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어(교과)

덤프버전 :




1. 개요
2. 현실
3. 장점
4. 전망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2외국어로 배우는 베트남어 과목으로, 고등학교 제2외국어 영역에 속한 과목 중 하나이다. 베트남인 이민자, 다문화 가정, 베트남계 한국인의 증가로 인해 2012년에 제2외국어 과정으로 추가된 과목이며, 첫 수능은 2014년도에 실시되었다.[1]


2. 현실[편집]


대한민국에서는 충남외고청주외고[2] 단 두 곳[3] 가르친다. 그래서 교과서도 국정교과서나 검정교과서가 아닌 충남교육청 인정 교과서를 사용한다.

개별적으로 구하려면 출판사에 전화주문해야 한다고 한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베트남어 교과서는 이렇게 생겼다. 또한 모의고사도 평가원 모의고사에서만 출제되며, 교육청 모의고사에서는 출제되지 않는다.

아랍어, 러시아어에 비해 은근히 접하기 쉬운 언어이기는 하지만, 중국어, 일본어와 달리 수요가 적다보니 제2외국어의 인기 언어로 손꼽히기에는 완벽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중국어, 일본어의 경우 재한 화교, 조선족, 재한 중국인이나 재한일본인, 일본계 한국인, 재일 한국인 등의 비중도 만만치 않지만 중화권이나 일본에서 거주했는 학생과 해당 언어로 된 매체[4]를 접할 기회가 베트남어에 비해 많다보니 등급 블랭크 현상이 심히다.

물론 베트남계 한국인 비중도 높고, 재한 베트남인, 외국인 노동자 수요도 많기는 하지만 가르치는 학교가 2곳 밖에 없는데다 한국인베트남 영화베트남어로 된 매체를 접하는 경우가 적기 때문이다.

또 상위권이 아예 없기 때문에 아주 기초적인 것만 공부하고 모르는 문제는 죄다 찍어도 1등급이 나오는 것도 꿈은 아니다. 이러한 소위 '수능 로또'를 노리는 몇몇 수험생들도 가세하며 가르치는 학교도 얼마 되지 않는 이 과목은 엄청난 인기를 끌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수능 아랍어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어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수험생들은 베트남어와 아랍어 중에 뭘 선택할지 고민하게 된다.


3. 장점[편집]


베트남어는 문법적으로 아랍어, 러시아어만큼 어려운 언어는 아니다.

더욱이 글자를 라틴 문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랍 문자를 사용하는 아랍어,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러시아어에 비해 글자만 보고 겁먹을 일은 일단 없다.

이 두 언어에 없는 베트남어만의 어려운 점이라면 단연코 '성조'를 들 수 있는데, 이 역시 오직 수능을 위한 베트남어라면 무시해도 된다. 베트남어는 중국어와 달리 글을 쓸 때 성조 표시를 모두 하기 때문이다. 그냥 á, à, ạ, ả, ã는 a인데 이건 조금 다르게 쓴다' 정도로 알고 넘어가도 된다.

수능 제2외국어 시험에서는 듣기, 말하기 영역이 없기 때문에 성조 표시까지 그냥 통째로 보아 하나의 글자로 기억하면 된다. 수능에서 성조를 직접적으로 묻는 문제는 단 하나뿐이다. 성조 공부를 포기하고 다른 부분을 완벽하게 공부하면 다른 과목보다 손 쉽게 48점을 맞을 수 있다.[5]

듣기, 말하기 영역의 유무, 그리고 시험에서 요구되는 난이도를 고려하면 베트남어를 공부하는 것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외국어 베트남어를 준비하는 것은 분명 다르다. 이런 특징을 고려한다면 단기간 준비하여 로또를 노려볼 만한 제2외국어이기는 하다.


4. 전망[편집]


2014년도 수능에서는 처음 실시라는 이유 때문에 그 동안 아랍어에서 로또를 노리던 수험생들이 대거 몰렸으나, 반드시 앞으로의 전망이 밝다고는 말하기는 어렵다.

일단 아랍어, 러시아어에 비해 쉽다는 특성은 양날의 검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과목이 쉽다면 선택한 뒤에 공부해보니 의외로 해볼 만하다고 판단해서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반면 아랍어같이 글자부터 멘붕을 유발하는 경우에는 그냥 포기하고 로또를 노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조금만 참고 공부하면 어느 정도 경지에 오를 수 있는 것. 명심하자, 자신에게 쉬운 것은 남에게도 쉽다. 이건 상대평가인 모든 과목에 해당한다.

그리고 베트남인, 베트남계 한국인들은 한국에 전국적으로 많이 퍼져 있다. 약간의 관심만 있다면 정말로 돈 들이지 않고 배울 수도 있다. 이미 농어촌에서는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많이 있다.

아무리 한국에 있는 모스크에서 무료로 아랍어를 알려준다고 해도 한국에 모스크가 방방 곡곡 있는 것도 아니고, 그 모스크에도 아랍인들이 항상 바글거리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물론 쿠란아랍어로 되어있지만 모스크에 모이는 사람들은 대부분 비아랍인들이다.[6]

지금까지는 환경[7]과 언어 학습에 따른 쓸모의 정도[8] 때문에 베트남인 부모님이 있더라도 베트남어를 잘 아는 학생들이 적었지만, 이들이 대거 수능 제2외국어에서 베트남어를 선택할 경우, 커트라인이 치솟을 가능성 또한 무시하지 못한다.

아랍어가 접하고 배우기 어렵고, 문자가 아예 달라 초기 진입 장벽도 높아서 어설프게 손대보아야 두어 문제 풀고 나머지는 손도 못 대고 죄다 찍어야 하는 막장성 때문이었음을 고려한다면 이쪽은 그래도 매우 양호한 편. 그리고 이는 거품이 단시간에 급격한 속도로 확 빠져버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17수능에선 2외국어 선택자 수는 아랍어>>일본어>중국어>베트남어 순이었다.

그러나 한 번 응시자 수가 줄어들고 난이도가 급등하여 막장화된 다른 제2외국어 과목들이 정상화되기 힘든 상황에서 공부하기보다는 찍기로 마음먹은 학생들이 선택할 과목은 아랍어와 베트남어, 백번 양보해서 2등급까지만 노린다면 러시아어 뿐이다.

위의 전망도 어디까지나 아랍어와 비교했을 때만 유효한 이야기일 뿐, 다른 제2외국어와는 대등한 비교라고 볼 수 없다. 사실 아랍어와 베트남어는 인내심을 가지고 EBS 강의만 들어도 만점을 맞을 수 있는 난이도인 반면, 나머지 제2외국어 과목은 별도의 자격증을 딸 수준의 공부 없이는 대학 입시에 도움이 되는 수능 등급을 딸 수 없는 시험으로 변질되고 말았다.

2014년도 수능에서 널널하게 최대 응시자수 1등을 차지한 후, 2014년 6월에 실시된 모의평가에서 베트남어 3등급컷이 감히 아랍어 1등급컷과 맞먹는 불길한(?) 일이 발생했다

2015년도 수능에서 응시자수 1위는 유지했지만, 결국 2015년도 수능 결과에서 표준점수는 영원한 라이벌(?) 아랍어에 참패하는 결과가 나왔다. 일단 만점일 때 표준점수는 100 : 78로 아랍어가 완승.

1등급 원점수 역시 23 : 48 로 아랍어가 완승했다. 원점수 23점이면 베트남어에서는 3등급이다. 이런 결과가 발생하게 된 이유는 그나마 조금이라도 공부하는 학생들이 대거 베트남어로 넘어가면서 아랍어는 정말 순수한 막장들만 모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2016 수능에서는 그 전년도의 볼 만 한 아랍어 등급 때문에 아랍어 응시생이 다시 5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급증했으며 모평에서는 베트남어의 3등급 이하 등급컷마저 상당히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했다.

2017 수능부터 과목명을 기초 베트남어에서 베트남어I으로 바뀌었다.

베트남어 I으로 과목명이 바뀐 이후로는 예전의 위상은 온데간데 없이 몰락하였다. 2017 수능에서는 제2외국어 영역 응시자 수 4위를 기록하였으며,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에서는 마침내 응시자가 590명까지 떨어져 제2외국어 영역 응시자 수 꼴찌(9위)를 담당하게 되었다.

심지어 러시아어I도 600명이 넘는다(8위).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을 가리지 않고 기존 응시층이 거의 모두 빠져나갔다는 의미. 다만 이건 두고 봐야 될 게 중국어, 일본어와 달리 이런 과목들은 말그대로 찍으러 오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굳이 6평에 응시하지 않는 학생들이 대다수다. 실제로 6,9 평가원에 비해 수능 응시자수는 2~3배 늘기도 한다.

2022 수능부터는 제2외국어 영역이 절대평가로 바뀌었기 때문에 전망이 더욱 어두워졌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3:49:42에 나무위키 베트남어(교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으로 2016년부터 베트남에서도 한국어 교과목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2외국어 교과목으로 추가되었다.[2] 2020년 학과 개편과 함께 베트남어-영어과가 신설.[3] 초기에는 대구국제고에서도 개설하였으나 연속된 선택 인원 미달로 2024년 입학생부터는 개설을 하지 않는다.[4] 중국 영화, 중국 드라마, 대만 영화, 대만 드라마, 홍콩 영화 혹은 일본 영화, 일본 드라마[5] 제2외국어 중국어 역시 마찬가지로, 한자와 병음을 외우면 말할 때 성조를 죄다 틀리게 말하고 들을 때 성조 구분을 하나도 못한다 하더라도 문제를 쉽게 맞출 수 있다.[6] 물론 파키스탄인, 파키스탄계 한국인, 방글라데시인, 말레이시아인, 인도네시아인, 이란인, 우즈베키스탄계 한국인, 카자흐스탄계 한국인 등이 한국에 많이 거주하지만 이들은 아랍어를 쓰는 국가가 아니다.[7] 당연히 수능을 치는 수험생 대부분은 한국에서 산다.[8] 국가적 영향력, 경제력 등 여러 방면에서 한국이 우세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국인이 베트남어를 배우기보다는 베트남인이 한국어를 배우는 경우가 많다.