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414/414-1

덤프버전 : r (♥ 0)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대구광역시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white 급행
ㆍ[[틀:대구광역시 순환버스|
순환
]]ㆍ[[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
간선
]]ㆍ[[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대구광역시 출근맞춤버스|

출근
]]ㆍ[[틀:폐선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c; font-size: 16px;"
폐선
]]


파일:attachment/P508708.jpg파일:414번 좌석차량.jpg
사진 속의 차량은 수성3번으로 이동되었다.[1]508번 출신 좌석버스. 해당 차량은 2012년에 대차되었다.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편집]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14번
기점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범물1동주민센터)종점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범물1동주민센터)
종점행첫차05:30기점행첫차05:30
막차22:24막차22:24
평일배차11분주말배차15분
운수사명경북교통인가대수12대
노선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 수성소방서 - 성동초교 - 수성구보건소 - 희망교 - 명덕역 - 반월당역 - 동산의료원 - 도시철도대구역 - 칠성시장역 - 평화시장 - 동대구역 - 구.동부정류장 - 무열대 - 국립대구박물관 - 수성소방서 -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14-1번
기점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범물1동주민센터)종점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범물1동주민센터)
종점행첫차05:30기점행첫차05:30
막차22:33막차22:33
평일배차11분주말배차15분
운수사명경북교통인가대수12대
노선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 수성소방서 - 국립대구박물관 - 청구시장 - 구.동부정류장 - 동대구역 - 평화시장 - 칠성시장역- 도시철도대구역 - 서문시장 - 반월당역 - 명덕역 - 희망교 - 수성구보건소 - 성동초교 - 수성소방서 -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2.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1동주민센터(4)에서 동구 신암4동 동대구역(1)을 거쳐 다시 수성구 범물1동주민센터(4)로 순환 운행했던 경북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폐선되었다.

414번 전체 정류장 목록
414-1번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6년 노선 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었다.[2]

  • 2006년 9월 24일 개편 때 기종점을 담티역에서 범물1동행정복지센터로 변경했다. 중간 경유지도 대구상공회의소 대신 효신네거리 경유로 변경했다.[3] 514번의 범물1동~구.동부정류장 연결 기능을 대체하기 위함이었다.[4] 봉산육거리 경유도 명덕네거리 경유로 변경했다.

  • 2012년 1월에 414번 차량 1대가 937번으로 이동했다.

  • 2015년 8월 개편 때 폐지되었다. 희망교 구간은 204번이 봉명네거리를 경유하여 들어온다. 유림한의원과 봉덕119안전센터 쪽은 더 이상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않는다.


4. 특징[편집]



  • 봉덕119안전센터(414번)과 유림한의원(414-1번) 구간을 편도 운행했다.

  • 이용객이 많은 편이 아니었지만, 배차간격은 준수했다. 인가대수도 414번이 딱 1대 감차된 것 외에는 변동이 없었다.

  • 한때 508번 출신 좌석차 대부분이 이 노선에 있었다.

  • 414번은 롯데리아 신암점 근처 강남약국 정류장에 정차했다. 폐지 후 414번의 구간을 이어받은 524번은 이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는다.

  • 이 노선 폐지 이후에는 황금동 캐슬골드파크 일대에서 역민원이 있었다. 황금동 주민들은 서문시장과 칠성시장으로 가기 어려워졌다는 이유로, 강한 불만을 쏟아냈다. 대구광역시 버스운영과는 황금역 가서 환승하라는 입장이었다. 황금동 주민들이 서명운동까지 하면서 집요하게 들고 일어난 것 때문이었는지, 결국 시청에서도 두 손을 들었다. 414(-1)번 대체를 위해, 524번 기점을 담티역에서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로 연장했다.[5]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14번
2014년2015년
5,029명4,692명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14-1번
2014년2015년
5,030명4,624명

5. 연계 철도역[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30 14:09:00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414/414-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바로 뒤에 있는 버스는 399번이다.[2] 1999년 때 신설된 414(-1)번 번호도 있었다. 이 노선은 담티역~남부정류장~경북고교~어린이회관~희망교~건들바위네거리~반월당역~서문시장~한일극장~(기존 구간)~남부정류장~담티역 구간을 운행했다. 칠성남로 구간 외에는 상당 부분이 유사했다. 2000년 3월 2일에 폐지되고 대체 노선으로 사월동 ~ 만촌네거리 ~ 범물네거리 ~ 경찰청 ~ 두산오거리 ~ 어린이회관 ~ 희망교 ~ 이천동 ~ 명덕역 ~ 반월당 ~ 서문시장 구간을 운행하는 900번이 신설되었으나, 배차간격이 30~40분이었다. 이 900번의 구간 중 반월당 ~ 희망교 ~ 범물네거리 구간은 204번이 이어받아서 이천동 편도 구간을 양방향 봉명네거리로 통합한 후 900번보다 살짝 나은 배차간격으로 운행 중이다. 한때 폐지되어 결번이었을 당시 404(-1)의 안내방송 번호로 활용되기도 하였는데, (-1)을 뺀 숫자가 하필이면 이 노선과 겹쳐 쓰지 못했기 때문.[3] 414번은 당시 법원 U턴 구간이 있었다.[4] 단, 순환2번처럼 동부정류장 안으로는 들어가지 않았다.[5] 524번 범물 연장 원인은 수성4번의 수요 부진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