 불리는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이곳에는 메가박스 마산점[16]롯데시네마 프리미엄 경남대점[17]이 위치해 있다. 어시장 옆에는 대우백화점(현 롯데백화점 마산점)이 있었는데, 원래 여기를 기반으로 전국으로 진출하려 했으나 IMF 때문에 흐지부지되고 그냥 향토백화점화 되었다는 후문이... 개점일이 하필이면 IMF 터지기 직전인 97년 11월 28일이다. 포스코에서 대우인터내셔널[18]을 인수하고, 포스코에서 대우백화점을 롯데쇼핑에게 팔아넘겼다. 이로서 창원의 향토백화점은 대동백화점 하나만 남게 되었다.

월영동 일대에는 옛 국군마산병원 터를 개발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밀집해 있으며, 그 앞으로 옛날엔 한일합섬과 함께 마산시의 밥줄이었으나 지금은 성산구로 옮겨버린 한국철강 터가 있었다. 꽤 넓은 부지로 부영건설이 매입하여 아파트 단지를 지었는데, 토지 정화 문제로 어영부영 지체되다가 2015년 말부터 짓기 시작하여 2019년 12월에 준공되었다. 그 이름은 마린애시앙부영이다.

시가지 남쪽과 서쪽으로 가포동현동이 있다. 가포동에는 마산가포신항과 국립마산병원이 있고 현동에는 아파트 단지들을 중심으로 신도시가 형성되어있다.

그 서쪽으로 진동, 진북, 진전, 구산면이 있다. 진동, 진북, 진전면은 흔히 이들을 묶어 삼진면으로 많이 불리는데, 진동면이 그 중심지 역할을 하며 많은 아파트 단지들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삼진면 지역이 진해군이었다. 구산면에는 전형적인 어촌 마을들이 산재해 있는데 이곳의 저도 연륙교가 유명하며 마산로봇랜드가 개장되기도 했다.

마산회원구처럼 구의 명칭 앞에 이전 시명(市名)인 "마산"이 붙어있으며, 통합 이후에도 지역 주민들은 주로 "창원 사람"보다는 "마산 사람"이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편이다. 분당경찰서일산동부경찰서처럼, 마산중부경찰서도 앞에 도시명(창원)을 붙이지 않는다.

마산합포구 청사는 옛 마산시 청사를 그대로 쓰는 덕분에 마산회원구와 달리 공간이 매우 넉넉하다. 옆에 있던 마산시의회 건물은 통합 이후에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으로 쓰이고 있다. 참고로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은 기존의 시법원/등기소 건물을 그대로 리모델링하여 사용 중이다.

창원시에서 진해구와 함께 여권 발급 업무가 가능한 구청 중 한 곳이다. 이는 여권 발급을 위해 경남도청[19]까지 가는 수고를 덜어주기 위해 옛 시청에 자리잡은 마산합포구청/진해구청에 업무를 이관했기 때문이다.


3.1. 주요 시설[편집]


  • 공공기관
    •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
    • 마산중부경찰서
    • 마산소방서
    • 마산합포우체국
    • 창원보훈지청
    • 창원기상대
    • 마산세관
    • 마산지방해양항만청
    • 창원출입국관리사무소
  • 교통시설
  • 문화시설
    • 문신미술관
    • 창원시립마산박물관
    • 도립 마산도서관
    • 마산합포도서관
    • 진동도서관
  • 의료시설
    • 국립마산병원[20]
    • 경상남도마산의료원


4. 경제[편집]


1980년대만 해도 한일합섬 마산공장으로 대표되는 섬유산업이 잘 나가는 경남의 중심지였으나, 섬유산업이 몰락하고 구창원 지역들(의창구, 성산구)이 개발되면서 옆 동네와 같이 창원에서 낙후된 지역의 대명사가 되었다. 하지만 썩어도 준치라고, 과거 마산시 시절의 영광을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는 경제가 유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항구 인근이여서 수산업이 유지가 되고 있다는 점, 거기에 학군 면에서도[21] 절대적으로 밀리지가 않기 때문이다.[22] 거기에다가 군수산업과 기계부품산업이 어느정도 남아있기도 하고, 마산로봇랜드의 존재로 로봇 관련 연구도 어느정도 진행되는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구민 소득 역시 창원시 평균과 비교해도 제법 괜찮은 편이다.


5. 교육[편집]










6. 정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마산합포구/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sanha-map.png

행정동이 옛 창원지역에 비해 많을 뿐더러 심지어 법정동 하나를 행정동 둘이서 나누거나, 법정동이 이름이 같은 행정동을 놔두고 다른 행정동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일제강점기부터 발달된 도시들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법정동이 잘게 쪼개져 있으며, 옛 마산시 시절 지번 체계 역시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 반면에 1970년대에 개발이 시작된 마산회원구는 비교적 깔끔하다.

마산시가 도농복합도시였고, 위치가 위치인 만큼 마산시의 면 지역이(따지고 보면 창원군) 모조리 여기에 속하게 되었다.


7.1. 동 지역[편집]


파일:마산합포구의 행정구역.png
舊 마산부
오동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완월동, 월영동, 자산동, 합포동
舊 창원군 내서면
교방동, 산호동
舊 창원군 구산면
가포동, 현동

지도에는 노산동이 나와 있지만 지금은 교방동이랑 통합되었다.


7.1.1. 가포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가포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263명.[P]

인구가 매우 적긴 하지만, 마창대교 남단으로 아파트단지가 조성되고 있기 때문에 행정동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산가포신항, 국립마산병원이 있다. 학교는 가포초, 마산가포고가 있다.


7.1.2. 교방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교방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관할 법정동은 교방동·교원동·상남동(일부)이다. 인구는 15,924명.[P]

육호광장으로 잘 알려져 있는 동네이지만 평범한 구도심이다. 다만 현재 무학자이(705세대), 창원 롯데캐슬 프리미어(999세대) 등 재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구도심의 모습을 탈바꿈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학교는 교방초, 마산의신여중, 경남전자고, 합포고가 있다.


7.1.3. 문화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화동(창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관할 법정동은 대외동·대창동·두월동1~2가·문화동·신창동·월남동1~5가·월영동(일부)·유록동·창포동1~3가·청계동·평화동·홍문동·화영동이다. 인구는 11,104명.[P]

많은 법정동에서 볼 수 있듯이 전형적인 구도심으로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혼재되어 있다. 롯데마트 마산점, 롯데시네마 프리미엄경남대, SMG연세병원이 있다. 학교는 마산제일여중, 마산제일여고가 있다.


7.1.4. 반월중앙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대성동1~2가·신월동·신흥동·완월동(일부)·월포동·장군동1·2·3가(일부)·중앙동1·2·3가(일부)이다. 인구는 13,844명.[P] 2017년부터 반월동, 중앙동이 통합되어 반월중앙동으로 개청되었다. 행정복지센터는 과거 중앙동주민센터에 두고 있다.

중앙동이라는 이름은 일제강점기 당시 현재의 동서동 일대인 '원마산'과 '신마산'을 잇는 통합부지를 '중앙마산'이름으로 개발한 데에서 유래했다. 舊 마산시청(현 마산합포구청이 아닌 그 맞은편의 마산세무서를 말한다)은 군사용지, 즉 국유지이던 곳에 시청을 지은 것.[23]

산복도로 주변으로 중고등학교들이 많이 있다. 그 아래로 달동네들이 분포하며, 3.15대로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경동메르빌 1~2차(861세대)와 월포 벽산블루밍(706세대) 등이 있다. 월포동에 마산연안여객선터미널, 중앙동2가에 마산중부경찰서, 마산우체국, 중앙동3가에 마산합포구청,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 이마트 마산점이 있다. 학교는 월영초, 마산중앙고가 있다.


7.1.5. 산호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산호동(일부)이다. 인구는 11,913명.[P]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호텔 사보이 등이 있다. 다만 신세계백화점과 NC파크 사이에 있는 먹자골목을 제외하면 대부분 주택이나 빌라인 주거지역이다. 산호공원 밑에 마산도서관이 있다. 학교는 산호초, 용마초, 합포중이 있다.


7.1.6. 오동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남성동·동성동·부림동·서성동·성호동·신포동1~2가·오동동·중성동·창동·추산동이다. 인구는 18,866명.[P]

마산만 아이파크(780세대), 마산항, 창원해양경찰서, 마산소방서, 정부경남지방합동청사, 창원시립마산박물관, 오동동문화의거리, 롯데백화점 마산점, 마산 어시장이 있다. 학교는 성호초가 있다.


7.1.7. 완월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완월동(일부)·장군동3가(일부)·4가·5가·중앙동3가(일부)이다. 인구는 8,755명.[P]

경상남도마산의료원,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마산세무서 등이 있다. 학교가 많은데, 완월초, 월성초, 성지여중, 마산고, 마산여고, 성지여고가 있다.


7.1.8. 월영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월영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관할 법정동은 대내동·월영동·해운동이다. 인구는 42,080명[P]으로 마산합포구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마린 애시앙부영(4,298세대)을 필두로 아파트단지들이 굉장히 많다. 경남대학교,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마산 앞바다의 마산해양신도시는 법정동 해운동, 돝섬은 법정동 월영동에 속한다. 학교는 고운초, 신월초, 해운초, 마산서중, 해운중이 있다.


7.1.9. 자산동[편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9,744명.[P]

주변 동 사이에 끼어 있는 서민층 주거지역. 학교는 무학초, 마산중이 있다.


7.1.10. 합포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산호동(일부)·상남동(일부)이다. 인구는 6,940명.[P]

3.15대로를 기준으로 동쪽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수출정문사거리까지 이어진다. 지명의 근원이 된 동네이지만 특별한 시설은 없다. 학교는 상남초, 합포초, 마산용마고가 있다.


7.1.11. 현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덕동동·예곡동·우산동·현동이다. 인구는 13,868명.[P]

창원현동 중흥S클래스 프라디움 3차(1,343세대), 창원현동 LH1단지(1,124세대) 등 아파트단지들이 조성되면서 인구가 늘었다. 매우 자연 친화적이며 젊은 층이 많아 아동수가 많다. 자연공원이 잘 조성되어 산책하기 좋다. 덕동은 한적한 어항일 뻔 했으나 아쉽게도 쓰레기매립장과 하수도사업소가 있다. 학교는 현동초, 구산중이 있다.


7.2. 면 지역[편집]


구산면을 제외한 진동면·진북면·진전면은 조선시대 진해현의 영역이었다. 정작 진해구는 조선시대 웅천현의 영역이었다.[24] 23부제 개편 이후 진해군웅천군과 함께 1908년에 창원부에 합병되어 사라졌다. 구산면의 경우 칠원현(현 함안군의 일부)에 속했으나 1908년에 창원군에 편입되었다.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3개 지역을 합해서 '삼진'이라고 부른다.


7.2.1. 구산면[편집]


면소재지는 수정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25] 인구는 4,069명.[P]

그냥 시골인데, 5번 국도가 잘 닦여 있어 차량으로 가면 교통이 딱히 불편하진 않다. 경남 마산로봇랜드가 있다. 저도는 저도연육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된다. 심리에서 해저터널을 통해 거제도로 연결될 예정이다. 학교는 구산초(구서분교 포함), 반동초, 구산중 구남분교와 특수학교인 창원동백학교가 있다.


7.2.2. 진동면[편집]


면소재지는 진동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26] 인구는 11,892명.[P]

면소재지인 진동리는 삼진의 중심지역이다. 아파트단지도 몇 개 들어서 있어 마산합포구의 면들 중에서는 인구가 가장 많다. 마산운전면허시험장과 창원시의 유일한 해수욕장인 광암해수욕장이 여기에 있다. 학교는 우산초, 진동초, 마산삼진중, 마산삼진고, 태봉고가 있다. 신기리, 고현리를 잇는 도로는 미더덕로(...)라고 명명되어 있다.


7.2.3. 진북면[편집]


면소재지는 지산리, 관할 법정리는 15개이다.[27] 인구는 3,242명.[P]

신촌리와 망곡리 골짜기에 공장들이 들어서 있다. 그 외에는 시골. 학교는 하북초가 있다.


7.2.4. 진전면[편집]


면소재지는 오서리, 관할 법정리는 16개이다.[28] 인구는 3,751명.[P]

오서리를 중심으로 삼진에서 가장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고성과 진주로 넘어가는 갈림길에 위치하며, 동진교를 통해 고성군 동해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학교는 진전초, 진전중이 있다.


8. 기타[편집]


파일:2010h_lc000043_i01.jpg
옛 마산시 합포구청. 현재는 리모델링을 거쳐 마산합포도서관으로 쓰이고 있다. 주소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16길 22 (해운동)

마산시 시절 2000년까지 존재하던 합포구 시절까지 포함하면 크고 아름다운 구 청사를 갖기까지 많은 역경의 시간을 가졌는데, 현 마산의료원 자리에 있던 마산시 합포출장소를 1990년 승격해서 출범된 합포구청은 95년에 대내동 1-1번지에 있는 舊 창원군청 청사로 이전했고[29], 1997년에 두산건설로부터 청사를 기부받은 해운동 61번지 신축청사로 들어가서 몇 년 잘 쓰나 싶더니 구청제 자체가 폐지되어무주공산이 될 뻔했다가 드디어 마산합포도서관으로써 활용방안을 찾아서 몇 년 잘 쓰다보니 또 통합 창원시 출범으로 인해 구 청사를 물색해야하는 형편이 되었고, 옛 합포구청 자리에는 이미 마산합포도서관을 지어놓은지라 다시 들어갈 수가 없어서 결국 옛 마산시청이 마산합포구청사로 낙점되게 된 것이다.


9. 출신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1:53:55에 나무위키 마산합포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2] 창원시 제8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강용범 / 창원시 제9선거구 (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합포동, 산호동): 정규헌 / 창원시 제10선거구 (월영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완월동): 정쌍학 [3] 창원시 아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이천수, 김이근 / 창원시 자선거구 (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합포동, 산호동): 홍용채, 서영권 / 창원시 차선거구 (월영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완월동): 박선애, 정길상 [4] 창원시 자선거구 (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합포동, 산호동): 이원주 / 창원시 차선거구 (월영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완월동): 전홍표 [5] 창원시 통합전에는 마산시청으로 사용되었다.[6] 일제강점기 시절 마산합포구 신마산 일대는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던 곳으로 유명하다.[7] 그렇지만 이또한 별 의미 없는 것이 교방동 일대 북마산 교방 1구역이 오는 2023년에 입주 예정에 있고, 상남산호지구나 자산지구, 반월지구, 가포공공택지지구, 현동공공택지지구가 개발되면 인구 18만 회복은 다시 이루어질 것으로 쉽게 예측된다.[8] 통합 창원시 출범 당시에는 진해구보다 조금 더 많았으나, 이후 진해구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등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면서 결국 2015년에 진해구에게 추월당했다.[9] 창원에는 2읍 6면이 있는데 이 중 동읍, 북면, 대산면이 의창구, 내서읍마산회원구에 소재하며 나머지 4면(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은 모두 마산합포구에 있다.[10] 도심 시가지 면적만 놓고 비교한다면 마산회원구와 별 차이는 없는 편이다.[11] 다만 분구 당시에도 동 지역에 한해서 당시의 마산시 갑 선거구와 일치했다.[12] 부산의 도시 개발 난개발 역사의 프로토타입이 마산합포구 지역이다.[13] 고운로의 확장 계획이 있었으나 당시 마산여고를 방문했던 김영삼 대통령 영부인 손명순(마산여고 졸업)여사의 입김으로 운동장이 도로방향으로 확장되어 무산되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무학로가 건설되었다고 한다.[14] 롯데마트, GS슈퍼마켓, 이마트 마산점(구 월마트,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월마트가 철수한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하나로마트. 4개가 동시에 공략하는데 버틸 수 있겠는가? 참고로 홈플러스마산회원구에 있다.[15] 원래는 향토백화점이자 이 일대 최대의 백화점이었던 성안백화점. 1997년 외환 위기로 망하며 신세계그룹에서 인수하여 신세계백화점 마산점이 되었다.[16] 롯데시네마 마산점이 2018년 초 바뀌었다.[17] 원래 있던 남부시네마에 롯데시네마가 들어선 것을 씨너스가 인수하고 이후 메가박스 경남대점이 되었으나 2018년 9월 10일 임대료 급증으로 재계약을 포기하고 폐점했다.기사 그 자리에 2019년 4월 10일 오픈하여 결국 두 개의 대형 영화관이 서로 자리를 바꾼 형태가 되었다.기사[18] 국내 최고의 무역종합상사로 대우그룹의 주축계열사였다. 무역업, 자원개발업을 주로 하며 유통업의 일환으로 대우백화점 마산점을 운영했다. 대우그룹 해체 후 캠코의 관리를 받다가 2010년 가을에 포스코그룹으로 인수됐다.[19] 버스로 월영동에서 1시간이고, 삼진면 지역에서는 시외버스를 타거나 시내버스로 2시간이 넘게 걸린다.[20] 구.국립마산결핵병원. 결핵 전문 병원으로 (재)국제결핵연구소를 부속 연구소로 두고 있다. 현재 병원 현대화 사업 추진중.[21] 야구부가 있는 마산용마고와 마산고/마산여고가 있다.[22] 참고로 이게 대구 서구와 달리 그나마 경제적으로 돌아가는 이유인데, 대구 서구의 경우는 학군도 낙후되었기 때문이다.[P]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23] 현 마산합포구청도 일제강점기 군사용지로 묶여있던 곳이긴 했다. 과거에는 주택과 소규모 공장 등이 있었으나 마산시의 시청사가 협소하고 도농통합시가 되면서 구 시청의 반대편 부지를 싹 밀고 시청을 크고 아름답게 새로 올린 것.[24] 웅천현의 중심지는 지금의 진해구 남문동에 있다.[25] 구복리·난포리·내포리·마전리·반동리·석곡리·수정리·심리·옥계리·유산리[26] 고현리·교동리·다구리·동전리·사동리·신기리·요장리·인곡리·진동리·태봉리[27] 금산리·대티리·대평리·덕곡리·망곡리·부산리·부평리·신촌리·영학리·예곡리·이목리·인곡리·정현리·지산리·추곡리[28] 고사리·곡안리·근곡리·금암리·동산리·봉곡리·봉암리·시락리·양촌리·여양리·오서리·이명리·일암리·임곡리·창포리·평암리[29] 원래는 대한제국 시절 일본 공사관 자리. 일본인 조계지의 한복판이며 골목이 방사형으로 뚫려 있다. 현재는 경남대학교 평생교육관으로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