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514

덤프버전 :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ㆍ[[틀:대구광역시 순환버스|
순환
]]ㆍ[[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대구광역시 출근맞춤버스|
출근
]]ㆍ[[틀:군위군 마을버스|
군위
]]ㆍ[[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폐선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편집]


대구광역시 일반버스 514번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리공영차고지)
종점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제2범물공영차고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22:30
막차
-
평일배차
15분
주말배차
15분
운수사명
공동배차
인가대수
30대
노선
매곡리공영차고지 - 계명대정문 - 용산네거리 - 두류역(달성고교) - 동산의료원 - 달성공원 - 대구역 - 칠성시장 - 동대구역 - 동부정류장 - 효목네거리 - 만촌네거리 - 국립대구박물관 -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2. 개요[편집]




3. 역사[편집]


  • 매곡리가 기점이었던 일반버스 3번과 좌석버스 303번이 이 노선의 전신이었다.

  • 일반버스 3번은 하빈면, 다사면(강정리, 세천리)[1], 칠곡군 지천면 신리[2], 왜관읍 금남리, 낙산리[3][4] [5]를 지원운행했다. 좌석버스 303번은 하산리 구간을 지원운행했다.


  • 1990년대 개편 때 일반버스 3번은 종점을 남부정류장에서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로 연장했다.

  • 1998년 개편 때 3번은 514번, 303번은 415번으로 변경되었다.[6]

  • 1998년 개편 당시에는 415번은 하빈면까지 운행하는 차가 없었고 전 차량이 다사읍사무소까지만 운행했으며 514번도 죽곡리(강정)[7], 세천리[8]로 가는 가지 노선만 있었다.

  • 1998년 5월 개편 때 하빈면 일대로는 대평리~반고개~비산네거리~큰장네거리~달성공원~대구역[9]~반월당(동아백화점쇼핑점) 구간을 운행하는 52-1번[10], 대평리~다사역~이천리~달천리~박곡리~해량교~방천리~위생처리장~비산염색공단~북부정류장~팔달시장~오봉로~3공단~북구청~칠성시장을 운행하는 52-2번이 생겼으나, 3달 후 52-1번은 동년 9월 20일에 514번에 통합되어 폐선되었다. 대신 현재의 성서2번 서문시장행이 다니는 코스가 이 때 운행했던 52-1번의 코스이기도 하며 405번의 반고개 코스이기도 하다. 삼성명가타운에서 서문시장 구간까지 504번과 유사하다.[11]

  • 이 때 514번 대평리행 지선[12]은 2006년 개편 이후의 성서2번 대평리행 본선과 달리 동곡리에서 바로 감문리로 올라가지 않고, 봉촌리와 하산리를 찍고 나서 동곡으로 돌아와 감문리로 운행했다. 쉽게 말해 하빈면을 다 돌았다. 1999년 415번이 다사읍에서 하산리 성주대교까지 연장했는데, 이 노선이 성서2번 하산2리(하산수무지) 지선이 모태다.

  • 주목할 점은 당시 일부 연장 운행도 아니고, 무려 모든 415번 차량이 성주대교까지 운행하였다. 당시 415번의 배차간격이 13분이었는데 다사읍에서 동곡리를 잇는 30번 국도 구간에서 이 정도 배차간격이면 빗자루 배차인 셈이다. 그러나 이용 승객들이 별로 없어서 415번도 머지않아 운행 차량 중 1/3만 성주대교(하산리)까지 연장 운행하고 나머지 차량은 다사읍사무소 옆 공터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원상 복귀되었다.[13]

  • 2001년 4월 23일 좌석버스 415번과 일반버스 514번을 통합 514번으로 개편했다. 415번이 운행했던 하산리도 514번이 전담했다. 그러다가 몇 달 후에 대평리행 노선이 담당하던 봉촌리 구간을 성주대교행 노선이 맡게 되면서 대평리행과 운행 계통이 분리됐다.

  • 2002년 개편 때 묘리(육신사)행 지선도 신설했다. 2006년 개편 당시의 성서2번과 비슷한 운행 형태가 만들어졌다.

  • 2006년 2월 개편으로 폐지되었다. 하빈면 가지노선은 같은 해에 신설된 성서2번이 대체한다. 2015년 개편때는 기점과 경유지가 다르지만 비슷한 425번[14]524번이 운행하여 대체수단으로 활용중이다.


4. 특징[편집]


415번과 통합 전의 운행대수는 19대, 수요에 비하면 배차간격은 15분으로 긴 편이었다. 그러다가 당시 인가대수 20대였던 415번과 통합하면서 운행대수가 단숨에 39대로 늘어나 배차간격 7분 간격으로 빗자루질을 하게 되었다. 다만 인가대수가 수요에 비해 많았기 때문에 얼마 못 가서 감차되어 30대로 다녔다.


5. 연계 철도역[편집]


폐선일 기준이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0:42:45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51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에는 다사면이었다. 1997년에 다사읍으로 승격.[2] 대평리를 경유하던 노선이었으나, 1990년대 중반 대평리로 단축되었다.[3] 1990년 중반에 폐지되었다.[4] 지천면에도 낙산리 라는 같은 지명이 있지만 그 방향을 운행하지 않았다. 그 방향은 1998년 개편 이전 7번과 7-1번, 107번이 지원운행한 것으로 추정 참고로 지천면에 위치한 낙산리는 북구 태전동 경계에 있다.[5] 현재 하빈면-왜관읍 낙산리 방향은 대구 시내버스 노선은 폐지되어 현재 문양역에서 칠곡군 농어촌버스 7번, 9번, 20번이 운행하고 있다. 대구권 광역환승할인이 시행되면 문양역에서 환승 이동이 가능해질것으로 전망된다.[6] 514번은 대구역을 왕복운행하고 415번 한정으로 대구역, 한일극장(현 CGV대구한일)구간 1/2 분리구간 운행하였다. 514번만 한일극장(현 CGV대구한일)구간을 운행 못한건 유사 노선인 425번, 504번의 영향 문제인듯하다.[7] 514번 시절에는 죽곡리(강정)에서 시종착하는 방식이었으나, 성서2번은 강정에서 U턴해서 대실역으로 가는 방식이다.[8] 이 곳은 2006년 노선 개편 후 성서3번 세천리행이 전담하고 있으며 성서5차산단이 조성되어 있다.[9] 원래는 칠성시장쪽으로 다니다가 반월당으로 종점이 변경된 것이다.[10] 그것도 현재 성서2번 서문시장행의 코스로 다니다가 연장된 것이다.[11] 단 504번처럼 달리 대명시장, 계명네거리로는 아예 안가고, 514번 처럼 크리스탈호텔을 경유하지도 않으면서, 405번의 옛 구간인 새길시장, 비산네거리로 편도 운행으로 들어갔다가 신남역에서 하빈방향으로 갈때는 514번 구간 처럼 달구벌대로를 타고 반고개로 나온다.[12] 1일 14회 운행했다.[13] 그러나 이 공터가 좁아서 종점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었기 때문에 2004년 매곡리공영차고지가 생기면서 매곡리회차지로 종점을 변경했다.[14] 실제로 다른구간은 두류네거리 ~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구.남부정류장 ~ 만촌동 구간이고 강창역 대신 세천리 구간으로 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